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454A - 절수형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454A
KR20140084454A KR1020120153497A KR20120153497A KR20140084454A KR 20140084454 A KR20140084454 A KR 20140084454A KR 1020120153497 A KR1020120153497 A KR 1020120153497A KR 20120153497 A KR20120153497 A KR 20120153497A KR 20140084454 A KR20140084454 A KR 2014008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hole
closing means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245B1 (ko
Inventor
이동금
Original Assignee
(주)지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브이 filed Critical (주)지앤브이
Priority to KR102012015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의 형상이 수직방향의 통공으로 형성하여 빠르게 용변과 이물질(휴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의 양을 절수할 수 있고,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마모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절수형 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에 물을 공급을 제어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중심 바닥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의 통공상단에는 구형태의 개폐수단이 안착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드부가 구비된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절수형 변기 {WATER SAVING TYPE A TOILET BOWL}
본 발명은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의 형상이 수직방향의 통공으로 형성하여 빠르게 용변과 이물질(휴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의 양을 절수할 수 있고,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마모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수자원의 고갈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물을 절약하여 사용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는 한편 이러한 결과로 수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커지게 되었으며,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여러가지 해결책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 중에서 화장실에 구비된 변기는 대소변과 같은 오물을 세척해야 하는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한번에 대략 7ℓ 가량의 많은 물을 소비하는 실정으로, 이와 같은 물의 소비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하는 자구책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 왔다.
이러한 물을 절수하기 위해 종래의 특허 출원 제2010-127454호는 배출구(12)를 지닌 본체(10)와 레버(22)를 지닌 수조(20)로 이루어지고, 수조(20)의 세척수를 본체(10)에 공급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상하운동 가능하게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가변배출관(36) 및 상기 레버(22)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변배출관(36)의 일시적 하강으로 원활한 배출을 유발하는 작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와, 실용신안 등록 제0416762호의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 배수구(114)와 연통되는 연결관(124) 상기 연결관(124)이 내부로 연통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126)이 형성된 본체(120) 상기 수조(30)의 작동레버(42)와 연결체인(150)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작동레버(42)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122)의 배출공(126)을 개폐하는 마개(132)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상하운동 가능하게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가변배출관(36)에 의해 용변이나 물이 배출하는 구조나 상기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 배수구(114)와 연통되는 연결관(124) 상기 연결관(124)이 내부로 연통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룬 배수구조체(120)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배출관이나 배수구조체는 담수공간부이외 물을 담수하여 배출하고 있어 실상적으로 물이 절수되지 않고 많은 양의 물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변배출관에 휴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배수구조체의 마개는 오래동안 사용시 밀폐부분이 마모되어 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출원 제2010-127454호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0416762호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수구의 형상이 수직방향의 통공으로 형성하여 빠르게 용변과 이물질(휴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의 양을 절수할 수 있고,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마모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절수형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에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중심 바닥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의 통공상단에는 구형태의 개폐수단이 안착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드부가 구비된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의 통공내경은 하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 상단에는 패킹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의 외주면에는 세락믹 코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로드부 일측단에는 수평방향에 형성된 힌지축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로드부 일측끝에 반구형 받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 중심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로드부 일측단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배수구의 일측면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L 자형 로드부가 설치되되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부에 연결된 타측단 L 자형 로드부의 일측단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L 자형 로드부의 통공에는 삽입결합되도록 수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단은 상기 수조의 레버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 연결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로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는 배수구의 형상이 수직방향의 통공으로 형성하여 빠르게 용변과 이물질(휴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의 양을 절수할 수 있고,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마모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 연장 및 개폐수단이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절수형 양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개폐수단을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수단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개폐수단 및 제어장치의 로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b는 도6a에 대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수단 및 제어장치의 로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개폐수단 및 제어장치의 로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도 9b는 도 9a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11a, 11b, 11c는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일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1)는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에 물을 공급을 제어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 중심 바닥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통공(14-1)이 형성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 상단에는 구형태의 개폐수단(30)이 안착되고 상기 개폐수단(3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드부(41)가 구비된 제어장치(4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개폐수단(30)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형상됨으로써 상부가 곡선으로 형성되어 용변이 개폐수단(30)에 묻지 않고 외주면에 따라 용이하게 흘러내려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가 상기 배수구(14) 통공(14-1)에 안착되어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12)에 물을 담수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수단(30)가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에 더욱더 밀착할 수 있도록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면이 상기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담수공간부(12)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14) 상단에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금속 등으로 형성된 패킹수단(5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킹수단(50)은 밀폐시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담수공간부(12)에 저장된 물이 배수구(14)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이 개폐수단(30)에 의해 밀폐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수단(30)을 지속적으로 개폐하다 보면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 및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 바닥면과 맞닿는 개폐수단(30)의 하단면이 마모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수단(30)을 하부로 더 당겨서 마모가 안된 부분으로 이동하여 밀폐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수단(30)의 지속적 개폐시 하단면이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30)의 외주면에 세락믹 코팅(70)이 전체를 도포하거나,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면만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에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제어장치(40)의 로드부(41) 일측단에는 수평방향에 형성된 힌지축(41-1)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수단(30)이 상기 제어장치(40)의 힌지축(41-1)을 기점으로 회동하므로써 마모되는 위치가 변경되어 제품의 수명을 증대하는 것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이동시 상기 제어장치(40)의 힌지축(41-1)을 기점으로 상기 개폐수단(3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면이 한곳만 지속적으로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에는 상기 개폐수단(30)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40)의 로드부(41) 일측끝이 반구형 받침부(4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40)의 받침부(41-2)를 상부로 올리면 상기 개폐수단(30)은 배수구(14)가 개방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부(41-2)에 안착된 상기 개폐수단(30)이 물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다시 밀폐시 상기 제어장치(40)를 하부로 내리면 받침부(41-2)에 안착된 상기 개폐수단(30)이 첫번째로 밀폐되기 위해 맞닿는 면이 아닌 다른 면이 맞닿도록 하므로써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개폐수단(30)이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수단(30)을 교체 및 위치조절하기 용이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 중심부에는 나사공(32)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어장치(40)의 로드부(41) 일측단에 결합나사부(4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나사체결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수단(30)을 상, 하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 외주면인 상기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12) 바닥면에 밀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개폐수단(30)이 파손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배수구(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통공(14-1)으로 형성하되 상기 통공(14-1)의 상부내경(D1)은 상기 개폐수단(30)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D2)은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구(14)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개폐수단(30)이 상부로 가면 밀폐되고 하부로 가면 상기 배수구(14)가 개방되어 상기 본체변기(10)의 담수공간부(12)에 있는 용변과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14)의 일측면에 통공(14-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3)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L 자형 로드부(41)가 설치되되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부에 연결된 타측단 L 자형 로드부(41)의 일측단에 통공(42)이 형성되며, 상기 L 자형 로드부(41)의 통공(42)에는 삽입결합되도록 수직부재(43)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43)의 상측단은 상기 수조(100)의 레버(101)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100)의 레버(101)와 수직부재(43)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수조(100)와 변기본체(10)가 연결된 수직봉(104)이 수조(1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104)의 상단에는 권취롤러부(103)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43)에 연결되는 연결선(105)이 상기 수직봉(104)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롤러부(103)에 감겨 상기 수조의 레버(10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선(105)은 상기 권취롤러부(103)에 연결하고 있지만 상기 수조의 레버(101)에 바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상기 권취롤러부(103)에 연결하므로써 상기 수조(100)의 레버(101)를 하부로 당기면 상기 권취롤러부(103)가 신속하게 감겨 상기 수직봉(104)을 당기면서 상기 개폐수단(30)을 상승시켜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으로 물과 용변을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수조(100)의 레버(101)를 놓으면 상기 권취롤러부(103)가 회동하면서 상기 연결선(105)을 놓아주면 상기 수직봉(104)이 하부로 이동과 동시에 상기 개폐수단(30)이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를 밀폐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수단(30)와 제어부(40)가 각각의 연결된 링크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 중 하나의 부품이 파손시 쉽게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기존의 변기 사용방식이 동일하게 상기 수조(100)의 레버(101)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0)는 링크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구성이 간소하게 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40)는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단에 연결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로드부(41)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41)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48)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구동실린더(48)은 작동스위치에 위해 전원을 온/오프 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스위치는 독단적인 온/오프 스위치로 사용하거나, 수조(100)의 레버(101)나 수조(100)의 마개(102)의 작동상태를 감지는 센서 또는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에 저장된 물 양을 체크하거나 물의 압력 등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실린더(48)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배수구(14)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에 물을 공급을 제어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 중심 바닥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통공(14-1)이 형성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4)의 통공(14-1) 상단에는 구형태의 개폐수단(30)이 안착되고 상기 개폐수단(3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드부(41)가 구비된 제어장치(4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에는 일정 량의 물이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도 11b, 1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0)의 레버(102)를 작동하면 상기 수조(100)의 마개(102)가 회동하여 여는 처음 시작점에 상기 개폐수단(30)이 배수구(14)를 열어 용변과 물이 빠르게 배수구(14)를 통해 배출시킨 후, 상기 수조(100)의 물이 어느정도 공급받으면 상기 수조(100)의 마개(102)가 회동하여 닫는 처음 시작점에 상기 개폐수단(30)이 빠르게 상승하여 상기 배수구(14)를 밀폐하여 상기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에 물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변기(1)는 변기본체(10)의 담수공간부(12) 중심부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수구(14)가 형성되므로써 빠르게 용변과 이물질(휴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의 양을 절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절수형 변기
10 : 변기본체 12 : 담수공간부
14 : 배수구 14-1 : 통공
30 : 개폐수단 31 : 관통공
32 : 나사공
40 : 제어장치
41 : 로드부 41-1: 힌지축
41-2 : 받침부 41-3 : 결합나사부
42 : 통공 43 : 수직부재
50 : 패킹수단
70 : 세락믹 코딩
100 : 수조 101 : 레버
102 : 마개 103 : 권취롤러부
104 : 수직봉 105 : 연결선

Claims (9)

  1.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에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중심 바닥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의 통공상단에는 구형태의 개폐수단이 안착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드부가 구비된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통공내경은 하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상단에는 패킹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외주면에는 세락믹 코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로드부 일측단에는 수평방향의 형성된 힌지축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로드부 일측끝이 반구형 받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 중심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로드부 일측단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배수구의 일측면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L 자형 로드부가 설치하되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부에 연결된 타측단 L 자형 로드부의 일측단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L 자형 로드부의 통공에는 삽입결합되도록 수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단은 상기 수조의 레버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 연결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로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를 상, 하로 시키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KR1020120153497A 2012-12-26 2012-12-26 절수형 변기 KR10144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97A KR101448245B1 (ko) 2012-12-26 2012-12-26 절수형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97A KR101448245B1 (ko) 2012-12-26 2012-12-26 절수형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54A true KR20140084454A (ko) 2014-07-07
KR101448245B1 KR101448245B1 (ko) 2014-10-13

Family

ID=5173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97A KR101448245B1 (ko) 2012-12-26 2012-12-26 절수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2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2935A (zh) * 2016-01-28 2017-08-04 株式会社Gnv 移动式卫生间用坐便器
KR20200048973A (ko) 2018-10-31 2020-05-08 김대훈 변기용 스마트 절수장치
KR20200099749A (ko) 2019-02-15 2020-08-25 송종섭 변기용 스마트 절수장치
KR20200099758A (ko) 2019-02-15 2020-08-25 송종섭 변기용 스마트 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21Y1 (ko) * 2001-09-21 2002-03-18 주식회사 미라클 절수형 양변기
KR20020097066A (ko) * 2002-09-19 2002-12-31 주식회사 미라클 개량 양변기
KR100458200B1 (ko) * 2002-09-24 2004-12-03 이세환 절수형 양변기
KR200349308Y1 (ko) * 2004-02-16 2004-05-04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2935A (zh) * 2016-01-28 2017-08-04 株式会社Gnv 移动式卫生间用坐便器
KR20200048973A (ko) 2018-10-31 2020-05-08 김대훈 변기용 스마트 절수장치
KR20200099749A (ko) 2019-02-15 2020-08-25 송종섭 변기용 스마트 절수장치
KR20200099758A (ko) 2019-02-15 2020-08-25 송종섭 변기용 스마트 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245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245B1 (ko) 절수형 변기
CN110173028B (zh) 排水阀装置、贮水水箱装置及冲水大便器
KR100634086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KR101024365B1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KR100946392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100007400A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JP5635369B2 (ja) 薬液供給装置用の薬液通水管
CN202627132U (zh) 一种虹吸马桶的补水控制装置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JP2009091875A (ja) 貯液タンク
KR102318753B1 (ko) 좌변기 절수장치
KR20190032036A (ko)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1527583B1 (ko)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
KR20120070876A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140103539A (ko) 변기용 절수기
KR100776873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JP3228357U (ja) 液体取り出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体入れ容器
US20170254429A1 (en) Automatic Shutoff Valve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CN104968982B (zh) 一种适配来维持容积区域内流体液位的流体流动控制装置
KR102300750B1 (ko) 용액 공급 장치
CN2843311Y (zh) 浴用节水阀
KR20080001076U (ko) 절수형 양변기 구조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40302Y1 (ko) 수족관의 용수공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