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104A -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 Google Patents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104A
KR20140082104A KR1020120151510A KR20120151510A KR20140082104A KR 20140082104 A KR20140082104 A KR 20140082104A KR 1020120151510 A KR1020120151510 A KR 1020120151510A KR 20120151510 A KR20120151510 A KR 20120151510A KR 20140082104 A KR20140082104 A KR 2014008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uminum plates
clad layer
absorbing member
neutron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104A/ko
Publication of KR2014008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4Devices for handling containers or shipping-casks, e.g. transporting devices loading and unloading, filling of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C22C32/001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with only oxides
    • C22C32/0015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with only oxides with only single oxides as main non-metallic constituents
    • C22C32/0036Matrix based on Al, Mg, Be or alloys thereof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24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neutron-absorb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사각 튜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바스켓; 및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중성자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성자 흡수부재는, 상기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알루미늄판; 상기 알루미늄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성자 흡수재; 상기 각 알루미늄판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클래드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에 용접되어 상기 알루미늄판과 중성자 흡수재를 적층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CASK FOR STORAGING NUCLEAR FUEL ROD}
본 발명은 미임계 성능을 확보하고, 구조적 강도 및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핵연료 사이클의 최종 단계에서 연소를 마치고 사용할 수 없게 된 핵연료봉을 사용후 핵연료봉이라 한다.
사용후 핵연료봉은 고방사능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열적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 사용후 핵연료봉은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 피트에서 소정 기간(예 3개월 내지 6개월) 동안 냉각될 수 있다. 사용후 핵연료봉은 냉각 후 캐스크에 수납된다. 사용후 핵연료봉이 수납된 캐스크는 재처리 시설로 반송되어 보관될 수 있다.
캐스크는 사용후 핵연료봉을 수납하기 위해 격자형 단면을 가지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은 수납 용기에 수용되어 방사선이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될 수 있다. 사용후 핵연료봉은 바스켓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 공간인 셀마다 1매씩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바스켓은 사용후 핵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중성자가 인접한 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임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바스켓은 캐스크를 수송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사고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핵연료봉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적절한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바스켓에는 사용후 핵연료봉 집합체로부터 발생되는 붕괴열이 전도될 수 있다. 바스켓은 전도된 붕괴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우수한 전열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1987-242725호에는 다양한 종류의 캐스크가 개시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1-133590호에는 캐스크의 파이프 조합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임계 성능을 확보하고, 구조적 강도 및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사각 튜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바스켓; 및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중성자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성자 흡수부재는, 상기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알루미늄판; 상기 알루미늄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성자 흡수재; 상기 각 알루미늄판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클래드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에 용접되어 상기 알루미늄판과 중성자 흡수재를 적층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알루미늄판은 한 쌍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클래드층과 고정판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판은 사각 튜브의 일측 외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 튜브의 모서리가 집합되는 부분들에는 이격 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이격 공간에는 고정봉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사각 튜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바스켓; 및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중성자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성자 흡수부재는, 상기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적층되고, 내측면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대향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알루미늄판; 상기 알루미늄판 사이에 배치되는 중성자 흡수재; 및 상기 각 알루미늄판의 외측면과 돌출부에 적층되고, 상기 돌출부에 적층된 부분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클래드층을 포함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알루미늄판은 한 쌍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클래드층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판은 사각 튜브의 일측 외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 튜브의 모서리가 집합되는 부분들에는 이격 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이격 공간에는 고정봉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임계 성능을 확보하고, 구조적 강도 및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구성하는 중성자 흡수부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5의 중성자 흡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성자 흡수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중성자 흡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100)는 사용후 핵연료봉을 재처리 시설 등에 보관할 수 있는 보관 장치이다.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100)는 보관 용기(미도시)에 수용된 상태로 재처리 시설 또는 폐기물 시설 등에 보관될 수 있다.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100)는 바스켓(110)과 중성자 흡수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110)은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사각 튜브(111)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튜브(111)는 정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바스켓(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사각 튜브(111)에는 하나씩의 사용후 핵연료봉이 수용될 수 있다. 각 사각 튜브(111)는 하나의 사용후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바스켓(110)은 다수의 셀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핵연료봉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사각 튜브(111)에는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므로, 비틀림 강성과 굽힘 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바스켓(110)은 수송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사고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핵연료봉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적절한 구조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바스켓(110)의 사각 튜브(111)들은 핵연료봉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방열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튜브(111)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성자 흡수부재(120)는 인접한 사각 튜브(1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중성자 흡수부재(120)는 각 사각 튜브(111)의 4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성자 흡수부재(120)는 사용후 핵연료봉에서 방출되는 중성자가 인접한 사각 튜브(111)의 셀로 이동되는 것을 차폐한다. 이러한 중성자 흡수부재(12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111)는 지지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40)는 바스켓(110)의 둘레부에 배치되어 바스켓(110)의 사각 튜브(111)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지체(140)는 다수의 지지 패널(141)과 다수의 서포트 로드(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 패널(141)은 바스켓(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바스켓(110)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지지 패널(141)은 바스켓(110)의 외측면에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지지 패널(141) 열이 4열로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지지 패널(141) 열은 바스켓(110)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수의 지지 패널(141)은 사각 튜브(111)들에 전도된 열을 방열시킬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패널(141)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로드(143)는 지지 패널(141)의 열을 관통하여 지지 패널(141)들이 위치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서포트 로드(143)는 지지 패널(141)의 열을 관통하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로드(143)는 각 지지 패널(141)의 열마다 2개 이상씩 관통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체(140)는 바스켓(110)의 사각 튜브(111)들이 일정한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를 구성하는 중성자 흡수부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5의 중성자 흡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중성자 흡수부재(120)는, 다수의 알루미늄판(121), 중성자 흡수재(123), 클래드층(125) 및 고정판(12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알루미늄판(121)은 사각 튜브(111)의 4측면을 둘러싸도록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들 들면,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이 사각 튜브(111)의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알루미늄판(121)은 사각 튜브(111)의 일측 외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판(121)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중성자 흡수재(123)는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성자 흡수재(123)는 알루미늄판(121)을 통과한 중성자를 흡수하므로, 바스켓(110) 내에서 미임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클래드층(125)은 각 알루미늄판(121)의 외측면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래드층(125)은 알루미늄판(121)의 외측 표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래드층(125)은 알루미늄판(121)의 강성을 보강하고 용접이 가능한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판(127)은 알루미늄판(12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127)은 알루미늄판(121)의 길이방향의 양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판(127)의 폭은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 중성자 흡수재(123) 및 클래드층(125)의 두께를 모두 합한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고정판(127)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27)이 클래드층(12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고정판(127)과 클래드층(125)이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도 5에는 고정판(127)의 폭방향 양측과 클래드층(125)의 양측이 용접부(129)에 의해 접합된 구성이 개시된다.
또한, 고정판(127)은 클래드층(125)과 용접됨에 의해 알루미늄판(121)과 중성자 흡수재(123)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성자 흡수부재(120)가 적층된 구조로 용이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사각 튜브(111)의 모서리가 집합되는 부분들에는 이격 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이격 공간에는 고정봉(130)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봉(130)이 사각 튜브(111)의 모서리 집합 부분에 삽입되어 이격 공간을 채워주므로, 바스켓(110)의 격자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110)에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바스켓(110)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성자 흡수부재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성자 흡수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중성자 흡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성자 흡수부재(120)는, 다수의 알루미늄판(121), 중성자 흡수재(123), 클래드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알루미늄판(121)은 사각 튜브(111)의 4측면을 둘러싸도록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들 들면,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이 사각 튜브(111)의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알루미늄판(121)은 사각 튜브(111)의 일측 외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판(121)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이 적층된 상태에서 볼 때에, 알루미늄판(121)의 내측면 둘레에는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은 돌출부(122)가 서로 대향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중성자 흡수재(123)는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성자 흡수재(123)는 알루미늄판(121)을 통과한 중성자를 흡수하므로, 바스켓(110) 내에서 미임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클래드층(125)은 각 알루미늄판(121)의 외측면 돌출부(122)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래드층(125)은 알루미늄판(121)의 강성을 보강하고 용접이 가능한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래드층(125)의 돌출부(122)에 적층된 부분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동일한 재질인 클래드층(125)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므로 한 쌍의 알루미늄판(121)이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클래드층(125)의 양측이 용접부(129)에 의해 접합된 구성이 개시된다.
클래드층(125)의 접촉된 부분이 용접부(129)에 의해 접합되므로, 알루미늄판(121)과 중성자 흡수재(123)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성자 흡수부재(120)가 적층된 구조로 용이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알루미늄판(121)들을 접합하므로, 용접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사각 튜브(111)의 모서리가 집합되는 부분들에는 이격 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이격 공간에는 고정봉(130)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봉(130)이 사각 튜브(111)의 모서리 집합 부분에 삽입되어 이격 공간을 채워주므로, 바스켓(110)의 격자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110)에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바스켓(110)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110: 바스켓
111: 사각 튜브 120: 중성자 흡수부재
121: 알루미늄판 122: 돌출부
123: 중성자 흡수재 125: 클래드층
127: 고정판 129: 용접부
130: 고정봉 140: 지지체
141: 지지 패널 143: 서포트 로드

Claims (10)

  1.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사각 튜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바스켓; 및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중성자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성자 흡수부재는,
    상기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알루미늄판;
    상기 알루미늄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성자 흡수재;
    상기 알루미늄판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클래드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에 용접되어 상기 알루미늄판과 중성자 흡수재를 적층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은 한 쌍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층과 고정판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은 사각 튜브의 일측 외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튜브의 모서리가 집합되는 부분들에는 이격 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이격 공간에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6. 핵연료봉이 수용되는 사각 튜브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바스켓; 및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중성자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성자 흡수부재는,
    상기 인접한 사각 튜브 사이에 적층되고, 내측면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대향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알루미늄판;
    상기 알루미늄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성자 흡수재; 및
    상기 각 알루미늄판의 외측면과 돌출부에 적층되고, 상기 돌출부에 적층된 부분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클래드층을 포함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은 한 쌍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층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은 사각 튜브의 일측 외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튜브의 모서리가 집합되는 부분들에는 이격 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이격 공간에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KR1020120151510A 2012-12-21 2012-12-21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KR20140082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10A KR20140082104A (ko) 2012-12-21 2012-12-21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10A KR20140082104A (ko) 2012-12-21 2012-12-21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04A true KR20140082104A (ko) 2014-07-02

Family

ID=5173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10A KR20140082104A (ko) 2012-12-21 2012-12-21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1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72A (ko) * 2017-02-28 2018-09-05 울산과학기술원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72A (ko) * 2017-02-28 2018-09-05 울산과학기술원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25796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radioactive fuel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112665B1 (en) Spent fuel storage rack
JPH06103359B2 (ja) 放射性構造体の貯蔵キャスク及びその製作方法
WO2016179297A1 (en) Fuel basket for spent nuclear fuel and container implementing the same
US11289229B2 (en) Nuclear fuel storage system with integral shimming
WO2016018928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pent nuclear fuel
JP5894877B2 (ja) バスケットおよびキャスク
JP2019158398A (ja) 使用済み燃料収納容器
JPH10227890A (ja) 使用済燃料ラック
KR101535932B1 (ko)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 용기
JP3600551B2 (ja) 放射性物質用の金属密閉容器
KR20140082104A (ko) 핵연료봉 저장 캐스크
KR101527558B1 (ko)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 용기
JP2012058155A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
JP2019158399A (ja) 使用済み燃料収納容器
JP4180776B2 (ja) 燃料集合体収納装置
JP2007212385A (ja) 使用済燃料貯蔵キャスク用バスケット
JP2001201595A (ja) バスケットおよびキャスク
JP5058089B2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33593B2 (ja) 使用済核燃料の支持構造物、支持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使用済核燃料容器
JP6514027B2 (ja) 使用済燃料キャスクおよびそのバスケット
JP2005241314A (ja) 使用済燃料収納用バスケットおよび使用済燃料容器
JP6143573B2 (ja) 放射性物質収納用バスケットおよ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
JP7195214B2 (ja) 使用済み燃料収納容器
KR100866381B1 (ko) 연소도 이득 효과를 고려한 바스켓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