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756A - 터치윈도우 - Google Patents

터치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756A
KR20140079756A KR1020140070913A KR20140070913A KR20140079756A KR 20140079756 A KR20140079756 A KR 20140079756A KR 1020140070913 A KR1020140070913 A KR 1020140070913A KR 20140070913 A KR20140070913 A KR 20140070913A KR 20140079756 A KR20140079756 A KR 2014007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attern
pattern
print
sensing electrode
transpar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672B1 (ko
Inventor
조성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7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6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윈도우의 인쇄패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와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적어도 2 이상 적층되는 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되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다층구조의 인쇄패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여 접착절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윈도우{TOUCH WINDOW}
본 발명은 터치윈도우의 인쇄패턴의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발광소자(ELD; Electro Luminescence Devic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 패널을 가압하여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의 주요 구성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다층의 구조의 접착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X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패널은 투명윈도우(window;10) 하부에 상부 OCA(50), 그 하부에 상부전극층(ITO;40)과 하부OCA(30), 하부전극층(20)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하부에 액정패널(LCD;60)과 접착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층의 합착으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TSP)는 FPCB 모듈과의 본딩을 위해 상술한 상부 OCA(50),상부전극층(ITO;40),하부OCA(30)를 절단하여 연결패드(P)가 노출되는 본딩영역(C)을 구비하게 된다.
일반적인 터치윈도우는 도 3의 구조와 같이,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그리고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형성되는 인쇄패턴(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터치윈도우는, 외부와의 접촉을 수용하는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View Area)과 비활성영역(D/A;Dead Are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TS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투명윈도우(100) 상에 인쇄되는 인쇄패턴은 적어도 2 이상의 층이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되는데, 이는 터치스크린모듈의 배선패턴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려주는 역할과 제품의 디자인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터치센서모듈의 비활성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패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수의 층으로 인쇄패턴을 중첩인쇄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다층구조로 인쇄패턴을 구현하는 경우, 터치센서모듈(TSP)과 접착물질층(140)과 투명윈도우(100)을 결합하여 합착하는 경우에 인쇄패턴의 높이(두께)로 인해 접착물질층(140)과 인쇄패턴(P) 사이에는 공기층(A)이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은 접착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다층구조의 인쇄패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여 접착절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윈도우;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적어도 2 이상 적층되는 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되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 상기 제1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인쇄패턴; 상기 제2인쇄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3인쇄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과 상기 제1인쇄패턴 상에 순차로 적층되는 제2 및 제3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인쇄패턴이 상기 제1 및 제3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과 상기 제1인쇄패턴 상에 순차로 적층되는 제2 및 제3인쇄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인쇄패턴의 폭이 상기 제2인쇄패턴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제3인쇄패턴이 상기 제1 및 제2인쇄패턴을 덮거나, 제3인쇄패턴이 제2인쇄패턴 만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센서모듈과 상기 접착물질층의 밀착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비활성영역 또는 상기 비활성영역에 대응되는 투명윈도우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쇄패턴의 적층구조는, 적층되는 인쇄패턴의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표면조도가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인쇄패턴이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투명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에 제1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제1감지전극패턴층과,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층의 타면에 제2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형성되며, 상호 절연되도록 패터닝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어느 한쪽면에 직접형성되며, 상호 절연되도록 패터닝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다층구조의 인쇄패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여 접착절연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적층구조의 인쇄패턴에서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과의 접착면의 일부에 인쇄되는 인쇄패턴에 조도를 부여하여 접착물질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쇄패턴을 다층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다층 모두 또는 일부 층에 표면 조도를 부여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터치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의 다양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100)의 일면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적어도 2 이상 적층되며 적층되는 인쇄패턴(P)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100)의 일면에 2 층의 인쇄패턴을 구비하되, 상부의 인쇄패턴(102)가 하부의 인쇄패턴(101)을 덮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터치센서모듈(TSP), 그리고 상기 투명윈도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에 형성되는 인쇄패턴(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터치윈도우는, 외부와의 접촉을 수용하는 투명윈도우(100)와 상기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View Area)과 비활성영역(D/A;Dead Are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TS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이 경우 이러한 구조는 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터치센서모듈(TSP)가 투명윈도우(100)에 합착하는 경우 에어영역(A)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접합불량을 초래하는 적층구조에서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인쇄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도 4에서 상술한 터치윈도우의 인쇄패턴의 구조를 단차구조로 3개의 층으로 인쇄하여 순차 적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인쇄패턴(P)은 이러한 단차구조로 인해 도 3에서 상술한 단순한 적층구조에서 발생하는 에어영역의 문제를 많은 부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 5a의 구조에서 더 나가아 도 5b와 같은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100)의 표면에 인쇄패턴을 형성하며,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인쇄패턴(101)을 인쇄하고, 순차로 제2 및 제3인쇄패턴(102, 103)을 인쇄하되, 제2인쇄패턴(102)의 길이를 제1인쇄패턴(101) 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인쇄패턴(101)을 인쇄하고, 순차로 제2 및 제3인쇄패턴(102, 103)을 인쇄하되, 제2인쇄패턴(102)의 길이를 제1인쇄패턴(101) 및 제3인쇄패턴(103)의 폭보다 좁은 길이를 가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는,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3인쇄패턴의 길이를 순차로 길어지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d)와 같이 제1인쇄패턴(101)을 인쇄하고, 제1인쇄패턴(10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2인쇄패턴(102)를 인쇄한 후, 제3인쇄패턴(103)을 제1인쇄패턴(101)보다 긴 구조로 인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쇄구조의 변경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문제였던 인쇄패턴과 접착층의 계면에 발생하는 공기층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b에서의 (a)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접착물질층(140)을 형성하는 경우, 인쇄패턴(P)의 구조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인쇄패턴(101), 상기 제1인쇄패턴(101)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인쇄패턴(102), 상기 제2인쇄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3인쇄패턴(103)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도시된 에어영역(A)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들게 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물론, 이러한 인쇄패턴의 구조는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b에서의 제2인쇄패턴(102)이 제1인쇄패턴(101)을 덮는 구조에서 나아가, 도 5d의 (a) 제3인쇄패턴이(103) 제1 및 제2 인쇄패턴(101, 102)을 덮는 구조라던가, 제3인쇄패턴(103)의 폭을 제2인쇄패턴(102)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제3인쇄패턴이 제2인쇄패턴을 덮는 구조, 또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순차로 상부의 인쇄패턴이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도 5b에서의 인쇄패턴의 형성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인쇄층을 구현하였으나, 더 많은 수의 인쇄패턴이 적층되는 경우라도, 다수의 인쇄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의 인쇄패턴을 덮는 구조로 구현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층의 인쇄패턴과 접착물질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패턴의 표면에 표면조도(roughness)를 구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쇄패턴을 다층 구조(101~103)로 적층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적층 형성하되, 각각의 인쇄패턴의 표면에 표면조도(rouchness)를 형성하거나, 최상위층(103)에 표면조도를 부여하여 접착물질층(P)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에서 인쇄패턴의 구현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 상에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치센서모듈(TSP)의 비활성영역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패턴 구조가 적용되는 터치센서모듈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조에서 투명윈도우(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터치센서모듈(TSP)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TSP)은 베이스기판(130, 110)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감지전극(132, 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투명윈도우(100)에 제1접착물질층(140)이 배치되어, 하부의 터치센서모듈과 접합하게 된다. 상기 터치센서모듈(TSP)은 일면에 감지전극패턴(132)이 형성되는 제1감지전극패턴층과,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층의 타면에 제2접착물질층(120)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패턴(112)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각각의 제1감지전극패턴(132)와 제2감지전극패턴(112)는 상호 다른 베이스기재(130, 110)에 각각 형성되어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전극패턴(132, 112)과 연결되는 배선패턴(131, 111)이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각 접착물질층은 OCA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층은 베이스기재상에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Ag 나노와이어(Ag NW) 또는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의 구조와는 달리,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200)의 하부에 접착물질층(240)을 매개로 터치센서모듈이 합착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투명윈도우(200)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222)를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230)과, 상기 베이스기판(230)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 패턴(232)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기판(230)의 하면의 감지전극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상술한 투명윈도우(200) 상에는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b에서 상술한 인쇄패턴(P)가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전극 패턴(232)과 연결되는 배선패턴(231)이 형성되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윈도우(300)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윈도우(300)과 터치센서모듈은 접착물질층(340)을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베이스기판(310)의 단면에 감지전극패턴(312)가 패터닝되며, 배선부(311)이 상기 감지전극패턴과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동일 평면상에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이 구현되는바, 일면에 접촉의 제 1 축(예를 들어, X 축) 성분을 판단하기 위한 제 1 감지 전극 층을 패터닝하고, 접촉의 제 2 축(예를 들어, Y 축) 성분을 판단하기 위한 제 2 감지 전극 층은 상기 제1감지전극층과 절연되는 배치를 구현하여 패터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투명윈도우(300)의 일면에 인쇄패턴(P)가 형성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물론, 도 8에서는 별도의 베이스기판(310)에 감지전극패턴층을 동일 평면에 형성하는 구성을 일례로 들었으나, 이러한 베이스기판(310) 없이, 상기 투명 윈도우(300)의 일면에 직접 감지전극패턴을 증착,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뿐만 아니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 구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이 터치센서모듈, 즉 터치스크린패널(TSP;Touch Screen Panel)에 전달되어 접촉 감지 패널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에 차단층 (Shield Layer)을 배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9)

  1. 화면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윈도우;
    상기 비활성 영역상에만 배치되는 제 1 인쇄패턴; 및
    상기 제 1 인쇄패턴 상의 제 2 인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패턴은 상기 제 1 인쇄패턴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측면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터치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인쇄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투명윈도우와 직접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폭은 상기 제 1 인쇄패턴의 폭보다 큰 터치 윈도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배치된 감지전극패턴; 및
    상기 감지전극패턴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패턴은 상호 절연되는 제 1 및 제 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 상기 제 1 인쇄패턴 및 상기 제 2 인쇄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층은 상기 제 2 인쇄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 상의 제 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인쇄패턴은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상면 및 측면을 덮는 터치 윈도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패턴 상의 제 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인쇄패턴은 상기 제 2 인쇄패턴의 상면만을 덮는 터치 윈도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패턴과 상기 제 2 인쇄패턴 사이에 개재된 제 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패턴은 상기 제 1 인쇄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 3 인쇄패턴의 측면을 덮는 터치 윈도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된 터치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은, 상기 터치센서모듈의 비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윈도우 상의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윈도우와 상기 터치센서모듈을 접착시키는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접착물질층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는 터치 윈도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호 절연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접착물질층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는 터치 윈도우.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제 1 베이스 기판;
    상기 제 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감지 전극 패턴;
    상기 제 1 베이스 기판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측에 배치된 제 2 베이스 기판;
    상기 제 2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접착물질층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선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패턴과 오버랩되는 터치 윈도우.
KR20140070913A 2014-06-11 2014-06-11 터치윈도우 KR101480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ko) 2014-06-11 2014-06-11 터치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ko) 2014-06-11 2014-06-11 터치윈도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840A Division KR101987338B1 (ko) 2011-12-16 2011-12-16 터치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756A true KR20140079756A (ko) 2014-06-27
KR101480672B1 KR101480672B1 (ko) 2015-01-14

Family

ID=5113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0913A KR101480672B1 (ko) 2014-06-11 2014-06-11 터치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6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84B1 (ko) * 2014-12-02 2015-04-21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모바일 기기용 글라스의 인쇄층 형성방법 및 그 인쇄층 형성구조
KR20160053061A (ko) *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020014A1 (en) * 2015-07-13 2017-01-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988A (ko) 2016-11-17 2018-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2791B2 (en) * 2007-10-31 2012-07-03 Nissha Printing Co., Ltd. Protection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for display window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105487B2 (ja) 2009-01-29 2012-12-2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及び電子機器
KR100949684B1 (ko) 2009-05-25 2010-03-26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휴대기기용 윈도우 제조방법
JP5406161B2 (ja) * 2010-10-20 2014-02-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061A (ko) *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3684B1 (ko) * 2014-12-02 2015-04-21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모바일 기기용 글라스의 인쇄층 형성방법 및 그 인쇄층 형성구조
US20170020014A1 (en) * 2015-07-13 2017-01-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70008371A (ko) * 2015-07-13 2017-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354296A (zh) * 2015-07-13 2017-01-2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10620756B2 (en) * 2015-07-13 2020-04-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672B1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338B1 (ko) 터치윈도우
US10672566B2 (en) Touch window having improved electrode pattern structure
TWI498779B (zh) 觸控螢幕
KR101357592B1 (ko) 터치윈도우
JP5718889B2 (ja) タッチパネル
KR101480672B1 (ko) 터치윈도우
KR20130119045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66241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6854A (ko) 터치윈도우
KR101762961B1 (ko) 터치윈도우
KR101415585B1 (ko) 터치윈도우 및 상기 터치윈도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30050631A (ko) 터치윈도우
KR102262549B1 (ko) 터치 패널
US9552119B2 (en) Touch window
KR2018004464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5945B1 (ko) 터치윈도우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공정
KR101303634B1 (ko) 터치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1303637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0742A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공정
KR20120120719A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0733A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48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