KR20140087232A -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232A
KR20140087232A KR1020120156550A KR20120156550A KR20140087232A KR 20140087232 A KR20140087232 A KR 20140087232A KR 1020120156550 A KR1020120156550 A KR 1020120156550A KR 20120156550 A KR20120156550 A KR 20120156550A KR 20140087232 A KR20140087232 A KR 2014008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service server
ticke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오상호
Original Assignee
(주)씨스퀘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스퀘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씨스퀘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15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232A/ko
Publication of KR2014008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장 여부를 전자적으로 인증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자 개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통신(NFC) 기술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검표기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사용자의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고, 서비스 서버는 이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행사장 입장 여부를 인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은 (A)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읽을 수 있는 이차원 코드를 표출할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B)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검표기는 공연 정보가 기록된 제1 이차원 코드를 표출하고, 이동통신단말은 이 공연 정보를 읽어 공연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 ID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권 이미지를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는 해당 사용자 ID가 입장권 요청을 할 권한이 있는 경우 입장권 이미지에 제2 이차원 코드를 포함시켜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한다. 검표기는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된 제2 이차원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어 이것이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판단하고 입장 가능한 입장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본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ID, 예매번호 데이터와 함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 권한 여부를 확인 요청한 다음 그 응답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입장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Ticket Che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함)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종이 형태의 입장권이 아닌 전자적 형태의 입장권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NFC 기술은 13.56 MHz ㅁ 7 K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약 10 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근접형(proximity) 무선통신 기술로 교통, 금융, 소매, 티켓, 오락, 광고, 정보 전달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NFC 기술을 티켓 서비스에 적용한 종래 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1168272호 "엔에프씨 티켓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이하 "종래 기술 1")과 애플사의 미국특허출원공개 제US 2010/0082491호 "전자적 행사 티켓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Event Ticket)" (이하 "종래 기술 2") 등이 있다.
종래 기술 1은 티켓 발급부, 티켓 NDEF(NFC Date Exchange Format) 데이터 생성부, 인증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티켓 발급 서버를 두고, 이 티켓 발급 서버에서 티켓 NDEF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이를 메시지 전송 서버에 보내면 이 메시지 전송 서버가 티켓 NDEF 데이터를 사용자의 NFC 단말에 전송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한편 종래 기술 2는 NFC 인터페이스를 갖는 휴대용 기기가 전자 티켓을 이용, 저장 또는 획득함으로써 이 티켓과 관련된 행사에 입장하거나 다른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 공개특허에는 수십 개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는데, 휴대용 기기는 티켓 데이터를 NFC 티켓(NFC 태그가 부착된 종이 형태의 티켓)으로부터 얻거나, 종이 티켓을 스캔하여 얻거나, 전자우편이나 인터넷을 통해 전자티켓을 받거나, 유인(有人) 키오스크 또는 무인 키오스크로부터 전자 티켓을 구매하는 형태로 얻는다.
본 발명은 입장권 또는 티켓을 종이 형태가 아닌 전자적 형태로 제공하는 종래 기술을 개량하여 좀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입장권의 검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행사의 등록, 검색, 선택 및 특정 행사에 대한 전자 입장권의 발권과 검표 전체 과정을 정보통신 기기를 통해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전자 입장권의 사용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은 (A)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통신(NFC) 기술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B)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표기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사용자의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고,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가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며, 인증 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인증 요청을 접수하고, 사용자가 특정 행사의 입장권을 결제한 정보를 확인하여 인증을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결과값을 검표기로 전송하여 이 결과값에 따라 검표기가 해당 사용자의 행사장 입장 여부를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은 (A)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읽을 수 있는 이차원 코드를 표출할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B)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표기는 특정 행사장에서 개최하는 공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제1 이차원 코드를 표출하고, 이동통신단말은 제1 이차원 코드에 기록된 공연 정보를 읽어 공연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권 이미지를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의 입장권 이미지 요청에 대해 인증 서버와 함께 해당 사용자 ID가 입장권 요청을 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입장권 이미지에 제2 이차원 코드를 포함시켜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한다.
검표기는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된 제2 이차원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행사에 대해 사용자가 예매한 입장권의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어 이것이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판단하고 입장 가능한 입장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본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ID, 예매번호 데이터와 함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 권한 여부를 확인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의 입장 권한 여부 확인 요청에 대해 확인 결과값을 응답하며, 검표기는 서비스 서버의 확인 결과값이 해당 사용자에게 입장 권한이 있다는 값일 경우에는 개찰구를 개방하여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에 사용되는 검표기와 전자 개찰 방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장권 이미지를 특정 행사에 입장하려고 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지 않고 본인 확인 정보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한 사용자가 여러 명의 입장권을 동시에 구매한 경우에도 모든 사용자들이 각자 입장 권한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장권을 실제로 결제하지 아니한 사용자도 입장 권한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입장권을 양도하거나 선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좀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입장권의 검표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 입장권의 사용을 촉진할 수 있고, 따라서 종이 형태의 입장권 사용으로 인한 벌목을 줄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종이 형태의 입장권 발행이 소요되는 인쇄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이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구조도.
도 4는 이동통신단말과 NFC 리더 또는 NFC 클라이언트 간의 근거리 통신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 구조도.
도 5는 이차원 코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이 읽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행사 등록, 행사 검색 및 행사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NFC 방식을 이용한 개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개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이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정보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과 같은 정보처리 장치로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를 말한다.
NFC 리더기(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는 행사장의 입구 또는 개찰구에 설치되며 이동통신단말(10)과 NFC 통신을 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00)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행사장의 개찰구를 직접 제어한다. NFC 리더기(50A)와 달리 NFC 클라이언트(50B)는 이차원 코드 판독 기능과 이차원 코드의 생성 및 화면표시 기능도 갖추고 있으며, 행사장에 설치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NFC 리더기(50A)와 NFC 클라이언트(50B)는 모두 특정 행사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입장 권한이 있는지를 서비스 서버(100), 인증 서버(200)를 통해 확인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검표기(도 7 및 도 8의 '50')라고도 한다.
서비스 서버(100)와 인증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찰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전차 개찰 시스템을 운영하는 자의 서버 컴퓨터를 말하며, NFC 리더기(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 및 이동통신단말(10)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행사를 주최하는 측의 행사 등록 요청을 처리하고 이렇게 등록된 각종 행사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등록된 행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특정 행사의 입장권 이미지를 저장하고, 인증 서버(200)와 함께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이동통신단말(10)은 NFC 리더기(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와 NFC 통신을 하여,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NFC 리더기(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에게 보낸다. 그러면 NFC 리더기(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는 이 데이터와 공연 ID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0)에 보내 해당 사용자가 행사장에 입장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인증을 인증 서버(200)에 요청한다.
인증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예매 정보, 발권 정보,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 서버(100)에 보낸다. 이 인증 결과를 서비스 서버(100)가 NFC 리더기(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에게 보내면,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입장 여부가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예매 정보, 발권 정보, 결제 정보 각각의 데이터 구조는 아래 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예매 정보 발권 정보 결제 정보
예매 번호 예매 번호 결제 번호
사용자 ID 발권 번호 사용자 ID
공연 ID 상태 방식
결제 번호 금액
카드 번호
결제 일자
적립
포인트(마일리지)
위 표의 '예매 정보'에서 '예매 번호'는 사용자가 해당 행사를 선택하여 예매할 때 부여되는 번호를 말하고, '사용자 ID'는 본 발명의 전자 개찰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를 말한다. 또한 '공연 ID'는 본 발명의 전자 개찰 시스템에서 특정 행사를 구분하고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호, 문자, 숫자 또는 그 조합을 말하고, '결제 번호'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행사의 입장권을 구매할 때 부여되는 고유 번호를 말한다.
위 표의 '발권 정보'에서 '예매 번호'는 위에서 설명한 예매 정보의 예매 번호와 동일하고, '발권 번호'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행사를 위해 구매한 입장권을 발급하면서 해당 입장권에 부여하는 고유번호를 말하며, '상태'는 발급된 입장권이 사용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위 표의 '결제 정보'에서 '결제 번호'와 '사용자 ID'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방식'은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한 방식을 말하며, '금액'은 결제 금액을 말한다. '카드 번호'는 사용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한 경우 결제에 사용된 카드의 번호를 말하고, '결제일자'는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한 날짜를 말하며, '적립'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립한 내역을 말하고, '포인트(마일리지)'는 적립 내역에 따라 부여되는 가산점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이 구현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10)에 NFC 기능이 없거나 NFC 기능이 있더라도 그 기능이 정지된 상태일 때, 이차원 코드(가령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 개찰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10)은 NFC 클라이언트(50B)에 표출되어 있는 제1 QR 코드(30)를 스캔하여 QR 코드(3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읽는다(도 2의 단계 ①). NFC 클라이언트는 공연 정보가 바뀔 때마다 해당 공연의 공연 ID를 기반으로 이차원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가령 모니터에 화면표시한다. 가령 영화 상연인 경우 동일한 영화를 1회 상연과 2회 상연은 서로 다른 공연 정보로서 각각의 이차원 코드가 생성된다. 제1 QR 코드(30)에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입장하려는 행사와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공연 ID 데이터와 서비스 서버(10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단말(10)은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결제한 행사의 입장권을 요청한다(단계 ②). 이 때 이동통신단말(10)은 제1 QR 코드(30)에서 추출한 공연 ID와 이동통신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를 서비스 서버(100)에 보낸다. 입장권 요청을 받은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인증 서버(200)에 보내고(단계 ③), 인증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입장권 이미지를 서버스 서버(100)를 거쳐 이동통신단말(10)로 보낸다(단계 ④ 및 ⑤). 여기서 입장권 이미지에는 제2 QR 코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제2 QR 코드에는 예매번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 다음 이동통신단말(10)은 입장권 이미지를 표출(가령 화면표시)하고 NFC 클라이언트(50B)는 입장권 이미지에 있는 제2 QR 코드를 스캔하여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는다(단계 ⑥). NFC 클라이언트(50B)는 예매번호 데이터를 기초로 이것이 현재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아닌지 확인한다. 입장 가능한 입장권이라고 판단한 경우 NFC 클라이언트(50B)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이동통신단말(10)을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NFC 클라이언트(50B)는 사용자가 입력한 본인 확인 정보와 사용자 ID, 예매번호를 서비스 서버(100)에 보내 해당 사용자가 입장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고(단계 ⑦), 정상으로 확인이 되면 개찰구를 개방하여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입력한 본인 확인 정보가 일정 횟수(가령 3회) 오류일 때에는 NFC 클라이언트(50B)가 해당 사용자의 통과를 거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이동통신단말(10)은 제어부(12), 화면 표시부(14), 메모리(16), 사용자 인터페이스(18), 카메라(22), NFC 인터페이스(24), 통신부(26), 위치 감지부(28)를 포함한다.
제어부(32)는 이동통신단말(3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 가령 모바일 운영체제(노키아의 심비안, 구글의 안드로이드, 또는 애플의 iOS)가 탑재된 CPU 칩이다. 본 발명에 필요한 이동통신단말(30)의 동작, 예컨대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와의 근거리 통신, 사용자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하는 동작,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복호화하는 동작, 수신된 인증 결과를 화면표시부(14)에 표출하는 동작,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동작 등도 제어부(12)가 제어한다.
화면 표시부(14)는 가령 액정 디스플레이(LCD)로서 제어부(12)가 처리한 문자 데이터, 화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결제한 행사와 관련된 데이터, 행사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화면 표시될 수 있다.
메모리(16)는 이동통신단말(1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에 나타낸 메모리(16)는 반드시 하나의 메모리 칩으로 구성되지 않고 주기억 장치 역할을 하는 메모리와 보조기억 장치 역할을 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10)을 조작하거나 응용 프로그램(또는 앱)을 실행하는 행위를 인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는 가령 화면 표시부(14) 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22)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광학기기로 본 발명에서는 NFC 클라이언트(50B)에 인쇄된 이차원 코드를 판독하는 데에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이다.
NFC 인터페이스(24)는 이동통신단말(10)의 NFC 기능이 켜진 경우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여 RF 필드를 검색하는데, 만약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10)을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에 근접시키면 초기 명령을 통해 NFC 통신을 시작한다.
통신부(26)는 이동통신단말(10) 고유의 무선통신 기능을 담당하며, 이동통신단말(10)과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 그리고 서비스 서버(100)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위치 감지부(28)는 가령 범지구 위치결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이동통신단말(10)와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 간의 근거리 통신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 구조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의 NFC 인터페이스(24)는 NFC 칩(23)과 안테나(25)를 포함한다. NFC 칩(23)에는 사용자의 회원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NFC 인터페이스(24)를 사용자 식별모듈(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또는 범용 사용자 식별모듈(USIM: Universal SIM) 카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USIM 카드는 예컨대, 13.56 MHz 안테나, NFC 칩셋, USIM 칩을 내장한 카드이다. NFC 인터페이스(24)는 가령 ISO/IEC14443 표준에 따라 13.56 MHz 주파수 대역에서 10 cm 이내에 위치한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와 전자기장 유도 방식을 통해 106 kbps에서 847 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에 내장되어 있는 NFC 모듈(54) 역시 NFC 칩셋(53)과 안테나(55)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10)을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에 근접시키면, NFC 모듈(54)이 NFC 안테나(55)에 13.56 MHz의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유도된다. 이 자기장에 의해 NFC 인터페이스(24)의 안테나(25)에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자기장 유도 방식에 의해 이동통신단말(10)과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도 5는 이차원 코드(3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10)이 읽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조도이다.
이차원 코드(30)는 가령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결제한 행사의 행사장에 설치되어 있는 개찰구에 인쇄되어 있거나 NFC 리더(50A) 또는 NFC 클라이언트(50B)에 인쇄 또는 화면표시된다. 이차원 코드(30)는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기록한 것으로 덴소 웨이브(Denso Wave) 사가 개발한 QR 코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차원 코드는 기존의 바코드에 비해 기록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크게 늘릴 수 있고, 어느 방향에서든 고속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기록된 코드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도 최대 약 30%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차원 코드(30)에 공연 정보를 기록한다. 공연 정보에는 공연장 ID(공연장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 숫자 또는 그 조합), 공연 ID(특정 공연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 숫자 또는 그 조합), 공연 제목, 공연 시작일과 종료일, 공연날짜와 시간 등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이동통신단말(10)은 이차원 코드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가령 스캔 버튼(17)을 클릭하면 카메라(도 3의 '22')가 작동하여 이차원 코드(30)를 스캔하여 이차원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는다. 이렇게 읽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통신단말(10)이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행사 등록, 행사 검색 및 행사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는 사용자가 행사를 검색하고 선택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10) 또는 PC(5)와, 행사를 주최하는 측이 자신의 행사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행사 서버(300), 행사의 등록과 검색, 선택을 중개하며 사용자의 입장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100)와 인증 서버(200)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00)와 인증 서버(200)는 물리적으로 별도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도 있다. 행사 서버(300)는 특정 행사(가령 연극, 뮤지컬, 무용, 오페라, 마술쇼, 영화, 음악회, 운동 경기, 국악 공연 등)를 주최하는 측이 운영하는 것으로서 서비스 서버(100) 또는 인증 서버(200)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었지만, 행사 서버(300)에서 서비스 서버(100)나 인증 서버(200)의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행사 서버(300)는 행사장의 개찰구를 직접 통제할 수 있고 이 경우 행사 서버(300)는 앞에서 설명한 NFC 클라이언트(5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행사 서버(300)는 인증 서버(200)에 행사의 등록을 신청하고(102) 인증 서버(200)는 이 신청이 일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등록을 허가한다(104). 허가 절차를 거쳐 로그인(106)을 한 행사 서버(300)는 행사 정보를 입력한다(108). 행사 정보는 행사명, 일시, 장소, 좌석 구분, 가격 등의 정보를 말한다. 행사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행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110), 온라인으로 행사 정보를 표출한다(112). 행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행사 정보에는 '공연장 ID'(공연장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 '공연 ID'(특정 공연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 '공연 제목'(실제 행사의 명칭 또는 약어), '시작일/종료일'(특정 공연의 시작과 종료 일자), '공연날짜/시간'(개별 공연이 개최되는 날짜와 시간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10) 또는 개인용 컴퓨터(5) 등을 이용하여 행사 정보를 검색하고(114) 원하는 행사를 선택한다(120).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된 행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회원 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도 6에서 회원 가입(116), 회원 등록(118)으로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회원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ID'(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이름'(사용자의 실명), '비밀번호'(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 '휴대폰 번호'(이동통신단말(10)의 전화번호), '주소'(사용자의 주소 또는 거소), '본인 확인 정보'(특정 행사장에 입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여기서 '사용자 ID'와 '본인 확인 정보'는 이동통신단말(10)의 NFC 인터페이스(24)에 있는 NFC 칩(도 4의 '23')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특정 행사에 대해 결제를 완료하면(122) 인증 서버(200)는 행사 내역과 결제 내역을 등록한다(124). 결제는 현금 계좌이체, 포인트 사용, 신용 카드를 통한 결제 등이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NFC 방식을 이용한 개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10)을 검표기(50)에 갖다대면, 이동통신단말(10)은 NFC 칩(도 4의 '23')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ID와 본인 확인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검표기(50)에게 NFC 통신으로 전송한다(130). 검표기(50)는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공연 ID 데이터와 함께 서비스 서버(100)에 전문 전송하고(132), 서비스 서버(100)는 이 데이터를 인증 서버(200)로 보내면서 해당 사용자의 인증을 인증 서버(200)에 요청한다(134). 인증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가 행사에 입장할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고(136), 그 결과를 인증 결과 응답값으로 서비스 서버(100)에 보낸다(138). 서비스 서버(100)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 결과 응답값을 검표기(50)로 전송한다(140). 검표기(50)는 전송받은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입장 여부를 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개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은 검표기(50)가 표출한 이차원 코드(제1 QR 코드(도 2의 '30'))에 기록되어 있는 공연 정보(즉, 공연 ID)를 추출한다(150). 이동통신단말(10)은 이렇게 읽은 공연 ID 데이터와 이동통신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152) 사용자가 결제한 행사의 입장권을 요청한다(154).
입장권 요청을 받은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의 발권 정보와 결제 정보 등 구매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입장권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고(156), 그 결과를 서비스 서버(100)에 응답한다(158). 단계 158에서 인증 서버(200)가 서비스 서버(100)에게 전송하는 결과 응답값은 해당 사용자에게 입장권에 대한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입장권 이미지 데이터이고, 해당 사용자에게 입장권에 대한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권한이 없다는 점과 그 사유가 무엇인지를 알리는 데이터(이를 '입장 불가 데이터'라 한다)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응답 전송을 이동통신단말(10)로 보내면(160A) 이동통신단말(10)은 검표기(50)에 그 결과를 표출한다(162). 이 결과가 입장 불가 데이터인 경우에는 검표기(50)는 해당 사용자의 입장을 불허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10)이 표출한 응답 결과가 입장권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제2 QR 코드를 검표기(50)가 스캔하여 제2 QR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는다(164).
검표기(50)는 제2 QR 코드에서 읽은 예매번호를 기초로 이 입장권이 현재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아닌지 자체적으로 판단한다(166).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 경우 검표기(50)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에게 본인 확인 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166). 검표기(50)는 이렇게 입력받은 본인 확인 번호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ID 및 예매번호 데이터와 함께 서비스 서버(100)에 보내 확인을 요청하고(168) 그 결과를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받는다.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정상이라는 확인을 받은 경우 검표기(50)는 개찰구를 열어 해당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고 비정상이라는 확인을 받은 경우 검표기(50)는 입장불가 사유를 출력하고 최초 상태로 대기한다.
한편 도 8에서 사용자가 입장권 이미지를 이동통신단말(10)에 이미 저장해 둔 경우에는 단계 150에서 162는 거칠 필요가 없고, 개찰구에서 곧 바로 입장권 이미지를 표출하여(162) 그 다음 단계들(164~170)을 통해 행사장에 입장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차원 코드를 통한 본 발명의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본인 확인 번호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행사 입장을 좀 더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인 확인 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사용자가 여러 명의 입장권을 동시에 구매한 경우 모든 사용자들이 각자 입장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장의 입장권을 자신의 사용자 ID로 예매 및 결제한 사용자 A가 한 장의 입장권에 대한 예매 정보의 사용자 ID를 다른 사용자 B의 사용자 ID로 변경하면 그 입장권은 사용자 A에서 다른 사용자 B로 넘어간다. 이 입장권에 대한 본인 확인에는 사용자 B의 본인 확인 정보가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 B는 입장권을 예매하거나 결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전자 개찰 시스템을 통해 행사장에 입장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서버에서 예매 정보의 사용자 ID를 변경해 주기만 하면 실제로 입장권을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행사장의 입장 권한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입장권을 양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고 따라서 입장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이동통신단말
23: NFC 칩
25: NFC 안테나
30: 이차원 코드
50: 검표기
50A: NFC 리더기
50B: NFC 클라이언트
53: NFC 칩셋
55: NFC 안테나
100: 서비스 서버
200: 인증 서버
300: 행사 서버

Claims (13)

  1. 전자 개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통신(NFC) 기술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검표기가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인증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행사의 입장권을 결제한 정보를 확인하여 인증을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결과값을 검표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2. 전자 개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읽을 수 있는 이차원 코드를 표출할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특정 행사장에서 개최하는 공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제1 이차원 코드를 표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1 이차원 코드에 기록된 공연 정보를 읽어 상기 공연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권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의 입장권 이미지 요청에 대해 상기 인증 서버와 함께 해당 사용자 ID가 입장권 요청을 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입장권 이미지에 제2 이차원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검표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된 제2 이차원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행사에 대해 사용자가 예매한 입장권의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어 이것이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판단하고 입장 가능한 입장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ID, 예매번호 데이터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 권한 여부를 확인 요청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의 입장 권한 여부 확인 요청에 대해 확인 결과값을 응답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확인 결과값이 해당 사용자에게 입장 권한이 있다는 값일 경우에는 개찰구를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에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ID 데이터, 상기 전자 개찰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 데이터,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데이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이차원 코드에는 특정 공연을 식별할 수 있는 공연 ID 데이터, 공연 제목 데이터, 공연 시작일과 종료일 데이터, 공연이 실제로 개최되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인증 서버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행사에 대한 예매 정보, 발권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예매 정보에는 예매 번호 데이터, 사용자 ID 데이터, 공연 ID 데이터, 결제 번호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발권 정보에는 상기 예매 번호 데이터, 발권 번호 데이터, 상태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결제 정보에는 상기 결제 번호 데이터, 상기 사용자 ID 데이터, 결제 방식 데이터, 결제 일자 데이터, 적립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7. 전자 개찰 시스템에 사용되는 검표기로서,
    상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통신(NFC) 기술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검표기가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인증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행사의 입장권을 결제한 정보를 확인하여 인증을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결과값을 검표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표기.
  8. 전자 개찰 시스템에 사용되는 검표기로서,
    상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읽을 수 있는 이차원 코드를 표출할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특정 행사장에서 개최하는 공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제1 이차원 코드를 표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1 이차원 코드에 기록된 공연 정보를 읽어 상기 공연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권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의 입장권 이미지 요청에 대해 상기 인증 서버와 함께 해당 사용자 ID가 입장권 요청을 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입장권 이미지에 제2 이차원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검표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된 제2 이차원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행사에 대해 사용자가 예매한 입장권의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어 이것이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판단하고 입장 가능한 입장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ID, 예매번호 데이터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 권한 여부를 확인 요청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표기의 입장 권한 여부 확인 요청에 대해 확인 결과값을 응답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확인 결과값이 해당 사용자에게 입장 권한이 있다는 값일 경우에는 개찰구를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표기.
  9. 전자 개찰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개찰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통신(NFC) 기술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ID와 본인 확인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방법은,
    상기 검표기가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전달받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인증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행사의 입장권을 결제한 정보를 확인하여 인증을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결과값을 상기 서비스 서버가 검표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방법.
  10. 전자 개찰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개찰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특정 행사장에 입장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읽을 수 있는 이차원 코드를 표출할 수 있는 검표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와, 이 서비스 서버와 전기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표기는, 상기 특정 행사장에서 개최하는 공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제1 이차원 코드를 표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1 이차원 코드에 기록된 공연 정보를 읽어 상기 공연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권 이미지를 요청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된 제2 이차원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행사에 대해 사용자가 예매한 입장권의 예매번호 데이터를 읽어 이것이 입장 가능한 입장권인지 판단하고 입장 가능한 입장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입력 자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ID, 예매번호 데이터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입장 권한 여부를 확인 요청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검표기의 입장권 이미지 요청에 대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인증 서버와 함께 해당 사용자 ID가 입장권 요청을 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입장권 이미지에 제2 이차원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검표기의 입장 권한 여부 확인 요청에 대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확인 결과값을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입장권에 대한 예매 정보의 사용자 ID를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ID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입장권이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행사에 대한 예매 정보, 발권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예매 정보에는 예매 번호 데이터, 사용자 ID 데이터, 공연 ID 데이터, 결제 번호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발권 정보에는 상기 예매 번호 데이터, 발권 번호 데이터, 상태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결제 정보에는 상기 결제 번호 데이터, 상기 사용자 ID 데이터, 결제 방식 데이터, 결제 일자 데이터, 적립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시스템.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행사의 등록 신청을 접수하고 이 신청이 일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행사의 등록을 허가하고 입력된 행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온라인으로 행사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행사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찰 방법.
KR1020120156550A 2012-12-28 2012-12-28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7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50A KR20140087232A (ko) 2012-12-28 2012-12-28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50A KR20140087232A (ko) 2012-12-28 2012-12-28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232A true KR20140087232A (ko) 2014-07-09

Family

ID=5173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550A KR20140087232A (ko) 2012-12-28 2012-12-28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2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47A (ko) * 2019-03-26 2020-10-07 (주)자이로스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대중교통요금 처리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47A (ko) * 2019-03-26 2020-10-07 (주)자이로스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대중교통요금 처리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66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transaction process via mobile device
CA2888800C (en) Payment processing access device and method
SE536589C2 (sv) Säkert tvåparts jämförelsetransaktionssystem
CN104915829A (zh) 基于nfc技术的应用交互方法及装置
US10482458B2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090006144A1 (en) Ticket Use System and Ticket Use Method
JP636350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123013A (ja) 情報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二次元バーコードおよび電子クーポン発行管理方法
RU2397543C2 (ru) Электронный билет
US20140258046A1 (en) Method for managing a transaction
KR20000012607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JP2022114535A (ja) 本人確認システム、本人確認方法、情報処理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54835B1 (ko)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036601B1 (ko) Nfc를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시스템 및 등록방법
KR20140087232A (ko)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 개찰 시스템 및 방법
JP201013478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202201479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7146565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gaming machine payout wirelessly
KR20050017699A (ko) 휴대 단말기 제어장치
JP2009134629A (ja) 改札機、券売機、駅務システム、及び改札方法
JP2004072312A (ja) 移動体通信端末を用いた認証方法
TWI400929B (zh) The use of mobile phones and electronic tags as a service to pay the application of the structure and methods
WO2014003684A1 (en) Terminal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JP2023001792A (ja) 入出場管理サーバ、携帯端末、入出場管理方法、電子チケット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257059A (ja) 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