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920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920A
KR20140075920A KR1020120143398A KR20120143398A KR20140075920A KR 20140075920 A KR20140075920 A KR 20140075920A KR 1020120143398 A KR1020120143398 A KR 1020120143398A KR 20120143398 A KR20120143398 A KR 20120143398A KR 20140075920 A KR20140075920 A KR 2014007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isplay panel
conductive patterns
wirings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9890B1 (en
Inventor
윤순일
홍성진
윤중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90B1/en
Publication of KR2014007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which includes a display panel; a gate driving part which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ing part which supplies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lines which are formed in the non-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panel; and conductive patterns which have an protrusion part which is adjacent to the lines in the non-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panel and has a point which includes an edge and an apex to induce static electricity coming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00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현재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전기영동표시장치 등과 같은 표시장치는 소형, 중형 및 대형에 이르기까지 구현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the market of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etting larger. Currently,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re being implemented to a small size, a medium size and a large siz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 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표시 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 driver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r. The driver includes a gate driver fo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 중 일부는 표시 패널의 외곽 베젤 영역 상에 각종 신호배선 및 전원배선 등이 형성된다. 표시 패널의 외곽 베젤 영역 상에 위치하는 신호배선 및 전원배선은 상하 좌우에서 유입되는 정전기에 취약하다.In some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s, various signal wirings, power supply wirings,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outer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The signal wiring and the power wiring located on the outer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are vulnerable to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정전기는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상에서 건식 식각 시 유입되거나 기판 이송 시 유입되는 등 외부로부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된다. 신호배선 및 전원배선에 정전기가 유입되면 상호 인접한 배선들이 합선되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어 결국,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 등을 초래하므로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The static electricity flows through various paths from the outside such as the dry etch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or the flow in the substrate transfer. When static electricity flows into the signal wiring and the power wiring, the adjacent wirings are short-circuited or disconnected, resulting in display failure of the display device.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해 상호 인접한 배선들이 합선되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 및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solving and preventing the problem of short-circuiting or disconnection of wirings adjacent to each other due to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표시 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배선들; 및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서 배선들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유도하도록 어느 한점이 모서리나 꼭짓점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갖는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te driver fo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Wirings formed in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 conductive pattern formed adjacent to the wirings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protrusions each including a corner or a vertex to induce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도전성 패턴들은 배선들의 외측, 내측 또는 외측 및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can be formed on the outside, inside or outside and inside of the wirings.

도전성 패턴들은 배선들보다 얇은 배선 폭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ductive wiring having a wiring width that is thinner than the wiring.

도전성 배선은 고전위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전달하는 패드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ductive wiring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d or electrode that carries a voltage lower than the high-potential voltage.

도전성 패턴들 및 도전성 배선은 유입된 정전기에 의해 용융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and the conductive wiring can be melted or removed by the introduced static electricity.

도전성 패턴들은 상호 이격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may be formed spaced apart or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be electrically floated.

도전성 패턴들은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마름모 형상, 육각형 형상 및 랜덤 형상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may be formed of one selected from a triang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rhombic shape, a hexagon shape, and a random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전성 패턴들은 배선들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may be formed along the route in which the wirings are wired or may be formed in some area.

도전성 패턴들은 N(N은 2 이상 정수)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선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may be formed between the wirings by being divided into 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groups.

배선들은 게이트 구동부 및 표시 패널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배선과 전원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ings may include signal wiring and power wiring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gate driver and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비표시영역에 정전기를 유도할 수 있는 패턴이나 배선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해 상호 인접한 배선들이 합선되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 및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attern or wiring capable of inducing static electricity is formed in a non-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And the like can be sol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변형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9는 제3실시예의 변형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1은 제4실시예의 변형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3은 제5실시예의 변형 예시도.
도 14는 도전성 패턴들의 다양한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ubpixel shown in Fig. 1.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6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8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Fig.
10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12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14 shows various examples of conductive patterns.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subpixels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는 영상 처리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표시 패널(150) 및 전원 공급부(160)가 포함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110, a timing control unit 120, a gate driving unit 130, a data driving unit 140, a display panel 150, and a power supply unit 160.

영상 처리부(11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및 데이터신호(DATA)를 타이밍 제어부(120)에 공급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supplie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ata enable signal DE,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data signal DATA to the timing control unit 120 do.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공급된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40)와 게이트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timing control unit 120 uses a timing signal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E and a clock signal CLK suppli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s of the data driver 140 and the gate driver 130.

타이밍 제어부(120)는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1 수평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여 프레임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20 supplies the data driver 140 with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image processor 110 using the timing signal. The timing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the frame period by counting the data enable signal DE in one horizontal period so that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suppli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are omitted .

타이밍 제어부(12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들에는 게이트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가 포함된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샘플링 클럭(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등이 포함된다.The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timing controller 120 include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130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40. [ ).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includes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and the like.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and the like.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 전압들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라인들(G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The gate driver 130 outputs the gate signal while shifting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s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The gate driver 130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50 through the gate lines GL.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The data driver 140 samples and latches the data signal DATA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and converts the sampled data signal into a gamma reference voltage. The data driver 140 supplies the data signal DATA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50 through the data lines DL.

표시 패널(150)은 게이트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광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The display panel 150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te signal supplied from the gate driver 130 and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data driver 140.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sub-pixels SP for controlling light to display an image.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게이트라인(GL1)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전압으로 저장하는 커패시터(Cst)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 픽셀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서브 픽셀들(SP)은 액정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되거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다.One subpixel includes a switching transistor SW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1 and the data line DL1 and a capacitor Cst for storing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SW as a data voltage, And a pixel circuit (PC)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data line (Cs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circuit PC, the sub-pixels SP may be constitu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element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표시 패널(150)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표시 패널(150)이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 밖에, 표시 패널(150)은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발광표시패널뿐만 아니라 전기영동표시패널 등으로 구성된다.When the display panel 150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may be a twisted nematic (TN) mode, a VA (Vertical Alignment) mode, an IPS (In Plane Switching) mode, a FFS (Fringe Field Switching) mode, or an ECB (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Mode. When the display panel 150 is form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150 may be implemented as a top emission type, a bottom emission type, or a dual emission type.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50 is composed of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s well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원 공급부(160)는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게이트 하이 전압 및 게이트 로우 전압 등을 출력한다. 고전위 전압은 제1전원 배선(VCC)을 통해 출력되고, 저전위 전압은 제2전원 배선(GND)을 통해 출력되고, 게이트 하이 전압은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을 통해 출력되며, 게이트 로우 전압은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을 통해 출력된다.The power supply unit 160 outputs a high potential voltage, a low potential voltage, a gate high voltage, and a gate low voltage. The high potential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CC), the low potential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GND), the gate high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gate high voltage line (VGH) The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gate-low voltage wiring (VGL).

고전위 전압 및 저전위 전압은 타이밍 제어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및 표시 패널(150) 중 하나 이상에 공급된다. 게이트 하이 전압 및 게이트 로우 전압을 포함하는 게이트 전압들은 게이트 구동부(130)에 공급된다.The high and low potential voltages ar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timing controller 120, the gate driver 130, the data driver 140, and the display panel 150. The gate voltages including the gate high voltage and the gate low voltage are supplied to the gate driver 130.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as follows.

표시 패널(150)에는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이 정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서브 픽셀들(SP)이 형성된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게이트 구동부(130a, 130b)와 데이터 구동부(140a, 140b)가 형성된다.The display panel 150 defines a display area AA and a non-display area NA. In the display area AA, subpixels SP are formed. Gate drivers 130a and 130b and data drivers 140a and 140b are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A.

게이트 구동부(130a, 130b)는 표시 패널(150)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외곽 베젤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표시 영역(NA)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실장된다. 게이트 구동부(130a, 130b)는 COG(Chip On Glass)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실장된다.The gate drivers 130a and 130b are mounted in an IC (Integrated Circuit) form in a non-display area NA defined by the left, right, or right and left outer bezel areas of the display panel 150. [ The gate drivers 130a and 130b are mounted on the gate pad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50 in a COG (Chip On Glass) form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데이터 구동부(140a, 140b)는 표시 패널(150)의 상측 또는 하측 외곽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실장된다. 데이터 구동부(140a, 140b)는 COG(Chip On Glass)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실장된다.The data drivers 140a and 140b are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out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50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The data drivers 140a and 140b are mounted in a COG (Chip On Glass) form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data pad portion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50. [

연성회로기판(170)은 표시 패널(150)의 하측 외곽에 형성된 접속 패드부에 일측이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170)은 인쇄회로기판(180)과 표시 패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들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성회로기판(170)은 인쇄회로기판(180) 상에 형성된 타이밍 제어부(120)와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출력된 각종 신호 및 전원 등을 표시 패널(150), 게이트 구동부(130a, 130b) 및 데이터 구동부(140a, 140b)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On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70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a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50. The flexible circuit board 170 electrically connects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the display panel 150 and transmits signals therebetwee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7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50, the gate drivers 130a and 130b, and the display panel 150.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7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timing controller 120 and a power supply unit 160, To the data drivers 140a and 140b.

인쇄회로기판(180)은 연성회로기판(170)의 타측 외곽에 형성된 연결 패드부에 일측이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18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120)와 전원 공급부(160)가 형성된다. 타이밍 제어부(120)와 전원 공급부(160)는 인쇄회로기판(180) 상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실장된다. 이 밖에, 영상 처리부(110)는 인쇄회로기판(180)과 연결되는 메인회로기판(또는 시스템보드)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실장되나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d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7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 timing control unit 120 and a power supply unit 160 are formed. The timing control unit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60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is mounted on a main circuit board (or a system board)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in the form of an IC (Integrated Circuit), but illustration thereof is omitted.

한편, 앞서 도시 및 설명된 표시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및 배치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 구동부(130a, 130b) 및 데이터 구동부(140a, 140b)가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실장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게이트 구동부(130a, 130b) 및 데이터 구동부(140a, 140b) 중 하나 이상은 연성회로기판(180)과 같이 외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부(130a, 130b)의 경우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only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and the data driving units 140a and 140b are mounted in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However, one or more of the gate drivers 130a and 130b and the data drivers 140a and 140b may be mounted on an external substrate, such as the flexible circuit board 180. And may be formed in a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 a gate in panel (GIP) manner in the case of the gate drivers 130a and 130b.

이하, 도 3에 도시된 "EA" 영역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an enlarged view of the "EA" area shown in Fig.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은 패턴 영역(PA), 배선 영역(WA) 및 패드 영역(PAD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DA)은 배선 영역(WA)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배선 영역(WA)은 패턴 영역(PA)과 패드 영역(PADA) 사이에 위치한다. 패턴 영역(PA)은 배선 영역(WA) 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즉, 패턴 영역(PA)은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 중 최 외곽에 위치한다.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a pattern area PA, a wiring area WA, and a pad area PADA. The pad region PADA is located inside the wiring region WA. The wiring region WA is located between the pattern region PA and the pad region PADA.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outside the wiring area WA. That is,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non-display areas NA of the display panel 150.

패드 영역(PADA)에는 게이트 구동부가 실장되는 게이트 패드부(PAD)가 형성된다. 게이트 패드부(PAD)는 배선 영역(WA)에 형성된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에 구분되어 연결된다.The pad region PADA is formed with a gate pad portion PAD on which the gate driver is mounted. The gate pad portion PAD is divided and connected to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formed in the wiring region WA and the power lines VCC and GND.

배선 영역(WA)에는 게이트 패드부(PAD)에 연결되는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구분되어 형성된다. 전원배선(VCC, GND)은 고전위 전압을 전달하는 제1전원 배선(VCC) 및 저전위 전압을 전달하는 제2전원 배선(GND) 등을 포함한다. 신호배선(VGH, GSP, VGL)은 게이트 하이 전압을 전달하는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전달하는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 및 게이트 로우 전압을 전달하는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 등을 포함한다.Signal lines VGH, GSP and VGL connected to the gate pad unit PAD and power lines VCC and GND are separately formed in the wiring region WA. The power supply lines (VCC, GND) include a first power supply line (VCC) for transferring a high potential voltage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GND) for transferring a low potential voltage.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re connected to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for transferring the gate high voltage, the gate start wiring GSP for transferring the gate start pulse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for transferring the gate low voltage, And the like.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 및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은 전압을 전달하는 배선이므로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보다 두꺼운 배선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전원 배선(VCC) 및 제1전원 배선(VCC) 또한 전원을 전달하는 배선이므로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보다 두꺼운 배선 폭을 가질 수 있다. 반면,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은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이므로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 및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 등보다 얇은 배선 폭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are wirings for transferring a voltage, they can have a wiring width that is thicker than the gate start wiring GSP. Sinc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CC and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CC are wirings for transmitting power, they can have a wider width than the gate start line GSP.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ate start wiring GSP is a wiring for transmitting a signal, it can have a thinner wiring width than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은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을 각각 구성하는 제1층 배선은 y축 방향으로 배선되고 제2층 배선은 y축 방향으로 배선됨과 더불어 일부가 x축 방향으로 배선되어 게이트 패드부(PA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을 각각 구성하는 제2층 배선의 경우 다른 배선을 각각 구성하는 제1층 배선과 중첩되는 중첩영역(OVL)을 갖는다. 중첩영역(OVL)에 위치하는 제1층 배선과 제2층 배선은 절연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lines VCC and GND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 first layer wiring which constitutes each of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 VCC and GND is wired in the y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layer wiring is wired in the y axis direc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pad portion (PAD). Thus, in the case of the second layer wiring constituting the signal wirings (VGH, GSP,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GND), each of the second layer wirings has the overlap region OVL overlapping the first layer wirings constituting the other wirings . The first layer wiring and the second layer wiring located in the overlap area OVL are electrically insulated by the insulating film.

한편, 도 4에서는 배선 영역(WA)에 형성되는 배선들을 단순하게 도시하고자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 사이에 위치하는 배선을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 사이에 위치하는 배선은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뿐만 아니라 신호를 전달하는 다른 배선이 더 포함된다. 즉, 배선 영역(WA)에 형성된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은 하나의 예시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FIG. 4, a wiring located between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is defined as a gate start wiring GSP in order to simply illustrate wirings formed in the wiring area WA. However, the wiring located between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further includes not only the gate start wiring GSP but also other wiring for transmitting signals. That is,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formed in the wiring region WA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패턴 영역(PA)에는 도전성 패턴들(PTN)이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거나 인접하여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은 베젤 영역 상에 위치하는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에 유입되는 정전기(ESD)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in the pattern region PA.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ductive patterns PTN serve to induce static electricity (ESD) flowing into the signal lines VGH, GSP, VGL and the power lines VCC, GND located on the bezel region.

한편, 정전기(ESD)는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상에서 건식 식각 시 유입되거나 기판 이송 시 유입되는 등 외부로부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된다. 신호배선 및 전원배선에 정전기(ESD)가 유입되면 상호 인접한 배선들이 합선되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어 결국,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 등을 초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lows through various paths from the outside such as a dry etching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or a flow in the substrate transferring process. When ESD flows into the signal wiring and the power wiring, the adjacent wirings are short-circuited or disconnected, resulting in poor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패턴 영역(PA)에 도전성 패턴들(PTN)을 형성하면 도전성 패턴들(PTN)이 유입된 정전기(ESD)를 먼저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는 개선 및 방지된다. 이를 위해, 도전성 패턴들(PTN)은 도 4와 같이 도전성 배선(PL)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5와 같이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형성된다.However,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in the pattern area PA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D in which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introduced can be induced first, And is prevented. To this end,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wiring PL as shown in FIG. 4 or to be electrically floating as shown in FIG.

도전성 배선(PL)은 표시 패널, 연성회로기판 및/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에 형성된 패드나 전극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배선(PL)은 음의 전압 또는 고전위 전압보다 낮은 전압 등이 공급되는 패드나 전극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배선(PL)은 표시 패널, 연성회로기판 및/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에 형성된 제2전원 배선(GND)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배선(PL)과 제2전원 배선(GND)은 표시장치의 구조 및 배선 레이아웃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The conductive wiring (PL) may be connected to a pad, an electrode, or the like formed on a display panel, a flexible circuit board, and / or a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ductive wiring PL may be connected to a pad or an electrode to which a negative voltage or a voltage lower than the high potential voltage is supplied. For example, the conductive wiring line PL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power line (GND) formed on a display panel, a flexible circuit board, and / or a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ductive wiring line PL and the second power line G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various region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wiring layout, and therefore,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전성 배선(PL)에 특정 전압을 공급하면 인접하는 배선과의 간섭이나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전성 배선(PL)은 유입된 정전기(ESD)를 먼저 유도할 수 있도록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 대비 얇은 배선 폭을 가져야 한다. 즉, 도전성 배선(PL)은 표시 패널(150)에 형성된 배선들 중 가장 얇은 배선 폭을 가져야 한다. 도전성 배선(PL)을 이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정전기(ESD)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지만 일단 특정 배선을 통해 유입되면 이후 제일 얇은 배선 폭을 갖는 배선으로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When a specific voltage is supplied to the conductive wiring (PL),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or noise with the adjacent wiring. However, the conductive wiring line PL must have a thin wiring width with respect to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lines VCC and GND so that the introduced static electricity ESD can be induced first. That is, the conductive wiring (PL) must have the thinnest wiring width among the wiring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50). The reason why the conductive wiring (PL) is formed in this way is that the static electricity (ESD) flows through the various paths from the outside, but once it flows through the specific wiring, the path is formed in the wiring having the thinnest wiring width .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정전기로 인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 및 방지하기 위해 신호배선(VGH, GSP, VGL)과 마주보는 영역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 형상으로 도전성 패턴들(PTN)이 형성된다. 전계나 자계뿐만 아니라 정전기 등은 모서리 부분이나 뾰족하게 돌출된 돌출부에서 유도/발산 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도전성 패턴들(PTN)을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면 피뢰침과 같은 원리로 정전기(ESD)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in a shape having a sharp triangular shape in the region facing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and prevent problems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do. In addition to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static electricity is most strongly induced in the corners or protruding protrusions.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into a sharp triangular shape by using this principle, it is possible to easily induce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lightning rod.

도전성 패턴들(PTN)이 신호배선(VGH, GSP, VGL)과 마주보는 영역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우측, 상측 및 하측 방향에서 유입되는 정전기(ESD)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한하여 형성된다.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have a sharp triangular shape in the region facing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the static electricity ESD flowing in the right, upper, and lower directions can be easily induced.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 are formed along the path in which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are wired or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area.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배선 영역(WA)에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표시장치의 구조 및 특성에 따라 배선 영역(WA)에는 전원배선(VCC, GND)만 형성되거나 신호배선(VGH, GSP, VGL)으로 정의된 배선이 아닌 다른 배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are formed in the wiring region WA. Howev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only the power supply lines VCC and GND may be formed in the wiring region WA, or wirings other than the lines defined by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may be 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영역(NA)에 해당되는 영역이라면 다른 배선이나 패턴과 구분되어 그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영역(NA)뿐만 아니라 연성회로기판이나 인쇄회로기판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lines P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nywhere other than the wiring or the pattern, if the area corresponds to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lines P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not only on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but also on a flexible circuit board or a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복층 구조로 형성된 경우,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을 구성하는 하층 배선 또는 상층 배선에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상층 및 하층 배선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lines VCC and GND ar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lines P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lines VGH,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wiring layer or the upper wiring layer constituting the wiring (VCC, GND) or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wiring and the lower wiring.

한편, 도전성 패턴들(PTN) 및 도전성 배선(PL)은 유입된 정전기(ESD)에 의해 패턴이나 배선이 용융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도전성 패턴들(PTN) 및 도전성 배선(PL)이 용융되거나 제거되면 이와 인접한 배선과의 신호 간섭 문제 등은 해소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 (PL) can be selected as a material from which the pattern or wiring can be melted or removed by the introduced static electricity (ESD).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 (PL) are melted or removed, the problem of signal interference with the wiring adjacent thereto can be solved.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7은 제2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은 패턴 영역(PA), 배선 영역(WA) 및 패드 영역(PAD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DA)은 배선 영역(WA)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배선 영역(WA)은 패턴 영역(PA)과 패드 영역(PADA) 사이에 위치한다. 패턴 영역(PA)은 배선 영역(WA) 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즉, 패턴 영역(PA)은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 중 최 외곽에 위치한다.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a pattern area PA, a wiring area WA, and a pad area PADA. The pad region PADA is located inside the wiring region WA. The wiring region WA is located between the pattern region PA and the pad region PADA.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outside the wiring area WA. That is,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non-display areas NA of the display panel 15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패턴들(PTN)은 도 6과 같이 도전성 배선(PL)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7과 같이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한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wiring PL as shown in FIG. 6 or to be electrically floating as shown in FIG.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 are formed along the route in which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are wi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

다만, 도전성 패턴들(PTN)은 제1실시예와 달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우상, 우하, 좌하 및 좌상 방향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전성 패턴들(PTN)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대각선 방향에서의 정전기 유도 기능이 향상될 것이다.However,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have a rectangular shape, it is possible to easily induce the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 the upper right, lower right, lower left, and upper left directions. That is,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electrostatic induction func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will be improved.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9는 제3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modification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은 패턴 영역(PA), 배선 영역(WA) 및 패드 영역(PAD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DA)은 배선 영역(WA)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배선 영역(WA)은 패턴 영역(PA)과 패드 영역(PADA) 사이에 위치한다. 패턴 영역(PA)은 배선 영역(WA) 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즉, 패턴 영역(PA)은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 중 최 외곽에 위치한다.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a pattern area PA, a wiring area WA, and a pad area PADA. The pad region PADA is located inside the wiring region WA. The wiring region WA is located between the pattern region PA and the pad region PADA.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outside the wiring area WA. That is,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non-display areas NA of the display panel 15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패턴들(PTN)은 도 8과 같이 도전성 배선(PL)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9와 같이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한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wiring PL as shown in FIG. 8 or to be electrically floating as shown in FIG.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 are formed along the route in which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are wi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

다만, 도전성 패턴들(PTN)은 제2실시예와 달리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이 마름모 형상을 갖는 경우, 상, 하, 좌 및 우 방향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in a rhombic shape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have a rhombic shape, it is possible to easily induce the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제4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modification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은 패턴 영역(PA), 배선 영역(WA) 및 패드 영역(PAD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DA)은 배선 영역(WA)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배선 영역(WA)은 패턴 영역(PA)과 패드 영역(PADA) 사이에 위치한다. 패턴 영역(PA)은 배선 영역(WA) 내에 위치한다.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a pattern area PA, a wiring area WA, and a pad area PADA. The pad region PADA is located inside the wiring region WA. The wiring region WA is located between the pattern region PA and the pad region PADA. The pattern area PA is located in the wiring area WA.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패턴들(PTN)은 도 10과 같이 도전성 배선(PL)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11과 같이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배선(PL)은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한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wiring (PL) as shown in FIG. 10 or to be electrically floating as shown in FIG.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 are formed along the route in which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are wi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

다만,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패턴들(PTN) 및 도전성 배선(PL)은 신호배선(VGH, GSP, VGL) 내에 형성된다. 즉, 배선 영역(WA)에는 게이트 패드부(PAD)에 연결되는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뿐만 아니라 패턴 영역(PA)에 포함된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패턴들(PTN) 및 도전성 배선(PL)이 형성된다.However, the conductive patterns PT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nd the conductive wiring PL are formed in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That is, not only the signal line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lines VCC and GND connected to the gate pad unit PAD but also the conductive patterns PTN included in the pattern area PA are formed in the wiring area WA. Or conductive patterns (PTN) and a conductive wiring (PL) are formed.

예컨대, 도전성 패턴들(PTN)이나 도전성 패턴들(PTN) 및 도전성 배선(PL)을 포함하는 패턴 영역(PA)은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과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패턴 영역(PA)은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과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 사이,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과 제1전원 배선(VCC) 사이 등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 pattern area PA including conductive patterns PTN, conductive patterns PTN, and conductive wiring PL is located between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and the gate start wiring GSP.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The pattern area PA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gate start wiring GSP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between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and the first power wiring VCC, have.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13은 제5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은 패턴 영역(PA), 배선 영역(WA) 및 패드 영역(PAD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DA)은 배선 영역(WA)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배선 영역(WA)은 패턴 영역(PA)과 패드 영역(PADA) 사이에 위치한다. 패턴 영역(PA1, PA2)은 배선 영역(WA) 내에 N(N은 2 이상 정수)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위치한다.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a pattern area PA, a wiring area WA, and a pad area PADA. The pad region PADA is located inside the wiring region WA. The wiring region WA is located between the pattern region PA and the pad region PADA. The pattern regions PA1 and PA2 are divided into 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groups in the wiring region WA.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패턴들(PTN)은 도 12와 같이 도전성 배선(PL)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13과 같이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들(PTN1, PTN2)이나 도전성 배선(PL1, PL2)은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한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tterns PTN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wiring PL as shown in FIG. 12 or to be electrically floating as shown in FIG. 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1 and PL2 are formed along the path in which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VCC and GND are wi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only in some regions.

다만, 도전성 패턴들(PTN1, PTN2)이나 도전성 패턴들(PTN1, PTN2) 및 도전성 배선(PL1, PL2)은 신호배선(VGH, GSP, VGL) 내에 N(N은 2 이상 정수)개의 그룹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배선 영역(WA)에는 게이트 패드부(PAD)에 연결되는 신호배선(VGH, GSP, VGL) 및 전원배선(VCC, GND)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패턴 영역(PA1, PA2)에 포함된 도전성 패턴들(PTN1, PTN2)이나 도전성 패턴들(PTN1, PTN2) 및 도전성 배선(PL1, PL2)이 형성된다.However, 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1 and PL2 are formed in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in a group of N (N is an integer of two or more) do. For example, not only the signal wirings VGH, GSP, and VGL and the power wirings VCC and GND connected to the gate pad portion PAD are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regions PA1 and PA2, 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and the conductive wirings PL1 and PL2 are formed.

예컨대, 제1도전성 패턴들(PTN1)이나 제1도전성 패턴들(PTN1) 및 제1도전성 배선(PL1)을 포함하는 제1패턴 영역(PA1)은 게이트 하이 전압 배선(VGH)과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도전성 패턴들(PTN2)이나 제2도전성 패턴들(PTN2) 및 제2도전성 배선(PL2)을 포함하는 제2패턴 영역(PA2)은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과 제1전원 배선(VCC)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제1 및 제2패턴 영역(PA1, PA2)은 게이트 스타트 배선(GSP)과 게이트 로우 전압 배선(VGL) 사이, 제1전원 배선(VCC)과 제2전원 배선(GND) 사이 등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attern area PA1 includ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PTN1,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the first conductive interconnection PL1 is connected to the gate high voltage wiring VGH and the gate start wiring GSP). The second pattern region PA2 includ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s PTN2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s PTN2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ing PL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and the first power wiring VCC).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regions PA1 and PA2 are provided between the gate start wiring GSP and the gate low voltage wiring VGL and between the first power wiring VCC and the second power wiring GND, And the like.

또한, 제1 및 제2패턴 영역(PA1, PA2)에 포함된 도전성 패턴들(PTN1, PTN2)은 삼각형 형상, 마름모 형상, 사각형 형상 및 육각형 형상 등으로 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패턴 영역(PA1)에 포함된 제1도전성 패턴들(PTN1)은 제1도전성 배선(PL1)에 연결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반면 제2패턴 영역(PA2)에 포함된 제2도전성 패턴들(PTN2)은 제2도전성 배선(PL2)이 생략되어 플로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regions PA1 and PA2 are formed in a combination of triangular, rhombic, rectangular, and hexagonal shapes.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PTN1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area PA1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wiring PL1 while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s PT1 included in the second pattern area PA2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wiring PL1. The second conductive wiring line PTN2 may be formed in a floating state with the second conductive wiring line PL2 omitted.

이와 반대로, 제1패턴 영역(PA1)에 포함된 제1도전성 패턴들(PTN1)은 제1도전성 배선(PL1)이 생략되어 플로팅된 상태로 형성되는 반면 제2패턴 영역(PA2)에 포함된 제2도전성 패턴들(PTN2)은 제2도전성 배선(PL2)에 연결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Conversely,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PTN1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area PA1 are formed in a floating state with the first conductive wiring PL1 omitted, while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PTN1 included in the second pattern area PA2 2 conductive patterns PTN2 may b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wiring PL2.

이하, 도전성 패턴들(PTN1, PTN2)로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shapes that can be selected as the conductive patterns PTN1 and PTN2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도전성 패턴들의 다양한 예시도 이다.14 shows various examples of the conductive patterns.

도전성 패턴들(PTN)은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된 형상 외에도 도 14의 (a)와 같이 별모양 형상, 도 14의 (b)와 같이 팔각형 형상, 도 14의 (c)와 같이 평행사변형 형상 및 도 14의 (d)와 같이 직각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도전성 패턴들(PTN)은 어느 한점이 모서리나 꼭짓점과 같이 뾰족한 부분을 갖는 랜덤(변칙적인 형상) 형상을 갖는 경우 정전기의 유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ductive patterns PTN may have a star shape as shown in Fig. 14 (a), an octagonal shape as shown in Fig. 14 (b), and an octagonal shape as shown in Fig. 14 (c) as well as the shapes described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 parallelogram shape as shown in FIG. 14A, and a right triangle shape as shown in FIG. 14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ductive patterns PTN is not limited to this, since any one of the conductive patterns PTN has a random (anomalous shape) shape having a sharp portion such as an edge or a vertex.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배선 및 전원배선이 배선되는 배선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에 도전성 패턴들을 형성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유도, 흡수 및 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비표시영역에 정전기를 유도할 수 있는 패턴이나 배선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해 상호 인접한 배선들이 합선되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 및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표시 불량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ductive pattern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wiring region where the signal wiring and the power wiring are wired, the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efficiently induced, absorbed and discharged.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nd reducing the problem of short-circuiting or disconnection of mutually adjacent wirings due to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forming a pattern or wiring for inducing static electricity in a non-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olving display defects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0: 타이밍 제어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데이터 구동부 150: 표시 패널
160: 전원 공급부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PA: 패턴 영역
WA: 배선 영역 PADA: 패드 영역
VGH, GSP, VGL: 신호배선 VCC, GND: 전원배선
PTN: 도전성 패턴들 PL: 도전성 배선
120: timing controller 130: gate driver
140: Data driver 150: Display panel
160: Power supply unit AA: Display area
NA: non-display area PA: pattern area
WA: wiring area PADA: pad area
VGH, GSP, VGL: Signal wiring VCC, GND: Power supply wiring
PTN: conductive patterns PL: conductive wiring

Claims (10)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배선들;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배선들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유도하도록 어느 한점이 모서리나 꼭짓점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갖는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Display panel;
A gate driver fo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Wirings formed in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nd conductive patterns formed adjacent to the wirings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protrusions each having a corner or a vertex to induce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상기 배선들의 외측, 내측 또는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And the second wiring is located outside, inside, outside, and inside of the wir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상기 배선들보다 얇은 배선 폭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ductive wiring having a wiring width that is thinner than the wi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배선은
고전위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전달하는 패드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ductive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d or an electrode that transmits a voltage lower than a high potential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 및 상기 도전성 배선은
상기 유입된 정전기에 의해 용융되거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and the conductive wiring
And is melted or removed by the introduced static electr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상호 이격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Spaced apart or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ing electrically flo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마름모 형상, 육각형 형상 및 랜덤 형상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A triang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rhombic shape, a hexagonal shape, and a random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상기 배선들이 배선된 경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Wherein the wirings are formed along the wired path or formed in a part of th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N(N은 2 이상 정수)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상기 배선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atterns
And N (N is an integer equal to or larger than 2) groups and is formed between the wir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들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배선과 전원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ings
And a signal wiring and a power wiring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gate driver and the display panel.
KR1020120143398A 2012-12-11 2012-12-11 Display Device KR102009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398A KR102009890B1 (en) 2012-12-11 2012-12-1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398A KR102009890B1 (en) 2012-12-11 2012-12-11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920A true KR20140075920A (en) 2014-06-20
KR102009890B1 KR102009890B1 (en) 2019-08-13

Family

ID=5112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398A KR102009890B1 (en) 2012-12-11 2012-12-11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7904A (en) * 2016-12-30 2018-07-10 乐金显示有限公司 Display panel
US11163397B2 (en) 2019-09-04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361A (en) * 1997-12-26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Manufacture of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l display device
KR20020056695A (en) * 2000-12-29 2002-07-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attern structure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40061423A (en) * 2002-12-31 2004-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A pour hole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0110684A (en) * 2003-06-20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5136088A (en) * 2003-10-29 2005-05-26 Toshiba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050098193A (en) * 2004-04-06 2005-10-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018730A (en) * 2004-08-25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rray substrate and a array substrate thereof
KR20060037635A (en) *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817366B1 (en) * 2007-04-11 2008-03-2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A color filter substrate for lc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10026789A (en) * 2009-09-08 201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sis display
KR20120040918A (en)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Gate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reof
KR20120075114A (en)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361A (en) * 1997-12-26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Manufacture of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l display device
KR20020056695A (en) * 2000-12-29 2002-07-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attern structure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40061423A (en) * 2002-12-31 2004-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A pour hole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0110684A (en) * 2003-06-20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5136088A (en) * 2003-10-29 2005-05-26 Toshiba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050098193A (en) * 2004-04-06 2005-10-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018730A (en) * 2004-08-25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rray substrate and a array substrate thereof
KR20060037635A (en) *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817366B1 (en) * 2007-04-11 2008-03-2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A color filter substrate for lc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10026789A (en) * 2009-09-08 201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sis display
KR20120040918A (en)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Gate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reof
KR20120075114A (en)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7904A (en) * 2016-12-30 2018-07-10 乐金显示有限公司 Display panel
US11163397B2 (en) 2019-09-04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90B1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56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964929B2 (en) Touch screen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0624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965063B2 (en) Display circuitry with reduced pixel parasitic capacitor coupling
CN205405027U (en) Display device
US9305508B2 (en) Display device
KR102089326B1 (en) Display Device
KR20160009805A (en) In-cell touch type display device
KR102082409B1 (en) Display device
EP3176769A1 (en) Display device
JP686978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JP2016142880A (en) Display device
JP2017134249A (en) Display device
US9780125B2 (en)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17134592A (en) Display device
JP2018146854A (en) Display device
KR102009890B1 (en) Display Device
KR10194436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72508A (en) Display device
KR20140081482A (en) Flexib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69612B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01224B1 (en) display panel
KR102257199B1 (en) Display Device
KR20120020298A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30037613A (en) Flat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