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542A - 음원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542A
KR20140079542A KR1020120146886A KR20120146886A KR20140079542A KR 20140079542 A KR20140079542 A KR 20140079542A KR 1020120146886 A KR1020120146886 A KR 1020120146886A KR 20120146886 A KR20120146886 A KR 20120146886A KR 20140079542 A KR20140079542 A KR 20140079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forensic mark
forensic
file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현
서용석
이상광
김정현
윤영석
유원영
서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9542A/ko
Publication of KR2014007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음원 보호 방법이 개시된다. 음원을 보호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특성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삽입 강도에 따라 포렌식 마크를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고, 상기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역 주파수 변환하여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노래를 생성하여 불법 유출된 노래를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원 보호 방법{METHOD FOR PROTECTING OF AUDIO SOURCE}
본 발명은 음원 보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렌식 마크를 삽입하여 음원을 보호 하는 음원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노래방 기기에 탑재되는 노래 음원은 신곡 추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저장장치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파일 복사를 통하여 노래방 음원이 쉽게 유출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파일을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하여 불법 유출되어도 원본 음악 파일을 복원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노래방 음원의 오디오 출력과 피시(personal computer, PC)의 디지털 입력을 연결하여 그대로 녹음하는 경우 원본 음악 파일에 암호화 방법은 음원의 불법 유출을 막지 못한다.
음원이 불법 유출되었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로 포렌식 마킹(forensic marking)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포렌식 마킹 기술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판매자, 저작권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를 삽입하는 기술로 콘텐츠의 불법유통 시 삽입된 정보를 추출하여 유포자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가 콘텐츠를 제공할 때 구매자 정보를 포렌식 마킹 기술로 삽입하게 되면, 향후 해당 콘텐츠의 불법 유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유출된 콘텐츠에서 포렌식 마크를 확인하여 최초 유포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렌식 마킹 기술은 단일 파일에 포렌식 마크를 삽입하고 그 파일을 단독으로 재생하는 환경에서 적용되도록 하고 있어, 노래방과 같이 에코, 코러스 등의 다양한 부가 음 효과가 더해지는 환경에서는 포렌식 마크의 검출 확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터넷 상에서 불법 유통되는 노래 파일은 그 노래 파일을 직접 다운받아서 그로부터 포렌식 마크 검출을 시도 할 수 있지만, 노래방 기기에 불법으로 탑재된 노래 파일은 법적인 조치를 통하지 않고서는 그 파일을 직접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포렌식 마크 검출 시도를 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 파일에 포렌식 마크를 삽입하여 파일 없이 포렌식 마크를 검출할 수 있는 음원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특성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삽입 강도에 따라 포렌식 마크를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여 상기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역 주파수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원 보호 방법에 따르면 노래방 기기를 통하여 서비스 되는 음악 파일에 노래방 또는 노래방 기기의 정보를 포함한 포렌식 마크를 삽입함으로써 파일의 복제가 아닌 녹음을 통한 불법 유출의 경우에도 저작권을 보호하고, 포렌식 마크 삽입시 오디오 신호의 특성 또는 노래 장르에 따라서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포렌식 마크 검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의 환경과 음원 보호 방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노래방 기기 내 음악 불법 복제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포렌식 마크 검출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 다운로드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포렌식 마크 삽입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의 환경과 음원 보호 방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원 보호 방법의 실시 환경은 크게 노래방 파일을 서비스하는 노래방 파일 서비스 시스템(100), 노래방 기기(200), 노래방 기기에서 재생되는 노래로부터 포렌식 마크를 추출하는 검출 단말기(300)로 구성된다.
노래방 파일 서비스 시스템(100)은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 노래 파일 저장소(110),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노래방 파일 서비스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 노래 파일 저장소(110),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 별로 각각 구분하고 있으나, 실제 구현상에서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 또는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는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 내에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노래 파일 저장소(110),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노래방 파일 서비스 시스템(100)의 서비스 크기에 따라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 노래 파일 저장소(110),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 전체를 하나의 서버에 구현할 수도 있으며, 노래 파일 저장소(110)를 노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노래 파일 저장 공간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는 노래방 기기(200)로부터 신곡 다운로드 요청을 받아서, 노래 파일 저장소(110)으로부터 원본 노래 파일을 검색하여, 검색된 노래 파일을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으로 전송하고,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가 원본 노래 파일에 포렌식 마크를 삽입 처리한 노래를 전송받아 신곡 다운로드를 요청한 노래방 기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는 노래 파일 저장소(110)으로부터 원본 노래 파일에 포렌식 마크를 삽입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포렌식 마크는 노래 정보, 노래방 기기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하고, 노래의 특성에 따라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하여 삽입된다.
여기서 포렌식 마크는 음원 보호의 용도 이외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과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렌식 마크에 대한 상세한 방법을 제공하지 않으며, 특정한 포렌식 마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래 파일 저장소(110)는 노래방 기기(200)에 사용될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노래방 기기(200)가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을 통하여 요청하는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의 저장소이다.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는 검출 단말기(300)로부터의 포렌식 마크 확인 요청에 대하여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포렌식 마크 확인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 단말기(300)에 제공 한다.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는 포렌식 마크, 포렌식 마크 검출 인자, 노래 정보, 사용자 정보,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렌식 마크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포렌식 마크 확인을 위한 검출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검출 단말기(300)에는 포렌식 마크를 검출하고자 하는 노래를 녹음하는 녹음기(310), 녹음된 노래에서 포렌식 마크를 검출하는 포렌식 마크 검출기(320), 검출된 포렌식 마크를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에게 확인을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을 받는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단말기(300)내에 구성된 녹음기(310), 포렌식 마크 검출기(320),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은 설명의 편의상 기능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녹음기(310)는 스마트 폰 형태의 검출 단말기에서는 스마트 폰에 포함된 녹음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포렌식 마크 검출기(320) 또는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에서 녹음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녹음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포렌식 마크 검출기(320)와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녹음기(310)는 노래방 기기(200)에서 재생하는 노래 또는 노래 반주가 불법으로 사용되는 노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해당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없이 포렌식 마크 검출을 위하여 노래 또는 노래 반주를 녹음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포렌식 검출의 성공 여부에 따라서 노래 또는 노래 반주를 녹음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포렌식 마크 검출기(320)는 녹음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로부터 노래의 포렌식 마크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녹음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의 녹음 길이가 포렌식 마크 검출에 필요한 시간보다 짧으면, 녹음기(310)에게 해당 노래 또는 노래 반주의 녹음 시간을 증가시켜 재녹음을 요청할 수 있다.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는 녹음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서 검출된 포렌식 마크를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에 질의하여 녹음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의 관련 정보와 해당 노래 또는 노래 파일의 불법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노래방 기기(200)내 음악 불법 복제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래방 기기(200)의 오디오 출력에서 오디오 연결 장치(210)을 이용하여 PC와 같이 오디오 입력을 파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오디오 녹음 장치(220)의 오디오 입력에 연결하고 해당 오디오를 녹음함으로써 노래 및 노래 반주 파일을 복제할 수 있다.
또한, PC에 영상 캡쳐(capture) 장치를 장착한 경우 영상파일도 함께 캡쳐함으로써 간단히 노래 반주와 가사가 표시되는 노래방 반주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노래 및 노래 반주 파일을 녹음 및 녹화함으로써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영역 또는 암호화 부분을 제거하여 불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에 삽입된 DRM이나 암호화 부분에서 직접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재생되는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서 포렌식 마크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포렌식 마크 검출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 단말기(300)는 포렌식 마크를 검출하기 위한 요청에 상응하여 탑재된 포렌식 마크 검출 프로그램을 작동한다(S100).
검출 단말기(300)의 포렌식 마크 검출 프로그램은 포렌식 마크 검출을 위해 노래방 음원에서 재생되는 노래를 검출 단말기에 포함된 녹음기(310)를 이용하여 녹음을 수행할 수 있다(S110).
검출 단말기(300)의 포렌식 마크 검출 프로그램은 포렌식 마크 검출을 위해서 일정 시간 이상의 음원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미리 결정된 필요한 시간만큼 노래 또는 노래 반주의 녹음을 수행한다. 포렌식 마크 검출을 위한 일정 시간의 음원은 노래 또는 노래 반주의 장르나 포함된 음악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검출 단말기(300)의 포렌식 마크 검출 프로그램은 포렌식 마크 검출에 필요한 녹음 길이 보다 노래 또는 노래 반주 녹음 길이 여부를 판단하고(S120), 포렌식 마크 검출에 필요한 시간 이상의 노래 또는 노래 반주의 데이터가 녹음되면 포렌식 마크 검출을 위한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일반적으로 포렌식 마크 검출은 음원에 대한 신호처리를 통하여 계산된 값이 일정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것으로 간주하여 검출한다. 하지만 포렌식 마크가 삽입되었다 하더라도 노래에 따라서는 신호처리된 값이 미리 정해놓은 문턱 값을 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포렌식 마크가 검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노래의 장르에 따라 문턱 값 즉 검출 강도를 달리하여 포렌식 마크를 검출함으로써 포렌식 마크 검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노래방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에코, 코러스, 옥타브 변경 등의 노래방 기기의 다양한 효과가 더해진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포렌식 마크 검출 가능성을 낮게 만든다.
본 발명에서는 노래에 따라 포렌식 마크 검출에 사용되는 음원의 영역과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를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노래방 기기에 의한 음원 왜곡에서도 포렌식 마크를 검출할 수 있다.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를 적응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정보는 포렌식 마크 삽입시 계산하여 서버의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에 관리하고, 검출 단말기(300)의 요청에 의해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에서 검출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값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포렌식 마크를 노래에 따라 적응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 단말기(300)가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상응한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검출 단말기(300)의 포렌식 마크 검출기(S320)는 상기 단계 S130에서 결정한 포렌식 마크 검출 강도를 이용하여 녹음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서 포렌식 마크 검출을 시도한다(S140).
검출 단말기(300)의 포렌식 마크 검출기(S320)는 녹음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서 포렌식 마크 검출 결과를 판단하여(S150), 포렌식 마크 검출에 실패하면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노래 또는 노래 반주 녹음을 다시 진행한다.
이 때 포렌식 마크 검출을 위하여 다시 녹음될 노래 또는 노래 반주는 이전 녹음되었던 노래 또는 노래 반주보다 더 긴 시간의 녹음이거나 다른 부분의 녹음이 될 수 있다.
검출 단말기(300)의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는 단계 S150에서 판단 결과 포렌식 마크 검출에 성공하면 검출한 포렌식 마크를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로 보내어 해당 포렌식 마크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한다(S160).
상기 포렌식 마크 정보 요청에 상응한 저작권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170).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의 질의 내용이 포렌식 마크를 이용한 저작권 보호의 용도로 불법 유포자 추적에 사용하는 것이면,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에 요청하고 받아오는 정보는 해당 노래가 다운로드된 노래방 정보 또는 노래방 기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140)에서 획득한 정보에서 다운로드된 노래방 정보 또는 노래방 기기 정보가 녹음을 실시한 노래방 또는 노래방 기기 정보와 다르면 불법 유출??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포렌식 마크 질의기(330)에서 질의한 내용이 부가 서비스이면 예를들어, 해당 노래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노래를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로 연결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서버로부터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 다운로드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포렌식마킹을 이용한 노래방 기기용 음원 보호 및 부가서비스를 위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 다운로드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노래방 기기(200)에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에 요청한다(S200).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는 노래 파일 저장소(110)에서 노래방 기기(200)가 요청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검색하여 획득하고,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한다(S210).
여기서, 삽입되는 포렌식 마크 정보는 노래가 다운로드될 노래방 또는 노래방 기기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하므로,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는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에서 노래방 운영자 혹은 노래방 기기(200)의 정보를 획득한다.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는 모든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 같은 값을 사용할 수도 있고, 노래 장르별 또는 오디오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도 있다.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노래 장르별 또는 오디오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서 결정된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에 상응하여,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서 포렌식 마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검출 강도에 관련된 정보는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노래 다운로드 서버(200)는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가 결정되면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에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를 사용하여 상기 결정된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에 상응하여 포렌식 마크를 삽입한다(S220).
노래 다운로드 서버(200)는 노래방 기기(200)이 요청한 노래 또는 노래 반주에 노래 또는 노래 반주 정보, 노래방 기기(200) 정보, 사용자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된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노래방 기기(200)로 전송한다(S230).
노래방 기기(200)는 전송받은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내부 저장 장소에 저장하고 노래 목록을 갱신한다(S24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보호 방법에서 포렌식 마크 삽입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포렌식 마크 삽입시에 포렌식 마크 강도를 달리 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포렌식 마크 검출은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에서 직접 배포된 파일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닌 포렌식 마크를 검출하고자 하는 노래방 기기(200)에서 재생되는 노래 또는 노래 반주를 녹음하여 녹음된 파일에서 검출하는 것이므로 삽입되는 포렌식 마크의 강도가 포렌식 검출 성능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노래방 기기(200)로부터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요청받으면,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는 요청 받은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노래 파일 저장소(110)으로부터 요청받은 곡을 검색하여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을 이용하여 포렌식 마크를 삽입한다.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는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에 포렌식 마크를 삽입하기 위하여 먼저 오디오 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300).
상기 과정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를 통하여 수행된다.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포렌식 마크를 삽입하기 위한 강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판단한다(S310).
상기 판단은 노래 장르에 따라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 여부를 결정한다. 노래 장르에 따라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사용하는 것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노래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노래 장르별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10의 판단 결과, 노래 장르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이면, 노래방 기기(200)이 요청한 주파수 변환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의 노래 장르에 따라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한다(S320).
노래 장르는 발라드, 댄스, 락, 트로트, 클래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노래 장르별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는 발라드, 댄스, 락, 트로트, 클래식등에 따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10의 판단 결과, 노래 장르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이 아니면 즉, 포렌식 마크 삽입에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노래 및 노래 반주 파일을 변환된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몇 개의 서브밴드(subband)로 분할한다. 서브밴드로 분할된 오디오의 각 서브밴드별 에너지를 측정한다(S330).
상기 서브밴드별 측정된 에너지를 바탕으로하여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한다(S340).
서브밴드별 에너지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은 노래 장르별로 미리 결정된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보다 긴 계산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요청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의 오디오 특성에 상응하는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가 결정되므로 노래 장르별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 결정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보다는 포렌식 마크 검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는 상기 단계 S320과 상기 단계 S340에서 결정된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에 상응하여 포렌식 마크를 삽입한다(S350).
포렌식 마크 삽입기(130)는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 IFFT)을 수행한다(S360).
노래 다운로드 서버(120)는 노래 또는 노래 반주를 요청한 노래방 기기(200)에 전송할 상기 단계 S300 내지 S360이 수행된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노래 또는 노래 반주 파일을 생성한다(S370).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노래방 파일 서비스 시스템 110 : 노래 파일 저장소
120 : 노래 다운로드 서버 130 : 포렌식 마크 삽입기
140 : 포렌식 마크 확인 서버 150 : 포렌식 마크 데이터베이스
200 : 노래방 기기 210 : 오디오 연결 장치
220 : 오디오 녹음 장치 300 : 검출 단말기
310 : 녹음기 320 : 포렌식 마크 검출기
330 : 포렌식 마크 질의기

Claims (1)

  1.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특성에 따른 포렌식 마크 삽입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삽입 강도에 따라 포렌식 마크를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포렌식 마크가 삽입된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역 주파수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보호 방법.
KR1020120146886A 2012-12-14 2012-12-14 음원 보호 방법 KR20140079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86A KR20140079542A (ko) 2012-12-14 2012-12-14 음원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86A KR20140079542A (ko) 2012-12-14 2012-12-14 음원 보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542A true KR20140079542A (ko) 2014-06-27

Family

ID=5113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886A KR20140079542A (ko) 2012-12-14 2012-12-14 음원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5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 et al. Survey on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126918B2 (en) Using embedded data with file sharing
US200600313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file sharing
US8499159B2 (en) Method and system embedding a non-detectable fingerprint in a digital media file
US200500213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media object
AU20083145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reate a media measurement reference databas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ed sources
US201501936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201400410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20030061490A1 (en) Method for identifying copyright infringement violations by fingerprint detection
US20080288629A1 (en)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tracking content usage over a network
EP1785890B1 (en) Using embedded data with file sharing
WO2008106378A1 (en) Associating rights to multimedia content
US20200019677A1 (en) Monitor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Items
US20110307362A1 (en) Method of Pay for Performance Accounting
US20080288365A1 (en)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payment determination
KR100834978B1 (ko)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4534463A (ja) 拡張された電子透かし計算方法
KR20030015742A (ko)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및 무단 배포 추적 시스템
KR20140079542A (ko) 음원 보호 방법
JP4990823B2 (ja) 違法コンテンツ判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違法コンテンツ判定支援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80288504A1 (en)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recording and reporting content usage
Herre Content based identification (fingerprinting)
AU201525213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reate a media measurement reference databas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ed source
AU2013260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reate a media measurement reference databas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ed source
KR20050072344A (ko) 오디오 신호의 상세 정보 취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