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235A -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235A
KR20140079235A KR1020120148972A KR20120148972A KR20140079235A KR 20140079235 A KR20140079235 A KR 20140079235A KR 1020120148972 A KR1020120148972 A KR 1020120148972A KR 20120148972 A KR20120148972 A KR 20120148972A KR 20140079235 A KR20140079235 A KR 2014007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display
interes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찬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9235A/ko
Publication of KR2014007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을 개시한다.
단말기와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Method and A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in Vehicle}
본 실시예는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위치한 단말기에 출력된 단말영상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영상을 분석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관심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하여 차량 내에 구비된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계기판은 운전석의 정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인식하기 용이한 시각적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 및 주행과 관련된 각종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역할의 차량용 계기판은 차량에 설치된 센서 및 각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계측기 또는 램프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한편, 이러한 차량용 계기판은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하는 추세이지만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나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연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운전자가 전방주시를 태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 내에 위치한 단말기에 출력된 단말영상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영상을 분석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관심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하여 차량 내에 구비된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와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 내 거치 또는 매립되어 단말영상을 생성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영상과 기 저장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영상의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영상을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과정;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클러스터 표시장치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차량 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는 단말영상 수신과정; 상기 단말영상과 기 저장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상 설정과정; 상기 관심영상을 캡쳐, 영상 인식, 문자 인식 및 윤곽 인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관심영상 추출과정; 상기 추출된 관심영상의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출력영상 변환과정; 및 상기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출력영상 제공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에 위치한 단말기에 출력된 단말영상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영상을 분석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관심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하여 차량 내에 구비된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할 때 발생하는 전방주시 태만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단말기의 정보 및 차량의 정보를 통합하여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출력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에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부분에 구비된 클러스터 표시장치 즉, 계기판에 영상 및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차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륜차, 기차, 선박 및 비행기 등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에 영상 및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클러스터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영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된 영상장치(100)는 영상 처리장치(120) 및 클러스터 표시장치(1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운전자에 의해 영상장치(1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에 거치 또는 매립된 단말기(예컨대, 내비게이션, 차량용 컴퓨터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영상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영상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단말기(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무선 단말기(Wireless Terminal), 랩톱(Laptop) 및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단말기(110)는 영상장치(100)와 연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즉,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단말기(11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한 VM(Virtual Machine) 및 애플리케이션을 말하고, 단말기(110)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인 경우 단말기 내에 기 설치된 연결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iOS, 안드로이드(Android), 윈도 폰 7(Windows Phone 7) 등과 같은 각종 OS(Operating System) 환경에 맞게 구현 또는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구비된 화면에 출력되는 단말영상을 영상장치(100)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말기(110)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문자 및 알람 등에 대해 출력되는 단말영상을 영상장치(100)에 전송하고, 단말기(110)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인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길안내 및 알림에 대해 출력되는 단말영상(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 표시 등)을 영상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영상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영상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단말기(110)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예컨대, 24핀 케이블 등), 표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미니 HDMI, 마이크로 HDMI, HDMI 1.x, DVI, S/PDIF(옵티컬 방식 또는 코엑시얼 방식) 등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영상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다이(WiD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차량용 영상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기(110)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영상을 기 저장된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단말영상을 분석하고,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추출한다. 또한, 영상 처리장치(120)는 추출된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하여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전송한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기(110)가 전송하는 단말영상을 수신한다. 예컨대,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기(110)가 차량에 연결된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에서 전화, 문자 및 알람 등에 대해 출력되는 영상을 단말영상으로 수신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기(110)가 차량에 매립된 내비게이션인 경우, 내비게이션에 출력되는 지도, 좌회전, 우회전, 직진, 유턴 등과 같은 길안내 영상을 단말영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수신된 단말영상을 기 저장된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단말영상을 분석하고,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관심영상은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단말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기준영상은 단말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기 저장된 영상으로서, 단말영상이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경우 전화표시, 문자표시, 알람표시 및 글자표시 등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은 단말영상이 내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경우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표시 등의 영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처리장치(120)는 기 저장된 기준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영상 전체를 관심영상으로 설정한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설정된 관심영상을 캡쳐, 영상 인식, 문자 인식 및 윤곽 인식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영상에 대한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등을 변경하여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관심영상은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설정에 근거하여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고정값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영상 중 좌회전 표시만이 관심영상으로 추출된 경우, 영상 처리장치(120)는 좌회전 표시에 해당하는 관심영상의 크기 및 해상도를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크기인 5인치에 적합하도록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장치(120)는 변환된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장치(130)는 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되어 차량에 대한 복수 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클러스터 표시장치(130)는 전반적인 차량의 정보 예컨대, 속도, RPM, 연료 게이지, 냉각수 온도 및 기타 차량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 표시장치(130)는 눈금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액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표시장치(130)는 영상 처리장치(120)로부터 출력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32)에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전반적인 차량의 정보 예컨대, 속도, RPM, 연료 게이지, 냉각수 온도 및 기타 차량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와는 별도로 구현된 화면으로서, 클러스터 표시장치(130) 즉, 차량용 계기판의 중앙에 LED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계기판의 좌, 우, 상 및 하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의 외부에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2)는 영상 처리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출력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설정에 따라 차량정보에 대한 영상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출력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영상 수신부(210), 관심영상 설정부(220), 관심영상 추출부(230), 변환부(240) 및 출력영상 제공부(250)를 포함한다.
단말영상 수신부(210)는 단말기(110)에 출력되는 단말영상을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말영상 수신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출력된 단말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장치(120)에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영상 수신부(210)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예컨대, 24핀 케이블 등), 표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미니 HDMI, 마이크로 HDMI, HDMI 1.x, DVI, S/PDIF(옵티컬 방식 또는 코엑시얼 방식) 등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말기(110)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다이(WiD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110)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영상을 단말기(110)에 출력되는 하나의 프레임일 수 있으나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한 영상일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영상 수신부(210)는 차량에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전화, 문자 및 알람 등에 대해 출력되는 영상을 단말영상으로 수신할 수 있고, 단말영상 수신부(210)는 차량에 매립된 내비게이션에 출력되는 지도, 좌회전, 우회전, 직진, 유턴 등과 같은 길안내 영상을 단말영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관심영상 설정부(220)는 단말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단말영상을 분석하여 관심영상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관심영상 설정부(220)는 수신된 단말영상을 기 저장된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단말영상을 분석하고,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관심영상은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단말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영상은 단말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기 저장된 영상으로서, 단말영상이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경우 전화표시, 문자표시, 알람표시 및 글자표시 등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은 단말영상이 내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경우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표시 등의 영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관심영상 설정부(220)는 기 저장된 기준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영상 전체를 관심영상으로 설정한다.
관심영상 추출부(230)는 단말영상에서 관심영상을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심영상 추출부(230)는 단말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관심영상을 캡쳐, 영상 인식, 문자 인식 및 윤곽 인식 등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관심영상 추출부(230)는 지도, '100 M 전방' 표시 및 좌회전 표시를 포함하는 단말영상에서 관심영상에 해당하는 '100 M 전방' 표시 및 좌회전 표시를 캡쳐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관심영상은 출력영상으로 변환되어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전송된다.
변환부(240)는 관심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영상으로 변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변환부(240)는 관심영상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관심영상에 대한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등을 변경하여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한다. 변환부(240)는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설정에 근거하여 관심영상의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고정값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출력된 단말영상 중 좌회전 표시만이 관심영상으로 추출된 경우, 변환부(240)는 좌회전 표시에 해당하는 관심영상의 해상도를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크기에 근거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영상 제공부(250)는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에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기(110)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한다(S310). 여기서, 영상 처리장치(1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영상을 수신하는데, 예컨대, 영상 처리장치(120)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예컨대, 24핀 케이블 등), 표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미니 HDMI, 마이크로 HDMI, HDMI 1.x, DVI, S/PDIF(옵티컬 방식 또는 코엑시얼 방식) 등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말기(110)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다이(WiD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110)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말영상과 기 저장된 기준영상을 비교한다(S320). 기준영상은 단말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기 저장된 영상으로서, 단말영상이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경우 전화표시, 문자표시, 알람표시 및 글자표시 등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은 단말영상이 내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경우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표시 등의 영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단계 S320에서 비교한 결과 단말영상 내에 기준영상에 매칭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30),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하여 추출한다(S340). 여기서, 관심영상은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단말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장치(120)는 기 저장된 기준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영상 전체를 관심영상으로 설정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30에서 단말영상 내에 기준영상에 매칭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장치(120)는 영상을 처리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추출된 관심영상에 대한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등을 변경하여 관심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한다(S350). 여기서, 영상 처리장치(120)는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설정에 근거하여 관심영상의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고정값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제공한다(S360).
클러스터 표시장치(130)는 영상 처리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370).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은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서 전반적인 차량의 정보 예컨대, 속도, RPM, 연료 게이지, 냉각수 온도 및 기타 차량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와는 별도로 구현된 화면으로서, 클러스터 표시장치(130) 즉, 차량용 계기판의 중앙에 LED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계기판의 좌, 우, 상 및 하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의 외부에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7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7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단말기(110)가 통신단말기 즉,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연결된 차량용 영상장치(100)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스마트폰은 '사무실~' 이름으로 저장된 번호에서 전화가 오면, 시간, 전화번호, 전화 표시, 및 '사무실~'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영상을 영상 처리장치(120)에 전송한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기 저장된 기준영상과 단말영상을 비교하여 전화 표시, 및 '사무실~'에 대한 영역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표시, 및 '사무실~'에 대한 영역의 영상을 관심영상으로 캡쳐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영상의 크기 및 해상도를 클러스터 표시장치(130)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32)인 5인치 화면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결된 차량용 클러스터 영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단말기(110)가 내비게이션 단말기 즉,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영상장치(100)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내비게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길안내를 수행하면,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 표시 차선정보 및 안내 멘트 등을 포함하는 단말영상을 영상 처리장치(120)에 전송한다.
영상 처리장치(120)는 기 저장된 기준영상과 단말영상을 비교하여 좌회전 표시 및 안내 멘트에 대한 영역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좌회전 표시 및 안내 멘트에 대한 영역의 영상을 관심영상으로 캡쳐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영상의 크기 및 해상도를 클러스터 표시장치(130)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32)인 5인치 화면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클러스터 표시장치(13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장치 110: 단말기
120: 영상 처리장치 130: 클러스터 표시장치
132: 디스플레이부 210: 단말영상 수신부
220: 관심영상 설정부 230: 관심영상 추출부
240: 변환부 250: 출력영상 제공부

Claims (17)

  1. 단말기와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 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장치는,
    상기 단말영상과 기 저장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상 설정부;
    상기 관심영상을 추출하는 관심영상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관심영상을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상은,
    상기 기준영상과 매칭되는 상기 단말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통신단말기인 경우, 전화표시, 문자표시, 알람표시 및 글자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인 경우,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 표시, 차선정보 및 안내 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상 설정부는,
    상기 기 저장된 기준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영상에 대한 전체영역을 상기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상 추출부는,
    상기 기준영상에 매칭되는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관심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관심영상을 캡쳐, 영상 인식, 문자 인식 및 윤곽 인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관심영상에 대한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장치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영상을 수신하는 단말영상 수신부; 및
    상기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출력영상 제공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통신단말기인 경우 전화, 문자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에 대한 출력화면을 상기 단말영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인 경우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 표시 차선정보 및 안내 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영상을 상기 단말영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표시장치는,
    상기 출력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클러스터 표시장치의 좌, 우, 상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13. 차량 내 거치 또는 매립되어 단말영상을 생성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영상과 기 저장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영상의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 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영상을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과정; 및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영상을 입력받아 클러스터 표시장치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처리방법.
  15.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영상을 수신하는 단말영상 수신과정;
    상기 단말영상과 기 저장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영역을 관심영상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상 설정과정;
    상기 관심영상을 캡쳐, 영상 인식, 문자 인식 및 윤곽 인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관심영상 추출과정;
    상기 추출된 관심영상의 크기, 해상도,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출력영상 변환과정; 및
    상기 출력영상을 클러스터 표시장치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출력영상 제공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처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상 설정과정은,
    상기 기 저장된 기준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영상의 전체영역을 상기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처리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상 설정과정은,
    상기 단말기가 통신단말기인 경우, 전화표시, 문자표시, 알람표시 및 글자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기준영상으로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인 경우, 지도, 좌회전 표시, 우회전 표시, 직진 표시, 유턴 표시, 차선정보 및 안내 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기준영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처리방법.
KR1020120148972A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KR20140079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72A KR20140079235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72A KR20140079235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235A true KR20140079235A (ko) 2014-06-26

Family

ID=5113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972A KR20140079235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2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57B1 (ko) * 2018-05-28 2019-06-05 주식회사 디젠 Avn 장치와 연동되는 정보 공유 장치
KR101986156B1 (ko) * 2018-05-28 2019-06-05 주식회사 디젠 정보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57B1 (ko) * 2018-05-28 2019-06-05 주식회사 디젠 Avn 장치와 연동되는 정보 공유 장치
KR101986156B1 (ko) * 2018-05-28 2019-06-05 주식회사 디젠 정보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content based on gestures
US10235117B2 (en) Display control system
CN104521223B (zh) 具有无需手动的紧急反应的头戴式电脑
US9807300B2 (en)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a background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51417A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US10315516B2 (en) Driving-support-image generation device, driving-support-image display device, driving-support-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support-image generation program
US20130335320A1 (en)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US10049498B2 (en) Video conver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0177295B (zh) 字幕越界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60080298A1 (en) Method for generating emot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40115445A1 (en) Web page viewing server, web page viewing system, and web page viewing method
KR20140079235A (ko) 차량용 영상장치 및 영상 처리방법
JPWO2018042976A1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記録媒体、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20115695A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리프로그래밍 시스템
JP2014153095A (ja) 情報表示装置
JP2009266061A5 (ko)
KR101793156B1 (ko) 신호등을 이용한 차량 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15330B1 (ko)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80114367A1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maging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00134267A1 (en) Vehi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CN113432614A (zh) 车辆导航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023821B2 (ja) コンテンツ認知時間を用いた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方法
KR2021015714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958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5309U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버스운행정보 안내전광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