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639A -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639A
KR20140078639A KR20147008201A KR20147008201A KR20140078639A KR 20140078639 A KR20140078639 A KR 20140078639A KR 20147008201 A KR20147008201 A KR 20147008201A KR 20147008201 A KR20147008201 A KR 20147008201A KR 20140078639 A KR20140078639 A KR 2014007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access
user contex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640B1 (ko
Inventor
쳉 황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7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2)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S304)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S3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증강현실 컨텍스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METHOD FOR ACCESSING AUGMENTED REALITY USER CONTEX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텔리전트 단말,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의 성숙 및 발전에 따라 실험실에만 제한되었던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아래 AR라고 약칭) 기술은 사람들의 시선에 들어오기 시작하였고 많은 영상 식별, 단말 위치 포지션 기술에 기반한 네트워크/모바일 네트워크 AR 애플리케이션이 대량 나타났는데 모바일 증강현실(Mobile AR) 애플리케이션으로 불리며 이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고 기술 연구 중심으로 되었다.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의 연구 및 응용에 의하여 가상의 증강현실 정보를 현실 세계에 응용하여 사용자가 주위 세계를 관찰하는 방식을 전통적인 텍스트 입력에 기반한 웹(WEB) 엑세스 조사 모드로부터 카메라 촬영에 기반하여 핫스팟(hotspot)을 포착하고 증강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방문하는 액세스하는 새로운 모드로 변환시켰다.
모바일 증강현실 사용자가 모바일 증강현실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위 사물을 촬영하면서 증강현실 업무 체험을 얻을 경우, 하기와 같은 상황이 존재한다: 사용자의 이동 단말에서 운행되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AR Application)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AR 업무 사업자가 배치한 증강현실 타겟(AR Target), 예를 들어 지리 위치에 관련되는 핫스팟(관심 지점이라고도 불리움. Point Of Interest, 아래 POI라고 약칭)을 포착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타겟에 대응되는 문자, 사진, 오디오, 비디오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트(AR Content)를 획득한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지리 지문 정보(예를 들어, 경도, 위도, 방향 등)를 결합하여 획득한 증강현실 콘텐트와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주위의 실제의 풍경 정보를 스크린에 융합 표시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되는 획득한 증강현실 콘텐트와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화면을 단말의 스크린에서 융합시켜 과장 표시하여 형성된 관찰 도면인 증강현실뷰(Augmented Reality View, 아래 AR View라고 약칭)을 사용자에 나타낸다. 이로인하여 사용자가 남다른 증강현실 업무를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증강현실 타겟을 정확히 발견하고 증강현실 콘텐트를 정확히 과장하기 위하여 증강현실 업무를 사용할 경우, 시스템이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 아래 GPS라고 약칭) 모듈이 보고한 단말의 지리 위치와, 나침반, 중력가속기가 수집한 단말의 방향, 지면 협각 등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액세스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아래 PC라고 약칭)에 비하여 이동 단말의 지속적인 계산력은 여전히 제한되었고 기존의 AR 시스템 및 그 애플리케이션이 단말 컨텍스트를 채집하여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동 단말의 전력소비량이 크고, 예를 들어, 단말의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 장치가 위치 측정을 수행할 때마다 긴 시간(30초~수분)동안 위성 신호를 수색하여 소비전력이 크며 전기량이 제한된 이동 단말에는 큰 부담을 주게 된다. 그리고 최적한 초기 위치 측정 시간(Time to First Fixed, 아래 TTFF라고 약칭)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부분의 단말의 GPS 장치는 위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다운로드하고 계속하여 ON상태이며, 이에 대응되어 전력소비가 증가되고 이로인하여 전지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단말 스크린에서의 표시 역시 전력을 소비하게 됨으로 기존의 AR 단말 컨텍스트에 액세스하는 방안에 의하면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에 장기적 지원을 제공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의 능력에 의하면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조작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고 이로인하여 때로는 능력 부품의 전력소비를 낭비하게 되고 증강현실 단말의 전지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 중의 최소한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도록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함으로써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증강현실 컨텍스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부분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업무를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또다른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또다른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충돌되지 않는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1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업무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증강현실 단말(100)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강현실 단말(1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인텔리전트 단말일 수 있고, 모바일 증강현실 업무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단말측 능력 부품을 구비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로 증강현실 타겟 및/혹은 콘텐트의 획득을 요구하도록 설치되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는 네트워크측에 배치되는 기능앤티티로 요구에 따라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하고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하여 획득하며, 증강현실 타겟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를 증강현실 단말(100)로 전송한다.
증강현실 단말(1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증강현실 업무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로, 기본적인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외 사용자에 증강현실 업무 체험을 제공하고 단말은 단말 능력 부품(110)과,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120)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한다.
단말 능력 부품(110)은 모바일 증강현실 업무의 실현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 및 전시를 담당하고 실시간으로 사용자 주위의 물리 세계의 실제 풍경 정보(Camera View)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여기서 비디오 메모리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로 실시간으로 촬영한 실제 풍경 정보를 캐시(cache)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카메라로 촬영한 실제 풍경 정보를 증강현실 콘텐트로 장식하여 과장시켜 증강현실 콘텐트뷰(Augmented Reality View, 아래 AR View로 약칭)를 나타내는 표시 스크린과, GPS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단말 위치 정보(예를 들어, 경도, 위도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아래 GPS로 약칭)모듈과, 예를 들어 카메라 방향, 지면과의 협각 등의 사용자 단말 상태를 수집하는 나침반, 센서와, 증강현실 타겟의 특징의 스캐닝, 입력 및 추출하는 전파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아래 RFID로 약칭) 리더, 2차원 바코드 스캐너, 영상 식별, 컴퓨터 시각 처리 등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120)은 모바일 증강현실 업무가 실현하는 단말측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가 제공한 증강현실 업무의 하위층 지원 능력에 액세스하고 증강현실 업무의 하위층 지원 능력에 의하여 예를 들어 증강현실 멀티미디어 광고 애플리케이션, 증강현실 네비게이션(navigation) 애플리케이션, 증강현실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 서로 다른 형태의 증강현실 업무 체험을 제공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는 모바일 증강현실 업무 시스템 중의 단말측의 기능 앤티티로, 단말 능력 부품(110)(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 나침반, 센서 등)이 수집한 증강현실 단말(100)의 실시간 상태에 액세스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에 증강현실 타겟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를 획득하도록 요구하며, 획득한 증강현실 콘텐트와 카메라로 촬영한 실제 풍경의 융합 전시를 제어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120)으로 요구한 정보를 반송하고 사용자의 교류를 지원하고 증강현실 측정 보고 등 지원 능력을 제공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는 모바일 증강현실 업무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측의 기능 앤티티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의 요구 및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설정에 따라 사용자에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 증강현실 콘텐트의 선택 및 획득, 증강현실 타겟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전송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로 하기 기능 앤티티를 포함한다.
1)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에 있어서, 수신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의 요구 혹은 증강현실 타겟, 증강현실 콘텐트의 전송에 관련되는 푸시(push) 요구에 따라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하고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하여 획득한다.
2)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320).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가 사용자 개별화 취미 및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한다.
사용자 개별화 취미의 설정 및 관리는
1) 증강현실 타겟 검색 취미, 예를 들어 검색 반경, 검색 유형, 증강현실 타겟 특징.
2) 증강현실 콘텐트 획득 취미, 예를 들어 증강현실 콘텐트 특징 등.
3) 증강현실 타겟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푸시 설정, 예를 들어 미리 설정한 푸시 조건 중의 사용자 컨텍스트(사용자 위치, 단말 상태), 미리 설정한 푸시 조건 중의 푸시 시간.
4) 사용자 컨텍스트의 수집 및 사용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컨텍스트가 사용자 및 사용하는 단말의 현재 상태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1) 사용자 현재 상태, 예를 들어 사용자 지리 위치, 사용자 표현 정보,
2) 증강현실 단말(100)의 상태, 예를 들어, 스크린 사이즈, 남은 전기량, 기억공간 등을 포함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330)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에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증강현실 콘텐트 발포 관련 정보의 기억 및 관리를 수행하고, 주로 하기를 포함한다.
1) 증강현실 타겟 배치 정보의 관리, 최소한 증강현실 타겟 식별자, 증강현실 타겟 유형, 분류, 기술, 관련되는 증강현실 콘텐트 식별자와 그 증강현실 타겟과의 관계를 포함한다.
2) 관련되는 증강현실 콘텐트 발포 정보의 관리, 최소한 증강현실 콘텐트 식별자,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 식별자, 증강현실 콘텐트 발포 상태, 증강현실 콘텐트 배치 규칙 및 증강현실 콘텐트 액세스 주소, 액세스 제어 전략 등을 포함한다.
3) 증강현실 콘텐트 캐시 전략 관리,
4) 증강현실 콘텐트 본지 캐시 관리.
단말 위치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검색할 경우, 보고된 단말 위치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의 검색에 이용되는 동시에 그것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전시하여야 하지만 단말 위치 측정에 대한 쌍방의 정밀도 요구는 서로 다르다. 검색 센터와 시스템에 배치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와의 거리가 멀 경우, 이때 단말 능력 부품(110)(GPS 모듈)이 지속적으로 작업하여 단말 위치를 수집하여 보고하면 증강현실 타겟을 정확히 검색할 수 있지만 타겟/콘텐트를 전시할 가치가 작고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와 타겟의 배치 위치 거리에 근거하여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고 사용자가 증강현실 타겟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경우, 정확한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말의 위치 측정을 대략 만족시킬 경우, 위치 수집 보고 회수를 감소시켜 증강현실 타겟에 접근할 때의 단말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영상 식별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검색할 경우, 단말 위치의 보고를 통하여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의 검색 범위를 축소시키고 특징 정합(matching) 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외의 경우, GPS 모듈이 보고한 단말 위치에 의하여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의 범위를 구분하고 영상 촬영 지점 부근의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배치 수량에 근거하여 단말 위치 측정의 정밀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하고, 실내의 경우, 위성 신호가 약하고 GPS 모듈이 작업할 수 없음으로 실외에 배치한 타겟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단말 위치의 수집을 잠시 정지시키고 제일 가까운 기지의 단말 위치 혹은 현재 정합 타겟을 기준으로 타겟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작업 지시에 따라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120)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에 증강현실 타겟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에의 액세스를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이 단말 능력 부품(110)에 증강현실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수집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증강현실 단말의 컨텍스트는 현재 단말 위치(예를 들어, GPS 경도, 위도), 현재 단말 방향, 현재 단말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등을 포함한다. 단말의 설정에 따라 단말 능력 부품(110)은 디폴트의 작업 모드로 GPS 장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포함한 상기 증강현실 단말의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에 보고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는 보고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 및 사용자가 입력한 취미(예를 들어, 검색 반경, 타겟 특징 등)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로 송신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 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상기 요구 중의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320)이 기록한 단말의 현재 위치, 단말의 능력 부품의 동작 상태(ON, OFF), 동작 모드(위치 측정 정밀도) 등을 포함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 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330)에 증강현실 타겟 요구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획득 요구를 송신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330)은 상기 요구에 포함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개별화 취미에 근거하여 지리 위치에 기반한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 특징 정합에 기반한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을 포함한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을 수행하는데, 증강현실 콘텐트의 배치 규칙에 기반한 콘텐트의 선택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트의 획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 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하기의 상기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의 조작에 관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또한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320)에 기록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동작 모드 및 사용자 개별화 취미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 행위의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데, 구체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1)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현재 단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검색된 제일 가까운 증강현실 타겟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 예를 들어 1km 떨어진 곳에 있지만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가 고정밀도 모드로 작업하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검색된 제일 가까운 증강현실 타겟으로부터 가까운 곳, 예를 들어 50m 떨어진 곳에 있지만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가 저정밀도 모드로 작업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 개별화 취미 설정에 의하여 최적화 제어가 허락되었으면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단말 능력 부품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의 하강 혹은 향상을 포함한 최적화 제어 유형 및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2)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확정한 검색 범위 내의 정합 대상인 증강현실 타겟 수량을 계산한다.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확정한 검색 범위 내의 정합 대상인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이 많으면, 예를 들어 10000개 있으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가 저정밀도 모드로 작업하거나, 혹은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확정한 검색 범위 내의 정합 대상인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이 적어서 예를 들어 100개이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가 고정밀도 모드로 작업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 개별화 취미 설정에 의하여 최적화 제어가 허락되었으면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단말 능력 부품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의 향상 혹은 하강을 포함한 최적화 제어 유형 및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3) 실외에 배치된 증강현실 타겟과 현재 실내 식별 타겟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실외에 배치된 제일 가까운 증강현실 타겟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 예를 들어 1km 떨어진 곳에 있지만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기능이 여전히 ON 되어있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 개별화 취미 설정에 의하여 최적화 제어가 허락되었으면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단말 능력 부품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기능의 일시적 정지 및 시간 추측의 일시적 정지를 포함한 최적화 제어 유형 및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면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310)은 확정한 최적화 제어 유형 및 파라미터에 따라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로 반송한다.
일반적으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응답을 통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메시지에서 독립하는 기타 메시지를 통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1)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통지 메커니즘을 구독함으로써 이 최적화 제어 지시를 획득할 수 있고, 혹은
2)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이 최적화 제어 지시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주동적으로 푸시할 수도 있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120)에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반송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는 수신한 최적화 지시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110)에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의 업무 수행 상태로 단말 능력 부품의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행위를 동적으로 조절한다.
실시예2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시스템의 한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2)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2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는 한 세트의 동적 정보로 이 동적 정보는 증강현실 사용자의 현재 상태 및 그 부근 환경의 기술에 이용된다. 이러한 한세트의 동적 정보를 다수의 소스(source)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소스는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 (Open Mobile Alliance, 아래 OMA로 약칭) 인에이블러(OMA Enabler)를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2)를 개선시킴으로써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한다. 구체적으로 최적화를 실현함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2)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한 후 그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고 그 다음 그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함으로써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증강현실 컨텍스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2)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204)가 협력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204)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고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2)에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도록 통지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함으로써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증강현실 컨텍스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관리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의 최적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적화 조작이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의 변경 및/혹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 및/혹은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시킴으로써 증강현실 단말 중의 능력 부품의 전력소비를 실현하고 기존 기술에 있어서 능력 부품의 전력소비의 낭비로 인하여 증강현실 단말의 전지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전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술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능력 부품은 GPS 부품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3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의 한 바람직한 흐름도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한다(S302).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한다(S304).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한다(S306).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함으로써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증강현실 컨텍스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가 서로 다른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정보가 접근가능성 및/혹은 현재 작업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가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의 정보가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정밀도,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이 GPS 위치 측정, 기지국 위치 측정 및 와이파이 기술(Wireless Fidelity, 아래 Wi-Fi라고 약칭) 위치 측정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이 OMA 능력 부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며 수집한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확정하고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와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비교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반송한 기타 미 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반송한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정보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 정보가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중의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 중의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의 정보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기타 미 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가 적당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이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변경하는 단계 및/혹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를 일시적 정지 혹은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이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단계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을 요구한다(S402).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반송한 증강현실 타겟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S404).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계산하여 얻은 제일 가까운 거리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한다(즉,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할 것인가를 판단한다)(S406).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F1~F3: 사용자 조작 지시 혹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업무 논리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의 관련 기능을 ON하고 단말 위치(예를 들어, GPS 경도, 위도), 단말 방향 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단계F4~F6: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는데, 이 요구에 단말 GPS 위치, 방향(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위치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한다고 한다)등 및 예를 들어 검색 반경, 타겟 특징 등의 사용자 입력 취미를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포함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 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상기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 중의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단계F7~F8: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이 증강현실 타겟 검색 조건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획득 조건을 구성하고 그것을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에 송신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그 조건 중의 단말의 현재 위치 및 검색 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하고 관련되는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획득한다. 그리고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판단에 의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을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하고 여기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정보가 증강현실 타겟의 한가지 속성이고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이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에 기록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동작 모드를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을 통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일 가까운 거리와 함께 획득한 증강현실 콘텐트 및/혹은 타겟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F9~F10: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하고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에 기록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동작 모드 및 사용자 개별화 취미를 결합하여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타겟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단말 위치를 정확히 위치 측정할 필요가 없다) 이로인하여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의 하강 및 조절후의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 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를 변경하는 단계, 예를 들어, GPS 위치 측정을 기지국 위치 측정 혹은 Wi-Fi 위치 측정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전력소비가 기지국 위치 측정 혹은 Wi-Fi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전력소비보다 높음으로 상기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의 변경 조작에 의하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전력소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단계F11~F12: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 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요구에 따라 단말 위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하강시키고(예를 들어, 10m로부터 100m로 조절) GPS 장치와 위성 사이의 통신 및 계산량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킨다.
단계F13~F15: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다시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최적화 모드로(저정밀도) 증강현실 단말 위치를 수집하여 보고한다.
단계F16~F22: 상기한 F4~F10에 유사한 단계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고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에 근거하여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제일 가까운 거리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가 가까우므로(예를 들어, 50m)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제어 지시에 의하여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킨다고 한다.
단계F23~F24: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 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요구에 따라 단말 위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예를 들어, 100m로부터 10m로 조절) 단말과 증강현실 타겟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이 실시간으로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과장 전시하도록 허락한다.
실시예4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한다(S602).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한다(S604).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도록 통지한다(S606).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함으로써 기존 기술에 있어서 증강현실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증강현실 컨텍스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가 서로 다른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정보가 접근가능성 및/혹은 현재 작업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가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의 정보가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정밀도,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이 GPS 위치 측정, 기지국 위치 측정 및 Wi-Fi 위치 측정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이 OMA 능력 부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고, 수집한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확정하고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와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하여 반송한 기타 미 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가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하여 반송한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정보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 정보가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중의 최적화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중의 최적화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의 정보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기타 미 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가 적당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이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에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변경하는 단계 및/혹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에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을 일시적 정지 혹은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단말 능력이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단계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5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요구에 따라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하고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하여 획득한다(S702).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에 근거하여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S704).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계산한 거리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하고(즉,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할 것인가를 판단)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S706).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는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가 단말 위치에 근거하여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고,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F1~F3: 사용자의 조작 지시 혹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업무 논리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의 관련 기능을 ON하며 단말 위치(예를 들어, GPS 경도, 위도), 단말 방향 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단계F4~F6: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로 송신하는데, 그 요구는 단말GPS 위치, 방향(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위치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한다고 한다)등 및 예를 들어 검색 반경, 타겟 특징 등의 사용자 입력 취미를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상기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 중의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단계F7~F8: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 검색 조건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획득 조건을 구성하고 그것을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에 송신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그 조건 중의 단말의 현재 위치 및 검색 반경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하고 관련되는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판단에 의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 배치 정보를 결합하여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
단계F9~F10: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계산한 거리에 근거하여 또한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에 기록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동작 모드 및 사용자 개별화 취미를 결합하여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타겟과 멀리 떨어져있고 단말 위치의 정확한 위치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인하여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의 하강 및 조절 후의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 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한다고 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에의 응답을 통하여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와 최적화 제어 지시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
단계F11~F12: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 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요구에 따라 단말 위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하강(예를 들어, 10m로부터 100m로 조절)시킴으로써 GPS 장치와 위성 사이의 통신 및 계산량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 예를 들어, GPS 위치 측정으로부터 기지국 위치 측정 혹은 Wi-Fi 위치 측정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전력소비가 기지국 위치 측정 혹은 Wi-Fi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전력소비보다 높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시키는 조작에 의하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단계F13~F15: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다시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최적화 모드(저정밀도)로 증강현실 단말 위치를 수집하여 보고한다.
단계F16~F22: 상기한 F4~F10에 유사한 단계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여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에 근거하여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하고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가 가까우므로(예를 들어, 50m)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통하여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킨다고 한다.
단계F23~F24: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요구에 따라 단말의 위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예를 들어, 100m로부터 10m로 조절) 단말과 증강현실 타겟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이 실시간적으로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과장하여 전시하도록 허락한다.
실시예6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특징에 근거하여 식별한 증강현실 타겟 검색 요구를 수신한다(S902).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검색 범위내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 수량을 계산한다(S904).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계산한 수량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하고(즉,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할 것인가를 판단)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S906).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는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가 실외에서 영상 식별에 근거하여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고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F1~F3: 사용자의 조작 지시 혹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업무 논리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 관련 기능을 ON하며 단말 위치(예를 들어, GPS 경도, 위도), 단말 방향 및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프레임 혹은 영상 특징 기술자 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단계F4~F6: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는데, 그 요구는 단말GPS 위치, 방향 및 식별 대상의 영상 프레임(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식별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한다고 한다)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 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상기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단계F7~F8: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 검색 조건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획득 조건을 구성하고 그것을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에 송신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조건 중의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 검색 범위를 확정하고 조건 중의 영상 특징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 정합을 수행하고, 또한 관련되는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판단에 의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 배치 정보를 결합하여 검색 범위내의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F9~F10: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계산한 수량에 근거하여 또한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에 기록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동작 모드 및 사용자 개별화 취미를 결합하여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검색 범위내의 정합 대상의 타겟 수량이 적고 고정밀도의 위치 측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인하여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의 향상 및 조절후의 정밀도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한다고 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의 응답을 통하여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와 최적화 제어 지시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
단계F11~F12: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요구에 따라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하강(예를 들어, 10m으로부터 100m로 조절)시킴으로써 GPS 장치와 위성 사이의 통신 및 계산량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 예를 들어, GPS 위치 측정으로부터 기지국 위치 측정 혹은 Wi-Fi 위치 측정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전력소비가 기지국 위치 측정 혹은 Wi-Fi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전력소비보다 높음으로 상기한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시키는 조작에 의하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단계F13~F16: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다시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최적화 모드(저정밀도)로 증강현실 단말 위치를 수집하여 보고한다.
상기한 F4~F10에 유사한 단계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고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 범위를 확정하고 검색 범위 내의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 수량을 계산하며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때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 수량이 많음으로(예를 들어, 1000개, 정합에 필요한 계산량이 많다)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통하여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킨다고 한다.
단계F17~F18: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 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요구에 따라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예를 들어, 100m로부터 10m로 조절) 단말과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 범위를 축소시키고 증강현실 타겟의 식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7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요구에 따라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하고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하여 획득한다(S1102).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에 근거하여 기타 제일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을 확정하고 기타 제일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S1104).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계산한 거리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파단하고(즉,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할 것인가를 판단)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S1106).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의 전송 방법의 기타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300)는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200)가 실내에서 영상 식별에 근거하여 검색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고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F1~F3: 사용자의 조작 지시 혹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업무 논리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의 관련 기능을 ON하며 단말 위치(예를 들어, GPS 경도, 위도), 단말 방향 및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프레임 혹은 영상 특징 기술자 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실내의 위성 신호가 약하고 GPS 장치가 단말의 위치 측정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혹은 기타 위치 측정 기술(예를 들어, 기지국 삼각 위치 측정)을 통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혹은 새로운 이미 알고 있는 단말 위치를 다시 이용하거나 혹은 단말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단계F4~F6: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는데, 그 요구는 단말 위치(선택 사항), 방향 및 식별 대상의 영상 프레임(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식별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을 검색한다고 한다)등을 포함한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포함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 중의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상기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단계F7~F8: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 검색 조건 및/혹은 증강현실 콘텐트 획득 조건을 구성하여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에 송신한다.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조건중의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정합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검색 범위를 확정하고 조건 중의 영상 특징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타겟의 정합을 수행하고 또한 관련되는 증강현실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판단에 의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관리 기능은 증강현실 타겟 배치 정보를 결합하여 실외의 제일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 즉 실외에 배치되었고 현재 검색 범위에 제일 가까운 증강현실 타겟을 확정하고 그 증강현실 타겟과 현재 정합 타겟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계산한다.
단계F9~F10: 선택 사항으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가 새로운 이미 알고 있는 단말 위치를 다시 이용하였거나 혹은 단말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 증강현실 타겟 식별에 성공한 후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이 식별한 타겟의 배치 위치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 중의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컨텍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F11~F12: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은 계산한 거리에 근거하여 또한 증강현실 개별화 및 컨텍스트 기능에 기록된 사용자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의 작업 상태 및 사용자 개별화 취미를 결합하여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콘텐트/타겟 선택 기능이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실외의 제일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GPS 위치 측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인하여 GPS 장치의 위치 측정 기능의 일시적 정지 및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추측 시간 등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한다고 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의 응답에 의하여 획득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와 최적화 제어 지시를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
단계F13~F14: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 부품의 최적화 제어 지시중의 제어 유형 및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능력 부품은 요구에 따라 GPS 장치의 위치 측정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GPS 장치와 위성 사이의 통신 및 계산량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킨다.
단계F15~F16: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하도록 다시 요구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단말 컨텍스트 수집 요구를 송신한다. 최적화 모드이므로 단말 능력 부품인 GPS 장치는 위치 측정 기능을 ON하고 증강현실 단말 위치를 측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F4~F12에 유사한 단계로,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획득 요구를 구축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에 송신하고 증강현실 타겟/콘텐트를 획득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실외에서 제일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을 확정하고 그 제일 관련되는 증강현실 타겟과 현재 식별하는 증강현실 타겟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며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제어 지시를 생성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반송한다.
단계F17~F18: GPS 장치의 위치 측정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시간이 경과한 후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단말 능력 부품에 제어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부품에 GPS 장치의 위치 측정 기능을 ON하도록 지시한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는 수신한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검색 요구의 유형(지리 위치에 기반 혹은 특징 식별에 기반) 및 증강현실 타겟/콘텐트 검색 결과(증강현실 타겟과의 거리 및 배치 수량)에 근거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위치 측정 정밀도의 변경, 단말 계산량의 절감,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위치 수집 회수의 절감, 지속적 작업 시간의 절감, 단말 능력 부품의 단말 위치의 수집을 일시적으로 정지 혹은 기지의 단말 위치의 재사용 등의 단말 능력 부품(GPS 모듈, 각종 센서)의 행위에 최적화 제어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이로인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업무의 수요를 만족시킬 경우, 단말 컨텍스트에의 효율적 액세스(중복 수집 및 보고를 피면)를 실현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부품(GPS 모듈, 각종 센서)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한 본 발명의 각 모듈 혹은 각 단계를 범용 계산장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고 단일 계산장치에 집중시키거나 혹은 다수의 계산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분포시킬수 있고, 또한 계산장치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실현할 수 도 있으므로, 기억장치에 기억하여 계산장치에 실행시키거나 혹은 각각 집적회로 모듈으로 만들거나 혹은 그중의 다수의 모듈 혹은 단계를 하나의 집적회로 모듈으로 만들어 실현할 수 도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량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48)

  1.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는 상기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는 서로 다른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정보는 접근가능성 및/혹은 현재 작업 상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는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의 정보는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정밀도,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이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 위치 측정, 기지국 위치 측정 및 와이파이 기술(Wi-Fi) 위치 측정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은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 능력 부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며,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집한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와 상기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비교하여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터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반송한 기타 미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반송한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의 정보는,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의 정보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 중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 중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의 정보는,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기타 미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적당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은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는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변경하는 단계 및/혹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1.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의 최적화 단계는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을 일시적 정지 혹은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2.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이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이용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단계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5.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수집한 정보 및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확정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 및/혹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에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도록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는 서로 다른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정보는 접근가능성 및/혹은 현재 작업 상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는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의 정보는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정밀도,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방식이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 위치 측정, 기지국 위치 측정 및 와이파이 기술(Wi-Fi) 위치 측정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1.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관련되는 정보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이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 능력 부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3.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4.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획득한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를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수집한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확정하고,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와 상기 확정한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5. 청구항 33 또는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6. 청구항 33 또는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하여 반송한 기타 미 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7. 청구항 33 또는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증강현실 서버가 검색하여 반송한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8. 청구항 33 또는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의 정보는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39.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상태의 정보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 중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의 유형, 혹은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의 수요에 대응되는 현재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능력 중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의 유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0.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현재 증강현실 업무 환경의 정보는
    검색된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기타 미획득 증강현실 타겟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제일 가까운 거리,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이언트 부근의 식별 대상의 증강현실 타겟의 수량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1.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적당한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2.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은 증강현실 단말 위치 측정 능력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4. 청구항 42 또는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는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정밀도를 변경하는 단계 및/혹은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5. 청구항 42 또는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에의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단계는 증강현실 단말의 위치 측정을 일시적 정지 혹은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6. 청구항 42 또는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 능력이 상기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에 이용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7.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는 단계가 획득 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능력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증강현실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KR1020147008201A 2011-08-27 2012-05-08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KR101892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49312.2A CN102958114B (zh) 2011-08-27 2011-08-27 访问增强现实用户上下文的方法
CN201110249312.2 2011-08-27
PCT/CN2012/075182 WO2013029388A1 (zh) 2011-08-27 2012-05-08 访问增强现实用户上下文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639A true KR20140078639A (ko) 2014-06-25
KR101892640B1 KR101892640B1 (ko) 2018-08-28

Family

ID=4775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201A KR101892640B1 (ko) 2011-08-27 2012-05-08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25923A1 (ko)
EP (1) EP2750438B1 (ko)
JP (1) JP6279468B2 (ko)
KR (1) KR101892640B1 (ko)
CN (3) CN106603688B (ko)
WO (1) WO2013029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0626B2 (en) * 2015-10-28 2018-02-2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ultimedia events from a client
CN107024980A (zh) 2016-10-26 2017-08-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用户位置定位方法及装置
JP6816492B2 (ja) * 2016-12-14 2021-01-2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WO2018179644A1 (ja) * 2017-03-27 2020-02-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10235123B2 (en) * 2017-04-07 2019-03-19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nder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WI642002B (zh) * 2017-04-14 2018-11-21 李雨暹 適地性空間物件可視範圍管理方法與系統
CN109117034A (zh) * 2017-06-23 2019-01-01 卢俊谚 线上整合扩增实境的编辑装置与系统
CN110020981A (zh) * 2019-03-27 2019-07-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图像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7268138B2 (ja) * 2019-03-29 2023-05-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ユーザ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2050734A1 (en) * 2020-09-03 2022-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contents and devices in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023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4081B2 (en) * 1999-03-02 2008-01-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gmented-reality system for situation-related suppor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engineering apparatus
AU2002366902A1 (en) * 2001-12-21 2003-07-09 Nokia Corporation Location-based novelty index value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159026A (ja) * 2002-11-06 2004-06-03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測位切替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CN1980463B (zh) * 2005-11-29 201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上下文的管理方法
CN100470452C (zh) * 2006-07-07 2009-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三维增强现实的方法及系统
US8050690B2 (en) * 2007-08-14 2011-11-01 Mpanion, Inc. Location based presence and privacy management
EP2193825B1 (en) * 2008-12-03 2017-03-22 Alcatel Lucent Mobile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N101754407B (zh) * 2008-12-16 2013-02-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业务访问请求的方法、服务器和系统
JP5320133B2 (ja) * 2009-03-31 2013-10-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サーバ、通信端末、および情報提示方法
US8228234B2 (en) * 2009-08-27 2012-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av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096392B1 (ko) * 2010-01-29 2011-12-22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499762B2 (ja) * 2010-02-24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EP2393056A1 (en) * 2010-06-02 2011-12-07 Layar B.V. Acquiring, ranking and displaying points of interest for use in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sioning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uch ranked points of interests
US8890896B1 (en) * 2010-11-02 2014-11-18 Google Inc. Image recognition in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US9271114B2 (en) * 2011-01-17 2016-02-23 Lg Electronics Inc. Augmented reality (AR) target updating method, and terminal and server employing same
US20120293547A1 (en) * 2011-05-20 2012-1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Access To And Life Cycles Of Virtual Signs
CN102214000B (zh) * 2011-06-15 2013-04-10 浙江大学 用于移动增强现实系统的目标物体混合注册方法及系统
US8972667B2 (en) * 2011-06-28 2015-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changing data between memory controllers
EP2745236A1 (en) * 2011-08-18 2014-06-25 Layar B.V. Computer-vis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023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03688B (zh) 2020-05-05
EP2750438A4 (en) 2015-08-19
CN106790268B (zh) 2020-09-15
CN102958114A (zh) 2013-03-06
JP6279468B2 (ja) 2018-02-14
CN106790268A (zh) 2017-05-31
CN102958114B (zh) 2017-10-03
EP2750438B1 (en) 2017-07-05
JP2014531632A (ja) 2014-11-27
WO2013029388A1 (zh) 2013-03-07
KR101892640B1 (ko) 2018-08-28
CN106603688A (zh) 2017-04-26
US20140225923A1 (en) 2014-08-14
EP2750438A1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640B1 (ko) 증강 현실 사용자 컨텍스트에의 액세스 방법
RU2597885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изменение приложений для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US9609473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0775123B1 (ko) 영상 객체 인덱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객체 인덱싱시스템
KR101251861B1 (ko) 근접도 기반 애드혹 네트워크에 기초하는 위치 추적
US8682348B2 (en) Methods, device and systems for allowing modification to a service based on quality information
CN103260059B (zh) 控制机顶盒设备、位置信息确定和信息发布的方法和设备
CN1312952C (zh) 移动通信终端和无线通信系统
US20150312876A1 (en) Monitoring a quality of a terrestrial radio based positioning system
EP2525591A1 (en) Indoor map distribution
AU2015307177A1 (en) Selective crowdsourcing of location-related data
CN109059933A (zh) 用于室外与室内地图之间的无缝移动用户体验的方法
CN103501379A (zh) 电力管理方法
JP2006121688A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感知されるサービス品質マップを決定するための管理サーバ
CN105191261A (zh) 对等系统中的内容管理
WO2012174865A1 (zh) 实现移动增强现实业务的系统及方法、终端及服务器
US99492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KR100797759B1 (ko) 이동 단말에서의 자동 위치 등록방법
CN105682031A (zh) 一种自动切换网络定位服务的方法和装置
Bareth Simulating power consumption of location tracking algorithms to improve energy-efficiency of smartphones
CN110247989A (zh) 智能家居设备的地理位置信息获取方法及系统
EP4287704A1 (en) Cel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401641A1 (en) Context information from crowd-sourced data
KR20080045533A (ko) 이동통신 교환국 간의 경계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9902193A (zh) 小区搜索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