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611A -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611A
KR20140079611A KR1020120147688A KR20120147688A KR20140079611A KR 20140079611 A KR20140079611 A KR 20140079611A KR 1020120147688 A KR1020120147688 A KR 1020120147688A KR 20120147688 A KR20120147688 A KR 20120147688A KR 20140079611 A KR20140079611 A KR 20140079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location information
index
user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912B1 (ko
Inventor
김진우
박셈
Original Assignee
김진우
박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박셈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12014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정보를 포함한 댓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지오로케이션 API로 부터 획득한 위치정보와 서버 내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댓글의 오차지수, 신뢰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뢰지수를 댓글 순서에 맞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댓글을 게재하는 순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댓글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제 방문자 댓글이 우선하게 되면서 실제 방문자 의견이 많아지게 되고, 더 정확한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의도적으로 홍보, 비방을 하는 사용자의 댓글을 줄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Comments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by us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의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위치정보와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 댓글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얻는 이들이 많아짐에 따라 외식과 관련된 콘텐츠(상업적 콘텐츠)와 댓글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댓글은 여러 소비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콘텐츠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댓글을 통하여 고객은 특정 음식점에 대한 평가와 후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정보는 음식점에 대한 선택의 폭을 좁혀 나갈 수 있을 뿐 아니라 방문하지 않은 음식점에 대해서도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영업주에게는 고객에게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방문자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외식과 관련된 댓글은 위와 같은 장점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상업적 콘텐츠에서 댓글의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점을 언급하자면, 댓글 자체적으로 경제적 가치를 가지다 보니 허위로 부정적·긍정적 의견을 남기는 경우가 있다. 일례로, 커뮤니티 사이트, 블로그, 인터넷 카페 등의 콘텐츠에 영업주가 금전적 대가를 제공하여 의뢰받은 기업이 허위 후기 댓글을 작성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댓글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가 행해져 왔다.
우선,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로그인 제도를 들 수 있다. 로그인 제도는 일정 조건의 신상명세를 기재한 후 부여받은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댓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상기 제도의 도입에 따라 허위 글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여러 아이디를 사용하면 드러나지 않는 까닭에 그로 인한 허위 글 감소 효과는 미흡하였다.
댓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시도로서,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추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나, 로그인한 회원의 일정 조건에 회원등급만이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위 두 가지 방식은 댓글의 신뢰도를 평가하기에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얼마든지 회피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고, 대부분 사용자의 추천 또한 댓글에 내용만을 보고 주관적인 판단으로 추천을 할 수 박게 없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KR 1020110044612 A KR 1020110051678 A KR 1020030085720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프라인 서비스업 콘텐츠에 관해 사용자가 댓글을 실제 방문하고 있는 위치에서 댓글을 게재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댓글을 게재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활용 댓글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신뢰도를 바탕으로 댓글의 순위를 정해 신뢰도가 높은 댓글 순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 제공자(사업자)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평가 의견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인터넷 공간에서 신뢰 있는 댓글 문화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댓글 평가 시스템에서 댓글을 평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댓글 평가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댓글 등록 요청이 있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오로케이션 API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콘텐츠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댓글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위치정보 평가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의 댓글들의 순위를 결정하는 순위 결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위치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오로케이션 API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서버에 수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평가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콘텐츠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오차지수 및 신뢰지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위치정보가 null이면, 소정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오차지수와 신뢰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에 설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댓글 평가 방법에서 제외할 수 있다.
순위 결정 단계는 상기 신뢰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최상위에서부터 최하위 노출 순서를 부여하고, 최종적인 노출 순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댓글 순위 결정은 웹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댓글을 확인했을 때 신뢰지수가 높은 댓글일수록 가장 먼저 보이는 내림차순 방식으로 데이터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을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1) 사용자가 댓글을 게재하는 순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댓글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2) 실제 방문자의 댓글이 우선하게 되면서 실제 방문자의 의견이 많아질 수 있으며 신뢰 있는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3) 의도적인 홍보, 비방을 하는 사용자의 댓글을 줄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저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댓글의 데이터베이스 저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기술한 내용으로 본 발병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 댓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의 저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부(210), 위치정보 평가부(220), 순위 결정부(230) 및 이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10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형태로 콘텐츠 관리부(210)에서 제공하는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예를 들어, Internet Explorer, Safari, Opera Mobile)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오로케이션 API(Geoloc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설치되어 있다. 지오로케이션 API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위치정보 조회는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통하여 얻은 정보를 의미한다.
지오로케이션 API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적인 조작 없이 위도, 경도, 고도, 위도·경도 정확도(이하, 정확도로 표기) 등을 조회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한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10)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P(internet protocal) 등 소정의 주소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400)에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웹 페이지는 복수의 게시된 콘텐츠를 통합하여 보여주는 뷰(View)페이지, 소정의 게시글(이하, 콘텐츠로 표기)과 댓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10)는 콘텐츠와 댓글이 별도로 관리될 수 있으며, 콘텐츠와 댓글에는 각각의 위치정보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00)에 포함되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뷰(View)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전문 및 댓글 등을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00)에는 콘텐츠 제공자 회원번호, 콘텐츠 내용과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등록한 위치정보 및 오차범위(S2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가 있고, 사용자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댓글을 게재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 회원번호, 댓글 내용, 사용자 오차지수, 신뢰지수 및 댓글 표기 순위(S3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댓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00)는 소정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위치정보 평가부(22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받은 데이터 중에서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평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오로케이션 API로 획득한 위치정보에는 위도, 경도 및 정확도 등을 조회할 수 있고, 이를 기초하여 해당 댓글의 오차지수, 신뢰지수가 연산 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00)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와 댓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기록된 소정의 위치정보, 오차범위, 오차지수, 신뢰지수 등을 위치정보 평가부(22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 평가부(220)의 평가 방법에 따라 순위 결정부(230)를 지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100)에 기록될 수 있다.
순위 결정부(230)는 위치정보 평가부(220)에서 연산된 각각의 콘텐츠의 모든 댓글에 대한 신뢰지수(S300)를 통합하여 댓글 표기 순서에 맞게 전체 댓글 순위(순서)를 정할 수 있다. 전체 댓글 순위는 신뢰지수(S300)가 높은 댓글일수록 가장 먼저 보이는 내림차순 방식으로 데이터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에서는 서버(200)에 순위 결정부(230)가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서버(200)는 순위 결정부(230)를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의 평가 방법에 관한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전체 댓글 순위를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위치정보가 null 일 때 평가 방법, 콘텐츠 제공자의 특정위치 평가 방법이 포함되어 상기 전체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오차지수와 신뢰지수의 연산 및 이용
신뢰지수는 위에 언급했던 것과 같이 위치정보(위도, 경도, 정확도)를 기초하여 연산 될 수 있는데 먼저 신뢰지수를 연산하기 전에 오차지수를 연산하여 신뢰성이 낮은 댓글을 평가에서 제외한다.
신뢰성이 낮은 댓글이란,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등록된 위치(S200)와 댓글을 등록한 사용자 위치와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 보다 멀 때를 의미한다. 여기서, 정해진 거리는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등록한 오차범위(S200)를 참조하게 된다.
오차지수는 콘텐츠 제공자의 미리 등록된 위치정보(S200)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연산 될 수 있으며, 오차지수는 상기 신뢰성 낮은 댓글을 평가에서 제외하는 목적 이외에 몇 가지 목적이 더 있다.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등록한 위치가 음식점이고, 사용자는 음식점 실내에서 댓글을 게재하였다면, 실내라는 환경적 요인(위성 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반사·굴절이 잘 되는 고층건물이나 실내는 위치정보 정확성이 낮다)으로 인해 오차가 커지게 되면 댓글에 신뢰를 평가받기 어렵지만, 상기 오차지수와 오차범위(S200)를 비교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는 한 지점을 의미하므로 넓은 공간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차범위(S200)가 참조 된다. 골프장, 유원지, 놀이동산 등 공간이 넓으면 콘텐츠 제공자의 오차범위(S200) 설정으로 보다 정확한 신뢰도 평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오차지수에 연산 원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오차지수는 단위가 킬로미터로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정한 위치정보(S200)와 사용자 위치정보 간에 거리 차를 알 수 있게 한다.
오차지수는 다음과 같이 연산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점 사이에 직선거리를 구하는 식(구면거리)을 이용하면 두 점간에 직선거리를 알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와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구면거리를 구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오차지수는 두 지점 간에 거리를 의미하므로 거리가 멀어 질수록 오차지수 또한 커지게 된다.
신뢰지수는 상기 오차지수와 오차범위(S200) 그리고 정확도를 기초하여 연산 될 수 있다. 상기 오차지수의 활용은 오차범위(S200) 이외 지역에서 사용자가 댓글을 게재했을 때, 위에 언급한 신뢰성이 낮은 댓글에 포함되므로 신뢰지수를 연산 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신뢰지수는 전체적인 신뢰지수를 연산하기 위해서 복수의 댓글들에 오차지수(S300)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위치에 따라 오차의 분포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면 사용자에 신뢰지수를 더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즉, 한 콘텐츠에서 복수의 사용자 댓글들에 오차지수(S300) 분포를 활용한다면 고층건물 밀집 지역이나 실내에서도 복수의 사용자 오차지수(S300)를 기초하여 신뢰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신뢰지수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획득한 정확도를 가지고 보다 더 정확한 신뢰지수를 연산 될 수 있다. 신뢰지수는 위에 언급한 두 가지 이유에 따라 의도적 댓글 순위 조작이 어렵게 함으로서 보다 신뢰 있는 댓글 평가 방법을 만들 수 있다.
신뢰지수는 다음과 같이 연산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에 사용자 댓글에 포함하는 오차지수(S300)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한다. 그리고 상기 평균치와 상기 사용자 오차지수와의 편차를 구한다. 상기 편차가 커질수록 상기 평균치와 거리가 멀어짐을 의미하므로 신뢰지수는 낮아지게 된다. 또한, 표준편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포함해서 신뢰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도적으로 신뢰지수를 조작하기 어려워 홍보, 비방을 줄이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직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0)에 기록 없이 오차지수(S300)와 신뢰지수(S300)가 연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실제 방문 장소에서 댓글을 게재 여부를 기초하여 신뢰적인 면을 평가에 할 수 있게 된다.
위치정보가 null 인 경우 평가 방법
콘텐츠 제공자가 정한 위치정보(S200) 및 오차범위(S200)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자에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위치정보가 null인 경우에 댓글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는 소정의 위치정보의 기록이 없으면 오차지수 및 신뢰지수를 연산될 수 없다. 따라서 기본 값을 참조하여 오차지수 및 신뢰지수를 연산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도 경도 기본 값은 각각 37.246, 127.556 값으로 상기 오차지수 및 신뢰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기본 값으로 대체하면 오차지수는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차지수는 위에 언급한 내용과 달리 오차범위(S200)를 참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뢰성 낮은 댓글을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신뢰지수 연산은 복수의 댓글에 오차지수 표준편차 값을 포함해서 연산하게 된다.
여기서, 표준편차는 오차범위(S200)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표준편차 값이 크다는 뜻은 평균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분포가 많이 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고루 분포돼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표준편차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만 신뢰지수를 연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정위치 평가 방법
특정위치 평가 방법은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공자와 당업자의 소정의 설정에 따르며, 콘텐츠 제공자의 소정의 설정은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를 참조 될 수 있다.
도2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소정의 특정위치정보, 특정위치오차범위 데이터가 포함되어 기록될 수 있다. 특정위치정보는 특정 위치의 위도, 경도 정보가 미리 기록될 수 있다. 특정위치오차범위는 특정 위치에 대한 오차범위가 미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선량한 사용자의 평가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허용범위를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특정위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 기호로 데이터베이스(100)에 구분되어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위치정보 및 특정위치오차범위는 상기 오차지수와 신뢰지수의 연산 및 이용에 언급한 위치정보(S200), 오차범위(S200)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며 상기 특정위치정보와 사용자 위치정보가 특정위치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오차지수와 신뢰지수가 연산 되지 않게 하고, 그 이외 지역이면 오차지수와 신뢰지수를 연산할 수 있게 한다.
댓글 순위 결정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신뢰지수는 순위 결정부(230)에서 댓글의 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순위 결정은 댓글을 표기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댓글 순위(S300)는 신뢰지수(S300)가 가장 높은 댓글일수록 가장 우선 하는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과 같이 각각에 댓글에 신뢰지수(S300)가 156.25, 92.59, 96.15이라면 156.25에 신뢰지수를 갖는 댓글이 순위 1을 받고, 96.15에 신뢰지수를 갖는 댓글이 순위 2를 받으면서 순위(S3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댓글 순위(S300)는 별도로 오차지수(S300) 값에 유무만을 가지고 순위(S300)를 결정될 수 있다. 오차지수(S300) 값이 있다면 신뢰성 낮은 댓글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오차지수(S300)가 있는 댓글에 한하여 댓글 등록 순으로 순위(S300)를 결정할 수 있다. 단, 이와 연동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위치정보(S200)가 null 인 경우는 오차지수 유무만으로 신뢰성 낮은 댓글이 구분 할 수 없으므로, 상기의 경우에는 상기 신뢰지수를 이용한 댓글 순위 결정 방법을 따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퍼스널 컴퓨터, PDA, PMP 등 유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디지털기기로 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서 언급한 사용자 단말기(400)에 기본 요건을 갖추고 있어도 위치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400)는 오차지수(S300), 신뢰지수(S300)가 null이 되는데 이 경우는 전체 순위(S300)가 등록 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신뢰지수가 연산 된 댓글들은 신뢰지수가 높은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신뢰지수가 연산 되지 않는 댓글들은 등록 순으로 순위가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정보를 통해 댓글의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식점 서비스를 이용 후 근거리에서 입력한 댓글을 상위 순위로 제공하게 되면서 서비스 이용 후 바로 후기를 올리는 경우가 많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댓글의 신뢰 및 품질을 질적으로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데이터베이스
200: 서버
210: 콘텐츠 관리부
220: 위치정보 평가부
230: 순위 결정부
300: 네트워크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댓글 평가 시스템에서 사용자 위치정보를 포함한 댓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지오로케이션 API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위치정보를 서버에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와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댓글에 오차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지수와 상기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와 댓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복수의 사용자 오차지수를 기초하여 댓글에 신뢰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지수와 댓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복수의 사용자 신뢰지수를 기초하여 댓글 표기 순서에 맞게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위치정보의 기록이 없는 경우에 댓글의 오차지수 및 신뢰지수를 결정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특정위치정보 및 특정위치오차범위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와 상기 특정위치정보에 따른 특정위치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평가하지 않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지오로케이션 API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위치정보와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하여 댓글의 오차지수 결정 및
    상기 오차지수와 상기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와 댓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복수의 사용자 오차지수를 기초하여 댓글에 신뢰지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정보 평가부, 그리고
    상기 결정된 댓글의 신뢰지수를 댓글 표기 순서에 맞게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부를 포함하는
    댓글 평가 시스템.
KR1020120147688A 2012-12-17 2012-12-17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45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88A KR101456912B1 (ko) 2012-12-17 2012-12-17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88A KR101456912B1 (ko) 2012-12-17 2012-12-17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611A true KR20140079611A (ko) 2014-06-27
KR101456912B1 KR101456912B1 (ko) 2014-11-03

Family

ID=5113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688A KR101456912B1 (ko) 2012-12-17 2012-12-17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770A (ko) * 2015-01-16 2016-07-26 김성일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방법
KR101698031B1 (ko) * 2015-11-20 2017-01-19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KR20200094545A (ko) * 2019-01-30 2020-08-0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게시물 신뢰도 제공장치 및 게시물 신뢰도 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9633B2 (ja) * 2006-05-12 2012-04-04 ヤフー株式会社 投稿情報の評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9289191A (ja) 2008-05-30 2009-1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投稿情報提供装置、投稿情報閲覧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100198503A1 (en) * 2009-01-30 2010-08-05 Navteq North America, Llc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Quality of Location Content
KR101181743B1 (ko) * 2010-12-10 2012-09-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770A (ko) * 2015-01-16 2016-07-26 김성일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방법
KR101698031B1 (ko) * 2015-11-20 2017-01-19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WO2017086601A1 (ko) * 2015-11-20 2017-05-26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US10368197B2 (en) 2015-11-20 2019-07-30 Chi-Hyung PARK Method for sharing content on the basis of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er using the same
KR20200094545A (ko) * 2019-01-30 2020-08-0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게시물 신뢰도 제공장치 및 게시물 신뢰도 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912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729B2 (en) Geolocation check-in system
US10686744B2 (en) Location data for defining places and traffic
US20120284333A1 (en) Collection and analysis of location data from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on a network
US20140074610A1 (en) Generating a point of interest profile based on third-party social comments
US20130325329A1 (en) Geographic data update based on user input
US10621247B2 (en) Location and profile based system and service
US20110137811A1 (en) Network 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portal system and method
US201501208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location
US20110010364A1 (en) Geographical item identification
US8500009B2 (en) Real-time internet method for tracking number and gender of patrons in bar and night club establishments
KR20120102919A (ko) 위치 기반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60381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ally Aware Communication
US20130151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 presence for one or more geographical locations
KR2012010118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맛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2825A (ko)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방법
KR101456912B1 (ko) 사용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댓글 평가 방법 및 시스템
JP6028493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TWM614593U (zh) 基於大數據之購屋需求的辨識裝置
KR101851097B1 (ko) 지도상의 흔적에 기초한 정보 제공 방법
US9226326B2 (en) Proximate device locator
US20140365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oring geographic locations and for providing related searching tools
KR20150093259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AU2014101670A4 (en) Property proximity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29603A (ko) 위치 정보 기반의 이벤트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40003252A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