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822A -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822A
KR20180103822A KR1020187010834A KR20187010834A KR20180103822A KR 20180103822 A KR20180103822 A KR 20180103822A KR 1020187010834 A KR1020187010834 A KR 1020187010834A KR 20187010834 A KR20187010834 A KR 20187010834A KR 20180103822 A KR20180103822 A KR 2018010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devic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040B1 (ko
Inventor
빈 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로써, 단말 장치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적시적으로 파악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단말 장치로 하여금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약자로 "LTE") 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이 랜덤 액세스를 통해 업링크 동기화 및 업링크 자원 신청을 완료한 후,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약자로 "RRC") 연결 확립 요청(Connection Request)을 통해 네트워크 측에 연결 확립 과정을 개시하며, 이때 네트워크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이동국이 네트워크 측에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자신의 식별 정보(S-TMSI)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식별자는 코어망에 의해 할당되고, mmec +m-TMSI로 구성되되, 여기서 mmec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약자로 "MME")의 식별 정보이고 m- TMSI는 해당 MME에서의 해당 이동국의 유일한 식별자이다. 이와 동시에, 이동국은 선택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약자로 "PLMN")를 리포팅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기지국 장치가 이동국의 S-TMSI를 획득한 후, S1 시그널링을 통해 MME에 통지하고, MME에 의해 이동국의 합법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현재,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약자로 "3GPP")에서는 LTE 시스템에 기반하여 차량 인터넷(V2X) 통신을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서 V2X 단말의 접속은 전반 통신 프로세스의 관건적인 문제이지만, 미래 V2X 통신 시스템은 단일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V2X 단말이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시스템에 접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V2X 네트워크에 대한 V2X 단말의 접속 방식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이다.
본 발명은, V2X 단말이 통신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접속하도록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적시적으로 파악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망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단말 장치로 송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적시적으로 파악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측면에 결부하여,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제1 측면 및 상기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1 측면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에 사용되고,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1 측면의 가능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 및 상기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1 측면의 가능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당 방법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 것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치는,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가 자신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셀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게 알려줄 것을 네트워크 측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측면 및 상기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1 측면의 가능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이 수행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적시적으로 파악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측면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가능한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포워딩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가능한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당 방법에는,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 확립 시에 점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타입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 및 상기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 및 상기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가능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당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코어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코어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되도록, 상기 코어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 성공 시에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적시적으로 파악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측면에 결부하여, 제3 측면의 가능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당 방법에는, 상기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3 측면 및 상기 실시 형태에 결부하여, 제3 측면의 가능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가 제공되는바,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이 포함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되는바,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이 포함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코어망 장치가 제공되는바, 구체적으로, 해당 코어망 장치에는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이 포함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성 노동 없이 이러한 도면을 기초로 다른 도면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다. 다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성 노동 없이 얻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일 수도 있고, V2X 단말 장치를 스케쥴링할 수 있는 노변 장치(Road Side Unit, 약자로 "RSU")일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RSU는 스마트 신호등, 교통 게시판 등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주로 차량 인터넷 V2X 시스템에서 차량 탑재 단말이 차량 시동 시에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확립하는 과정에 적용되며, 데이터 전송의 준비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하나의 사업자(operator)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에 의해 공동 배치되는 V2X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V2X가 복수의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경우 가능한 배치 방식에는, 복수의 사업자가 전용 주파수 대역을 완전 공유하여 V2X 시스템을 배치하는 방식, 복수의 사업자가 전용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나 주파수 자원은 각 사업자에 독립적으로 할당되는 방식 및 복수의 사업자가 여전히 자신의 기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하고 전용 주파수 대역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100)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포함된다.
S110: 단말 장치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단말 장치가 가동된 후 검색된 셀들 중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에 사용되고,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상기 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및/또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약자로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일 수 있고, 상기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는 RRC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S120: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이 수행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Mobile Subscriber Identify, 약자로 "MSI") 또는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fy, 약자로 "TMSI")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또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에 자신의 타입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식별자는 상기 단말 장치가 V2X 타입 단말 장치임을 직접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승용차 또는 트럭 등임을 추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 확립 시에 점용하는 주파수 자원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확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 확립 시에, 네트워크 장치가 V2X 시스템 전용 주파수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V2X 단말 장치라고 확정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코어망 장치로 포워딩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는 접속 주파수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추정해낸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지시하는 식별 정보를 코어망 장치로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Initial UE Message와 같은 S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단말 장치의 타입을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코어망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S130: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인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코어망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리포팅되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포워딩되는 등록 PLMN ID, 단말 장치의 ID 등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단말 장치가 인증된 V2X 단말 장치인지 여부를 검증한다.
인증 성공 후, 코어망 장치는 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와 같은 S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단말 장치가 인증된 V2X 단말 장치임을 확인한다.
S140: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망 장치로부터 인증 성공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사업자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바, 예를 들어, 재구성 메시지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이와 동시에 베어링 설정 관련 물리층 설정,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약자로 "MAC") 계층 구성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2 사업자는 S110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일 수 있는바, 즉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제1 사업자와 제2 사업자에 의해 공동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사업자의 식별 정보는 사업자의 PLMN 번호일 수 있다. 사업자의 PLMN 번호와 주파수 자원 사이에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제2 사업자의 PLMN 번호만 또는 제2 사업자의 주파수 자원 정보만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송신할 것을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S130에서 코어망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말 장치가 인증된 V2X 단말 장치임을 지시하는 정보 내에 제2 사업자의 정보를 포함시켜 반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망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사업자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포워딩하거나, 또는 동작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약자로 "OAM")를 통해 설정된 또는 모니터링된 제2 사업자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에는 통신 확립 유닛(11) 및 송수신 유닛(12)이 포함되며, 통신 확립 유닛(11)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12)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 유닛(12)은 또한, 상기 제1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2)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에 사용되고,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2)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2)은 또한,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 것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기 위한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2)은 또한,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확립 유닛(11)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고, 송수신 유닛(12)은 수신기와 송신기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에는 프로세서(101), 수신기(102), 송신기(103) 및 메모리(10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1)에 의해 실행될 코드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수신기(102)가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103)가 신호를 송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 내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05)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버스 시스템(105)에는 데이터 버스외에도,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더 포함된다.
도2에 도시된 단말 장치(10) 및 도3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도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20)에는 통신 확립 유닛(21) 및 송수신 유닛(22)이 포함되며, 상기 통신 확립 유닛(21)은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이 수행되게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또한,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고 다른 사업자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22)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확립 유닛(21)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 확립 시에 점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22)은 또한,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확립 유닛(21)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고, 송수신 유닛(22)은 수신기와 송신기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200)에는 프로세서(201), 수신기(202), 송신기(203) 및 메모리(20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1)에 의해 실행될 코드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201)는 메모리(204)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수신기(202)가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203)가 신호를 송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00) 내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205)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버스 시스템(205)에는 데이터 버스외에도,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더 포함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20)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200)는 전술한 도1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망 장치(30)에는 송수신 유닛(31) 및 인증 유닛(32)이 포함되며, 상기 송수신 유닛(31)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며, 상기 인증 유닛(32)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31)은 또한,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되게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인증 유닛의 인증 검증 성공 시에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인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해당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다른 사업자의 정보가 단말 장치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동시에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업자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31)은 또한,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수신 유닛(31)은 수신기와 송신기에 의해 구현 가능하고, 인증 유닛(32)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망 장치(300)에는 프로세서(301), 수신기(302), 송신기(303) 및 메모리(30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304)는 프로세서(301)에 의해 실행될 코드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4)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수신기(302)가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303)가 신호를 송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망 장치(300) 내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305)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버스 시스템(305)에는 데이터 버스외에도,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더 포함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어망 장치(30)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300)는 전술한 도1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인 유닛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구속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가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정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명상 편의와 간결성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리는 단지 논리적 기능상의 분리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부품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또는 언급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도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공헌을 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응당 청구항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4)

  1. 단말 장치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에 사용되고,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 것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이 수행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포워딩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 확립 시에 점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타입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5.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코어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코어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되도록, 상기 코어망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 성공 시에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8. 통신 확립 유닛 및 송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확립 유닛은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 것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통신 확립 유닛 및 송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확립 유닛은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코어망 장치의 인증 검증이 수행되게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6.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결 확립 원인 정보는 무선 자원 연결을 확립하는 원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에 대한 식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 유닛은, 수신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타입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확립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자원 연결 확립 시에 점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상기 코어망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연결 확립 원인 정보 및 단말 타입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0.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2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사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1.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3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코어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2. 송수신 유닛 및 인증 유닛이 포함되는 코어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셀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며,
    상기 인증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식별 정보와 주파수 자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사업자의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되게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인증 유닛의 인증 검증 성공 시에 인증 검증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망 장치.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사업자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망 장치.
  34. 청구항 32 또는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사업자와 상기 제2 사업자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망 장치.
KR1020187010834A 2016-01-20 2016-01-20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444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1493 WO2017124333A1 (zh) 2016-01-20 2016-01-20 车联网系统中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822A true KR20180103822A (ko) 2018-09-19
KR102444040B1 KR102444040B1 (ko) 2022-09-15

Family

ID=5936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834A KR102444040B1 (ko) 2016-01-20 2016-01-20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32116B2 (ko)
EP (2) EP3758417B1 (ko)
JP (1) JP6697075B2 (ko)
KR (1) KR102444040B1 (ko)
CN (3) CN111901780B (ko)
ES (1) ES2831719T3 (ko)
HK (1) HK1249694A1 (ko)
SG (1) SG11201803413QA (ko)
WO (1) WO20171243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490A (ko) * 2019-01-16 2021-09-23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5200A1 (en) * 2016-07-18 2018-0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horization of user equipment fo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that has previously been authorized by trusted traffic authority
EP3614713B1 (en) * 2017-04-21 2022-06-01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13348713B (zh) * 2019-06-19 2023-09-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11800789B (zh) * 2019-08-20 2023-04-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配置pc5连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972204B (zh) * 2019-11-27 2023-01-13 达闼机器人股份有限公司 资源配置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网络设备和终端
CN115278733B (zh) * 2022-07-21 2024-05-1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网管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7434A1 (en) * 2008-09-17 2010-03-18 Qualcomm Incorporated Quick system selection and acquisition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5457A1 (de) 2002-06-05 2004-01-08 Siemens Ag Nutzung eines Subscriber Identity Modul durch mehrere mobile Kommunikationsgeräte
GB0422192D0 (en) * 2004-10-06 2004-11-03 Nokia Corp 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523940B (zh) 2006-10-05 2012-07-11 尤利卡股份有限公司 用于进入一地理区域的自动无线授权的系统和方法
CN102612148B (zh) 2006-11-10 2016-04-13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
CN101790206B (zh) 2009-01-22 2012-06-27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内切换的方法
CN101511131B (zh) * 2009-03-04 2010-09-2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路由方法及装置及系统
JP4792512B2 (ja) 2009-04-07 2011-10-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方法
CN102316528B (zh) * 2010-07-06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网络共享资源管理的方法及系统
CN102340843B (zh) 2010-07-14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模式处理方法、网络接入方法及基站
US8576766B2 (en) 2011-08-29 2013-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scheduling of in-band relay node resources
GB2499458B (en) * 2012-02-20 2014-03-26 Broadcom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device-to-device operator identification
CN103580836B (zh) 2012-08-03 2019-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Ue类型上报、资源分配方法及装置、ue、基站
WO2014101180A1 (zh) * 2012-12-31 2014-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共享无线网络的方法、无线网络控制器和核心网
CN104508996B (zh) 2013-06-26 2017-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装置及系统
CN104717720A (zh) 2013-12-13 2015-06-17 香港优克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多通道通信终端
CN105101194B (zh) * 2014-04-28 2019-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安全认证方法、装置及系统
CN105246066A (zh) 2014-07-11 2016-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网络共享的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及系统
CN104363590B (zh) 2014-10-24 2016-05-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接入点连接方法及装置
CN104796891B (zh) * 2015-04-07 2018-02-09 北京旅信顺捷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运营商网络实现安全认证系统及相应的方法
CN104980993B (zh) * 2015-06-19 2017-05-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移动通信终端、网络服务器及网络接入系统
US20180270696A1 (en) * 2015-08-20 2018-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s Access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Wireless Terminal, an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7434A1 (en) * 2008-09-17 2010-03-18 Qualcomm Incorporated Quick system selection and acquisition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419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490A (ko) * 2019-01-16 2021-09-23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전용 코어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56718B2 (en) 2019-01-16 2024-04-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dicated core network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01779B (zh) 2022-10-21
HK1249694A1 (zh) 2018-11-02
EP3361783A4 (en) 2019-05-01
CN111901780A (zh) 2020-11-06
SG11201803413QA (en) 2018-05-30
EP3758417A1 (en) 2020-12-30
JP2019506762A (ja) 2019-03-07
EP3361783B1 (en) 2020-09-30
KR102444040B1 (ko) 2022-09-15
CN108141810A (zh) 2018-06-08
EP3361783A1 (en) 2018-08-15
CN111901779A (zh) 2020-11-06
ES2831719T3 (es) 2021-06-09
CN108141810B (zh) 2020-09-11
WO2017124333A1 (zh) 2017-07-27
US20180324564A1 (en) 2018-11-08
EP3758417B1 (en) 2022-06-29
JP6697075B2 (ja) 2020-05-20
US11432116B2 (en) 2022-08-30
CN111901780B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2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0268753B (zh) 基于预先配置的接入类别来接入采用网络切片的通信系统
US101233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ied attach procedure and mobility and paging support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
CN113630849B (zh) 网络切片的选择方法、无线接入设备和终端
US11638200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vehicular communication smart radio access zones
US104406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V2V communications system
KR20180103822A (ko)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121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EP299144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to network
CN104581843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网络端的处理交递方法及其通信装置
CN102857901A (zh) 终端的发现、发现处理方法及装置
WO2013093724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397260A1 (en) Configuration indication
US20220279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s (sims) associated with a user equipment (ue) to optimize network resources
US2016017426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0735417B2 (en) Network apparatus
JP2020145693A (ja) 車車間・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JP2020074644A (ja) 接続確立方法及び装置
KR20180047171A (ko) 이종 이동통신 규격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