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38A -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38A
KR20140086038A KR1020120156043A KR20120156043A KR20140086038A KR 20140086038 A KR20140086038 A KR 20140086038A KR 1020120156043 A KR1020120156043 A KR 1020120156043A KR 20120156043 A KR20120156043 A KR 20120156043A KR 20140086038 A KR20140086038 A KR 2014008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ce
pressure
purified water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은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038A/ko
Publication of KR2014008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로부터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제빙기는 정수공급관에 의해 정수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입수구; 상기 입수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 상기 제빙수 탱크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제빙수 탱크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기에 의하면, 정수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으므로 내부에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구비되는 필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빙기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빙구의 급수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Ice-mak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Ice-maker and Water Purifer}
본 발명은 제빙기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로부터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제빙기의 구조나 방식에 따라 각형, 원형 단면 등과 같이 일정한 형태를 갖는 얼음과, 가루 얼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제빙기는 얼음의 생성에 사용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필터부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빙기의 일 예로서 냉온수뿐만 아니라, 얼음의 생성까지 가능한 얼음 정수기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빙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에 필터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하우징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제빙기는 소형화를 구비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2010-0084832호(2010.07.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구비되는 필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한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수기로부터 안정적으로 정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정수공급관에 의해 정수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입수구; 상기 입수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 상기 제빙수 탱크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제빙수 탱크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정수가 공급될 때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부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와 부레부재 사이에는 일정압력 이상에서 차단되는 고압차단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상이 감지될 때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물보충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구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가 구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공급관은 정수기의 물탱크와 연통된 출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정수기의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압에 의해 공급받도록 정수기와 정수공급관에 의해 연결되는 입수구; 상기 입수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 및 상기 제빙수 탱크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를 포함하며, 정수기의 원수압에 의해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정수가 공급될 때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부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정수기는,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빙수 탱크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정수공급밸브; 및 상기 정수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물보충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밸브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구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가 연결되며, 제어부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제빙기; 상기 제빙기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제빙기에 상기 정수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제빙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정수기와 제빙기를 연결하는 정수공급관;을 포함하는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수공급관은 상기 정수기의 물탱크와 연통된 출수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펄터부와 연통된 출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기의 입수구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가 연결되며,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수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으므로 내부에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구비되는 필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빙기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빙구의 급수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압차단 스위치를 통하여 펌프의 과부하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압차단 스위치를 통하여 정수공급관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펌프의 과부하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관이 장착되지 않았거나, 정수기로부터 급수가 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수기로부터 안정적으로 정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에 관한 개략도로서, 펌프를 통하여 정수를 제빙수 탱크에 공급하는 여러가지 실시예에 관한 수배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에 관한 개략도로서, 정수기로부터 원수압에 의해 정수를 공급받는 여러가지 실시예에 관한 수배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00)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300),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에 대해 살펴본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300)를 포함하므로,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300)와, 상기 제빙기(300)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210)를 구비하는 정수기(200)와, 상기 제빙기(300)에 상기 정수기(200)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제빙기(300)에 공급하도록 상기 정수기(200)와 제빙기(300)를 연결하는 정수공급관(C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에 구비되는 정수기(200)는 통상의 정수기(200)와 마찬가지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210)와, 상기 필터부(21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물탱크(240)와, 상기 물탱크(240)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추출부재(260)와, 정수기(200)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정수기(200)는 정수공급관(CL)을 통하여 제빙기(300)와 연결되어 제빙기(300)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부(210)는 일 예로서, 전처리 필터와 프리카본필터가 일체화된 전처리 복합필터(211)와,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2)와, 포스트카본필터(213)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터부(210)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와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2)가 설치되는 경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2)에 유입되는 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펌프(2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210)의 내부 또는 전단에는 물탱크(240)의 수위가 낮아져서 정수의 생성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C)에 의해 개폐되어 원수의 유입을 개폐밸브(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210)에서 여과되는 물은 물탱크(240)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하나의 물탱크(240) 만을 도시하였으나, 정수기(200)에 구비되는 물탱크(240)의 종류나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물탱크(240)는 정수를 상온으로 저장하는 정수탱크, 정수를 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탱크, 정수를 가열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탱크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탄산수, 산소수 등을 생성하기 위한 기능수 탱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물탱크(240)는 추출부재(260)와 연결되어 추출부재(26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필터부(210)에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 생성량이 적어서 물탱크(2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물탱크(240)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며, 압력식 물탱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물탱크(240)에 구비된 수위센서(241)에서 물보충수위가 감지되면 개폐밸브(230)를 개방하고 가압펌프(220)를 구동하여 필터부(210)에서 정수가 생성되어 물탱크(240)로 공급되도록 하고, 수위센서(241)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개폐밸브(230)를 폐쇄하고 가압펌프(22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200)에는 제빙기(300)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출수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구(270)는 물탱크(240)와 연통되어 물탱크(240)의 정수를 정수공급관(CL)을 통해 제빙기(3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출수구(270)는 물탱크(240)의 청소 등을 위해 정수기(200)의 하우징(미도시)에 설치된 배수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구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00)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300),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에 구비되는 제빙기(30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제빙기(300)는 정수공급관(CL)에 의해 정수기(20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입수구(370)와, 상기 입수구(370)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340)와, 상기 제빙수 탱크(340)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펌프(320)와, 상기 제빙수 탱크(340)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350)와, 상기 펌프(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얼음 저장고(3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기(300)는 정수를 공급받으므로 필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여과성능의 향상이나, 제빙이 완료된 물의 재사용을 위하여 별도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수구(370)는 정수공급관(CL)이 연결될 때 정수기(200)와 제빙기(300)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밸브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수구(370)는 정수공급관(CL)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빙기(300)의 하우징(미도시)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수구(370)로부터 유입된 물은 펌프(320)에 의해 제빙수 탱크(3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펌프(320)는 정수기(200)의 물탱크(240)에서 공급된 물이 원활하게 제빙수 탱크(340)에 공급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며,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종류나 작동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빙수 탱크(340)는 펌프(320)의 가압력에 의해 공급된 정수를 임시로 수용하여 제빙부(350)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제빙수 탱크(3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 탱크(340)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정수가 공급될 때 상기 펌프(320)와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부레부재(3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레부재(345)는 각종 탱크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부레와 같이 탱크에 만수위 이상의 정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레부재(345)가 설치되는 경우 만수위가 되면 더 이상의 정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펌프(320)와 부레부재(345) 사이의 유로에서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펌프(320)가 계속 구동되는 경우 상기 펌프(320)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320)와 부레부재(345) 사이에는 일정압력 이상에서 차단되는 고압차단 스위치(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압차단 스위치(HPS, High Pressure Senser)(330)는 일정압력 이상에서 스위치를 차단시켜 펌프(32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고압차단 스위치(330)와 펌프(320) 사이에 구성된 스위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제어부(C)에 구비된 회로에 의해 상기 고압차단 스위치(330)에서 일정압력 이상이 감지될 때 상기 펌프(32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 탱크(340)는 상기 제빙수 탱크(34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3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수위센서(341)에서 물보충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3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341)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32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정수공급관(CL)을 통하여 정수기(200)로부터 제빙기(300)의 입수구(370)로 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입수구(370)에는 대기압에 가까운 낮은 압력이 걸리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펌프(320)를 구동시키면 펌프(320)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370)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3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저압차단 스위치(LPS, Low Pressure Senser)(310)는 일정압력 이하에서 스위치를 차단시켜 펌프(32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310)와 펌프(320) 사이에 구성된 스위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제어부(C)에 구비된 회로에 의해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310)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될 때 상기 펌프(320)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압차단 스위치(310)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관(CL)이 장착되지 않았거나, 정수기(200)로부터 급수가 되지 않은 이상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310)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수공급관(CL)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펌프(320)의 안정적이 구동을 위해서는 저압차단 스위치(310)와 고압차단 스위치(330)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부(350)는 제빙수 탱크(34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냉각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빙부(350)에서는 각형, 반원구형, 가루형 등 다양한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되는 얼음의 종류나 얼음 생성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빙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빙부(350)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얼음 저장고(360)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정수공급관(CL)은 정수기(200)와 제빙기(300)의 입수구(37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정수기(200)의 출수구(270)나 제빙기(300)의 입수구(370)에는 정수공급관(CL)의 연결시 유로가 개방되도록 밸브부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수공급관(CL)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200)의 물탱크(240)와 연통된 출수구(27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200)의 추출부재(26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정수기(200)로부터 제빙기(300)로의 원활한 정수 공급을 위하여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출수구(270)에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00)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300),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300)와, 상기 제빙기(300)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210)를 구비하는 정수기(200)와, 상기 제빙기(300)에 상기 정수기(200)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제빙기(300)에 공급하도록 상기 정수기(200)와 제빙기(300)를 연결하는 정수공급관(C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300)와 유사하게, 정수기(200)의 필터부(210)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압에 의해 공급받도록 정수기(200)에 정수공급관(CL)에 의해 연결되는 입수구(370)와, 상기 입수구(370)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340)와, 상기 제빙수 탱크(340)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350)를 포함한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원수압에 의해 정수기(200)로부터 제빙기(300)로 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2)가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에 UF 필터(또는 나노트랩 필터)(212')와 같이 원수압에 의해서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필터부(210)가 적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빙기(300)가 펌프(도 1 내지 도 4의 320)를 구비하지 않고도 원수압에 의해 정수기(200)로부터 제빙기(300)의 제빙수 탱크(34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수기(200)의 경우, 필터부(2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가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에 UF 필터(또는 나노트랩 필터)(212')와 같이 원수압에 의해서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필터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200)의 필터부(2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원수압에 의해 출수구(270)를 통하여 제빙기(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빙기(300)는 원수압에 의해 정수가 공급되므로, 내부에 펌프(320)를 구비하지 않아도 입수구(370)를 통해 유입된 정수가 제빙수 탱크(340)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370)와 상기 제빙수 탱크(340)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정수공급밸브(380)가 설치되며, 정수공급밸브(380)의 개폐를 제어부(C)에 의해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빙수 탱크(340)는 상기 제빙수 탱크(34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341)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제빙기(300)의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수위센서(341)에서 물보충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밸브(380)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센서(341)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밸브(380)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 탱크(340)의 내부에는 제빙수 탱크(34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될 때 상기 입수구(370)와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부레부재(34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입수구(370)에서 유입된 정수가 부레부재(345)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입수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 및 도 6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입수구(370)에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3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310)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정수공급관(CL)의 연결상태 등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200... 정수기
210... 필터부 220... 가압펌프
230... 개폐밸브 240... 물탱크
241... 수위센서 260... 추출부재
270... 출수구 300... 제빙기
310... 저압차단 스위치(LPS) 330... 고압차단 스위치(HPS)
340... 제빙수 탱크 341... 수위센서
345... 부레부재 350... 제빙부
360... 얼음 저장고 370... 입수구
C... 제어부 CL... 정수공급관

Claims (13)

  1. 정수공급관에 의해 정수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입수구;
    상기 입수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
    상기 제빙수 탱크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제빙수 탱크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정수가 공급될 때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부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와 부레부재 사이에는 일정압력 이상에서 차단되는 고압차단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상이 감지될 때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물보충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상기 펌프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공급관은 정수기의 물탱크와 연통된 출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7. 정수기의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압에 의해 공급받도록 정수기와 정수공급관에 의해 연결되는 입수구;
    상기 입수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빙수 탱크; 및
    상기 제빙수 탱크에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를 포함하며,
    정수기의 원수압에 의해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정수가 공급될 때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부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빙수 탱크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정수공급밸브; 및
    상기 정수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빙수 탱크는 상기 제빙수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물보충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정수공급밸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가 연결되며,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
    상기 제빙기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제빙기에 상기 정수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제빙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정수기와 제빙기를 연결하는 정수공급관;
    을 포함하는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공급관은 상기 정수기의 물탱크와 연통된 출수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펄터부와 연통된 출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의 입수구에는 일정압력 이하가 될 때 차단되는 저압차단 스위치가 연결되며,
    상기 저압차단 스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가 감지되면 이상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KR1020120156043A 2012-12-28 2012-12-28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KR20140086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43A KR20140086038A (ko) 2012-12-28 2012-12-28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43A KR20140086038A (ko) 2012-12-28 2012-12-28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38A true KR20140086038A (ko) 2014-07-08

Family

ID=5173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043A KR20140086038A (ko) 2012-12-28 2012-12-28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0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986A (zh) * 2017-10-23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冰箱
CN109695986B (zh) * 2017-10-23 2024-05-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89B1 (ko) * 1986-01-15 1996-04-18 브레페바 엔.브이. 콘크리트 주물 공사용 철근 홀더
KR200393458Y1 (ko) * 1999-06-04 2005-08-29 주식회사 탑세라 역삼투막 정수기 저장탱크내의 정수수를 별도의 보조탱크, 스탠드형 취수꼭지, 제빙기 또는 냉장고 등 기타 급수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역삼투막 정수기 연결시스템
KR20100084832A (ko) * 2009-01-19 2010-07-2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
KR20120024203A (ko) * 2010-09-06 2012-03-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89B1 (ko) * 1986-01-15 1996-04-18 브레페바 엔.브이. 콘크리트 주물 공사용 철근 홀더
KR200393458Y1 (ko) * 1999-06-04 2005-08-29 주식회사 탑세라 역삼투막 정수기 저장탱크내의 정수수를 별도의 보조탱크, 스탠드형 취수꼭지, 제빙기 또는 냉장고 등 기타 급수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역삼투막 정수기 연결시스템
KR20100084832A (ko) * 2009-01-19 2010-07-2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
KR20120024203A (ko) * 2010-09-06 2012-03-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986A (zh) * 2017-10-23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冰箱
CN109695986B (zh) * 2017-10-23 2024-05-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932B2 (en) Oxygen breathing device for an aircraft
US20050103721A1 (en) Reduced pressure water filtration system
WO2005073124A3 (en) Water dispenser with water filter for a refrigerator
CA2708992C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160060135A1 (en)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CA2535232A1 (en) Water delivery system with water flow sensor for a refrigerator
JP2013519855A (ja) バルブシステム
CN112142214B (zh) 净水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
US11339768B2 (en) Cartridge accumulator
CN103086527B (zh) 一种防漏水净水器
JP6946195B2 (ja) カートリッジポンプ
KR20100084832A (ko)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
KR20140086038A (ko) 정수기로부터 급수 가능한 제빙기 및 정수기와 제빙기의 연결구조
KR20090038612A (ko) 질소발생기
JP7049991B2 (ja) カートリッジアキュムレータ
KR101202013B1 (ko) 정수기 직선 급수 유로의 티자형 수도 배관 연결구를 이용한 스탠드 타입 정수기의 다중 누수 차단 구조 및 누수 차단 방법
CN103768948B (zh) 水净化装置
IL210837A (en) A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drinking water
KR101987470B1 (ko) 정수기
JP6809081B2 (ja) セパレータタンクの高水位防止方法
JP2008202555A (ja) 給水装置
CN209835852U (zh) 水处理系统及净水设备
KR20070117218A (ko) 안전차단 시스템을 구비하는 냉온수기
JP4908075B2 (ja) 蒸気エゼクタ装置
EP4036065A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