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278A -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 Google Patents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278A
KR20140076278A KR1020120144641A KR20120144641A KR20140076278A KR 20140076278 A KR20140076278 A KR 20140076278A KR 1020120144641 A KR1020120144641 A KR 1020120144641A KR 20120144641 A KR20120144641 A KR 20120144641A KR 20140076278 A KR20140076278 A KR 2014007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hone
smart
service
iptv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희
이현우
류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6278A/ko
Publication of KR2014007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개시된다. 이 스마트 기기는 표시부, 인터폰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인터폰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식에 맞게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인터폰 제어를 위한 해당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interphone screen coupling service}
본 발명은 영상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폰으로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을 스마트 기기로 가져와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터폰은 스크린 모니터와 방범 카메라를 구비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건물을 무단으로 침입하고자 하는 사람들로부터 지켜주는 방범 또는 출입통제 서비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모니터 화면 확인, 통화, 잠금 장치 개폐 등이 주요 핵심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으며, 또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일부로 LAN이나 무선 LAN을 기반으로 원격 모니터링, 방문자 정보 이메일(MMS 포함) 통지, 타 방재기능과의 연동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폰은 단독가구 또는 공동주택, 오피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생활화되어 있다. 나아가 네트워크화되어 인터넷 접속을 통해 인터폰이 제공하는 정보를 취할 수 있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공공 CCTV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서비스가 실현되는 방향도 예상된다. 그리고 웹 인터폰이라고 불리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다. 웹 인터폰은 웹과 인터폰의 웹과 인터폰의 합성어로서,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같은 장소에 있어야만 하는 인터폰의 단점을 보완하고 확장성을 도모한 것으로, 웹 인터폰과 가정의 PC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집주인의 위치에 상관없이 메신저를 통해 집주인과 방문객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개인들로 하여금 스마트폰 등 다양한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스크린과 콘텐츠를 공유하는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현재 N-스크린 서비스는 개인이 독립적으로 여러 대의 단말을 활용하여 끊김 없는 서비스를 누리고자 하는 욕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단말 간 파일 및 콘텐츠 공유(sharing), 미러링(mirroring), 콘텐츠를 다른 단말로 이어서 보기 등이 핵심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핵심 서비서가 사업자의 특성에 따라 IPTV와 PC, 휴대폰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KT는 IPTV 채널 및 VOD를 스마트폰, 태블릿으로 서비스하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끌고 가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SK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IPTV-PC 등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그리고 LGU+도 IPTV를 스마트 TV화하면서 클라우드 기술과 접목하여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한 단말의 종류가 많아지면서 어느 단말로도 스크린을 공유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와 UX(user experience)에 관한 기술들이 시장 요구사항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멀티 단말 간에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가급적 동일한 UI와 UX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멀티 터치 기술, 오감 기술, 서비스 협업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기본적인 N-스크린 서비스의 예를 들면, 개인용 PC에서 보던 영상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보기 위해서는 파일의 이동 없이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크의 공유를 통해서 스트리밍을 받아 계속해서 시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보다가 TV로 동일한 내용을 보는 방식에서도 이어보기가 가능하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가정을 예로 들 경우, IPTV 또는 스마트 TV,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간 동일한 UI/UX를 통하여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미러링, 다른 단말로 콘텐츠 이어보기 등을 가능하게 하며, N-스크린 서비스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OPMD(One Person Multi Devices) 서비스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할 것이다. 홈 네트워크 및 홈 시큐리티 환경에서도 이와 같은 동일한 UI/UX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고 통합된 서비스 환경과 보다 지능화된 서비스 기회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N-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2는 두 단말 간 콘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N-스크린 서비스는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스마트폰(10)에서 보다가 영상 콘텐츠 전체를 태블릿, 노트북, 모바일 인터넷 기기 등의 다른 단말(11)에서 이어서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말(20)에서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 한 컷(cut)을 이웃(neighbor)에 위치한 제2단말(21)과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로는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양 단말 간 콘텐츠의 끊김 없는 이동(seamless movement)은 콘텐츠를 실행하는 앱(app)이나 웹 윈도우(window)를 분할하여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윈도우라 함은 하나의 콘텐츠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단위를 의미하고, 스크린(screen)이라 함은 하드웨어의 디스플레이 단위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 같은 종래의 N-스크린 서비스에는 스마트폰/스마트 태블릿, IPTV와 스마트 TV, 인터폰 스크린을 연계하여 AV 영상을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인터폰 커플링 방범 서비스 개념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폰의 카메라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폰 커플링 방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폰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에 설치된 인터폰과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을 경유한 인터폰과 스마트 TV 또는 인터폰과 스마트 TV 간의 AV 콘텐츠 커플링 디스플레이 및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인터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인터폰에 나타나는 AV 영상을 당겨오는(pull up)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인터폰 위치 파악 및 연결 요청 단계와, 인터폰 AV 영상을 수신하여 스마트폰 및 스마트 TV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스마트폰으로 서비스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폰과 스마트 TV 또는 IPTV와 직접 연결할 때에는 인터폰 제어 기능을 스마트 TV에는 소프트 셋톱박스 기능으로 내장하고, IPTV나 케이블 TV에는 외부 셋톱박스에 기능을 내장하는 방식을 포함하며, 두 기기 간 연결은 유선 인터넷 또는 홈 네트워크 방식을 활용한다. 인터폰과 스마트폰을 연결할 때에는 인터폰 제어기능을 스마트폰에 내장하여 사용하며, 양 기기 간 연결은 무선 인터넷으로 처리한다. 스마트폰을 라우팅 및 인터폰 제어 리모컨으로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인터폰 제어 기능을 스마트폰에 두고 스마트 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 또는 IPTV 셋톱박스에 인터폰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동작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TV, IPTV 등이 될 수 있다)는 인터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앱 활성화부와, 사용자로부터 인터폰에 입력되는 AV 영상을 당겨오는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인터폰 위치 파악 및 해당 주소와 접속 요청을 수행하여 인터폰 AV 영상을 수신하는 위치 센싱 가능한 통신부와, 수신된 AV 영상을 스크린의 특성에 맞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터폰 제어 기능을 앱 활성화부를 통하여 인터폰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인터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터폰 설치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실내 비디오폰 대신에 스마트폰이나 TV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디오폰이 설치될 경우에도 인터폰 제어를 위해 비디오폰이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가서 수화기를 든다던가 내지 도어 해제/열림과 같은 제어 행위를 하지 않고, 자신이 있는 곳 어디에서나 스마트폰으로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통화하며 제어할 수 있다는 편리함을 가져다준다.
본 발명은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수 공간에서도 누구나 자신의 모션, 즉 인터폰이 있는 위치를 가리키는 동작을 통해 간단하게 외부의 상황을 끌어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폰 자체도 가전기기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홈을 구성하는 정보화 기기로 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본 발명은 UI/UX 측면에서도 별도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가장 가깝게 지니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또는 스마트TV 내지 IPTV 등을 사용하는 방법 그대로 인터폰 서비스를 제어하는 보다 진보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스마트TV나 커넥티드TV, IPTV의 활용도와 효용성을 확대하는 것과 동시에 콘텐츠의 다운로딩과 시청, 영상통화, SNS 등에서 나아가 가정이나 실내의 기기들을 스마트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건축과 융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도 1은 일반적인 N-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두 단말 간 콘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을 위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을 위한 제2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을 위한 제3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을 위한 제4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을 위한 제5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과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 간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과의 커플링을 위한 스마트 기기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스마트폰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스마트 TV 혹은 도 5의 IPTV 측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7의 스마트폰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의 스마트 TV 혹은 도 7의 IPTV 측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폰과 스마트폰, 스마트 TV(이하 IPTV 포함) 간 스크린 커플링을 통해 디스플레이 및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시스템을 구성하여, 특히 초인종을 누를 때 인터폰 카메라를 포함해서 외부 카메라로 잡히는 AV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끌어와 상호 영상통화를 하거나 스마트 TV로 재루팅을 하여 TV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폰을 제어하는 시스템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폰과 스마트 기기 간 스크린 커플링은 기존 인터폰 체계의 비디오폰 기기를 통하지 않고 인터폰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여 기존 인터폰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내도록 서로를 결속시키는 의미를 갖는다. 세 가지 서비스 개념 설정이 가능한데, 첫 번째는 인터폰과 스마트폰 간 직접 커뮤니케이션이고, 두 번째는 스마트폰을 라우터처럼 활용하여 인터폰 AV 영상을 당겨와서(pull up) 스마트 TV로 전달하여 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폰을 리모컨 제어용으로 활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세 번째는 인터폰과 스마트 TV 간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는 무선 인터넷을 활용하며, 세 번째는 유선 인터넷 또는 DLNA, HDMI와 같은 홈 네트워킹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 N-스크린 서비스 환경에서는 PC, 노트북, TV, 가정 내 스마트 기기들 간 콘텐츠의 복제, 이어서 보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단말 간 콘텐츠 공유가 핵심이고, 고부가 서비스로는 다중 단말 간 실시간 협업에 의한 콘텐츠 분할 및 공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는 중인데, 인터폰 시스템에서처럼 AV 영상을 실시간으로 직접 처리하는 요구사항은 기제작된 콘텐츠의 방송(멀티캐스팅 포함)이나 스트리밍을 기본으로 하는 N-스크린 서비스 요구사항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며, 또한 방범 서비스 시나리오도 개입될 필요성이 없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인터폰과 인터폰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인터폰과의 음성 송수신을 위한 전용 기기인 비디오폰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환경을 N-스크린 서비스 환경에 포함시키게 된다면, 비디오폰을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로 대체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상호 커뮤니케이션과 이후 요구되는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컨트롤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인터폰과 스마트 기기 간 인텔리전트한 통신과 영상통화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홈 오토메이션에서는 집주인이 없을 때 호출자의 영상을 저장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N-스크린 환경을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개선한다면 이를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관련 이해 당사자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며, 거기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 기기로 즉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웹 인터폰에서는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같은 장소에 있어야만 하는 인터폰의 단점을 보완하고 확장성을 도모하기 위해 웹 인터폰과 가정의 PC를 인터넷으로 연결하고 메신저를 통해 집주인과 방문객과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웹 인터폰에서처럼 PC를 거치는 방식에서 진보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 기기와 직접 통신이 되며 영상통화도 가능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인터폰 셋톱박스(Set Top Box, STB) 기능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인터폰의 AV 영상을 저장하거나 라우팅, 및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 기기의 특성에 적합하게 콘텐츠를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별도로 인터폰에 대한 UI/UX를 숙지하고 사용하지 않아도 N-스크린 환경에서 활용하는 UI/UX를 손쉽게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이와 같은 방식은 10-foot 공간으로 얘기되는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웃하고 있는 사람들과 공동의 관심사를 나눌 수 있는 편리한 환경 조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TV를 시청하다가 비디오폰으로 다가가지 않고도 간단한 UI/UX를 통해 TV 앱으로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게도 하며, 스마트폰으로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인터폰(100)의 카운터파트(counterpart)로 스마트폰(210)이 사용되고 무선 인터넷이 매개된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인터폰(100)의 카운터파트로 스마트 TV(220)가 사용되고 유선 인터넷이 매개된 예를 나타내며, 도 5는 인터폰(100)의 카운터파트로 IPTV(230)가 사용되고 유선 인터넷이 매개된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은 스마트폰(210)이 인터폰(100)과 스마트 TV(220) 간 라우팅 역할을 수행하면서 제어 리모컨으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스마트폰(210)이 인터폰(100)과 IPTV(230) 간 라우팅 역할을 수행하면서 제어 리모컨으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도 3 내지 도 7에서 인터폰(100)과 카운터파트 기기 간 송수신되는 주된 콘텐츠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된다. 이 데이터는 외부에서 특정 사람이 인터폰을 누를 때 발생하며 외부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과 인터폰 음성 수신기를 통해 인지된 음성이 카운터파트 기기들로 전달된다. 또는 실내에서 스마트폰으로 인터폰 위치를 가리키면서 인터폰을 작동시킬 때에도 인터폰 외부 카메라에 비취는 상황도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 TV(220)/IPTV(230)에서 인터폰 앱을 구동시켜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할 때에도 해당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과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 간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인터폰(100)과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은 네트워크(310, 320, 330, 340, 350)를 통해 연결된다. 인터폰(100)은 문(door) 외부에 설치되어 실내 거주자에게 외부 상황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말이며, 카메라와 음성 폰 기능을 탑재한다. 네트워크는 인터폰(10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과 음성을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에 전달하는 통신망으로서, 단말 환경에 적합하도록 IP 네트워크(310), IPTV 네트워크(320), 무선 네트워크(330), 이동통신 네트워크(340) 및 홈 네트워크(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P 네트워크(310)는 공중 인터넷과 특정 사업자의 IPTV 네트워크(320)를 포함하며, 공중 인터넷은 Best-effort 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 IPTV 네트워크는 QoS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이 기술적으로 차별화시킬 포인트가 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330)는 Wi-Fi, UWB(Ultra WideBand) 등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이동통신 네트워크(340)는 2G/3G/4G 등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며, 홈 네트워크(350)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은 인터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영상과 음성을 전달받고 모니터링하며, 인터폰(1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은 스마트폰 또는 노트 유형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210), 스마트 TV 또는 커넥티드 TV(220), IPTV(230), 무선 인터넷 단말(24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영상 디스플레이와 음성을 출력하는 단말 역할을 제공한다. 인터폰 플랫폼 기능은 IPTV(230)인 경우에 셋톱박스(231)에 별도로 설치되며, 그 외는 그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웹 앱으로 구현하여 플랫폼에 내장하게 된다.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은 인터폰(100)으로부터 네트워크(310, 320, 330, 340, 350)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을 수신하며, 수신된 영상과 음성은 각 단말과 스크린에 적절한 형태로 가공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출력된다. 이 같은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은 인터폰(100)과 연동하여 인터폰 커플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과의 커플링을 위한 스마트 기기 블록도이다.
스마트 기기는 인터폰(100)과의 스크린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200)에 속하는 스마트폰(210), 스마트 TV(220), IPTV(230), 무선 인터넷 단말(240)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는 조작부(211)와 표시부(212) 저장부(213)와 통신부(214) 및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조작부(211)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구성으로서, 물리적인 버튼과 터치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12)는 터치스크린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저장부(213)는 비활성 메모리로서, 이 저장부(213)에는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통신부(214)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IP 네트워크(310), IPTV 네트워크(320), 무선 네트워크(330), 이동통신 네트워크(340) 및 홈 네트워크(350)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제어부(215)는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 전반을 담당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앱 활성화부(215a)와 인터폰 제어부(215b)를 포함한다. 앱 활성화부(215a)는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개시시 저장부(21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활성화함으로써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폰 제어부(215b)는 사용자가 조작부(211)를 통해 인터폰(1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할 시에 해당 제어 신호를 앱 활성화부(215a)를 통하여 인터폰(1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스마트폰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제어부(215)는 우선 저장부(213)에 저장된 인터폰 커플링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00).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15)는 이후의 절차들을 순차 또는 병렬로 처리하게 되며, 사용자가 모니터링하는 영상과 인터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윈도우 작업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210)으로 특정 키(또는 심볼, 아이콘 등)를 터치하면서 인터폰(100)이 위치하는 방향을 가리키면, 제어부(215)는 그 방향에 위치한 인터폰(100)과의 접속 시도로 인식하고 해당 위치의 IP 주소를 탐색하게 되며(S105), 스마트폰(210)과 인터폰(100) 간 무선 채널 연결과 영상 통화 채널 설정을 수행한다(S110).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세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첫 번째는 실내 룸(room)을 기준으로 인터폰이 하나인 경우가 일반적일 것으로 가정하여 고정된 위치와 IP 주소를 가지고 사전에 관리하는 개념을 제공한다. 이것은 간단한 아이디어이지만 인터폰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그 위치(방향)와 IP 주소를 고정적으로 관리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210)은 스마트폰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위치 정보만을 산출하면 기설정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IP 주소를 산출하여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은 동적으로 인터폰의 위치와 IP 주소를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가 실내에 들어왔을 때 홈네트워크로부터 실내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인터폰을 탐색하여 채널을 설정하고 통신을 한다. 세 번째 방법은 홈네트워크 대신에 실내에서 제공되는 무선랜이나 이동통신 시스템을 활용하여 인터폰을 고정된 주소로 보고, 스마트폰이 이동하더라도 이동되는 위치로 인터폰에서 획득하는 영상과 음성을 전달하는 개념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105와 S110은 P2P(Peer-to-Peer)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5)는 영상 통화 프로토콜을 실행하고(S115), 인터폰(100)으로부터 수신되는 AV 신호 버퍼링을 진행하며(S120), 스마트폰 스크린 및 윈도우에 적절하게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한다(S125). 제어부(215)는 이를 통해 인터폰(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추가로 통화 음성을 인터폰(100)과 송수신할 수 있다(S130). 또한 제어부(215)는 조작부(211)를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인터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S135), 입력된 인터폰 제어 명령어에 따라 인터폰(100)에게 영상 히스토리를 저장하도록 하거나, 도어 오픈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경비실과의 통화 채널을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폰(100)으로 전송한다(S140)(S145)(S150). 이에 인터폰(100)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스마트 TV 혹은 도 5의 IPTV 측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도 11은 인터폰(100)의 카운터파트로 스마트폰(210) 대신에 스마트 TV(220)(혹은 커넥티드 TV) 또는 IPTV(230)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11의 S200 내지 S245는 실질상 도 10의 S100 내지 S150과 유사하나, 다만 인터폰(100)과 TV 간 인터페이스가 스마트폰(210)에서처럼 무선 채널 설정과 방향 탐색 UI/UX에 의하지 않고 유선 인터넷 또는 홈 네트워크를 활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S230에서의 인터폰 제어 명령은 TV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210)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7의 스마트폰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의 스마트 TV 혹은 도 7의 IPTV 측에서 수행되는 인터폰과의 커플링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스마트폰(210)이나 스마트 TV(220)/IPTV(230)로 직접 인터폰(100)과 연결하는 서비스 외에 스마트폰(210)을 경유하여 스마트 TV(220)/IPTV(230)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도 있으며, 도 12와 도 13은 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스마트폰(210)에서 수행되는 순서도이며, 도 13은 스마트 TV(220)나 IPTV(셋톱박스 포함)(230)에서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S300 내지 S330은 도 10의 S100 내지 S130과 동일하다. S330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폰(210)을 스마트 TV(220)/IPTV(230)의 스크린 전면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S335), 스마트폰(210)은 스마트 TV(220)/IPTV(230)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연결 정보로 스마트 TV(220)/IPTV(230)와 채널 설정을 수행한다(S340). 채널 설정이 완료되면, 스마트폰(210)은 스마트 TV(220)/IPTV(230)로 전송할 AV 신호를 버퍼링하고(S345), 스마트 TV(220)/IPTV(230)로 송신하며(S350), 스마트폰(210)의 디스플레이 영상과 스마트 TV(220)/IPTV(230)의 디스플레이 영상 간의 동기를 맞춘다(S355). 이후, 스마트폰(21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상 디스플레이를 지속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360). 지속할 경우, 스마트폰(210)은 S330으로 피드백하고 지속하지 않을 경우는 실시간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통화 또한 종료할 수 있으며(S365), TV 제어 명령만 처리한다. 그리고 도시된 S370 내지 S385는 도 10의 S135 내지 S150과 동일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마트 TV(220)/IPTV(230)는 우선 인터폰 커플링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400). 그 다음, 스마트 TV(220)/IPTV(230)는 부착된 카메라로 스마트폰(210)이 TV 스크린의 전면에 위치함을 포착한다(S405). 이에 스마트 TV(220)/IPTV(230)는 스마트폰(210)과의 채널을 설정한다(S410). 스마트 TV(220)/IPTV(230)는 설정된 채널을 통해 AV 신호를 수신 및 버퍼링하고(S415), TV 스크린과 윈도우에 적합하게 스케일링하며(S420), 스마트폰(210)의 디스플레이 영상과 동기화를 수행한 후(S425),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추가로 통화 음성을 인터폰(100)과 송수신할 수 있다(S430). 또한 스마트 TV(220)/IPTV(230)는 스마트폰(210) 혹은 TV 리모콘으로부터 인터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 제어 명령어에 따라 인터폰(100)에게 영상 히스토리를 저장하도록 하거나, 도어 오픈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경비실과의 통화 채널을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폰(100)으로 전송한다. 이에 인터폰(100)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10의 S135, 도 11의 S230, 도 12의 S370, 도 13의 S435에서 수행되는 인터폰 제어 명령어 수신은 스마트폰으로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UI/UX를 따르고, TV로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UI/UX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TV 자체 인터폰 제어 UI/UX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인터폰 자체에 IP 주소가 부여되어 있을 경우에는 부재중이라 하더라도 어디서나 인터폰에 접속하여 원격 동작시킬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기능도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세 가지(도어 개폐, 영상 저장, 경비실 연결)만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른 제어 기능이 UI/UX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N-스크린 환경에서 동작하기에 적합하며, 스크린 단말로 활용되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TV 또는 IPTV, 및 스마트폰 등)에 실장하고 동작을 시키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들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인터폰 200 : 스마트 인터폰 플랫폼
210 : 스마트폰 220 : 스마트 TV
230 : IPTV 240 : 무선 인터넷 단말

Claims (1)

  1. 표시부;
    인터폰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인터폰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식에 맞게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인터폰 제어를 위한 해당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KR1020120144641A 2012-12-12 2012-12-12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KR20140076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41A KR20140076278A (ko) 2012-12-12 2012-12-12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41A KR20140076278A (ko) 2012-12-12 2012-12-12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278A true KR20140076278A (ko) 2014-06-20

Family

ID=5112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641A KR20140076278A (ko) 2012-12-12 2012-12-12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62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0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ideo
US89236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display overscan using a mobile device
US20160134835A1 (en) Multiple channel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cameras
WO2017088376A1 (zh) 连接被控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US10944829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ultiplexing service information from sensor data
WO2022089088A1 (zh) 显示设备、移动终端、投屏数据传输方法及传输系统
CN112350981B (zh) 一种切换通信协议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40075039A1 (en) Networking method, server device, client device, and network system
EP2136531B1 (en) Processing video communication data
US20200136846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live sharing and smart monitoring
US9781383B2 (en) Media stream from sender seen on receiver side before confirming receipt of media stream
JP2017501598A (ja) ストリーム・メディア・データを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4200848A (zh) 家居设备的远程控制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204795312U (zh) 一种摄像机、电视盒一体化电子设备
US8848885B2 (e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system
US10944840B2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GB2486457A (en) System with two linked display devices
US1133686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 call o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KR20140076278A (ko) 인터폰 스크린 커플링 서비스 제공 가능한 스마트 기기
US8913727B2 (en) Presence transmission method,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system
KR101130560B1 (ko) 핸디 장치를 이용한 SoIP 단말 원격제어 시스템 및 원격제어 방법
CN117294748A (zh) 一种第三方会议终端控制方法及代理服务器
KR102330109B1 (ko)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FI123976B (fi) Menetelmä ja välitysjärjestely median siirtoon
CN117880001A (zh) 跨通信网络的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