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430A - 피어싱 금형 - Google Patents

피어싱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430A
KR20140084430A KR1020120153226A KR20120153226A KR20140084430A KR 20140084430 A KR20140084430 A KR 20140084430A KR 1020120153226 A KR1020120153226 A KR 1020120153226A KR 20120153226 A KR20120153226 A KR 20120153226A KR 20140084430 A KR20140084430 A KR 2014008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ie
plat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임순
Original Assignee
구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임순 filed Critical 구임순
Priority to KR102012015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4430A/ko
Publication of KR2014008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어싱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스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출홀을 형성하도록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피어싱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지지다이와, 상기 상부지지다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펀치를 구비하는 펀치홀더와, 상기 펀치홀더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펀치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지지다이와, 상기 하부지지다이의 상부면에 결합된 몰드지지판과,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다이와, 상기 고정다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어싱 금형{Piercing Mold}
본 발명은 피어싱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피어싱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어싱 금형은 펀치홀더를 구비하는 상부금형과, 성형다이를 구비하는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피어싱 금형은 성형다이에 홀을 형성하고자 하는 제품을 안착시킨 후, 상부금형을 하부금형에 합형시킴으로써 펀치홀더에 구비된 펀치가 성형다이에 안착된 제품에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피어싱 금형은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홀을 성형하기 어려웠으며, 홀을 성형하더라도 제품의 형상 또는 성형된 홀의 형상이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품은 예를 들면, 건설현장의 고층작업장, 조선소의 고층 블록 등 높이가 높은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딛고 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층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형성되는 족장판 및 발판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종래 피어싱 금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품의 상부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과, 하부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마련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홀을 성형하였으나, 이는 작업공수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배출홀이 한 번의 공정으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어싱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스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출홀을 형성하도록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피어싱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지지다이와, 상기 상부지지다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펀치를 구비하는 펀치홀더와, 상기 펀치홀더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펀치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지지다이와, 상기 하부지지다이의 상부면에 결합된 몰드지지판과,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다이와, 상기 고정다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몰드는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다이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다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다이와 상기 작동다이에는 상기 상부패드에 구비된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펀칭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다이의 일단부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작동다이에 안착되는 제품의 폭 방향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배출홀이 한 번의 공정으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금형(100)은 프레스(미도시)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출홀(12)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10)은 건설현장의 고층작업장, 조선소의 고층 블록 등 높이가 높은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딛고 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층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형성되는 족장판 및 발판 등이 해당된다.
상부금형(110)은 상부지지다이(112)와, 상부지지다이(112)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펀치(114a)를 구비하는 펀치홀더(114)와, 펀치홀더(114)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며, 복수개의 펀치(114a)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116a)을 구비하는 상부패드(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패드(116)는 펀치홀더(114)를 향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펀치홀더(114)에 결합볼트(115)를 통해 결합되는데, 이때, 상부패드(116)는 결합볼트(117)의 외주면에 마련된 코일스프링(117)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에 합형될 때 상부패드(116)가 후술하는 작동몰드(128)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에 합형될 때 상부패드(116)가 후술하는 작동몰드(128)를 더욱더 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패드(116)와 펀치홀더(114) 사이에 가스스프링(118)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가스스프링(118)은 일단이 펀치홀더(114)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패드(116)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금형(120)은 하부지지다이(122)와, 하부지지다이(122)의 상부면에 결합된 몰드지지판(124)과, 몰드지지판(124)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다이(126)와, 고정다이(12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몰드지지판(124)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몰드(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동몰드(128)는 몰드지지판(124)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플레이트(130)와, 일단부가 작동플레이트(13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고정다이(126)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다이(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다이(126)와 작동다이(132)에는 전술한 상부패드(116)에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홀(116a)과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펀칭홀(126a, 13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복수개의 펀칭홀(126a, 132a)에는 전술한 펀칭홀더(114)에 구비된 복수개의 펀치(114a)가 관통하여 이동된다.
작동플레이트(130)는 몰드지지판(124)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작동플레이트(130)는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에 합형되어 상부패드(116)의 하부면이 작동다이(132)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몰드지지판(124)을 향해 이동하여 몰드지지판(124)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맞닿게 된 후, 작동다이(132)에 대한 상부패드(116)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작동플레이트(130)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130a)이 형성되는데, 이 안착홈(130)에는 작동다이(132)의 일단부 하부에는 돌출 형성된 안착부(132b)가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안착부(132b)는 작동다이(132)에 안착되는 제품의 폭 방향 위치가 정렬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피어싱 금형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출홀(12)을 형성하고자 하는 제품(10)을 작동다이(132)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부금형(110)을 하부금형(120)을 향해 하강시키면, 상부패드(116)가 작동다이(132)에 안착된 제품(1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부금형(110)을 하강시키게 되면 상부패드(116)가 펀치홀더(114)를 향해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펀치홀드(114)에 구비된 복수개의 펀치(114a)가 상부패드(116)에 구비된 관통홀(116a)을 통과하여 작동다이(132)의 안착된 제품(10)의 상부면에 배출홀(12)을 형성시킨다.
이후, 상부금형(110)을 계속 하강시키면, 작동플레이트(130)가 몰드지지판(124)의 상부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작동다이(132)의 하부면이 고정다이(126)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펀치홀더(114)에 구비된 복수개의 펀치(114a)는 상부패드(116)에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홀(116a)과 대응되게끔 작동다이(132)에 형성된 복수개의 펀칭홀(132a)을 통과하여 제품(10)의 하부면에 배출홀(12)을 형성시킨다.
이때, 고정다이(126)에도 복수개의 펀칭홀(126a)이 작동다이(132)에 형성된 복수개의 펀칭홀(13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품(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출홀(12)이 펀치(114a)에 의해 형성될 때 발생되는 스크랩이 고정다이(126)에 형성된 복수개의 펀칭홀(126a)을 통해 고정다이(126)에 구비된 스크랩배출플레이트(124a)로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배출홀이 한 번의 공정으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상부금형
112: 상부지지다이
114: 펀치홀더
114a: 펀치
115: 결합볼트
116: 상부패드
117: 코일스프링
118: 가스스프링
120: 하부금형
122: 하부지지다이
124: 몰드지지판
124a: 스크랩배출플레이트
126: 고정다이
128: 작동몰드
130: 작동플레이트
132: 작동다이

Claims (5)

  1. 프레스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제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출홀을 형성하도록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피어싱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지지다이와, 상기 상부지지다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펀치를 구비하는 펀치홀더와, 상기 펀치홀더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펀치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지지다이와, 상기 하부지지다이의 상부면에 결합된 몰드지지판과,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다이와, 상기 고정다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몰드는,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다이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다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다이와 상기 작동다이에는 상기 상부패드에 구비된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펀칭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몰드지지판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금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다이의 일단부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금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작동다이에 안착되는 상기 제품의 폭 방향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금형.
KR1020120153226A 2012-12-26 2012-12-26 피어싱 금형 KR20140084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26A KR20140084430A (ko) 2012-12-26 2012-12-26 피어싱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26A KR20140084430A (ko) 2012-12-26 2012-12-26 피어싱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30A true KR20140084430A (ko) 2014-07-07

Family

ID=5173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226A KR20140084430A (ko) 2012-12-26 2012-12-26 피어싱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44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345A (ko) * 2017-12-29 2019-07-10 최유해 자동 대형 톰슨기의 타발부 목금형 간극조절장치
KR102112245B1 (ko) * 2018-11-21 2020-05-18 하순원 트리밍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345A (ko) * 2017-12-29 2019-07-10 최유해 자동 대형 톰슨기의 타발부 목금형 간극조절장치
KR102112245B1 (ko) * 2018-11-21 2020-05-18 하순원 트리밍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650B1 (ko)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프레스 금형
JP2007313522A (ja) プレス型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JP6068498B2 (ja) パンチング装置用ダイ
KR100910377B1 (ko) 펀칭용 금형 장치
CN104959469A (zh) 落料冲孔模及落料冲孔工艺
CN102189174A (zh) 浮动凸模成型装置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KR20170045968A (ko) 코너 샤링기 일체형 롯드바 프레임 제조장치
KR20140084430A (ko) 피어싱 금형
CN105817526A (zh) 轮辐一次性冲风孔模
KR101080154B1 (ko) 펀칭금형 기구
KR20110095748A (ko) 두 개 이상의 유압 펀치가 작동하는 프레스 금형
KR20100090532A (ko) 부스바 가공장치
KR101219824B1 (ko) 정렬 생산방식형 시형 멈춤링 제조장치
US9032853B2 (en) Cutting apparatus
KR20170010872A (ko) 펀칭장치
KR101585765B1 (ko) 용접용 지지장치
KR101920558B1 (ko) 찬넬 밴딩용 펀칭장치
CN102248063B (zh) 一种冲孔模具的冲孔机构
KR20080048278A (ko) 플랜지 성형용 프레스 장치
KR20140007525A (ko)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타발금형
JP2003305521A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1562358B1 (ko) 프레스의 경사캠 장치
KR101053228B1 (ko) 펀칭금형 기구
CN203184448U (zh) 平面度保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