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564A -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564A
KR20140084564A KR1020120154154A KR20120154154A KR20140084564A KR 20140084564 A KR20140084564 A KR 20140084564A KR 1020120154154 A KR1020120154154 A KR 1020120154154A KR 20120154154 A KR20120154154 A KR 20120154154A KR 20140084564 A KR20140084564 A KR 20140084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unit
module assembly
cover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205B1 (ko
Inventor
강순선
류재연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에 적용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2개의 단위 셀 쌍이 복수 개로 구성된 셀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셀 모듈 조립체는 상기 단위 셀 쌍들 별로 전후 방향에서 각각 하우징하기 위한 셀 커버 쌍을 구비하여 상기 단위 셀 쌍들로 마련된 셀 하우징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셀 쌍들 별로 마련된 셀 하우징들이 적층되고, 상기 셀 하우징의 셀 커버는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에 접촉되며,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 시 발생하는 상기 단위 셀의 팽창력이 상기 접촉된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일측 영역을 통해 편중 되게 전달되어,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단위 셀의 팽창이 서로 접촉된 편중 비드를 통해 치우쳐 전달되어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 전기적 연결을 위에서 아래로 찢듯이 파단 시킴으로써, 종래 보다 효율적인 전류차단장치(Current Interrupt Device)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Cell module assembly for vehicle battery}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과충전 시 셀의 보호를 위해 전류차단장치(Current Interrupt Device, CID)가 적용되는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용 배터리 팩 설계 시 과충전에 대한 안전 장치로 일반적으로 전류차단장치(Current Interrupt Device, CID)가 적용 되고 있다. 전류차단장치는 과충전에 대한 안전장치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등 전기적인 장치와 별도로 물리적인 힘으로 셀(Cell) 간 연결 구조를 단절시키는 안전장치이다.
배터리 셀 하우징은 배터리 셀을 수용하고, 수용되는 배터리셀의 충 방전시 발생하는 배터리 셀의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보강 및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 하우징은 배터리셀의 과충전시 전류차단장치가 구현되도록 구조적으로 설계된다. 즉 배터리 셀 하우징은 배터리 셀의 팽창이 정해진 임계치를 넘으면 배터리 셀 간의 연결을 단절시킬 수 있다.
배터리 셀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을 전면 및 후면의 양측에서 덮어서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셀 커버를 구비한다. 셀 커버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얇은 판재 형태로 구현되며, 셀 커버의 표면에 판재의 강성 및 평탄도 유지를 위한 보강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셀 하우징에 과충전에 따른 배터리 셀들 간의 연결을 단절하기 위한 전류차단장치(CID)를 적용하는 데 있어, 과충전시 배터리 셀의 팽창력의 방향까지 고려한 설계상의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KR 10-2012-0094707 A, 2012. 08. 27,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 하우징에 전류차단장치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배터리셀의 팽창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셀 커버를 설계함으로써 종래보다 빠른 시간에 전류차단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셀 모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배터리에 적용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2개의 단위 셀 쌍이 복수 개로 구성된 셀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셀 모듈 조립체는 상기 단위 셀 쌍들 별로 전후 방향에서 각각 하우징하기 위한 셀 커버 쌍을 구비하여 상기 단위 셀 쌍들로 마련된 셀 하우징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셀 쌍들 별로 마련된 셀 하우징들이 적층되고, 상기 셀 하우징의 셀 커버는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에 접촉되며,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 시 발생하는 상기 단위 셀의 팽창력이 상기 접촉된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일측 영역을 통해 편중되게 전달되어,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 커버들 각각은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비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셀 커버의 비드들은 상기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 비드들과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비드들은 상기 셀 커버의 일측 영역에 치우쳐 형성되는 편중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셀 커버의 일측 영역에 형성된 편중 비드는 상기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편중 비드에 서로 접촉되고,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시 발생하는 단위 셀의 팽창력이 상기 접촉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에 형성된 편중 비드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파단시킬 수 있다.
상기 편중 비드는 상기 셀 커버들 표면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셀 모듈 조립체는 상기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시 상기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의 파단은 상기 버스바와의 연결을 파단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과충전에 의한 단위 셀의 팽창이 서로 접촉된 편중 비드를 통해 치우쳐 전달되어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 전기적 연결을 위에서 아래로 찢듯이 파단 시킴으로써, 단위 셀의 과충전 발생 시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짧은 시간에 적은 힘으로 단절할 수 있어 종래 보다 효율적인 전류차단장치(Current Interrupt Device)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셀 모듈 조립체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 셀 쌍이 하우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조립체(Cell Module Assembly)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의 셀 모듈 조립체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 셀 쌍이 하우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1)는 차량의 배터리에 적용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2개의 단위 셀(10) 쌍이 복수 개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셀 모듈 조립체(1)는 2개의 단위 셀(10) 쌍들 별로 마련된 셀 하우징들(20)이 4개 적층되어 있다. 셀 모듈 조립체(1)가 포함할 수 있는 셀 하우징들(20)의 개수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셀 하우징들(20)은 단위 셀(10) 한 쌍들 별로 전후 방향에서 각각 하우징하기 위한 셀 커버(22, 24) 쌍을 구비할 수 있고, 셀 커버(22, 24)는 수용되는 단위 셀(10)의 충전 및 방전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금속 재질의 평판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커버(22)는 적층되는 셀 하우징들(20)의 구조에 의해 이웃하는 셀 하우징의 셀 커버(24)에 서로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셀 커버들(22, 24)은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비드들(222, 2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 커버(22)의 비드들(222)은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20)의 셀 커버(24)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 비드(242)에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비드들(222, 242)은 상기 셀 커버의 일측 영역에 치우쳐 형성되는 편중 비드(222A, 24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셀 커버(22)에 형성된 편중 비드(222A)는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20)의 셀 커버(24)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 편중 비드(242A)에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중 비드(222A, 242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커버(22, 24)의 표면의 양 측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면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편중비드(222A)가 상부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하부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1)는 단위 셀(10)들의 과충전시 버스바(30)에 의해 연결된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단절함으로써, 과충전에 의해 단위 셀(10)들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전류차단장치(Current Interrupt Device, CID)를 적용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1)의 전류차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커버들(22, 24)에 형성된 편중 비드들(222A, 242A)은 셀 하우징들(20)의 적층에 의해 서로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셀(10)의 과충전 시 발생하는 단위 셀(10)의 팽창력은 도 3의 B와 같이 접촉된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24)에 형성된 편중 비드(242A)를 통해 전달되어, 도 3의 C와 같이 부풀어 오름으로써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파단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셀(10)의 과충전시 다른 셀 모듈 조립체(1)와의 전기적 연결의 파단은 버스바(30)와의 연결을 파단 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1)는 과충전시 다른 셀 모듈 조립체(1)와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30)와 셀 리드의 연결부를 위에서 아래로 찢듯이 파단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다 작은 힘 및 짧은 시간에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모듈 조립체(1)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셀 모듈 조립체
10: 단위 셀
20: 셀 하우징
22, 24: 셀 커버
222, 242: 비드
222A, 242A: 편중 비드
30: 버스바

Claims (5)

  1. 차량의 배터리에 적용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2개의 단위 셀 쌍이 복수 개로 구성된 셀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쌍들 별로 전후 방향에서 각각 하우징하기 위한 셀 커버 쌍을 구비하여 상기 단위 셀 쌍들로 마련된 셀 하우징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셀 쌍들 별로 마련된 셀 하우징들이 적층되고, 상기 셀 하우징의 셀 커버는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에 접촉되며,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 시 발생하는 상기 단위 셀의 팽창력이 상기 접촉된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일측 영역을 통해 편중 되게 전달되어,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모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커버들 각각은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비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셀 커버의 비드들은 상기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비드들과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모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들은 상기 셀 커버의 일측 영역에 치우쳐 형성되는 편중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셀 커버의 일측 영역에 형성된 편중 비드는 상기 적층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편중 비드에 서로 접촉되고,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시 발생하는 단위 셀의 팽창력이 상기 접촉되는 다른 셀 하우징의 셀 커버에 형성된 편중 비드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모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중 비드는 상기 셀 커버들의 표면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모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셀의 과충전시 상기 다른 셀 모듈 조립체와의 전기적 연결의 파단은 상기 버스바와의 연결을 파단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모듈 조립체.
KR1020120154154A 2012-12-27 2012-12-27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KR10144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54A KR101441205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54A KR101441205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564A true KR20140084564A (ko) 2014-07-07
KR101441205B1 KR101441205B1 (ko) 2014-09-17

Family

ID=5173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154A KR101441205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074A (ko) * 2014-12-30 2016-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밀봉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95021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91443A (ko) 2017-02-07 2018-08-16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셀용 냉각 플레이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
KR20180092061A (ko) 2017-02-08 2018-08-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카트리지형 배터리 셀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92062A (ko) 2017-02-08 2018-08-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차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69B1 (ko) * 2014-12-12 2017-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641B1 (ko) * 2005-05-10 2009-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KR100903185B1 (ko) * 2005-05-02 2009-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개선된 중대형 전지팩
KR101029837B1 (ko) * 2009-01-06 201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074A (ko) * 2014-12-30 2016-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밀봉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95021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91443A (ko) 2017-02-07 2018-08-16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셀용 냉각 플레이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
KR20180092061A (ko) 2017-02-08 2018-08-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카트리지형 배터리 셀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92062A (ko) 2017-02-08 2018-08-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차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205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1391B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JP5804540B2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EP3734709A1 (en) Battery pack
US10236482B2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EP2293361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101441205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EP2677566B1 (en) Battery pack
EP2212941B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US20160149197A1 (en) Current breaking structure of battery system
JP5666635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EP2930771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792820B1 (ko) 파단 유도부가 형성된 단자 접속부재 및 댐핑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67711B1 (ko) 과충전 방지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JP2013115038A (ja) 車両用高電圧バッテリーの安全構造
US20190058183A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over-charge prevention structure
JP7200140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のショート電流遮断方法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
KR102385996B1 (ko)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버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KR101776325B1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과충전 차단 구조
KR20150121519A (ko) 단락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용접구조를 갖는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팩
JP2021106134A (ja) 車両用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装置
KR102378571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472690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90042990A (ko) 안전 장치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603823B1 (ko) 각형 인산철배터리 조립체
KR102566026B1 (ko) 과충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