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759A -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759A
KR20140077759A KR1020120146877A KR20120146877A KR20140077759A KR 20140077759 A KR20140077759 A KR 20140077759A KR 1020120146877 A KR1020120146877 A KR 1020120146877A KR 20120146877 A KR20120146877 A KR 20120146877A KR 20140077759 A KR20140077759 A KR 2014007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request
data
channel
terminal
cont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석
이숙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759A/ko
Publication of KR2014007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들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을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소스 단말(Source)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데이터 채널의 할당을 요청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목적 단말(Destination)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로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호 간에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DIREC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단말들 간에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들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을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소스 단말(Source)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데이터 채널의 할당을 요청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목적 단말(Destination)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로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접 통신이란 기지국의 중재 또는 제어 없이 단말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접 통신은 재난 상황 등과 같이 기지국이 파손되거나 기지국이 없는 상태에서 단말간에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셀룰러 통신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들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으로는 셀룰러 통신을 위한 자원 중 일부를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을 위한 단말들 간 직접 통신 전용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과 셀룰러 통신을 위한 자원이 셀룰러 통신과 직접 통신에 동시에 이용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셀룰러 통신을 위한 자원 중 일부를 셀룰러 망 내에 있는 단말들을 위한 단말들 간 직접 통신 전용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은,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망의 기지국들이 단말들 상호 간에 직접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 영역인 일정한 주파수 영역(100)을 미리 할당한다. 이러한 주파수 영역(100)은 셀룰러 망의 기지국의 제어 없이 직접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들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셀룰러 망의 영역을 벗어난 단말들은 해당 주파수 영역(100)을 통해 직접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단말들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들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스(Source) 단말에서 목적(Destination) 단말로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소스 단말이 자신의 ID를 나타내는 소스 ID, 상기 목적 단말의 ID를 나타내는 목적 ID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링크 적응 정보(Link adap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을 통해 상기 목적 단말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목적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들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들 상호 간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말들 간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셀룰러 망의 기지국들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채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소스 단말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소스 단말이 목적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목적 단말이 소스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단말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소스 단말이 목적 단말로 추가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채널을 선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채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채널은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 및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채널에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 및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은 각각 1:1:1로 대응된다. 예를 들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및 데이터 채널(260a)은 1:1:1로 대응되는 채널들에 해당하고,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b),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b) 및 데이터 채널(260b)은 1:1:1로 대응되는 채널에 해당한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채널을 각각 n개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 및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예시한 각 채널의 수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은 단말들 간에 직접 통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소스 단말은 목적 단말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상기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을 통해 전송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을 요청한다. 상기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을 통해 전송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은 소스 단말의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대한 목적 단말의 응답 또는 기존에 할당된 데이터 채널에 대한 소스 단말의 선점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즉, 목적 단말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을 통해 소스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여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을 통해 소스 단말로 전송한다.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은 소스 단말과 목적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통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소스 단말은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을 통해 목적 단말로부터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채널(260a 내지 260n)을 통해 데이터를 목적 단말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소스 단말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 #1(220a)을 통해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면 목적 단말이 그에 대한 응답으로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 #1(240a)를 통해 해당 소스 단말로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소스 단말이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 #1(240a)을 통해 목적 단말로부터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채널 #1(260a)를 통해 해당 목적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은 소스 단말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스 단말이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단말의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소스 ID(source ID, 320), 데이터를 수신하는 목적 단말의 ID를 나타내는 목적 ID(destination ID, 340)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변조(Modulation), 부호화율(Coding rate) 등과 같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링크 적응 정보(Link adaption information, 360)를 포함한다. 이때, 모든 단말들은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며 항상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들(220a 내지 220n)을 검색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다수의 단말들이 동일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이용하여 대역폭 요구 메시지들을 전송함에 따라 이들 대역폭 요구 메시지들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 측에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을 통해 성공적으로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으나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에 포함된 목적 ID(340)가 자신의 ID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은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에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다.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을 통해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목적 ID(340)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목적 단말은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가 수신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220a 내지 220n)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240a 내지 240n)에 대역폭 요구 메시지(300)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소스 단말이 목적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소스 단말은 먼저 다수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들(220a 내지 220n) 중 임의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선택한다(S400). 그리고, 소스 단말은 상기 S400 단계에서 선택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자신의 ID를 나타내는 소스 ID, 목적 단말의 ID를 나타내는 목적 ID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링크 적응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402).
그 다음으로, 소스 단말은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을 검색하고(S404), 목적 단말이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6). 상기 S406 단계에서의 판단은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을 통해 목적 단말로부터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4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소스 단말이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을 통해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 이외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하여 백오프(Backoff) 알고리즘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지연 후(S408),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임의로 선택하여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반면, 상기 S4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소스 단말이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을 통해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전송한 목적지 단말로 전송한다(S410). 그리고, 해당 목적지 단말에 추가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2). 상기 S41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목적지 단말에 추가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에 대역폭 선점 신호를 전송하고(S414),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 단말로 전송한다(S41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목적 단말이 소스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은 먼저 다수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들(220a 내지 220n)을 검색하여, 소스 단말로부터 소스 단말의 ID를 나타내는 소스 ID, 목적 단말의 ID를 나타내는 목적 ID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링크 적응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S500).
이때,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은 검색된 다수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들(220a 내지 220n)에서 소스 단말이 전송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S502), 판단 결과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해당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4).
상기 S50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소스 단말이 특정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전송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목적 ID를 갖는 목적 단말은 소스 단말이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에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전송한다(S506).
그리고, 목적 단말은 소스 단말이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소스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S508),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10),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나(S512),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폐기한다(S514).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단말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은 제2 단말(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먼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채널들이 할당된 프레임#1(620)에서 임의로 선택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220a)에 제2 단말(20)의 ID를 목적 ID로 설정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S602). 이때, 제2 단말(20)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제1 단말(10)이 소스 단말에 해당하고, 소스 단말인 제1 단말(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제2 단말(20)이 목적 단말에 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2 단말(20)은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220a)을 검색하여 제1 단말(10)이 전송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220a)에 대응되는 프레임#2(640)에서의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240a)에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전송한다(S604). 제1 단말(10)은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240a)로부터 제2 단말(20)이 전송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고(S606), 제2 단말(20)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220a)에 대응되는 프레임#3(660)에서의 데이터 채널#1(260a)로 전송한다(S608). 그리고, 제2 단말(20)은 데이터 채널#1(260a)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
한편,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소스 단말인 제1 단말(10)이 프레임#3(660)에서의 데이터 채널#1(260a)로 목적 단말인 제2 단말(20)에 송신하고자 하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여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10)은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220a)을 이용하여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지 않고,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240a)로 프레임#3(660)의 다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채널#1에 대한 사용을 알리는 선점 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소스 단말이 목적 단말로 추가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채널을 선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은 제2 단말(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채널들이 할당된 프레임#1(722)에서 임의로 선택한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722)에 제2 단말(20)의 ID를 목적 ID로 설정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S702).
그리고, 제2 단말(20)은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722)을 검색하여 제1 단말(10)이 전송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역폭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목적 ID가 자신의 ID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722)에 대응되는 프레임#2(740)에서의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744)에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전송한다(S704). 제1 단말(10)은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744)로부터 제2 단말(20)이 전송한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고(S706), 제2 단말(20)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722)에 대응되는 프레임#3(760)에서의 데이터 채널#1(766)로 전송한다(S708). 그리고, 제2 단말(20)은 데이터 채널#1(766)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다(S710).
이때, 제1 단말(10)은 프레임#3(760)에서의 데이터 채널#1(766)에 제2 단말(20)로 송신하고자 하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어 추가적인 데이터 채널이 필요한 경우, 프레임#3(760)의 다음 프레임인 프레임#4(780)에서의 데이터 채널#1(786)에 대한 선점을 알리기 위해 프레임#3(760)에서의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764)로 데이터 채널#1(786)의 선점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S712).
만약, 제3 단말(30)이 프레임#2(740)에서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1(742)로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S714), S712 단계에서 제1 단말(10)이 프레임#3(764)에서의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764)로 데이터 채널#1(786)의 선점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므로, 제3 단말(30)은 프레임#3(760)에서의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764)로부터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제2 단말(20)의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백오프 알고리즘에 의해서 일정시간 지연 후 임의의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선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제1 단말(10)은 S712 단계에서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1(764)을 통해 선점을 알린 프레임#4(780)에서의 데이터 채널#1(786)로 추가 데이터를 전송한다(S716). 그리고, 제2 단말(20)은 데이터 채널#1(786)을 통해 해당 추가 데이터를 수신한다(S718).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프레임
220a 내지 220n: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
240a 내지 240n: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
260a 내지 260n: 데이터 채널
300: 대역폭 요구 메시지
320: 소스 ID
340: 목적 ID
360: 링크 적응 정보

Claims (1)

  1. 소스(Source) 단말에서 목적(Destination) 단말로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단말이 자신의 ID를 나타내는 소스 ID, 상기 목적 단말의 ID를 나타내는 목적 ID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링크 적응 정보(Link adap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대역폭 할당 알림 채널을 통해 상기 목적 단말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대역폭 요구 성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쟁기반 대역폭 요구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목적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20146877A 2012-12-14 2012-12-14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40077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77A KR20140077759A (ko) 2012-12-14 2012-12-14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77A KR20140077759A (ko) 2012-12-14 2012-12-14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759A true KR20140077759A (ko) 2014-06-24

Family

ID=511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877A KR20140077759A (ko) 2012-12-14 2012-12-14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7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1395B (zh) 关联的建立方法及装置
US103979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terminal device capability
CN106162511B (zh) 一种d2d中继节点的确定、使用方法及装置
US20190053204A1 (en) Method, transmitting node and receiving node for feedback control of sidelink communication
CN109152086B (zh) 支持按需请求的系统消息的方法和设备
CN102857901A (zh) 终端的发现、发现处理方法及装置
EP35121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KR102482873B1 (ko) 연결 확립 방법 및 장치
EP3001580B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869171B2 (en) Device-to-device D2D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20160045618A (ko) 기기 간(d2d) 통신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03822A (ko)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8511266A (ja) 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CN109041078B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05774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ervice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060117190A (ko) 무선랜 메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3562235A1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first communication node and base station
JP2018500847A (ja) Internet−of−vehicles通信方法および装置
EP3462792B1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980132B1 (ko) 기지국간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EP3484220B1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090170513A1 (en) Mobile station, 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resource request method
JP6497711B2 (ja) リソースブロードキャスト方法およびリソースブロードキャスト装置
KR20140077759A (ko) 직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1002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