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582A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582A
KR20140080582A KR1020120144203A KR20120144203A KR20140080582A KR 20140080582 A KR20140080582 A KR 20140080582A KR 1020120144203 A KR1020120144203 A KR 1020120144203A KR 20120144203 A KR20120144203 A KR 20120144203A KR 20140080582 A KR20140080582 A KR 2014008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support mem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은주
박동식
황재철
신성의
송혜선
손아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582A/en
Publication of KR2014008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edges of essentially flat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 display panel;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an attachment layer,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support member, for attaching the display panel on the support member. The attachment layer includes photopolymer resi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dditives. The photopolymer resin includes photopolymer oligomer, and crosslinking mon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layer is formed after a liquid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support member and hardened on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is adhered to the attachment layer, so that the attachment strength between the attachment layer and support member is strong, thereby having excellent attachment properties between the attachment layer and display.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얇고 미감이 증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enhanced aesthetics.

초창기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대체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된 바 있다. A flat panel display device replacing a cathode ray tube, which is an early display device, is us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에 있어서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has made it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evice by reducing its weight and volume, and has continuously mad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response speed and image quality, and has made a lot of improvements in terms of quality.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uch technical aspects,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design aspect of the product, which can appeal to the consumers, is particularly emphasized. Accordingly, efforts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have been steadily progressing, an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design in which the aesthetic sense which can appeal to the aesthetic sense of the consumer and stimulate the purchase is promoted.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종래의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nd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백라이트 유닛(20), 하부 케이스(30) 및 상부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A,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10, a backlight unit 20, a lower case 30, and an upper case 4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로서 액정 패널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액정 패널은 상부 기판(11), 하부 기판(12), 상부 편광판(13), 및 하부 편광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es the upper substrate 11, the lower substrate 12, the upper polarizer 13, and the lower polarizer 14 as the display panel 10.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backlight unit 20 is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10 and serves to supply light to the display panel 10.

상기 하부 케이스(30)와 상부 케이스(4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20)을 수용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케이스로 기능하게 된다. The lower case 30 and the upper case 40 function as an outer case of the display device while accommodating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backlight unit 20.

그러나, 이와 같은 도 1a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부 케이스(30)와 상부 케이스(40)가 필수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상기 상부 케이스(4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게 되므로 그로 인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인 베젤(Bezel)의 폭이 증가되고 상기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다양하고 미감있는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b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었다. Howev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1A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or changing the design because the lower case 30 and the upper case 40 are essentially used. Particularly, since the upper case 40 covers the upper edge of the display panel 10,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bezel, which is the edge of the display device,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s, which is an obstacle to devising a variety of aesthetic design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1B has been proposed.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백라이트 유닛(20) 및 하부 케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B, the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of another type includes a display panel 10, a backlight unit 20, and a lower case 30.

도 1b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케이스(40)를 제거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40)를 제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前面)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1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ase 40 is removed. By removing the upper case 4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reduce the bezel width of the display device, and eliminate the step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have.

한편, 상부 케이스(40)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에 접착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 사이에 접착층(50)이 추가로 형성된다. The adhesive layer 50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backlight unit 20 to adhere the display panel 10 to the backlight unit 20 because the upper case 40 is removed. .

상기 접착층(50)은 접착 테이프가 이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접착층(50)을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As the adhesive layer 50, an adhesive tape is used. However, when the adhesive layer 50 made of the adhesive tape is applied in this manner,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우선, 접착 테이프를 이용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대한 접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충격 흡수가 열악하여 외부 충격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crack)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 부착 공정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화 제조 공정에 많은 제약이 가해진다. First, when an adhesive tape is used, adhesion reliability to the display panel 10 can not be secured. That is,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panel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cklight unit 20.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has poor impact absorption, and cracks can be easily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0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tape attaching step is performed manually,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automate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접착력을 제공하고,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화 공정으로 형성이 가능한 접착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panel that can reliably adhere to a display panel, easily absorb external impac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지지 부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광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아크릴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comprising: a display panel;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support member and bonding the display panel to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 photo-curing resi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The resin comprises a photo-curable oligomer, an acrylic monomer, and a crosslinkable monomer.

본 발명은 또한, 지지 부재 상에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상기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접착층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점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은 광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아크릴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on a supporting member; Irradiating the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with light to form an adhesive layer; And a step of adhering a display panel on the adhesive layer, wherein the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comprises a photo-curing resi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wherein the photo- A monomer, and a crosslinking monom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부재 상에 액상 조성물이 도포된 후 경화되어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착되어 제조되어, 상기 접착층과 지지 부재 사이에는 우수한 접착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접착층과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외부의 충격을 상기 접착층에서 흡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랙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디스펜싱 공정에 의해서 접착층을 형성하므로 자동화 공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coating a liquid composition on a support member and then curing to form an adhesive layer and a display panel is adhered on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pport member have excellent adhesion properties, Excellent adhesion properties are obtained between the displays. Therefore,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display panel is excellent, and the external impact is absorbed by the adhesive layer to prevent cracking of the display panel, and since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the dispensing process, .

도 1a는 종래의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nd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display devic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접착층(200), 지지 부재(300), 및 백라이트 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n adhesive layer 200, a supporting member 300, and a backlight unit 400.

도 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서 액정 패널을 예로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패널 이외에 유기 발광 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2 illustrates a liquid crystal panel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panel 100. However, th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panels known in the art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or a plasma display panel in addition to a liquid crystal panel have.

액정 패널은 비발광 패널이므로 광원으로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유기 발광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패널이므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이 필요하지 않다. Since the liquid crystal panel is a non-light emitting panel, the backlight unit 400 is required as a light source. However,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nd the plasma display panel are self-emission panels, the backlight unit 400 is not required.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110), 하부 기판(120), 상부 편광판(130), 하부 편광판(140), 및 측면 밀봉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n upper substrate 110, a lower substrate 120, an upper polarizer 130, a lower polarizer 140, and a side sealing material 150. Although not shown, a liquid crysta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110 and the lower substrate 120.

상기 상부 기판(100) 상에는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 영역에 컬러 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컬러 필터층 상에 오버 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A black matrix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00 to prevent leakage of light to regions other than the pixel region. A color filte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black matrix regions, and an overcoat layer may be formed on the color filter layer. Layer may be formed.

상기 하부 기판(120) 상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A gate line and a data lin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20 to define a pixel region and a thin film transistor may be formed as a switching element in a region where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cross each other.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may be formed in the region.

이와 같은 상부 기판(110) 및 하부 기판(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 형성될 수 있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substrate 110 and the lower substrate 120 may be a driving mo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such as TN (Twisted Nematic) mode, VA (Vertical Alignment) mode, IPS , A Fringe field switching (FFS) mode, and the like.

상기 상부 편광판(130)은 상기 상부기판(1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 편광판(140)은 상기 하부기판(1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부 편광판(130)과 하부 편광판(140)의 조합에 의해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블랙 또는 화이트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 편광판(130)의 상면에는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되는 리타더 필름(Retarder film)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The upper polarizer 13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10 and the lower polarizer 1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20. The upper polarizer 130 and the lower polarizer 140 to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to realize black or white. Although not shown, a retarder film applied to convert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may be further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larizer 130.

상기 측면 밀봉재(150)는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의 측면을 밀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밀봉재(150)는 빛샘 방지를 위해서 그 내부에 카본 블랙과 같은 광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de sealing member 150 seals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bstrate 110 and the lower substrate 120. In addition, the side sealing member 150 may include a light blocking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상기 지지 부재(300)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하부 기판(120)의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320)의 상면 사이를 접착시킨다. 상기 접착층(200)이 상기 하부 기판(120)의 하면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편광판(140)은 상기 하부 기판(12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The adhesive layer 200 serves to adhere the display panel 100 to the support member 300.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layer 200 bonds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320 constituting the support member 300. The lower polarizer 140 is not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120 so that the adhesive layer 200 can contact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120.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지지 부재(300) 사이에서 양면 테이프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지지 부재(300) 상에 액상 조성물이 도포된 후 경화되어 형성된다. The adhesive layer 200 is not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in the form of a double-sided tape but is formed by applying a liquid composition on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n curing.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지지 부재(300) 사이를 접착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기계적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와 같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00)은 그 폭은 좁게 형성하면서 그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200)은 광투과를 차단하여 빛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200 performs a basic function of adhering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nd easily absorbs the impact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mechanically impa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100 from being cracked.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adhesive layer 200 can be narrowed, and the height of the adhesive layer 200 can be kept constant, thereby reducing the width of th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200 may prevent light leakage by blocking light transmission.

상기 접착층(200)은 전술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성성분 및 성분비가 조절되는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dhesive layer 200 is controlled in its composition and composition so as to perform the various functions described abov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접착층(200)은 광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dhesive layer 200 includes a photocurable resi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접착력 및 점착력을 함께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The photo-curing resin is designed to have an adhesive force and an adhesive force together.

즉,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접착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200)을 상기 지지 부재(300) 상에 도포한 후 경화시킬 경우 상기 접착층(200)과 상기 지지 부재(300) 사이에 우수한 접착 특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광경성 수지가 점착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200)을 경화한 후 그 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부착할 경우 상기 접착층(20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접착층(200) 사이의 우수한 점착 특성으로 인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충격이 가해져도 그와 같은 충격이 상기 접착층(200)에서 흡수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크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photocurable resin has the adhesive force, when the adhesive layer 200 including the photocurable resin is coated on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n cured, the adhesive lay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 / RTI >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mounted on the adhesive layer 200 after curing the adhesive layer 200 including the photo-curable resin, the adhesive layer 200 and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100). ≪ / RTI >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100 due to the excellent adhesive property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adhesive layer 200, the impact can be absorbed by the adhesive layer 200,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은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아크릴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uch a photocurable resin comprises a photocurable oligomer, an acrylic monomer, and a crosslinkable monomer.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또는 에폭시계 공중합 수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광경화성 올리고머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The photo-curable oligomer may be an acrylic copolymer resin or an epoxy copolymer resin. However, the photo-curable oligom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photo-curable oligomer resin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로 이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도입 우레탄변성(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crylic copolymer resin used as the photo-curable oligomer may be urethane acrylate, urethane methacrylate, or silicone-introduced urethane-modified (meth) 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로 이용되는 에폭시계 공중합 수지는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 비스페놀A형 에폭시, 비스페놀 A형 노블락 에폭시,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또는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poxy copolymer resin used as the photo-curable oligomer may be cresol novolak epoxy, bisphenol A epoxy, bisphenol A novolak epoxy, triphenol methane epoxy, or urethane-modified epoxy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60 중량% 내지 8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의 조성비가 60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접착층(200)의 점착 특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의 조성비가 80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디스펜싱 공정이 힘들어질 수 있다. The photocurable oligome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an amount ranging from 60% by weight to 80% by weight.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hotocurable oligomer is less than 60% by weight,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200 may be deteriorated.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hotocurable oligomer is more than 80% by weight, the viscosity is excessively increased, .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트릴데실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 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싸이크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크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크로펜테닐 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crylic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ethylhexyl 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nonylphenol ethoxylate monoacrylate, beta-carboxyeth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tetrahydroperfuryl acrylate, Acryl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more.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5 중량%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모노머의 조성비가 5중량% 미만일 경우 중합 공정이 힘들어 원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얻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 모노머의 조성비가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첨가제의 함량이 줄어들어 첨가제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The acrylic monomer may b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an amount ranging from about 5% by weight to about 20% by weight.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crylic mono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process become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photo-curable resin.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crylic monomer exceeds 2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other additives may be decreased, have.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 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4-bu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1,3-butylene glycol di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ntaerythrit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dipentaerythritol diacrylate, sorbitol triacrylate, bisphenol A diacrylate derivatives,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and methacrylates of these. Consisting of one or more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n.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5 중량%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조성비가 5중량% 미만일 경우 중합 공정이 힘들어 원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얻지 못할 수 있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조성비가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첨가제의 함량이 줄어들어 첨가제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an amount ranging from 5% by weight to 20% by weight.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process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photo-curable resin.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exceeds 2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other additives may be decreased, It can fall.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중합 반응을 일으켜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중합 개시제 및 가시광 중합 개시제 중 적어도 하나의 중합 개시제가 이용될 수 있다.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uses a polymerization reaction to obtain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As such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t least one polymerization initiator among an ultraviolet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visible light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상기 자외선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계, 벤조페논계, 또는 아세토페논계가 이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시광 중합 개시제로는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티옥산톤계, 메탈로센계, 퀴논계, 또는 α-아미노알킬페논계가 이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the ultraviolet polymerization initiator, benzoin, benzophenone, or acetophenon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the visible light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cylphosphine oxide-based, thioxanthone-based, metallocene-based, quinone-based, or -aminoalkylphenone-based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0.5중량% 내지 5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조성비가 0.5중량% 미만일 경우 중합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조성비가 5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착층(200)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다른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an amount ranging from 0.5% by weight to 5% by weight.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and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xceeds 5% by weight, other functions to be realized in the adhesive layer 200 may be deteriorated .

상기 첨가제는 광차단 입자, 광경화 촉진제, 및 칙소제(thixotropic ag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additive includes at least one of light blocking particles, a photo-curing accelerator, and a thixotropic agent.

상기 광차단 입자는 상기 접착층(200)을 통해서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차단 입자는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입자를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유색 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티타늄 옥사이드 입자를 상기 광차단 입자로 사용할 수 있다. The light shielding particles prevent light leakage from being generat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200. The light shielding particles may be black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lored particles of various colors capable of realizing a light shielding effect can be used. As an example, titanium oxide particles can be used as the light blocking particles.

상기 유색 입자는 입도가 10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유색 입자의 입도가 1000nm를 초과하면 상기 접착층(200) 형성을 위한 액상의 조성물을 디스펜서(dispenser)로 도포할 때 디스펜서 노즐의 패킹 마모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colored particles preferably have a particle size of 1000 nm or less because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colored particles exceeds 1000 nm, when the liquid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200 is applied by a dispenser, the packing wear of the dispenser nozzle .

상기 광차단 입자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1중량%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차단 입자의 조성비가 1중량% 미만일 경우 접착층(200)의 빛샘 방지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광차단 입자의 조성비가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착층(200)의 경화 공정이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The light blocking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an amount ranging from 1% by weight to 20% by weight. If the composition of the light blocking particles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light shielding effect of the adhesive layer 200 may be deteriorated. If the composition of the light blocking particles exceeds 20% by weight, the curing process of the adhesive layer 200 is not smooth Can be avoided.

상기 광차단 입자로 이용되는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입자는 가시광 및 UV광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블랙 입자를 광차단 입자로 이용할 경우 우수한 빛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블랙 입자는 가시광 및 UV광을 함께 흡수하기 때문에, 블랙 입자를 광차단 입자로 이용할 경우 상기 광개시제가 흡수하는 광량이 줄어들어 상기 접착층(200)의 경화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Black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used as the light shielding particles absorb visible light and UV light well. Therefore, when the black particles are used as light blocking particles, excellent light leakage prevention effect can be obtained. However, since the black particles absorb both visible light and UV light, when the black particles are used as the light blocking particles,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the photoinitiator may be reduced and the curing process of the adhesive layer 200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따라서, 상기 접착층(200)의 원활한 경화 공정을 위해서 상기 광경화 촉진제가 상기 첨가제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 광경화 촉진제가 포함되면, 광차단 입자의 블랙도를 증진시켜 빛샘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경화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the photocuring accelerator may be added as the additive for a smooth curing process of the adhesive layer 200. When the additive contains a photo-curing accelerator, the curing process is smoothly performed while enhancing the blackness of the light-shielding particles to improve the light-shielding effect.

상기 광경화 촉진제는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확산 입자는 광경화를 위해 조사된 광을 다양한 각으로 확산시켜 상기 광개시제가 더 많은 양의 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접착층(200)의 경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photocuring accelerator comprises light diffusing particles.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can diffuse the irradiated light at various angles for photocuring so that the photoinitiator can absorb a larger amount of light, thereby facilitating curing of the adhesive layer 200.

상기 광확산 입자는 굴절율이 1.5 이상의 고굴절율 특성을 가진 구형 또는 무정형 등의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확산 입자는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확산 입자의 입도는 디스펜서 노즐의 패킹 마모 방지를 위해서 10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may be spherical or amorphous particles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or more and a high refractive index. Such light diffusing particles may be made of polystyrene (PS), polycarbonate (P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particle size of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is preferably 1000 nm or less in order to prevent packing wear of the dispenser nozzle.

상기 광경화 촉진제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0.1중량% 내지 5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화 촉진제의 조성비가 0.1중량% 미만일 경우 접착층(200)의 경화가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고, 상기 광경화 촉진제의 조성비가 5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착층(200)의 다른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curing accelerator is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the range of 0.1 wt% to 5 wt%.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hoto-curing accelerator is less than 0.1% by weight, curing of the adhesive layer 200 may not be easy, and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hoto-curing accelerator is more than 5% by weight, .

상기 칙소제(thixotropic agent)는 상기 접착층(200)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도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The thixotropic agen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by making the width of the adhesive layer 200 narrow while maintaining the height thereof constant.

칙소 특성(thixotropy)은 외부로부터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점성이 떨어지고 외부로부터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으면 점성이 증가하는 특성으로서, 상기 칙소제는 이와 같은 칙소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The thixotropy is a property of decreasing viscosity when stress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increasing viscosity when stress is not externally applied, and the shrink agent is a material having such a rubbing characteristic.

상기 접착층(200)이 칙소제를 포함하게 되면, 상기 접착층(200) 형성을 위한 액상 조성물을 디스펜서로 도포할 때에 상기 칙소제에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점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액상 조성물을 얇은 두께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액상 조성물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칙소제에 스트레스가 더 이상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액상 조성물의 점성이 증가 되고, 그에 따라 도포된 액상 조성물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adhesive layer 200 contains a rinse agent, stress is applied to the rinse agent when the liquid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200 is applied by a dispenser,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liquid composition is lowered,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with a thin thickness.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of the liquid composition is completed, the viscosity of the liquid composition is increased, and the shape of the applied liquid composition can be maintained as it is because the stress is no longer applied to the pilling agent.

이와 같이, 상기 접착층(200)이 칙소제를 포함할 경우 얇은 두께로 접착층(200)을 도포할 수 있고 도포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dhesive layer 200 includes a plastic agent, the adhesive layer 200 can be applied with a small thickness and the applied form can be maintained as it is.

상기 칙소제는 실리카 계열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ellet can be a silica-based material,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상기 칙소제는 상기 접착층(200) 전체에서 0.1중량% 내지 5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칙소제의 조성비가 0.1중량% 미만일 경우 얇은 두께의 접착층(200)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고, 상기 칙소제의 조성비가 5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착층(200)의 다른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The anti-rust agent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200 in the range of 0.1 wt% to 5 wt%. Whe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dhesive agent is less than 0.1%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adhesive layer 200 having a small thickness. Whe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gent agent is more than 5% by weight, have.

상기 지지 부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면서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upport member 300 serves as an outer cover while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light unit 400.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set cover 310, a guide frame 320, .

상기 세트 커버(310)는 노트북 또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면 및 측면 커버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세트 커버(310)는 플레이트(312) 및 상기 플레이트(31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t cover 310 serves as an outer cover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notebook or a TV, and particularly serves 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cover of the display device. To this end, the set cover 310 includes a plate 312 and side walls 314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late 312.

상기 플레이트(31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면 커버역할을 하고, 상기 측벽(314)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커버 역할을 한다.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는 마주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기판(12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The plate 312 serves as a bottom cov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ide wall 314 serves as a side cover of the display device. The side wall 314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20 without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이와 같이, 상기 측벽(314)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테두리가 제거되어 미감이 더욱더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314)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마주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만으로 구성된다. Since the side wall 314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edg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moved to further enhance the aesthetics. In addition, since the side wall 314 does not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the display panel 100 alone.

상기 세트 커버(310)는 상기 플레이트(312) 및 측벽(314)의 조합에 의해서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게 되고, 이와 같은 수용공간 내에 가이드 프레임(320), 지지 케이스(330), 및 백라이트 유닛(400)이 수용된다. The set cover 31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plate 312 and the side wall 314 and the guide frame 320, the support case 330, (400) is received.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은 제1 지지부(322) 및 제1 안내부(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guide frame 320 supports the display panel 100 while guiding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unit 400. For this, the guide frame 32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322 and a first guide portion 324.

상기 제1 지지부(32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 특히 상기 하부 기판(12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안내부(324)는 상기 제1 지지부(322)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 케이스(330)와 더불어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제1 지지부(322) 상에 전술한 접착층(200)이 형성된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322 supports the bottom edg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particularly the lower substrate 120 and the first guide portion 324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322 Guides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unit 400 together with the support case 330. The adhesive layer 200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22.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제2 지지부(332) 및 제2 안내부(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upport case 330 supports the backlight unit 400 while guiding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unit 400. To this end, the support case 330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332 and a second guide portion 334.

상기 제2 지지부(332)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안내부(334)는 상기 제2 지지부(332)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한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2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light unit 4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34 extends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2 and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backlight unit 400 Thereby guiding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unit 400.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는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방열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케이스(330)를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경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지지 케이스(330)를 통해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case 330 can also transmit heat generated from the backlight unit 400 uniformly and discharge the heat. That is, since heat is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400, a ventilation hole may be required to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400. Therefore, when the support case 33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capable of conducting he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cklight unit 400 can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case 330 and then released to the outside.

다만,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전술한 세트 커버(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However, the support case 330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In this case, the backlight unit 400 may be supported by the set cover 310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들 사이의 결합, 즉, 세트 커버(310)와 가이드 프레임(320) 사이의 결합, 세트 커버(310)와 지지 케이스(330) 사이의 결합, 및 가이드 프레임(320)과 지지 케이스(330) 사이의 결합은 양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홈과 돌출물을 이용한 후크(hook)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볼드와 너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The coupling between the set cover 310 and the guide frame 320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set cover 310 and the support case 330 constituting the support member 300, The coupling between the set cover 310 and the support case 330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guide frame 320 and the support case 330 may be performed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Bonding, or, in some cases, using a bold and a nut.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20)과 지지 케이스(330)에 의해서 그 위치가 안내된다. The backlight unit 400 is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100 and supplies light to the display panel 100. As described above, the backlight unit 400 includes the guide frame 320 and the support case 330, So that the position is guided.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전체 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전달하는 직하형 방식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일측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전달하는 에지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직하형 방식 또는 에지형 방식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하다. 즉, 도면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400)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acklight unit 400 includes a direct-type type in which a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directly to the display panel 100, And an edge type in which a light source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either a direct type or an edge type is applicable. In other words, the edge type backlight unit 400 i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광원(410), 도광판(420), 광학 시트(430), 및 반사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backlight unit 400 includes a light source 410, a light guide plate 420, an optical sheet 430, and a reflection plate 440.

상기 광원(410)은 상기 도광판(42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4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도광판(420)으로 입사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은 광원(410)으로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10 is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420 and then travels toward the display panel 100. The light source 410 is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420, do. The light source 410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or a fluorescent lamp.

상기 도광판(420)은 상기 광원(41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광 경로 변경을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광판(420)에는 다양한 형태의 홈 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The light guide plate 420 serves to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10 toward the display panel 1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Grooves or protruding patterns are formed.

상기 광학 시트(430)는 상기 도광판(420) 위에 형성되어 광을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ptical sheet 430 is formed on the light guide plate 420 and uniformly supplies the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100. The optical sheet 430 may be a combination of a diffusion sheet and a prism sheet.

상기 반사판(440)은 상기 도광판(420) 아래에 형성되어 도광판(420) 아래로 누설되는 광을 상부쪽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reflection plate 440 is formed below the light guide plate 420 and reflects light leaking below the light guide plate 420 toward the upper side to improve light efficiency.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지지 부재(300)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mber 300 is changed. Hereinafter,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상기 지지 부재(300)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트 커버(310)의 구성이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이하다. The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set cover 310, a guide frame 320 and a support case 330. The structure of the set cover 3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It is different.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커버(310)는 플레이트(312) 및 상기 플레이트(31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314)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벽(314)은 높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높이와 일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3, the set cover 310 includes a plate 312 and a sidewall 314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plate 312, Is form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panel (100). Thus, the side wall 314 constitutes the edge of the display device.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ide wall 314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display panel 100,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has a generally flat surfac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4A to 4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 부재(300)와 백라이트 유닛(400)을 결합한 후, 상기 지지 부재(300) 상에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200a)을 도포한다. 4A, after the supporting member 300 and the backlight unit 400 are combined, the liquid composition 200a for an adhesive layer is applied on the supporting member 300. As shown in FIG.

상기 지지 부재(300)와 백라이트 유닛(400)의 결합은 전술한 도 2 및 도 3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 backlight unit 4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기 발광 장치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필요 없으며, 그 경우는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지지 부재(300) 상에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200a)이 도포된다. Whe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 a plasma display device, the backlight unit 400 is not necessary. In this case, the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200a) is applied.

상기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200a)은 전술한 바와 같은 광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iquid composition 200a for a bonding layer includes the photocurable resin,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additive a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200a)은 디스펜서(500)를 이용하여 도포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320 참조)의 상면 상에 도포한다. The liquid composition for adhesive layer 200a is applied by using a dispenser 500 and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a guide frame (refer to 320 in FIG. 2 and FIG. 3) constituting the support member 300 do.

다음,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액상 조성물(200a)에 광을 조사한다. Next, as shown in FIG. 4B, the liquid composition 200a is irradiated with light.

상기 광은 UV 또는 가시광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을 조사하면 상기 액상 조성물(200a)이 경화되어 접착층(200)이 형성된다. The light may use UV or visible light.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in this manner, the liquid composition 200a is cured to form the adhesive layer 200. [

다음,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접착층(200)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위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상기 지지 부재(300) 상에 점착시킨다. 4C, the display panel 100 is placed on the adhesive layer 200 to adhere the display panel 100 to the support member 300. [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상기 접착층(200) 상에 위치시킨 후 가압한다. 그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120 참조)의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320 참조)의 상면이 점착된다. Specifically, the display panel 100 is placed on the adhesive layer 200 and then pressed. 2 and 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refer to reference numeral 320 in FIG. 2 and FIG. 3) are adhered to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refer to reference numeral 120 in FIGS. 2 and 3) of the display panel 100 .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display panel 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상부 기판
120: 하부 기판 130: 상부 편광판
140: 하부 편광판 150: 측면 밀봉재
200: 접착층 300: 지지 부재
400: 백라이트 유닛
100: display panel 110: upper substrate
120: lower substrate 130: upper polarizer
140: lower polarizer plate 150: side sealing member
200: adhesive layer 300: support member
400: Backlight unit

Claims (10)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지지 부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광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아크릴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support member to adhere the display panel to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 photocurable resi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where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rises a photocurable oligomer, an acrylic monomer, and a crosslinkable mono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또는 에폭시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curable oligomer is composed of an acrylic copolymer resin or an epoxy copolymer res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도입 우레탄변성(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공중합 수지는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 비스페놀A형 에폭시, 비스페놀 A형 노블락 에폭시,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또는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resin comprises urethane acrylate, urethane methacrylate, or silicone-introduced urethane-modified (meth) acrylate,
Wherein the epoxy-based copolymer resin comprises cresol novolak epoxy, bisphenol A epoxy, bisphenol A novolak epoxy, triphenolmethane epoxy, or urethane-modified epoxy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트릴데실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 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싸이크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크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크로펜테닐 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 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rylic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ethylhexyl 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nonylphenol ethoxylate monoacrylate, beta-carboxyeth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tetrahydroperfuryl acrylate, Acryl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more,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4-bu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1,3-butylene glycol di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ntaerythrit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dipentaerythritol diacrylate, sorbitol triacrylate, bisphenol A diacrylate derivatives,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and methacrylates of these. Consisting of one or more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상기 접착층 전체에서 60 중량% 내지 80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접착층 전체에서 5 중량%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접착층 전체에서 5 중량%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curable olig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ranging from 60% by weight to 80%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entire adhesive layer, the acrylic monomer is included in an amount ranging from 5% by weight to 20%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entire adhesive layer, And 5% by weight to 2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광차단 입자 및 광경화 촉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ve comprises light blocking particles and a photocuring accel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 입자는 상기 접착층 전체에서 1중량%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광경화 촉진제는 상기 접착층 전체에서 0.1중량% 내지 5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ight blocking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in the range of 1 wt% to 20 wt%, and the photocuring accelerator is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in the range of 0.1 wt% to 5 w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칙소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ve comprises a plasticiz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칙소제는 상기 접착층 전체에서 0.1중량% 내지 5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dhesive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ranging from 0.1 wt% to 5 wt% with respect to the entire adhesive layer.
지지 부재 상에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상기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접착층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점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접착층용 액상 조성물은 광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아크릴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pplying a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onto a support member;
Irradiating the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with light to form an adhesive layer; And
And adhering the display panel onto the adhesive layer,
Here, the liquid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comprises a photo-curable resi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and the photo-curable resin comprises a photo-curable oligomer, an acrylic monomer, and a crosslinkable monomer. Gt;
KR1020120144203A 2012-12-12 2012-12-1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805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03A KR20140080582A (en) 2012-12-12 2012-12-1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03A KR20140080582A (en) 2012-12-12 2012-12-1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82A true KR20140080582A (en) 2014-07-01

Family

ID=5173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03A KR20140080582A (en) 2012-12-12 2012-12-1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58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62A (en) * 2018-10-02 2020-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ealing member and flat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CN114945850A (en) * 2020-01-09 2022-08-26 Lg伊诺特有限公司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62A (en) * 2018-10-02 2020-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ealing member and flat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CN114945850A (en) * 2020-01-09 2022-08-26 Lg伊诺特有限公司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4945850B (en) * 2020-01-09 2024-03-19 Lg伊诺特有限公司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157B2 (e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resin dispenser
WO201207044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4011005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KR100945392B1 (en) Optical Sheet,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8347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82139B1 (en) Display Device
JP201213298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ouver film, liquid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CN109324437B (en) Display device
KR10236793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lack adhesive resin
JP6052264B2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20140080582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783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0974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5148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3007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lack adhesive resin
TW202332587A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KR101971049B1 (en) Display device
KR102199282B1 (en) Optical sheet for backlight unit
KR10202246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971285B2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20070098026A (en) Optical film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2029436B1 (en) Adhesiv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adhes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KR201700507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lack adhesive resin
KR2017005072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lack adhesive resin
CN209947113U (en) Large-size micro-permeable composite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