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034A -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034A
KR20140078034A KR1020120146203A KR20120146203A KR20140078034A KR 20140078034 A KR20140078034 A KR 20140078034A KR 1020120146203 A KR1020120146203 A KR 1020120146203A KR 20120146203 A KR20120146203 A KR 20120146203A KR 20140078034 A KR20140078034 A KR 2014007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larm
user terminal
event
al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406B1 (ko
Inventor
구윤회
박종원
백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4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4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장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경보 발생 시스템 및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장치는, 경보 발생 장치 상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이 경보대상 단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AUTION-SERVICE FOR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본 발명은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장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경보 발생 시스템 및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홍수, 지진, 화재, 쓰나미, 산사태 등과 같은 재난 피해가 지구온난화 및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고, 건축 현장에서의 붕괴 사고, 고속도로 또는 국도에서의 교통 사고, 가스 누출 사고 등과 같은 재해 사고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재난 또는 재해에 의한 피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사람들에게 경고함으로써, 자발적인 대처 혹은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공개특허 제 2008-0002092호(발명의 명칭: 무선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산사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는 산사태 판단을 위한 센싱결과 값을 근거로 측정 지역의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확인되면 산사태 발생 경보를 발생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다만, 한국공개특허 제 2008-0002092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산사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산사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나, 산사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특정할 수 없어 경고 효과가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산사태 감지 서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별도의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도 재난 또는 재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이전에 위험 발생 가능성을 인근 지역의 사람에게 알려 대처 및 예방이 가능한 경보 발생 장치 및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영역을 기초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위치 정보를 모드에 따라 다르게 경보 발생 장치로 송신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장치는, 경보 발생 장치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이 경보대상 단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를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정보 측정부;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경보 발생 장치와 연동하여 판단하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보 발생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서비스 모드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영역 밖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대기 모드로 판단하며,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경보 수신모드로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및 사용자 단말의 모드마다 다르게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경보 발생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경보 수신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경보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는 경보 발생 장치에서 센싱 정보를 기초로 판단되고, 센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시스템은,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 및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 간에 공유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행부를 포함하고, 경보 발생 장치는 경보 발생 장치 상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이 경보대상 단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공유 정보는 센싱 정보, 경보 정보 및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가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단계;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중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을 경보대상 단말로 판단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경보 발생 장치에 의하면, 재난 또는 재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이전에 다양한 형태의 대처 및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경보 발생 장치는 정확하게 타겟팅된 사용자 단말로 서버를 경유할 필요 없이 직접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할 영역을 관리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 단말을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와 함께 이용하면, 사용자 단말이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직접 경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신속하게 인근 지역의 사람들이 대피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재로 인한 사고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의 모드에 따라 위치 정보 수집에 대한 시간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제안하는 경보 발생 시스템은 방재 경고 서비스를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고, 하드웨어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수집부(130)에 수집되는 기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경보 발생 장치(1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경보 발생 장치(1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경보 발생 장치(1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경보 발생 장치(100)가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방재 경고 서비스는 재난 또는 재해에 의한 피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사람들에게 경고하여 자발적인 대처 혹은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재난/재해 예방 서비스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네트워크(10)에 의해 연결되고, 경보 발생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 중 일부인 경보대상 단말(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센서(110')는 경보 발생 장치(100)로 센싱 정보를 전달하고, 경보 발생 장치(100)는 처리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해 경보대상 단말(200')과 관공서 서버(20) 중 적어도 하나로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경보 발생 장치(100)는 센서(11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관공서 서버(20) 등의 기타 서버를 거치지 않으면서 타겟팅된 경보대상 단말(200')로 직접 경보 정보를 전달하므로, 경보대상 단말(200')을 소지한 사람과 그 주변의 사람은 재난 또는 재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네트워크(10)를 통해 경보 발생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서의 경보 발생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100)는 송수신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110, 1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센싱 정보는 센서의 종류, 타입 또는 성능에 종속될 수 있고, 송수신부(120)는 와이파이 증폭기 등과 같은 증폭회로를 포함한 장치와 연결되어 송수신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센서(110, 1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경보 발생 장치(100)에 설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원격지에 설치되어 유선 혹은 무선 통신(예를 들어, TCP 통신)을 통해 센싱 정보를 전달한다. 즉, 센서(110)는 경보 발생 장치(100)로 센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경보 발생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치되며, 재난 또는 재해 예방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센서의 종류 또는 성능에 맞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인 경우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지진이나 산사태 위험 지역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반도체 가스 센서인 경우 농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가스 누출 가능 지역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200')로 송신하는데, 경보대상 단말(2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가스 센서에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가스 농도가 감지된 경우 가스 누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고, 기설정된 임계 값은 2 단계 이상으로 구분되어 경고 이벤트, 위험 이벤트, 대피 이벤트 등의 발생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20)에 의해 경보대상 단말(200')로 송신되는 경보 정보는 발생하는 이벤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텍스트, 영상,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한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수집부(130)에 수집되는 기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는, 타겟팅된 경보대상 단말(200')로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이러한 기기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사항 또는 위치 변동 사항이 반영되어 갱신된 위치정보, 사용자 단말(200)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 및 사용자 단말(200)의 포트(POR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위치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마다 '경도/위도=127.5/43.123' 혹은 '경도/위도=127.49/44.111'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IP 정보는 '123.100.1.7', '100.100.8.21'과 같은 형태로서, 각 사용자 단말을 서로 구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20001'과 같이 표기된 포트 정보는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기기정보는 전화번호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추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기 정보를 데이터 수집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한다. 설정된 시간 조건이란 사용자 단말(200)의 모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사용자 단말(200)의 모드는 경보 발생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서로 연동하여 판단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상술한 센서(110)에서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00)이 경보대상 단말(200')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센싱 정보가 가스 농도 정보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40)는 기설정된 가스 농도 임계 값과 센싱된 가스 농도 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가스 농도 정보가 가스 농도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40)는 가스 누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40)는 위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00)이 경보대상 단말(200')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영역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경보 발생 장치(1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의 각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리 설정된 영역은 도 4처럼 토지 지번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고 가상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국가에서 제공해주는 지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리자는 일정 범위를 추출할 수 있고, 관리자는 경보 발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추출한 일정 범위를 방재 경고 서비스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은 도 5처럼 관리자 단말에 의해 2 이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2 이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마킹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마킹(Marking)이란 상술한 방재 경고 서비스를 위한 가상의 영역인 메쉬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초 작업을 의미하고, 가상의 영역 생성에 사용되는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해 일종의 표시를 남기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마킹은 서비스 관리자와 같이 일정 권한을 부여 받은 자에 의해 마킹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마킹은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의 특정 버튼이나 일정 영역을 누르거나 미리 결정된 모션을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특별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일 예처럼 관리자가 ㉠ 및 ㉡과 같은 서로 상이한 2개의 지점에서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마킹" 아이콘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마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은 마킹 시에 발생한 마킹 신호가 감지되는 ㉠ 및 ㉡ 지점의 좌표데이터를 측정 및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도록 제한되고, 위험 지역 또는 경보를 통한 예방이 필요한 지역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킹 기술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 정보는 경도 및 위도데이터를 나타내는 2차원 데이터일 수 있고, 경도, 위도 및 높이 데이터를 나타내는 3차원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처럼 2 이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메쉬데이터가 도 5처럼 생성되고, 경보 발생 장치(100)는 생성된 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경보대상 단말(200')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경보대상 단말(200')에 재해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미리 설정된 영역은 도 6처럼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원 형상의 중심점에 경보 발생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경보 발생 장치(100)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원 형상의 영역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데이터 처리부(140)는 원 형상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경보대상 단말(200')로 판단할 수 있다. 혹은 도 6과 같이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2 이상의 원형 영역이 미리 설정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40)는 경보 발생 장치(100)로부터 반경 1km 내 영역(A)을 경보 발령 영역으로 지정하고, 반경 2 km 내 영역(A+B)을 사용자 위치 수집 영역으로 지정하며, 그 이외 영역(C)을 안전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센서(1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경보 발생 장치(100)는 사용자(a)와 특별한 액션을 취하지 않고, 사용자(b)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c)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경보 발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A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B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보다 자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100)는 수집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직접 경보 정보를 송신한다. 이처럼 관공서 서버나 기타 서버를 경유할 필요 없이 경보 발생 장치(100)에서 경보대상 단말(200')로 직접 경보 정보를 전달하므로, 매우 신속하게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고 경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실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주변 사람들과 함께 미리 대처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100)가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보 발생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특별하게 제한된 것이 아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경보 발생 장치(100)의 외형에 대해 설명하면, 가장 꼭대기 부근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102)가 설치되어 자가 발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송수신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40)가 폴의 중간 부근 혹은 지면 아래에 설치되면서 박스(104)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경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나 소리 재생장치 등이 폴의 상단 부근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경보 발생 장치(100)는 외부 센서(110') 혹은 경보 발생 장치(100)에 장착된 센서(110)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도 7처럼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경보 발생 장치(100)는 특정 위험 지역이라 판단되어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a, a', a")의 기기 정보를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한다. 기기 정보 수집 과정은 후술할 사용자 단말 내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경보 발생 장치(100) 간의 연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경보 발생 장치(100)는 지속적으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특정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한 경보대상 단말에 일괄적으로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a, a')은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 시점에 특정 위험 지역을 벗어났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b)은 특정 위험 지역에 진입했을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경보 발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a", b)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보대상 단말이 a", b라고 판단하고, 경보대상 단말(a", b)의 기기 정보를 기초로 이들 단말에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100)는 송수신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처리부(140)와 함께 동기화 수행부(150) 및 환경설정 관리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기화 수행부(150)는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100)가 2 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필요할 수 있고, 경보 발생 장치 간에 센싱 정보, 경보 정보 및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환경설정 관리부(160)는 관리자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블루 투스(Bluetooth)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방식에 의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환경설정 관리부(160)는 상술한 경보 정보와 데이터 처리부에서 이루어지는 판단을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이란 생성, 변경, 삭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장치를 이용하면, 재난 또는 재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이전에 다양한 형태의 대처 및 예방이 가능하다. 즉, 경보 발생 장치는 정확하게 타겟팅된 사용자 단말로 서버를 경유할 필요 없이 직접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할 영역을 관리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설정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재 경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중 하나인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받고, 특히 경보 발생 장치에 의해 경보대상 단말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은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방재 경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 중인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단말 구입 시점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혹은 위험 지역 인근에 배치된 QR 코드/ NFC 태그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 정보 측정부(210), 모드 판단부(220) 및 통합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에 어플리케이션 내에 위 구성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위 구성들이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상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밖에, 사용자 단말(200)은 GPS(202),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04),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206), 정보의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입력용 UI 처리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측정부(210)는 GPS(202)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위치 변동 사항을 체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측정부(210)는 좀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IPS와 연동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측정부(210)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의 모드마다 다르게 설정된 시간 조건을 기초로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경우에만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 동안에는 동작을 멈춰 배터리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모드 판단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100)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200)의 모드를 판단하고, 이러한 과정은 경보 발생 장치(100)와 연동되며, 사용자 단말의 모드는 서비스 모드, 대기 모드, 경보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판단부(220)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하는 경우 서비스 모드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영역 밖에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하는 경우 대기 모드로 판단하며, 경보 발생 장치(100)로부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경보 수신모드로 판단한다. 이때, 이벤트의 발생 여부는 경보 발생 장치(100)에서 센싱 정보를 기초로 판단되고, 센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것이다.
도 7을 다시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a, a', a")은 특정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므로 서비스 모드 상태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b)은 특정 위험 지역 밖에 위치하므로 대기 모드 상태일 수 있으며, 경보 발생 장치(100)로부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a")은 경보 수신모드 상태일 수 있다.
통합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마다 다르게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는 경보 발생 장치(100) 측으로 기기 정보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간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기기 정보는 경보대상 단말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 발생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미리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b)은 미리 설정된 영역 안으로의 진입 여부만을 판단 받으면 되므로, 경보 발생 장치(100)로 빈번하게 기기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a, a', a")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보 발생 장치(100)로 자주 기기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통합 제어부(230)는 서비스 모드 또는 경보 수신모드로 판단된 경우 대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보다 경보 발생 장치(100)로 위치 정보를 빈번하게(짧은 주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인 경우 1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경보 발생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고, 서비스 모드 또는 경보 수신모드인 경우 10초 내지 30초 간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230)는 경보 수신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206)에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경보 발생 장치(100)의 관점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경보대상 단말(200')에 해당하고, 경보 발생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의 기기 정보를 기초로 경보 정보를 전송한 것이다. 여기서, 경보 정보는 동영상, 사진, 음성,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데이터의 패킷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제어부(230)는 경보 수신모드인 경우 화면(206)에 경보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나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방재 경고 서비스를 위한 경보 정보를 수신하면 가장 우선적으로 화면(206)을 통해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고, 경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 화면 혹은 일부 화면상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와 함께 이용하면, 재난 또는 재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이전에 다양한 형태의 대처 및 예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단말이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직접 경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신속하게 인근 지역의 사람들이 대피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재로 인한 사고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덧붙여, 사용자 단말의 모드에 따라 위치 정보 수집에 대한 시간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재 경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해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경보 발생 시스템(300)은 이미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구현될 수 있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시스템(300)은,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311, 312, 313) 및 동기화 수행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311, 312, 313)는 각각 동종 혹은 이종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송수신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40)의 성능은 처리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의 개수와 비례하는데, 그 성능은 하드웨어 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성능의 한계를 상호 보완하기 위해 경보 발생 시스템(300)은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311, 312, 313)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보 발생 장치(311, 312, 313)는 송수신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데이터 처리부(140)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00)이 경보대상 단말(200')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동기화 수행부(320)는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311, 312, 313) 간에 공유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경보 발생 시스템(300)의 전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유 정보는 센싱 정보, 경보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경보 발생 시스템(300)은 방재 경고 서비스를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경보 발생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 혹은 경보대상 단말(200')에 대해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 후술할 각 단계는 반드시 기술된 순서에 맞추어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설정한다(S1010). 미리 설정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관리자 단말에 의해 지정될 수 있고, 형태나 크기 등은 특별한 제한 없이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S1010 단계에서 영역은 관리자 단말에 의해 2 이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 또는 토지 지번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S1010 단계에서 영역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원 형상의 중심점에 경보 발생 장치(100)가 설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경보 발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한다(S1020). 이때, 설정된 시간 조건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보 발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중 상술한 S1010 단계에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을 경보대상 단말(200')로 판단한다(S1030).
경보 발생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040).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No), 반복적으로 혹은 일정 시간 간격마다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Yes) 경보 발생 장치(100)는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200')로 송신한다(S1050).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면, 재난 또는 재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이전에 다양한 형태의 대처 및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서비스 제공방법은 정확하게 타겟팅된 사용자 단말(경보대상 단말)로 서버를 경유할 필요 없이 직접 경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할 영역을 관리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8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8에서 상술한 경보 발생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각각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저장부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경보 발생 장치 200: 사용자 단말
200': 경보대상 단말

Claims (14)

  1.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 장치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경보대상 단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경보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경보대상 단말로 판단하는 경보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관리자 단말에 의해 2 이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 또는 토지 지번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는 것인, 경보 발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 형상의 중심점에 상기 경보 발생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 상기 경보 정보 및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다른 경보 발생 장치와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자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고, 상기 경보 정보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이루어지는 판단을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환경설정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발생 장치.
  7.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정보 측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경보 발생 장치와 연동하여 판단하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경보 발생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서비스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밖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대기 모드로 판단하며, 상기 경보 발생 장치로부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경보 수신모드로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마다 다르게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상기 경보 발생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보 수신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상기 경보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는 상기 경보 발생 장치에서 센싱 정보를 기초로 판단되고, 상기 센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모드 또는 상기 경보 수신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대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보다 상기 경보 발생 장치로 빈번하게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경보 수신모드인 경우 상기 화면에 상기 경보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1.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보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 및
    상기 복수의 경보 발생 장치 간에 공유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발생 장치는
    상기 경보 발생 장치 상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경보대상 단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센싱 정보, 상기 경보 정보 및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경보 발생 시스템.
  12. 경보 발생 장치가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재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을 경보대상 단말로 판단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경보 정보를 상기 경보대상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2 이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 또는 토지 지번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역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 형상의 중심점에 상기 경보 발생 장치가 설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20146203A 2012-12-14 2012-12-14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KR101411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03A KR101411406B1 (ko) 2012-12-14 2012-12-14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03A KR101411406B1 (ko) 2012-12-14 2012-12-14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34A true KR20140078034A (ko) 2014-06-25
KR101411406B1 KR101411406B1 (ko) 2014-06-26

Family

ID=5112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203A KR101411406B1 (ko) 2012-12-14 2012-12-14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109B1 (ko) * 2014-08-14 2015-01-14 (주)테크윈시스템 예측 정보 기반의 원방 감시제어시스템
JP2018132832A (ja) * 2017-02-13 2018-08-23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警告・警報システム
KR102577030B1 (ko) * 2022-11-11 2023-09-11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8324B2 (ja) * 2010-03-31 2015-08-26 富士通株式会社 災害情報処理装置
KR20120027969A (ko) * 2010-09-14 2012-03-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20130427A (ko) * 2011-05-23 2012-12-03 (주)옴니텔 재난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190278B1 (ko) * 2011-06-13 2012-10-10 주식회사 지오매니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발생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109B1 (ko) * 2014-08-14 2015-01-14 (주)테크윈시스템 예측 정보 기반의 원방 감시제어시스템
JP2018132832A (ja) * 2017-02-13 2018-08-23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警告・警報システム
KR102577030B1 (ko) * 2022-11-11 2023-09-11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406B1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y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disaster management: State-of-the-art and prospects
AU2015287352B2 (en) Personal hazard detection system with redundant position registration and communication
US9721458B2 (en) Distributed sensor network
US9019096B2 (en) Rapid deployable global sensing hazard alert system
TWI527481B (zh) 用於啓動緊急信標信號之方法及裝置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4601716A (zh) 基于手机的地震云监测及预警网络系统
JP5490490B2 (ja) 危険感知システム
KR20140042087A (ko) 지진 정보 감지 및 통보 시스템
Sikder et al. Smart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KR1012022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 셋을 이용한 사용자 호신 관리 시스템
KR101411406B1 (ko) 방재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EP3809386B1 (en) Guardian service provision system, program, and guardian service provision method
US11889463B2 (en) Violation citation system and method
US20190164401A1 (en) Object tracking system
Mori et al. Configuration-free propagation system for early fire alerts
EP28707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 emergency beacon signal
Adikpe et al. A Review on Technology-Based Contact Tracing Solutions and Its Appli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Mirz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location based smart catastrophe monitoring system using wsn
Mori et al. Early Fire Alert System during an Evacuation with Mobile Sensing Technology
Brar et al. A Novel IoT-based Framework for Indoor Rescue Operations
JP6725077B2 (ja) 対災害システム、情報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Maurya et al. Localization problem in disaster management smartphone application
Brar et al. Efficacy of a Novel Cloud-Centric Internet of Things Based Framework for Victim Localization in Context of Disaster Situation in Large Commercial Complexes
Lesas Mobiquitous Systems Applied to Earthquake Monitoring: the SISMAPP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