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266A -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266A
KR20140085266A KR1020120155622A KR20120155622A KR20140085266A KR 20140085266 A KR20140085266 A KR 20140085266A KR 1020120155622 A KR1020120155622 A KR 1020120155622A KR 20120155622 A KR20120155622 A KR 20120155622A KR 20140085266 A KR20140085266 A KR 2014008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gripper
frame
battery cell
cam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087B1 (ko
Inventor
강전영
박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15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의 제 1 공정 위치와 제 2 공정 위치 사이에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제 1 공정 위치에서 전지셀을 전달받아 제 2 공정 위치로 전달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는,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수단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운동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프레임에 대해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그립퍼블록과; 상기 그립퍼블록을 전지셀을 전달받는 위치 및 전지셀을 전달하는 위치 각각에서 수평하게 선형 운동시키는 제1,2선형이동수단과; 상기 각각의 그립퍼블록에 설치되어 전지셀을 파지하는 그립퍼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그립퍼블록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립퍼블록이 회전프레임에 대해 수평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홈의 출입구를 통해 가이드홈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이탈되고, 회전프레임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홈 내측을 따라 안내되는 캠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Cell Tranferring Device for Polymer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의 제 1 공정 위치와 제 2 공정 위치 사이에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제 1 공정 위치에서 전지셀을 전달받아 제 2 공정 위치로 전달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용량의 전기를 충전 및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핸드폰이나 노트북 PC 등에 사용되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 용도와 수요가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리튬 폴리머 전지는 여러 개의 전극을 일정 간격으로 적층하여 각 전극 사이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방식으로서 많은 회수의 충방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튬 폴리머 전지를 생산할 경우에는 많은 수의 전극을 적층하여야 하는데, 이들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아 차례 차례 적층하기가 매우 어렵고 적층이 불량할 경우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 전극은 일정한 방향성을 두고 적층해야 하는데 이 작업이 쉽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
결국,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공급되는 전극들을 일방향으로 접어가면서 적층시킬 필요가 대두되었는데, 이를 위해서 미국 특허 제4,573,67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테이프를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으면서 테이프에 접합된 전극을 적층시켜주는 폴딩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전극 폴딩 장치에서 테이프에 접합된 전극을 일방향으로 감아서 적층시키는 공정은 와인더(winder)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와인더에 의해 감겨져 적층된 전지셀은 전지셀 전달장치에 의해 후속 공정 위치, 예를 들어 비전검사위치로 전달된다.
종래의 전지셀 전달장치는 상기 와인더와 후속 공정 위치 사이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퍼가 와인더의 일측에서 전지셀을 파지한 다음, 회전 운동하여 후속 공정 위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지셀 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전지셀을 전달할 때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회전부재에 다수의 그립퍼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그립퍼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그립퍼 작동장치와 함께 그립퍼가 전지셀을 전달받는 위치와 전달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그립퍼들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선형운동장치를 복수개 구성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회전부재에 상기 그립퍼 작동수단과 선형운동장치를 구성하게 되면 전지셀 전달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무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 외부에 선형운동장치를 구성하여 지정된 위치에서 그립퍼를 선형운동시켜 전지셀을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 원심력에 의해 그립퍼의 위치가 가변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립퍼가 다른 구성부품과 충돌하여 손상이 발생하거나 정확한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프레임에 복수개의 그립퍼를 선형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되, 전지셀을 전달받는 위치와 전달하는 위치에서 그립퍼를 선형 이동시키는 선형운동장치를 회전프레임 외부에 구성하여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전지셀을 일 공정 위치에서 다른 공정 위치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그립퍼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항상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어 정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는,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수단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운동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프레임에 대해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그립퍼블록과; 상기 그립퍼블록을 전지셀을 전달받는 위치 및 전지셀을 전달하는 위치 각각에서 수평하게 선형 운동시키는 제1,2선형이동수단과; 상기 각각의 그립퍼블록에 설치되어 전지셀을 파지하는 그립퍼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그립퍼블록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립퍼블록이 회전프레임에 대해 수평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홈의 출입구를 통해 가이드홈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이탈되고, 회전프레임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홈 내측을 따라 안내되는 캠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립퍼가 회전프레임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지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캠팔로워가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 내측을 따라 안내되므로 그립퍼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일정한 회전 궤적 및 회전 반경을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그립퍼의 회전시 그립퍼가 다른 구성부품에 충돌하거나 간섭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전 공정에서 전지셀을 전달받는 제1위치 및 후속 공정으로 전지셀을 전달하는 제2위치에서 그립퍼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2선형이동수단이 회전프레임에 구성되지 않고 고정프레임에 구성되어 그립퍼블록의 캠팔로워와 연결 및 분리되므로 전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회전프레임의 회전 운동시 구성부품들 간의 간섭과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의 가이드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는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수평한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수단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운동하는 회전프레임(20)과, 상기 회전프레임(2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이 실시예에서 90도)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프레임(20)에 대해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4개)의 그립퍼블록(30)과, 상기 그립퍼블록(30)을 전지셀(C)을 전달받는 제1위치(P1) 및 전지셀(C)을 전달하는 제2위치(P2) 각각에서 수평하게 선형 운동시키는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과, 상기 그립퍼블록(30)에 설치되어 전지셀(C)을 파지하는 그립퍼(40)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회전프레임(20)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회전프레임(20)의 회전 운동시 각각의 그립퍼블록(30)들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6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프레임(60)과, 상기 그립퍼블록(3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61)을 따라 안내되는 캠팔로워(7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프레임(20)은 대략 '+'자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된 회전축지지부재(2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중앙부 전방면은 회동수단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2)에 직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2)에 의해 90도씩 회전 운동한다. 상기 구동모터(22)는 고정프레임(10)의 상단에 연결된 'ㄱ'자형의 모터마운트브라켓(11)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그립퍼블록(30)은 회전프레임(20)의 전방면에 설치된 선형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에 의해 전지셀을 전달받는 제1위치(P1) 및 전지셀을 전달하는 제2위치(P2)에서 선형가이드레일(31)을 따라 수평 운동한다.
상기 그립퍼블록(30)의 전방면에는 전지셀(C)을 파지하는 그립퍼(4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립퍼(40)는 공압실린더(41)에 의해 LM가이드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면서 벌어졌다 오므려지는 운동을 하여 전지셀(C)을 파지 또는 해제한다. 상기 그립퍼(40)는 공지의 이차전지 제조장치 또는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서 이차전지 셀 또는 웨이퍼, 반도체 부품 등을 파지하는 공지의 그립퍼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은 고정프레임(10)의 전방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분에 'ㄷ'자 홈 형태로 오목한 가이드홈(6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61)의 양측부 각각에는 상기 캠팔로워(70)가 가이드홈(61)의 내측으로 진입 및 외측으로 이탈할 수 있도록 출입구(62)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캠팔로워(70)는 상기 그립퍼블록(30)의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60)의 가이드홈(61)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캠팔로워(70)는 상기 그립퍼블록(30)에 돌출되게 형성된 캠팔로워축(71)과, 상기 캠팔로워축(71)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61) 내측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되는 캠팔로잉롤러(72)를 포함한다.
상기 캠팔로워(70)는 상기 가이드홈(61)을 따라 안내되면서 그립퍼블록(30)의 회전을 안내하는 작용과 함께 상기 그립퍼블록(30)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과 연결되어 그립퍼블록(30)과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을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로서도 기능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그립퍼블록(30)은 전지셀(C)을 전달받는 제1위치(P1) 및 전지셀(C)을 전달하는 제2위치(P2) 인근에 구성되는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에 의해 수평 이동하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레일(51)과,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1)에 결합되어 수평가이드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블록(52)과, 상기 가동블록(52)을 수평가이드레일(51)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가동블록(52)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캠팔로워(70)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블록(5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1)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53)와, 상기 볼스크류(53)를 회전시키는 모터(54)와, 상기 볼스크류(53)에 연결되어 볼스크류(53)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53)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동블록(52)과 연결된 너트부(미도시)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구동유닛은 리니어모터, 공압실린더, 2개의 풀리와 이 풀리에 감겨진 벨트 및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공지의 선형운동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블록(55)은 상기 캠팔로워(70)를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상,하면이 개방된 'ㄷ'자형 홈(55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블록(52)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캠팔로워(70)를 끌고 이동한다. 상기 연결블록(55)은 상기 가이드홈(61)의 출입구(62)를 통해 가이드홈(6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홈(61)과 연통된다. 따라서 연결블록(55)이 가이드홈(61)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연결블록(55)의 홈(55a) 내측에서 가이드홈(61)으로 캠팔로워(70)의 캠팔로잉롤러(72)가 자연스럽게 이동하거나, 가이드홈(61) 내측에서 연결블록(55)의 홈(55a) 내측으로 캠팔로잉롤러(72)가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전지셀(C)을 전달받는 제1위치에서 그립퍼블록(30)은 제1선형이동수단(50a)에 의해 이전 공정위치로(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캠팔로워(70)는 연결블록(55)의 홈(55a) 내측에 수용된 상태이다. 상기 그립퍼블록(30)이 제1위치(P1)에서 외측으로 이동한 후, 그립퍼(40)가 오므려지면서 이전 공정(예를 들어 전지셀을 감아서 적층하는 와인딩 공정)에서 공정이 완료된 전지셀(C)을 파지한다.
이어서 상기 제1선형이동수단의 모터(54)에 전원이 인가되어 볼스크류(5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블록(52) 및 이에 고정된 연결블록(55)이 수평가이드레일(51)을 따라 내측으로(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연결블록(55)에 수용되어 있는 캠팔로워(70) 및 그립퍼블록(30)이 연결블록(55)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블록(55)은 가이드프레임(60)의 가이드홈(61)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이드홈(61)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때 상기 연결블록(55)은 상하면이 개방된 구조이므로 연결블록(55)의 홈(55a)과 가이드홈(61)은 서로 연통된다.
이어서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프레임(20)이 회전축(21)을 중심으로 90도씩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지셀(C)을 파지하고 있는 그립퍼(40)가 180도로 회전하여 제2위치(P2)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되면, 이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의 연결블록(55) 내측에 그립퍼블록(30)의 캠팔로워(70), 즉 캠팔로잉롤러(72)가 삽입된다. 그리고, 두번째 선형운동장치의 모터(54)의 작동에 의해 가동블록(52)이 수평가이드레일(51)을 따라 후속 공정 위치 쪽으로(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립퍼블록(3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그립퍼(40)에 파지되어 있는 전지셀(C)이 후속 공정 위치로 전달된다.
이 후속 공정 위치에서 그립퍼(40)가 벌어지면서 전지셀(C)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이송로봇(미도시) 또는 이송컨베이어가 전지셀(C)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한다. 후속 공정 위치에서 전지셀(C)을 전달한 그립퍼(40) 및 그립퍼블록(30)은 다시 제2선형이동수단(50b)의 작동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블록(55)은 가이드프레임(60)의 도면상 오른쪽 출입구(62)를 통해 가이드홈(61) 내측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셀 전달장치는 4개의 그립퍼(40)가 제1위치(P1)에서 전지셀(C)을 파지한 다음, 회전프레임(20)의 회전에 의해 90도씩 회전하면서 제2위치(P2)에서 전지셀(C)을 후속 공정으로 전달한 다음, 다시 90도씩 회전하여 제1위치(P1)로 복귀하는 작업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전지셀(C)을 이송한다. 이 때, 상기 회전프레임(20)이 회전하여 그립퍼블록(30) 및 그립퍼(40)들이 회전할 때, 상기 캠팔로워(70)의 캠팔로잉롤러(72)가 가이드프레임(60)의 가이드홈(61) 내측을 따라 안내되므로 그립퍼(40)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일정한 회전 궤적 및 회전 반경을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그립퍼(40)의 회전시 그립퍼(40)가 다른 구성부품에 충돌하거나 간섭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에서 그립퍼블록(30)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이 회전프레임(20)에 구성되지 않고 고정프레임(10)에 구성되어 그립퍼블록(30)의 캠팔로워(70)와 연결 및 분리되므로 전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회전프레임(20)의 회전 운동시 구성부품들 간의 간섭과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정프레임 20 : 회전프레임
21 : 회전축 22 : 구동모터
30 : 그립퍼블록 31 : 선형가이드레일
40 : 그립퍼 41 : 공압실린더
50a, 50b : 제1,2선형이동수단 51 : 수평가이드레일
52 : 가동블록 53 : 볼스크류
54 : 모터 55 : 연결블록
55a : 홈 60 : 가이드프레임
61 : 가이드홈 62 : 출입구
70 : 캠팔로워 71 : 캠팔로워축
72 : 롤러 C : 전지셀

Claims (4)

  1. 폴리머 전지 제조장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수단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운동하는 회전프레임(20)과;
    상기 회전프레임(2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프레임(20)에 대해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그립퍼블록(30)과;
    상기 그립퍼블록(30)을 전지셀을 전달받는 위치 및 전지셀을 전달하는 위치 각각에서 수평하게 선형 운동시키는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과;
    상기 각각의 그립퍼블록(30)에 설치되어 전지셀(C)을 파지하는 그립퍼(40)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회전프레임(20)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6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61)에 출입구(62)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60)과;
    상기 그립퍼블록(3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립퍼블록(30)이 회전프레임(20)에 대해 수평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홈(61)의 출입구(62)를 통해 가이드홈(61)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이탈되고, 회전프레임(20)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홈(61) 내측을 따라 안내되는 캠팔로워(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팔로워(70)는 상기 그립퍼블록(30)에 돌출되게 형성된 캠팔로워축(71)과, 상기 캠팔로워축(71)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61) 내측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되는 캠팔로잉롤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61)의 출입구(62)는 가이드홈(61)의 양측에 2개가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선형이동수단(50a, 50b)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레일(51)과;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1)에 결합되어 수평가이드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블록(52)과;
    상기 가동블록(52)을 수평가이드레일(51)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가동블록(5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캠팔로워(70)를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상,하면이 개방된 'ㄷ'자형 홈(55a)이 형성되어 상기 캠팔로워(70)를 끌고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홈(61)의 출입구(62)를 통해 가이드홈(6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홈(61)과 연통되는 연결블록(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KR1020120155622A 2012-12-27 2012-12-27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KR10141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22A KR101418087B1 (ko) 2012-12-27 2012-12-27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22A KR101418087B1 (ko) 2012-12-27 2012-12-27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66A true KR20140085266A (ko) 2014-07-07
KR101418087B1 KR101418087B1 (ko) 2014-07-08

Family

ID=5173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622A KR101418087B1 (ko) 2012-12-27 2012-12-27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7872A (zh) * 2017-07-28 2018-02-09 惠州金源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压检测机构及电芯蹲封设备
KR102306637B1 (ko) * 2021-04-07 2021-09-30 (주)도원위즈테크 로터리 타입 이차 전지의 전극롤 이젝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444B1 (ko) 2018-01-08 2018-12-26 세종기술 주식회사 폴리머 셀의 투입 및 배출 자동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645B1 (ko) * 1995-08-04 1998-07-01 배순훈 건전지 이재장치
JP5343046B2 (ja) 2010-07-16 2013-11-13 Ckd株式会社 Ptpシート搬送装置
JP5291061B2 (ja) 2010-09-16 2013-09-18 Ckd株式会社 Ptpシート搬送装置
KR101079033B1 (ko) 2011-05-04 2011-11-02 주식회사 톱텍 이차 전지 탭 용접을 위한 회전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7872A (zh) * 2017-07-28 2018-02-09 惠州金源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压检测机构及电芯蹲封设备
CN107677872B (zh) * 2017-07-28 2020-11-03 惠州金源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压检测机构及电芯蹲封设备
KR102306637B1 (ko) * 2021-04-07 2021-09-30 (주)도원위즈테크 로터리 타입 이차 전지의 전극롤 이젝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087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256B (zh) 电池组装装置及电池组装体的制造方法
KR102125529B1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제조를 위한 전극 픽앤플레이스 장치
KR101876123B1 (ko) 전지 제조 라인에서의 전지 제품 혹은 부품의 이송 장치
KR101418087B1 (ko)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CN210489767U (zh) 一种模切叠片一体设备
KR102134721B1 (ko) 이차전지의 와인딩 방식 셀 스택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3258767A (zh) 用于在其加工过程中传送太阳能晶圆或太阳电池的装置
KR102044367B1 (ko) 전극 적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적층 시스템
KR20170054830A (ko) 전극조립체 권취장치
KR20130094574A (ko)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극 폴딩장치의 전극 와인더
KR101315302B1 (ko) 폴리머 전지용 전극 폴딩장치의 전극 언로딩장치
KR101280068B1 (ko) 전극 적층 시스템
CN106848410A (zh) 电芯入壳系统及方法
KR102504610B1 (ko) 릴 클램핑모듈
CN111180779B (zh) 电极拾放装置和具有其的二次电池的电池堆制造系统及方法
CN211768853U (zh) 一种物料上料装置
KR20220154582A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KR102547922B1 (ko)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KR102492160B1 (ko)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
CN112864441B (zh) 放料机构以及叠片装置
WO2023177062A1 (ko) 이차전지의 스윙형 셀 스택 제조장치
KR102536553B1 (ko) 이차전지 셀 이재장치
CN115676235B (zh) 送料装置及电池生产设备
US20240039029A1 (en) Folding processing apparatus for sealing part of battery cell, battery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547920B1 (ko)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셀 전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