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859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859A
KR20140085859A KR1020120155656A KR20120155656A KR20140085859A KR 20140085859 A KR20140085859 A KR 20140085859A KR 1020120155656 A KR1020120155656 A KR 1020120155656A KR 20120155656 A KR20120155656 A KR 20120155656A KR 20140085859 A KR20140085859 A KR 2014008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bl
interpolation point
point information
controller
map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남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5859A/ko
Publication of KR2014008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1Driving situation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side, e.g. on the left or right hand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반경이 작은 ㄱ자 도로 진입을 예측하여 SBL(Static Bend Lighting)을 점등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주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좌측 SBL(Static Bend Lighting);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우측 SBL; 운행위치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GPS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운행위치와 상기 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보간점 정보로부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면 상기 좌측 SBL 또는 상기 우측 SBL를 점등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반경이 작은 ㄱ자 도로 진입을 예측하여 SBL(Static Bend Lighting)을 점등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곳에서 외부를 환하게 비추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헤드램프(headlamp) 및 미등(taillamp)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 자동차 운전자에게 차선변경 및 주행방향을 알려주거나, 긴급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지시등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 헤드램프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이 조사되는 방향이 가변되어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빛을 비출 수 있도록 회전되는 DBL(Dynamic Bend Lighting)과 교차로의 회전시 점등되어 자동차의 주향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SBL(Static Bend Lighting)을 포함한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회전반경이 작은 ㄱ자 도로 진입시 DBL만 작동하고 SBL은 점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반경이 작은 ㄱ자 도로 진입을 예측하여 SBL을 점등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주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좌측 SBL(Static Bend Lighting);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우측 SBL; 운행위치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GPS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운행위치와 상기 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보간점 정보로부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면 상기 좌측 SBL 또는 상기 우측 SBL를 점등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회전반경이 작은 ㄱ자 도로 진입을 예측하여 SBL(Static Bend Lighting)을 점등할 수 장점이 있다.
둘째, 보간점을 이용하여 ㄱ자 도로 진입을 예측하여 교차로뿐 만아니라 ㄱ자 도로에서도 SBL을 점등할 수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가 ㄱ자 도로 진입 전에 SBL을 점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헤드램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보간점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가 ㄱ자 도로 진입 전에 SBL을 점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헤드램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0)의 전방 좌우측에는 각각 헤드램프(100)가 설치된다. 헤드램프(100)는 자동차(0)의 주행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DBL(Dynamic Bend Lighting; 10)과,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SBL(Static Bend Lighting; 20,30)을 포함한다. DBL(10)에 의하여 도로상 투영된 빛은 D와 같고 SBL(20,30)에 의하여 도로상 투영된 빛은 S과 같다.
DBL(10)은 지지브래킷(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ISM(Intelligent Step Motor; 12)과 연결되어서, ISM(12)의 회전력에 의해 자동차(0)의 좌우로 회전되면서 자동차(0)의 주행방향으로 빛을 비출 수 있다. DBL(10)은 빛을 생성하는 벌브형태의 광원(14)을 포함하고, 광원(14)으로부터 전방에는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16)가 배치된다. 쉴드(16)는 SSA(Smart Shield Actuator; 18)와 연결되어서, SSA(18)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자동차(0)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을 자동차(0)의 외부의 상황(예를 들면, 선행차 및 대향차의 유무)에 따라 가변시킨다.
SBL(20,30)은 지지브래킷(1)에 고정 설치된다. SBL(20,30)은 빛을 생성하는 벌브형태의 광원(22)과, 광원(22)을 내부에 수용하고 광원(22)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4)를 포함한다. SBL(20,30)은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빛을 비출 수 있도록 지지브래킷(1)에 비스듬히 설치된다.
헤드램프(100)는 자동차(0)의 전방 좌측에 하나가 설치되고, 자동차(0)의 전방 우측에도 하나가 설치된다. 따라서, SBL(20,30)은 자동차(0)의 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서, 하나는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게 되고, 나머지 하나는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게 된다. 도 2는 헤드램프(100)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SBL(20,30)은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좌측 SBL(20)과,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우측 SBL(30)을 포함한다.
좌측 SBL(20) 및 우측 SBL(30)은 자동차(0)가 교차로로 진입하기 전에 점등된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SBL(20) 및 우측 SBL(30)은 도 1과 같이 ㄱ자 도로 진입 전에도 점등된다.
ㄱ자도 도로는 교차로와 같이 갈림김이 아닌 곡선로 중 작은 회전반경으로 90도 정도 꺽이는 도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급격한 곡선로인 ㄱ자 도로에서 DBL(10)은 회전 반경의 한계로 자동차(0)의 주행방향으로 빛을 비출수가 없으므로 좌측 SBL(20) 및 우측 SBL(30)이 작동되어 자동차(0)의 주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빛을 비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보간점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0)는, 운행위치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40)와,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 저장부(50)와, GPS 수신부(40)가 수신한 운행위치와 맵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보간점 정보로부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면 좌측 SBL(20) 또는 우측 SBL(30)를 점등시키는 컨트롤러(90)를 더 포함한다. GPS 수신부(40) 및 맵 데이터 저장부(50)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으로 통합될 수 있다.
GPS 수신부(40)는 GPS로부터 현재좌표를 수신하여 자동차의 운행위치를 수신한다. GPS 수신부(40)는 자동차의 운행위치를 컨트롤러(9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트롤러(90)는 자동차의 대표적인 제어장치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맵 데이터 저장부(50)에는 도로 정보 및 기타 정보가 포함된 맵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로 정보는 도로 상에 연결되는 지점인 복수의 보간점과 복수의 보간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보간점과 복수의 링크에 대한 정보를 보간점 정보라 하며 맵 데이터 저장부(50)는 보간점 정보를 저장한다. 복수의 보간점은 직선의 링크로 연결되므로 곡선로 상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는 제 1 보간점(a1) 내지 제 5 보간점(a5)을 포함한다.
컨트롤러(90)는 GPS 수신부(40)가 수신한 운행위치와 맵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보간점 정보로부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한다. 컨트롤러(90)는 GPS 수신부(40)가 수신한 운행위치를 추적하여 자동차(0)의 주행방향를 판단한다. 컨트롤러(90)는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를 맵 데이터 저장부(50)로부터 호출한다. 컨틀롤러(90)는 호출된 보간점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보간점으로부터 자동차(0)가 ㄱ자 도로를 진입중인지 판단한다.
컨트롤러(90)는 현재 운행위치와 복수의 보간점 간의 각도를 연산하여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한다. 현재 운행위치와 복수의 보간점 간의 각도가 급격히 변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ㄱ자 도로를 진입중으로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90)는 현재 운행위치와 복수의 보간점 간의 각도 및 거리를 연산하여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운행위치와 보간점 간의 각도가 크고 거리가 짧은 경우 컨트롤러(90)는 ㄱ자 도로를 진입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90)가 맵 데이터 저장부(50)로부터 호출한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는 제 1 보간점(a1) 내지 제 5 보간점(a5)을 포함한다. GPS 수신부(40)가 수신한 현재 운행위치가 제 1 보간점(a1)에 해당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제 1 보간점(a1)과 제 2 보간점(a2) 내지 제 5 보간점(a5) 간의 각도를 연산한다. 제 1 보간점(a1)과 제 2 보간점(a2) 내지 제 5 보간점(a5) 간의 각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ㄱ자 도로를 진입중으로 판단한다.
컨트롤러(90)는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면 좌측 SBL(20) 또는 우측 SBL(30)를 점등시킨다. 컨트롤러(90)는 맵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보간점 정보로부터 회전방향을 판단한다. 컨트롤러(90)는 현재 운행위치와 복수의 보간점 간의 각도를 연산하여 도로의 회전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회전방향이 좌회전인 경우 좌측 SBL(20)을 점등하고 우회전인 경우 우측 SBL(30)을 점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 좌측 SBL 30: 우측 SBL
40: GPS 수신부 50: 맵 데이터 저장부
90: 컨트롤러

Claims (5)

  1. 주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좌측 SBL(Static Bend Lighting);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비스듬히 빛을 비추는 우측 SBL;
    운행위치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한 보간점 정보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GPS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운행위치와 상기 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보간점 정보로부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면 상기 좌측 SBL 또는 상기 우측 SBL를 점등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GPS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운행위치부터 상기 주행방향을 판단하는 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보간점 정보로부터 회전방향을 판단하여 좌회전인 경우 상기 좌측 SBL을 점등시키고 우회전인 경우 상기 우측 SBL을 점등시키는 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점 정보는 상기 주행방향의 도로 상 연결되는 지점인 복수의 보간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운행위치와 상기 복수의 보간점 간의 각도를 연산하여 상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는 자동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운행위치와 상기 복수의 보간점 간의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ㄱ자 도로 진입중임을 판단하는 자동차.
KR1020120155656A 2012-12-28 2012-12-28 자동차 KR20140085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56A KR20140085859A (ko) 2012-12-28 2012-12-28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56A KR20140085859A (ko) 2012-12-28 2012-12-28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859A true KR20140085859A (ko) 2014-07-08

Family

ID=5173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656A KR20140085859A (ko) 2012-12-28 2012-12-28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5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348A (ko) * 2015-06-15 2016-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348A (ko) * 2015-06-15 2016-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51B1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422500B2 (e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60724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1962727B1 (ko) 네비게이터와 연동되는 차량용 조명 시스템
US88923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of vehicle
JP6319204B2 (ja) 車両用の前照灯制御装置
US875785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eadlamp
US20180180242A1 (e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3193562A (ja) リーン姿勢で旋回する車両用のサブヘッドライトユニット及びサブヘッドライトシステム、並びにリーン姿勢で旋回する車両
KR101934750B1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
US8888340B2 (en) Head lamp apparatus of automobi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3031404A1 (ja) 車両前照灯制御装置
US8862335B2 (en)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controlling vertical cut-off lines in headlamps within a swivel range
KR20140109664A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5859A (ko) 자동차
CN114179712B (zh) 车辆前照灯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335630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15865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방법
US201600752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cornering light to be emitted by a headlight for a vehicle
KR20080109319A (ko) 차량의 헤드램프 자동제어시스템 및 자동제어방법
WO2023127087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20140055362A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704515B2 (ja) ライ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
KR20130068413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441591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