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333A - 스트레칭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333A
KR20140076333A KR1020120144758A KR20120144758A KR20140076333A KR 20140076333 A KR20140076333 A KR 20140076333A KR 1020120144758 A KR1020120144758 A KR 1020120144758A KR 20120144758 A KR20120144758 A KR 20120144758A KR 20140076333 A KR20140076333 A KR 2014007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ick
stretching
bottom support
elli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경
Original Assignee
(주)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 filed Critical (주)삼원
Priority to KR102012014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6333A/ko
Publication of KR2014007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허리 부분의 스트레칭 효과도 향상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상부 곡선부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몸을 지지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 연결바,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하부 곡선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바, 및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바닥 지지 스틱과,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손잡이 스틱이 일렬로 연결된 한 쌍의 레버를 구비한다. 한 쌍의 레버의 손잡이 스틱이 한 쌍의 상부 곡선부를 향해 당겨지면 한 쌍의 바닥 지지 스틱에 의해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가 들어 올려져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이 기울어진다.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 기구{Body stretching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스트레칭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 부분을 스트레칭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칭은 근육이 당겨지는 느낌이 느껴질 때까지 몸을 뻗은 채 일정 시간을 경과하고 다시 이완하는 동작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운동량이 많은 본 운동의 전에 준비 운동으로, 또는 본 운동 후의 정리 운동으로 실시된다. 스트레칭은 몸을 부드럽고 편안하게 하고, 관절의 동작을 자연스럽게 하고,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경련, 인대 손상과 같은 부상을 예방하고, 노화로 인한 몸의 경직을 억제하고, 긴장을 완화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노폐물의 순환을 촉진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스트레칭은 관절 마디에 있는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스트레칭 운동은 아무런 기구 없이 맨손으로 할 수도 있으나, 스트레칭 운동을 쉽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칭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스트레칭 기구는 모터 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을 당겨 스트레칭을 행하는 자동 스트레칭 운동 기구와, 사용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기구를 움직여 스트레칭을 수행하는 수동 스트레칭 운동 기구로 분류할 수 있는데, 구입 비용과 설치 공간 등의 문제로 수동 스트레칭 운동 기구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수동 스트레칭 운동 기구 중에서도 허리 부분을 스트레칭하도록 도와주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종류가 많지 않고, 다만 크고 푹신한 볼(ball)이 허리 부분 스트레칭 운동에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스트레칭용 볼은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며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해 볼의 형태가 찌그러질 수 있어 스트레칭 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허리 부분의 스트레칭 효과도 향상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 부분 스트레칭과 팔 및 옆구리 근력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곡선으로 이어진 상부 곡선부와 하부 곡선부를 각각 구비한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상부 곡선부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몸을 지지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 연결바, 상기 한 쌍의 하부 곡선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바, 및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타 측 단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바닥 지지 스틱과 상기 타 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손잡이 스틱이 일렬로 연결된 한 쌍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레버의 손잡이 스틱이 상기 한 쌍의 상부 곡선부를 향해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바닥 지지 스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가 들어 올려져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이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일 측 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하나의 상부 연결바에 마련된 헤드 쿠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상기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상부 연결바 중 상기 헤드 쿠션이 마련된 상부 연결바 이외의 상부 연결바들 중 하나에 마련된 목 쿠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에서 바닥에 닿도록 아래로 돌출된 한 쌍의 바닥 지지 스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상기 바닥 지지 스틱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롤러(roll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대한 상기 손잡이 스틱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타원형 프레임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고정 연결되며, 안착 홈이 형성된 피봇 부재, 상기 손잡이 스틱에 고정 연결된 것으로, 원형의 중앙 통공과, 상기 중앙 통공 주변의 다수의 주변 통공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안착 홈에 회전할 수 없게 끼워지는 몸통부와, 상기 회전판의 중앙 통공에 끼워지는 헤드부와, 상기 회전판의 다수의 주변 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를 구비한 회전 차단 부재, 및 상기 회전 차단 부재를 상기 회전판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가 상기 다수의 주변 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손잡이 스틱이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회전 차단 부재의 몸통부가 상기 회전판에서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가 자신이 끼워져 있던 주변 통공에서 빠지면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손잡이 스틱이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는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에 의하면, 누울 수 있는 정도의 공간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쉽게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칭 운동 기구에 의하면 발을 지면에 대고 배를 위로 들어올려 허리를 활처럼 구부리는 자세를 쉽게 시행하고 유지하도록 도와주어 허리 부분의 스트레칭 효과를 향상시켜 주고, 옆구리와 등 근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스트레칭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겨야 하므로 팔 및 어깨 근력 향상을 도와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이용한 스트레칭 자세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발목 펌프 운동을 하는 자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잡이 스틱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는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11), 제1 내지 제8 상부 연결바(upper connecting bar)(16 내지 23), 하부 연결바(lower connecting bar)(14), 헤드 쿠션(25), 목 쿠션(30), 한 쌍의 레버(35), 및 한 쌍의 롤러(38)를 구비한다.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11)은 각각 상부 곡선부(12)와 하부 곡선부(13)를 구비한다. 상부 곡선부(12)와 하부 곡선부(13)는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곡선부(12)와 하부 곡선부(13)는 폐곡선을 이루며 이어져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이 형성된다.
한편,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한 하중이 타원형 프레임(11)의 일측 단부(11a)와 타 측 단부(11b)에 집중되어 타원형 프레임(11)이 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타원형 프레임(11)은 금속관을 이용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보다는, 상부 곡선부(12)와 하부 곡선부(13)를 분리 형성하고, 강성이 보강된 연결 조인트(joint)(미도시)를 이용하여 상부 곡선부(12)의 단부와 하부 곡선부(13)의 단부를 연결하여 타원형 프레임(11)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11)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다.
제1 내지 제8 상부 연결바(16 내지 23)는 한 쌍의 상부 곡선부(12)를 연결하며 타원형 프레임(11)의 일 측 단부(11a)로부터 타 측 단부(11b)까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인접한 상부 연결바(16 내지 18)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도 있고, 약간씩 다를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8 상부 연결바(16 내지 23)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의 금속관이나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1 내지 제8 상부 연결바(16 내지 23)에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사용자(1)(도 2 참조)의 상체가 지지되므로, 사용시 압박에 의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부 연결바(16 내지 23)의 외주면이 완충용 쿠션(cushion)(미도시)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완충용 쿠션은 스폰지, 우레탄 수지와 같은 발포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바(16 내지 2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지압 돌기(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압 돌기(32)는 사용자(1)(도 2 및 도 3 참조)의 상체를 상부 연결바(16 내지 23)에 기댈 때 사용자(1)의 머리, 목, 등, 및 허리를 눌러 지압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3 상부 연결바(16, 18)에는 각각 후술하는 헤드 쿠션(25)과 목 쿠션(30)이 마련되므로 지압 돌기(32)는 공간의 제약으로 생략될 수 있다.
하부 연결바(14)는 한 쌍의 하부 곡선부(13)를 연결한다. 하부 연결바(14)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의 금속관이나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바(14)는 상부 연결바(16 내지 23)와 함께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1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스트레칭 운동 기구(10)의 형태를 유지한다. 도 1에는 하나의 하부 연결바(14)가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하부 연결바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는 하부 연결바(14)에 인접하여 한 쌍의 하부 곡선부(13)를 연결하는 발목 운동 지지바(80)를 더 구비한다. 발목 운동 지지바(80)는 소위 발목 펌프 운동이라고 불리는 운동의 실시를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며, 발목 펌프 운동을 실시할 때 발목의 충격 및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발목 운동 지지바(80)의 외주면은 완충용 쿠션(cushion)(미도시)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완충용 쿠션은 스폰지, 우레탄 수지와 같은 발포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쿠션(25)은 사용자(1)(도 2 참조)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 타원형 프레임 일 측 단부(11a)를 연결 지지하는 제1 상부 연결바(16)에 마련된다. 헤드 쿠션(25)은 중앙부의 직경은 얇고, 양 측부의 직경은 상기 중앙부의 직경보다 두꺼운 땅콩 껍질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헤드 쿠션(25)은 머리 부분의 압박에 의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와 같은 발포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헤드 쿠션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직물 내에 솜을 채워넣은 형태의 헤드 쿠션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목 쿠션(30)은 사용자(1)(도 2 참조)의 목을 받쳐주기 위하여 제3 상부 연결바(18)에 마련된다. 다만, 반드시 제3 상부 연결바(18)에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상부 연결바(16)를 제외한,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상부 연결바에 마련될 수 있다. 목 쿠션(30)은 중앙부의 직경은 얇고, 양 측부의 직경은 상기 중앙부의 직경보다 두꺼운 땅콩 껍질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목 쿠션(30)은 목 부분의 압박에 의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와 같은 발포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사람이 누웠을 때 머리가 바닥에 닿더라도 목은 바닥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머리보다 높게 위치한 목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목 쿠션(30)의 크기는 헤드 쿠션(25)의 크기보다 크다. 다만, 목 쿠션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직물 내에 솜을 채워넣은 형태의 목 쿠션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레버(35)는 각각,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렬로 연결된 바닥 지지 스틱(36)과 손잡이 스틱(40)을 구비한다. 바닥 지지 스틱(36)은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지지 스틱(36)이 피봇 부재(46)에 고정 결합되고, 피봇 부재(46)가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에 피봇(pivot)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닥 지지 스틱(36)의 말단, 즉 하단에는 롤러(38)가 자유 회전(idling rotation) 가능하게 부착된다.
손잡이 스틱(40)은 사용자(1)(도 2 참조)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손잡이 스틱(40)에는 통증 없이 잡을 수 있고, 손바닥의 땀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그립부(grip portion)(4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스틱(40)이 회전판(70)에 고정 결합되고, 회전판(70)이 피봇 부재(46)에 결합되어 바닥 지지 스틱(36)과 손잡이 스틱(40)이 일렬로 연결된 레버(3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레버(35)는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이용한 스트레칭 자세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를 이용하여 스트레칭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레칭 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1)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를 바닥에 내려놓는다. 이때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는 하부 곡선부(13)의 일부분에 의해 지지되고, 바닥 지지 스틱(36) 말단의 롤러(38)가 바닥에 접촉되며, 바닥 지지 스틱(36)은 비스듬히 기울어진다.
그리고, 사용자(1)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를 아래에 두고 자신의 배를 위로한 자세로 눕는다. 사용자(1)의 머리는 타원형 프레임 일 측 단부(11a)에 가깝게 누워 헤드 쿠션(25)(도 1 참조)으로 지지하고, 사용자(1)의 목은 목 코션(30)(도 1 참조)으로 지지한다. 그러면, 사용자(1)의 등과 허리는 제4 내지 제8 상부 연결바(19 내지 23)에 의해 지지되고 엉덩이는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를 벗어나 위치한다. 사용자의 무릎은 자연스럽게 굽혀지고, 발바닥은 바닥을 마주보고 지지한다. 사용자(1)는 팔을 허리 부분으로 내려 손으로 손잡이 스틱(40)의 그립(41)을 잡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손을 가슴을 향해 잡 당겨 손잡이 스틱(40)을 타원형 프레임(11)의 상부 곡선부(12)를 향해 당긴다. 그리하면, 레버(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3 기준)하여 바닥 지지 스틱(38)이 처음보다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다. 이에 따라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는 들어 올려지고 일 측 단부(11a)는 내려가 타원형 프레임(11)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하부 곡선부(13)가 바닥에 닿는 지점이 타원형 프레임(11)의 일 측 단부(11a)에 가깝게 이동한다.
타원형 프레임(11)이 기울어짐에 따라 사용자(1)의 엉덩이가 올라가고 가슴, 및 허리가 펴지며 무릎도 처음보다 펴진다. 그리하여, 몸의 형태가 활처럼 구부러진다. 롤러(38)는 도 2의 자세에서 도 3의 자세로 변경될 때 바닥 지지 스틱(36)의 말단이 바닥에서 쉽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을 최소화해준다. 손잡이 스틱(40)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롤러(38)는 바닥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과 같은 자세로 일정 시간 유지함으로써 척추가 펴져 자세가 교정되고, 허리, 옆구리, 및 팔 근육이 당겨져 그 부분의 근력이 강화된다. 스트레칭 운동 기구(10)가 없어도 몸의 형태를 활처럼 휘게 하는 스트레칭이 가능하지만 팔을 뒤로 올려 바닥을 지지해야 하므로 자세를 오래 유지하기 어렵다.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를 사용함으로써 이 자세를 큰 어려움 없이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스트레칭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1)는 도 2의 자세와 도 3의 자세를 번갈아 실시하여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트레칭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발목 펌프 운동을 하는 자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발목 펌프 운동이란, 일본의 이나가키 아미사쿠가 고안한 운동으로, 발을 20~30cm 정도 올렸다가 내려 발목의 아킬레스건이 통나무, 병, 수평 바(bar) 등 부딪치게 떨어뜨리는 운동이다. 이 운동을 꾸준히 반복 실시하면 발에 몰린 혈액이 왕성하게 순환되고 노폐물이 제거되며, 자연치유력이 향상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레칭 운동 기구(10)를 거꾸로 뒤집어 바닥에 놓는다. 즉, 상부 곡선부(12)가 바닥에 닿고 하부 곡선부(13)가 위로 향하게 하여 발목 운동 지지바(80)를 바닥에서 이격되게 놓는다. 그리고, 사용자(1)는 편안하게 누워 다리를 발목 운동 지지바(80) 위에 올려 놓되, 발목이 발목 운동 지지바(8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발을 번갈아 올렸다 내리거나, 두 발을 함께 올렸다 내리면서 발목의 아킬레스 건에 충돌시켜 반복적으로 발목 및 아킬레스 건을 자극하여 운동을 실시한다.
도 5는 도 1의 손잡이 스틱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스트레칭 운동 기구(10)의 레버(35)는 바닥 지지 스틱(36)에 대한 손잡이 스틱(4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45)을 더 구비한다. 각도 조절 유닛(45)은 피봇 부재(46)와, 회전판(70)과, 회전 차단 부재(55)와, 압축 스프링(50)과, 누름 부재(62)와, 홀더(holder)(66)를 구비한다. 피봇 부재(46)는 타원형 프레임(11)의 타 측 단부(11b)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 지지 스틱(36)에 고정 연결되는 것으로, 사각형의 내주 입구가 형성된 안착 홈(47)과, 안착 홈(47) 주변에 3개의 스크류 체결공(49)이 형성된다.
회전판(70)은 손잡이 스틱(40)에 고정 연결되는 원형의 판으로, 원형의 중앙 통공(71)과, 중앙 통공(71) 주변에 다수의 주변 통공(73)과, 다수의 주변 통공(73) 주변에 3개의 원호 슬롯(75)이 형성된다. 다수의 주변 통공(73)은 중앙 통공(71)의 중심을 원 중심으로 하는 원의 외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3개의 원호 슬롯(75)은 중앙 통공(71)의 중심을 원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된다.
회전 차단 부재(55)는 피봇 부재(46)와 회전판(7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 홈(47)에 안착된다. 회전 차단 부재(60)는 안착 홈(47)의 내주 입구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몸통부(56)를 구비하여, 몸통부(56)가 안착 홈(47)에 끼워지면 회전 차단 부재(55)는 피봇 부재(46)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또한, 회전 차단 부재(55)는 회전판(70)의 원형 중앙 통공(71)에 끼워지는 원형의 헤드부(58)와, 몸통부(56)의 모서리에서 헤드부(58)의 주변으로 돌출된 4개의 체결 돌기(60)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58)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59)이 형성된다.
회전 차단 부재(55)는 압축 스프링(50)이 개재된 채 안착 홈(47)에 끼워진다. 따라서, 회전 차단 부재(55)는 회전판(70)에 밀착되도록 압축 스프링(50)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bias)된다. 누름 부재(62)는 회전판(70) 측으로 돌출된 스크류 돌기(64)를 구비하여, 중앙 통공(44)에 끼워진 회전 차단 부재(55)의 스크류 체결공(59)에 체결된다. 링(ring) 형태의 홀더(66)는 3개의 체결 스크류(69)에 의해 고정 부재(46)에 고정된다. 3개의 체결 스크류(69)가 홀더(66)에 형성된 3개의 스크류 관통공(68)을 통과하고, 회전판(70)의 3개의 원호 슬롯(75)을 통과하여, 피봇 부재(46)에 형성된 3개의 스크류 체결공(49)에 체결 고정된다. 홀더(66)에 의해 회전 차단 부재(55), 회전판(70), 및 누름 부재(62)가 피봇 부재(46)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누름 부재(62)의 손잡이부(63)가 홀더 중앙 개구(67)를 통해 노출되어 누름 부재(62)를 누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누름 부재(62)를 피봇 부재(46) 방향으로 누르면 회전 차단 부재(55)의 몸통부(56)가 회전판(70)에서 이격되어 4개의 체결 돌기(60)가 끼워져 있던 주변 통공(73)에서 빠지게 된다. 회전 차단 부재(55)의 헤드부(58)는 여전히 중앙 통공(71)에 끼워져 있으므로 손잡이 스틱(40)을 잡고 위 또는 아래로 밀면 손잡이 스틱(40) 및 회전판(70)이 피봇 부재(46) 및 바닥 지지 스틱(36)에 대해 회전한다. 홀더(66)를 고정 부재(46)에 고정하는 3개의 체결 스크류(69)는 회전판(70)이 회전할 때 원호 슬롯(75) 내에서 이동하므로 회전판(70)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 지지 스틱(36)에 대해 손잡이 스틱(40)이 기울어진 각도가 적절한 때 누름 부재(6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압축 스프링(50)에 의해 회전 차단 부재(55)가 회전판(70)으로 밀착되며 4개의 체결 돌기(60)는 다수의 주변 통공(73) 중에서 정렬되는 4개의 주변 통공(73)에 삽입된다. 이로써 손잡이 스틱(40) 및 회전판(70)은 피봇 부재(46) 및 바닥 지지 스틱(36)에 대해 록킹(locking)되고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된다. 손잡이 스틱(40)의 기울어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작동 과정을 되풀이하면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트레칭 운동 기구 11: 타원형 프레임
14: 하부 연결바 16 내지 23: 상부 연결바
25: 헤드 쿠션 30: 목 쿠션
35: 레버 36: 바닥 지지 스틱
38: 롤러 40: 손잡이 스틱
45: 각도 조절 유닛 46: 피봇 부재
55: 회전 차단 부재 70: 회전판

Claims (6)

  1. 폐곡선으로 이어진 상부 곡선부와 하부 곡선부를 각각 구비한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상부 곡선부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몸을 지지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 연결바;
    상기 한 쌍의 하부 곡선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결바; 및,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타 측 단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바닥 지지 스틱과 상기 타 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손잡이 스틱이 일렬로 연결된 한 쌍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레버의 손잡이 스틱이 상기 한 쌍의 상부 곡선부를 향해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바닥 지지 스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타 측 단부가 들어 올려져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이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프레임의 일 측 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하나의 상부 연결바에 마련된 헤드 쿠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상부 연결바 중 상기 헤드 쿠션이 마련된 상부 연결바 이외의 상부 연결바들 중 하나에 마련된 목 쿠션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닥 지지 스틱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롤러(roller)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대한 상기 손잡이 스틱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타원형 프레임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고정 연결되며, 안착 홈이 형성된 피봇 부재; 상기 손잡이 스틱에 고정 연결된 것으로, 원형의 중앙 통공과, 상기 중앙 통공 주변의 다수의 주변 통공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안착 홈에 회전할 수 없게 끼워지는 몸통부와, 상기 회전판의 중앙 통공에 끼워지는 헤드부와, 상기 회전판의 다수의 주변 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를 구비한 회전 차단 부재; 및, 상기 회전 차단 부재를 상기 회전판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가 상기 다수의 주변 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손잡이 스틱이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회전 차단 부재의 몸통부가 상기 회전판에서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가 자신이 끼워져 있던 주변 통공에서 빠지면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손잡이 스틱이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바닥 지지 스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 기구.
KR1020120144758A 2012-12-12 2012-12-12 스트레칭 운동 기구 KR20140076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58A KR20140076333A (ko) 2012-12-12 2012-12-12 스트레칭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58A KR20140076333A (ko) 2012-12-12 2012-12-12 스트레칭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33A true KR20140076333A (ko) 2014-06-20

Family

ID=5112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58A KR20140076333A (ko) 2012-12-12 2012-12-12 스트레칭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63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64U (ko)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이화에스엠피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382989B1 (ko) 2021-10-07 2022-04-08 주식회사 이고진 마사지볼 간격조절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64U (ko)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이화에스엠피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382989B1 (ko) 2021-10-07 2022-04-08 주식회사 이고진 마사지볼 간격조절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67512A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US7951054B2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US20140364284A1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896784B2 (en) Stride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US20150257962A1 (en) Hands-free ball massage device
US20170027800A1 (en) Spinal Therapy Apparatus
US20130079200A1 (en) Training apparatus
KR20100077516A (ko)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US11712392B2 (en) Calf stretching apparatus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US20140357456A1 (en) Training Device
US7270627B2 (en) Exerciser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0388193Y1 (ko) 스트레칭 머신
KR20140076333A (ko) 스트레칭 운동 기구
KR101271267B1 (ko)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신장이완 운동기구
JP5413893B2 (ja) 受動式健康器具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494072Y1 (ko) 다리 뒷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KR200494585Y1 (ko) 상체 굽혀 걷기 및 달리기 운동장치
KR100931850B1 (ko) 요동을 이용한 다이어트 및 재활 운동기구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US20150335933A1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