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246A -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246A
KR20140081246A KR1020120150797A KR20120150797A KR20140081246A KR 20140081246 A KR20140081246 A KR 20140081246A KR 1020120150797 A KR1020120150797 A KR 1020120150797A KR 20120150797 A KR20120150797 A KR 20120150797A KR 20140081246 A KR20140081246 A KR 2014008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fixed
main body
main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800B1 (ko
Inventor
김경수
김윤완
박태영
박주일
이상수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8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5Resilient passive elements to be placed in line with mooring or towing chains, or line connections, e.g. dampers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계류줄 및 측면 계류줄에 의해 해양의 환경, 즉 거친 해양 환경과 온화한 해양 환경 모두에서 해양 부유 구조물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속되어 해저에 고정되는 메인 계류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Mooring system of maring floating structures}
본 발명은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계류줄 및 측면 계류줄에 의해 해양의 환경, 즉 거친 해양 환경과 온화한 해양 환경 모두에서 해양 부유 구조물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부유 구조물은 해양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계류된 상태에서 발전, 화석 연료의 채취, 생산, 정체, 저장 및/또는 하역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일을 하는 것들이 있다.
특히, 해양 부유 구조물은 기능, 구조, 계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SEMI(Semi-submersib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부유 구조물이 있다.
이러한, 해양 부유 구조물은 그 종류에 따라 한 방식의 계류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컨대, FPOS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과 SPAR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터트 계류(taut mooring) 또는 세미-터트 계류(semi-taut mooring) 방식을 취하며, TLP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인장각(tensioned leg)들을 이용하는 TLP 계류 방식을 취한다.
여기서, TLP 계류 방식은 부력을 갖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해양에 계류시킴으로서, '텐덤'으로 칭해지는 수직의 계류 줄들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 터트 계류(taut mooring) 또는 세미-터트 계류(semi-taut mooring)에 비해 거친 해양 조건에서도 해양 부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TLP 계류 방식은 텐덤에 가해지는 큰 장력으로 인하여 피로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온화한 해양 조건에서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단단하게 유지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TLP 계류 방식의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편, 부지 비용, 설치 규모의 제한, 인근 주민 등의 어려움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근래 들어 풍력 발전용도의 해양 부유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 또는 그것의 계류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4161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2897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은 육지 지형에 의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해양에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꾸준한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즉, 육지 지형에 의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 해양에서의 풍력 발전에 더 적합하므으로, 육지로부터 먼 해양에서의 풍력 발전이 더 유리하다.
그러나,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은 블레이드 또는 낫셀과 같은 풍력 발전 설비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태풍, 악천후 등 해양의 거친 조건에서 동적인 움직임이 극도로 제한적이어야 하며, 이는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 선정을 제한적이게 하는 원인이 된다.
물론, TLP 계류 방식이 거친 해양 조건에서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이 방식은 해양 환경 또는 조건에 상관없이 템덤(또는, 계류줄)에 항상 강한 장력이 가해져야 하고 이로 인해 수명 연장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기존 해양 부유 구조물에 비해 장기간 한 위치에 계류되어야 하는 풍력 발전 용도에는 잘 부합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하부 중앙부에 해저에 고정되어 일정한 장력을 가지는 메인 계류줄에 의해 해양 부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의 하단 외주부에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측면계류줄을 구비함으로써, 본체가 측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단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속되어 해저에 고정되는 메인 계류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부에 지주가 구비되고, 이 지주의 상부에는 낫셀이 구비되며, 이 낫셀에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하부에 메인 계류줄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단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연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계류줄은 해저에 제1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제1고정부재에 일측부가 고정되며, 타측부는 본체의 제1연결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계류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본체의 제1연결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는,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메인 계류줄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제1연결부재 또는 제1고정부재의 내측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메인 계류줄의 일측부가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제1연결부재 또는 제1고정부재의 내측에 제1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되, 외측부에 메인 계류줄이 권취되는 제1권취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권취롤러의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제1고정축에 결속되고, 타측부는 제1권취롤러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1태엽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제2연결부재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해저에 제2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보조 계류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보조 계류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2장력조절부는 제2고정부재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부는 보조 계류줄의 일측부가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장력조절부는 제2고정부재의 내측에 제2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되, 외측부에 메인 계류줄이 권취되는 제2권취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2권취롤러의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제2고정축에 결속되고, 타측부는 제2권취롤러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2태엽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 중앙부에 해저에 고정되어 일정한 장력을 가지는 메인 계류줄에 의해 해양 부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의 하단 외주부에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측면계류줄을 구비함으로써, 본체가 측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단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를 보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100)는 부력을 가지는 본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에는 풍력 발전설비(102)가 마련되고, 이 풍력 발전설비(102)는 본체(1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104)가 구비되고, 이 지주(104)의 상부에는 낫셀(106)이 구비되며, 이 낫셀(106)에는 블레이드(108)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제1연결부재(112)가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제2연결부재(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12)는 본체(110)의 하부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2연결부재(114)는 본체(110)의 하단 외주면에 2개 이상 다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는 상부에 풍력 발전설비(102)가 설치된 상태에서 부력에 의해 해상에 떠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를 해상에 떠 있는 상태에서 해상의 물살 등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한 위치에 머물러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고정 지지하는 메인 계류줄(2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계류줄(210)은 본체(110)가 위치되는 수직 방향의 해저에 제1고정부재(212)가 구비되고, 제1고정부재(212)에 메인 계류줄(210)의 일측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메인 계류줄(210)의 타측부는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된 제1연결부재(112)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계류줄(210)에 의해 상부에 풍력 절전설비(102)가 구비된 본체(110)는 해양의 환경의 변화, 즉, 태풍 또는 악천후 등과 같은 거친 조건 및 온화한 조건 등에 관계없이 항상 그 위치에 계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를 해상에 떠 있는 상태에서 물살 등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계류줄(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계류줄(310)은 해저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212)의 주변에 다수개의 제2고정부재(312)가 설치되고, 제2고정부재(312)에 보조 계류줄(310)의 일측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보조 계류줄(310)의 타측부는 본체(110)의 제2연결부재(114)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의 측부를 다수개의 보조 계류줄(310)이 고정 지지함으로써, 태풍 또는 악천후 등과 같은 거친 조건 및 온화한 조건 등 해상의 환경변화에 관계없이 본체(110)가 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계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100)는 부력을 가지는 본체(110)가 해상에 떠 있는 상태에서 메인 계류줄(210)이 수직으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해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계류시킴으로써, 본체(110)가 태풍 또는 악천후 등과 같은 거친 조건 및 온화한 조건 등 해상의 조건에 관계없이 계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계류줄(210)에 의해 고정된 본체(110)의 양측부를 해저에 고정된 보조 계류줄(310)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본체(110)가 태풍 또는 악천후 등과 같은 거친 조건 등의 해상 조건에 따라 측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10)를 해저에 고정된 메인 계류줄(21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110)의 측부에 결속되어 해저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보조 계류줄(310)을 이용하여 본체(110)를 지지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해상에 떠있는 본체(110)가 해상의 조건에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100)는 메인 계류줄(2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4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장력조절부(410)는 해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212)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1고정부재(212)의 공간부 바닥에 일측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부는 결속 수단에 의해 메인 계류줄(210)의 끝단부가 결속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412)가 구비된다.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412)는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연결부재(112)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112)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제1탄성부재(412)의 일측부를 고정시키고, 타측부에는 메인 계류줄(210)을 결속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연결부재(112) 또는 제1고정부재(212)의 내측에 제1탄성부재(412)를 구비하고, 제1탄성부재(412)에 메인 계류줄(210)이 결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탄성부재(412)의 장력에 의해 본체(110)가 태풍 또는 악천후 등과 같은 거친 조건 및 온화한 조건 등의 해상 조건에 관계없이 수면으로부터 본체(110)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장력조절부(410)는 제1고정부재(212)의 내측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제1고정축(420)이 고정되며, 제1고정축(4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되, 내측에 설치공(422a)이 형성된 제1권취롤러(4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권취롤러(422)의 설치공(422a)에 안착되되, 일측은 제1고정축(420)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제1권취롤러(422)의 설치공(422)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42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권취롤러(422)의 외주면에는 일측 끝단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메인 계류줄(210)이 고정되어 권취되게 된다.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장력조절부(410)는 제1연결부재(112)의 내측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제1고정축(420)이 고정되며, 제1고정축(4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내측에 설치공(422a)이 형성된 제1권취롤러(4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권취롤러(422)의 설치공(422a)에 안착되되, 일측은 제1고정축(420)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제1권취롤러(422)의 설치공(422a)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42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권취롤러(422)의 외주면에는 일측 끝단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메인 계류줄(210)이 고정되어 권취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권취롤러(422)에 메인 계류줄(210)이 권취된 상태에서 해상의 변화에 따라 제1권취롤러(422)에 메인 계류줄(210)이 태엽스프링(424)에 의해 제1권취롤러(422)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장력이 조절되게 되어 본체(110)는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계류줄(3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5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장력조절부(510)는 제2고정부재(312)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312)의 공간 바닥부에 일측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부는 보조 계류줄(310)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5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력조절부(510)는 제2고정부재(312)의 내측 공간부에 제2고정축(520)이 구비되고, 제2고정축(520)에 회동 가능하게 제2권취롤러(522)가 구비되되, 제2권취롤러(522)의 내측에는 설치공(5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권취롤러(522)의 설치공(522a)에 설치되되, 일측 끝단부는 제2고정축(520)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부는 제2권취롤러(522)의 설치공(522a) 내주면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52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102 : 풍력 발전설비
104 : 지주 106 : 낫셀
108 : 블레이드 110 : 본체
112 : 제1연결부재 114 : 제2연결부재
210 : 메인 계류줄 212 : 제1고정부재
310 : 보조 계류줄 312 : 제2고정부재
410 : 제1장력조절부 412 : 제1탄성부재
420 : 제1고정축 422 : 제1권취롤러
422a : 설치공 424 : 태엽스프링
510 : 제2장력조절부 512 : 제2탄성부재
520 : 제2고정축 522 : 제2권취롤러
522a : 설치공 524 : 태엽스프링

Claims (14)

  1. 부력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속되어 해저에 고정되는 메인 계류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에 지주가 구비되고, 이 지주의 상부에는 낫셀이 구비되며, 이 낫셀에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메인 계류줄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단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연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계류줄은 해저에 제1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제1고정부재에 일측부가 고정되며, 타측부는 본체의 제1연결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계류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게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본체의 제1연결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게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메인 계류줄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제1연결부재 또는 제1고정부재의 내측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메인 계류줄의 일측부가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정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부는 제1연결부재 또는 제1고정부재의 내측에 제1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되, 외측부에 메인 계류줄이 권취되는 제1권취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권취롤러의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제1고정축에 결속되고, 타측부는 제1권취롤러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1태엽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2연결부재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해저에 제2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보조 계류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보조 계류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력조절부는 제2고정부재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부는 보조 계류줄의 일측부가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정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력조절부는 제2고정부재의 내측에 제2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되, 외측부에 메인 계류줄이 권취되는 제2권취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2권취롤러의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제2고정축에 결속되고, 타측부는 제2권취롤러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2태엽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게류장치.
KR1020120150797A 2012-12-21 2012-12-21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43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97A KR101431800B1 (ko) 2012-12-21 2012-12-21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97A KR101431800B1 (ko) 2012-12-21 2012-12-21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246A true KR20140081246A (ko) 2014-07-01
KR101431800B1 KR101431800B1 (ko) 2014-08-19

Family

ID=5173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797A KR101431800B1 (ko) 2012-12-21 2012-12-21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103A (ko) * 2021-12-01 2023-06-08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181B1 (ko) * 2015-09-01 2017-1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진측량을 위한 연안기준점 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885A (ja) * 1996-01-17 1997-07-29 Zeniya Kaiyo Service Kk 浮施設の係留装置
KR101001491B1 (ko) * 2008-05-29 2010-12-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JP2011245879A (ja) * 2010-05-21 2011-12-08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浮体の係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103A (ko) * 2021-12-01 2023-06-08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800B1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499B1 (en) Self-installing column stabilized offshore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AU2016282944B2 (en) Floating wind turbine assembly, as well as a method for mooring such a floating wind turbine assembly
JP2021099021A (ja) 浮体式構造物及び浮体式構造物の設置方法
DK2727813T3 (en) Pillar stabilized offshore platform with water enclosure plates and asymmetric anchoring system to support offshore wind turbines
KR102316661B1 (ko) 부유식 풍력 터빈 지지 시스템
CN103818523A (zh) 外飘式张力腿浮动风机基础、海上风力发电机及施工方法
PT2993270T (pt) Estrutura submersível de suporte ativo para torres de geradores e subestações ou elementos semelhantes, em instalações marítimas
KR10148829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US20140042749A1 (en) Ocean floor mounting of wave energy converters
WO2014163501A1 (en) Floating wind turbine
US20150071779A1 (en) Wind turbine on a floating support stabilized by a raised anchoring system
CA3120231A1 (en) Buoy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buoy
NO345344B1 (en) Floating wind turbine platform
KR20180108195A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KR20100014506A (ko) 다운윈드 파워 플랜트 및 다운윈드 파워 플랜트 작동 방법
KR101431800B1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KR20140120154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의 트러스형 하부 구조물
KR101379025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354591B1 (ko) 자세 평형 유지 기능을 갖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
KR101257425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KR20100130665A (ko) 해양 부유 구조물 및 그것의 복합 계류 방법
KR101338358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NO347179B1 (en) A mooring system for a plurality of floating units
KR101201476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