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245A -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245A
KR20140077245A KR1020120144170A KR20120144170A KR20140077245A KR 20140077245 A KR20140077245 A KR 20140077245A KR 1020120144170 A KR1020120144170 A KR 1020120144170A KR 20120144170 A KR20120144170 A KR 20120144170A KR 20140077245 A KR20140077245 A KR 20140077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obile phone
case
car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958B1 (ko
Inventor
최택진
Original Assignee
최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택진 filed Critical 최택진
Priority to KR102012014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9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이 인입 또는 인출되게 수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휴대폰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을 갖으며, 상측 모서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에는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는 일측에 축부를 갖는 작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의 상부에는 인출홈을 갖는 인출면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체결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돌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납홈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패널로 이루어져, 수납부에 안착된 카드를 회전패널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 Card Receiving For Handphone Case }
본 발명은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에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부를 마련하고 수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회전패널을 회전가능하게 케이스 본체에 설치함으로서, 수납부에 안착된 카드를 회전패널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자동차전화처럼 이동통신 지역 내를 임의로 이동하면서 무선 존(zone) 안의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나 다른 이동통신 전화 가입자와 통화가 가능한 전화를 통틀어 이른다. 휴대전화·핸드폰·무선휴대폰·무선휴대전화·포켓전화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린다.
이러한 핸드폰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손안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현대 사회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내비게이션, 카메라, 디지틀음원 MP3(MPEG Audio Layer-3)와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Multi media player)등 많은 부가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앱(APP : Application)이라 불리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더 많은 디지털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소위 4G(4-Generation)데이터통신망과 WiFi(wireless fidelity)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할 수 있음을 물론 더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이 점점 미려해지고 있으며 의류 포켓에 최소한의 무게로 실장 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면서 그 중량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다수의 스마트-폰은 화면이 보이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 된 바-타입(bar type)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고 있다.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강화유로로 제작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스마트폰이 지면으로 낙하된 경우,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휴대폰의 외관을 자신의 개인 취향에 알맞은 액세서리로 활용하고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휴대폰의 손상을 막으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종류 및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핸드폰 케이스는 크게 핸드폰을 가죽 또는 직물 등으로 제작된 수납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파우치(pouch)형과,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핸드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갑 형과,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어져 내부의 수납공간에 핸드폰을 끼워 보관하는 하우징(housing)/케이스(case) 형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파우치 형과 지갑 형은 휴대폰 전체를 파우치의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완전하여 넣는 방식으로 사용시 파우치에서 휴대폰을 꺼내어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지갑 형은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갑의 덮개(커버)를 열거나 펼쳐 그 내부에 수납된 휴대폰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하우징/케이스 형은 바-타입의 휴대폰 전면에 배치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상의 터치키의 이용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하우징/케이스의 재질이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그립 느낌(grip feeling)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현대인은 상기 휴대폰 이외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 시 결제하기 위한 교통카드, 물품을 신용 구매 시 결제하기 위한 신용카드 외 물품을 구매 시 할인받기 위한 할인카드 등 적어도 1장 이상의 카드를 휴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카드는 일상생활에서 그 사용빈도가 휴대폰만큼 빈번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지갑에 넣어 휴대하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최근에는 휴대폰과 카드를 모두 한 번에 휴대하여 휴대폰과 카드 이용의 편리성을 추구하도록 카드 수납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최근의 시대적인 흐름과 소비자의 요구조건에 충족시키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적은 케이스 본체에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부를 마련하고 수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회전패널을 회전가능하게 케이스 본체에 설치함으로서, 수납부에 안착된 카드를 회전패널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 인입 또는 인출되게 수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휴대폰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을 갖으며, 상측 모서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에는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는 일측에 축부를 갖는 작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의 상부에는 인출홈을 갖는 인출면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체결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돌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납홈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상측면에 걸림홈과 경사지지면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는 상측에 상기 걸림홈에 끼움되도록 걸림돌기와 상기 경사지지면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밀착면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가압하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부에는 외면에 환형의 탄성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홈에는 코일스프링이 더 체결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회전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패널을 가압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납홈의 개방을 위해 회전된 상기 회전패널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홈에 형성되는 곡선의 내면부와 상기 내면부에 맞닿도록 상기 체결돌부에 형성되는 외면부에는 마찰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에는 일측에 수납된 카드가 안내되도록 곡선의 안내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공간과 연통되게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작동면에는 상기 축부를 감싸면서 환형의 밴드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면부에는 상기 밴드안착홈과 연통되게 밴드인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에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부를 마련하고 수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회전패널을 회전가능하게 케이스 본체에 설치함으로서, 수납부에 안착된 카드를 회전패널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10)(이하 설명의 편의상 휴대폰 케이스라 명명함)는 휴대폰(100)을 인입 또는 인출되게 수납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100)을 보호하도록 된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휴대폰 케이스(10)는 휴대폰(100)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2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본체(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휴대폰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휴대폰(100)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상측 모서리에는 곡선의 체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에는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는 일측에 축부(23)가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면(24)이 마련되고, 상기 배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홈(22)과 연통되게 인출홈(25)을 갖는 인출면(2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패널(30)은 하부에 축공(31)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축부(2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축결합되고, 상기 축공(31)과 대각선방향의 상측 모서리에는 상기 체결홈(2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곡선의 체결돌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홈(2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축부(23)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31)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턱이 지지되도록 지지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패널(30)의 축공(31)이 축부(2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21)은 상측면에 걸림홈(211)과 경사지지면(21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곡선의 고정돌기(2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32)는 상측에 상기 걸림홈(211)에 끼움되도록 걸림돌기(321)와 상기 경사지지면(212)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밀착면(322)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13)를 가압하도록 단면이 반원형인 곡선의 가압돌기(3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홈(22)의 폐쇄를 위해 상기 축부(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홈(22)을 폐쇄한 회전패널(30)은 상기 가압돌기(323)가 상기 고정돌기(213)를 가압하여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321)가 상기 걸림홈(211)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경사지지면(212)에 밀착면(322)이 맞닿게 배치됨으로서, 상기 체결돌부(32)가 상기 체결홈(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시말해, 체결돌부(32)가 체결홈(21)에 체결되는 과정은 상기 가압돌기(323)가 상기 고정돌기(213)를 가압하면서 체결돌부(32)가 체결홈(21)에 억지끼움되고, 상기 걸림홈(21)에 상기 걸림돌기(321)가 끼움되어 지지됨으로서, 억지끼움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패널(30)이 상향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면(212)과 밀착면(322)을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서, 억지끼움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에 의해 충격을 환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홈(22)에는 일측면에 수납된 카드(200)가 안내되도록 곡선의 안내면(2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22)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공간과 연통되게 관통공(222)이 더 형성되어, 회동패널(3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카드(200)의 상면을 밀어 상기 안내면(221)을 따라 카드의 단부를 상향 인출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관통공(22)에 의해 휴대폰(100)이 체결된 안착공간에 배치되는 이물질이나 습기를 회동패널(30)을 회전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작동면(24)에는 상기 축부(23)를 감싸면서 환형의 밴드안착홈(24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저면부에는 상기 밴드안착홈(241)과 연통되게 밴드인출구(242)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안착홈(241)에 휴대폰 악세사리인 밴드의 연결끈을 끼운 후 상기 밴드 인출구(242)에 연결끈을 배치한 다음 축부(23)에 회동패널(30)을 체결하여, 밴드를 사용자의 손목에 끼워 휴대폰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됨으로서, 연결끈의 고정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고정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축부(23)에는 외면에 환형의 탄성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홈(231)에는 코일스프링(40)이 더 체결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1)의 일단이 상기 회전패널(3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패널(30)을 가압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납홈(22)의 개방을 위해 회전된 상기 회전패널(30)이 상기 코일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홈(21)에 형성되는 곡선의 내면부(214)와 상기 내면부(214)에 맞닿도록 상기 체결돌부(32)에 형성되는 외면부(324)에는 마찰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50)가 더 접착고정된다.
즉, 회동패널(30)을 회전시 상기 코일스프링(40)이 인장되며, 회전을 종료하면 회동패널(30)이 코일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어 간편하게 복귀됨으로서, 카드(200)를 인출이 용이하게 탄성에 의해 복귀되는 회전패널(30)이 상기 탄성패드(50)에 의해 완충되어 충돌에 의해 마찰음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스프링(40)은 일단에 절곡되게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회전패널(30)의 축공(31)에 마련되는 끼움공에 끼우게 되고, 타단을 절곡하여 고정돌기를 형성한 후 탄성홈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돌기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10 : 휴대폰 케이스 20 : 케이스 본체
30 : 회전패널 40 : 코일스프링
50 : 탄성패드 21 : 체결홈
211 : 걸림홈 212 : 경사지지면
213 : 고정돌기 214 : 내면부
22 : 수납홈 221 : 안내면
222 : 관통공 23 : 축부
24 : 작동면 241 : 밴드안착홈
242 : 인출구 25 : 인출홈
26 : 인출면 31 : 축공
32 : 체결돌부 321 : 걸림돌기
322 : 밀착면 323 : 가압돌기
324 : 외면부 100 : 휴대폰
200 : 카드

Claims (5)

  1. 휴대폰이 인입 또는 인출되게 수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휴대폰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을 갖으며,
    상측 모서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에는 카드가 수납되도록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는 일측에 축부를 갖는 작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의 상부에는 인출홈을 갖는 인출면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체결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돌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납홈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측면에 걸림홈과 경사지지면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는 상측에 상기 걸림홈에 끼움되도록 걸림돌기와 상기 경사지지면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밀착면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가압하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외면에 환형의 탄성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홈에는 코일스프링이 더 체결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회전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패널을 가압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납홈의 개방을 위해 회전된 상기 회전패널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홈에 형성되는 곡선의 내면부와 상기 내면부에 맞닿도록 상기 체결돌부에 형성되는 외면부에는 마찰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에는 일측에 수납된 카드가 안내되도록 곡선의 안내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공간과 연통되게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작동면에는 상기 축부를 감싸면서 환형의 밴드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면부에는 상기 밴드안착홈과 연통되게 밴드인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1020120144170A 2012-12-12 2012-12-12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10143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70A KR101434958B1 (ko) 2012-12-12 2012-12-12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70A KR101434958B1 (ko) 2012-12-12 2012-12-12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245A true KR20140077245A (ko) 2014-06-24
KR101434958B1 KR101434958B1 (ko) 2014-08-29

Family

ID=5112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170A KR101434958B1 (ko) 2012-12-12 2012-12-12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289A1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디플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94Y1 (ko) * 2015-12-18 2018-08-20 주식회사 앤비츠 스윙 커버가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20180002758U (ko) 2017-03-16 2018-10-01 권영준 카드 수납형 휴대폰 케이스
KR102343530B1 (ko) 2020-11-19 2021-12-27 신현진 휴대폰 케이스
KR20230002180U (ko) 2022-05-08 2023-11-15 신현진 휴대폰 케이스
KR102576533B1 (ko) 2023-05-23 2023-09-07 고재흠 카드 수납형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628A (ko) * 1999-05-12 2000-12-05 우수인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KR100934045B1 (ko) * 2004-12-13 2009-12-24 노준화 디스크 케이스 및 그 보관기구
KR100934120B1 (ko)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KR101054575B1 (ko) 2011-04-13 2011-08-04 정홍섭 카드 포켓을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289A1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디플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958B1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31B1 (ko) 인출식 카드 수납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434958B1 (ko)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054575B1 (ko) 카드 포켓을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KR2012003570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커버
KR101226084B1 (ko) 기능성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
US20130344925A1 (en) Phone case with key slot
KR200469053Y1 (ko) 핸드폰 보호 케이스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464254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53021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8623Y1 (ko) 카드 수납용 범퍼 케이스
KR20130001825A (ko) 거치 기능을 갖는 포장 케이스
KR20130007075U (ko) 지갑겸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000546U (ko) 카드지갑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4032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228884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33005B1 (ko) 수납된 카드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101340346B1 (ko) 교통 카드 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64902Y1 (ko) 휴대폰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
KR101802494B1 (ko)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20150139119A (ko) 영상촬영용 파지수단 및 카드수납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