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903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903A
KR20140075903A KR1020120143258A KR20120143258A KR20140075903A KR 20140075903 A KR20140075903 A KR 20140075903A KR 1020120143258 A KR1020120143258 A KR 1020120143258A KR 20120143258 A KR20120143258 A KR 20120143258A KR 20140075903 A KR20140075903 A KR 20140075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ent
user
social network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호
Original Assignee
정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호 filed Critical 정길호
Priority to KR102012014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903A/ko
Publication of KR2014007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로부터 컨텐츠를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이를 상기 사용자와 인맥으로 연결된 사용자들끼리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 가운데 어느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연관성이 있는 적어도 일부를 인출하는 제 110 단계; 상기 인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2차 컨텐츠를 오쏘링하는 제 120 단계; 및 오쏘링된 2차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3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CATEGORIZATION METHOD OF SOCIAL NETWORK SERVICE ARCHIEVE}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분야에 속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들 가운데 일관성이 유지되는 데이터들을 구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산업의 헤게모니가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면서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분야의 지형 또한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도 네티즌들은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었으며, 블로그 등을 통해서 자신의 기록을 남기고 이를 타인들로 하여금 보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여러가지의 채널을 통해 서로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채널 가운데 한가지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인맥으로 연결된 사용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한다. 일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또 한편으로 사용자들이 생성한 이미지나 영상, 메모와 같은 형태의 기록을 제공하기도 한다.
미국의 페이스북(Face Book)이나 국내의 카카오 스토리, 싸이월드 모바일과 같은 류의 서비스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계정 공간에 이미지나 메모 등을 간단히 기록함으로써 게시물의 형태로 포스팅하도록 하되, 이를 인맥으로 연결된 사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제공한다.
과거에는 개인 블로그의 형태로 이와 유사한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블로그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서 비로소 접속이 가능했을 뿐 아니라, 게시물을 포스팅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개인용 컴퓨터로 옮기고 때로는 사진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후보정을 한 다음에나 업로드를 할 수 있을 따름이어서 사용상 불편함이 따랐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보급에 의하여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따로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충분한 화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간단히 사진을 찍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간단한 메모를 덧붙여 포스팅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이와 같은 유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사진을 찍어 게시물을 포스팅하는 것은 물론, 자신과 인맥으로 연결된 타 사용자들의 게시물 업데이트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사진이나 글들을 장기간에 걸쳐 무작정 올리다보면 그 자료들이 너무 많아졌을 때 이들을 찾아보는 것조차도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일이 되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생성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자료들을 일관성있게 정리해줄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누적된 기록들을 보다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동영상의 형태로 제공하고자 할 때에 동영상의 내용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축적된 자료들을 내용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정리하는 방법론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29386호 "소셜 네트워크 스토어 서비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장기간에 걸쳐 저장된 컨텐츠의 내용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또는 기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한 동영상의 생성을 위하여 내용 연관성이 인정되는 컨텐츠들을 구분하고 정리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로부터 컨텐츠를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이를 상기 사용자와 인맥으로 연결된 사용자들끼리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 가운데 어느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연관성이 있는 적어도 일부를 인출하는 제 110 단계;
상기 인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2차 컨텐츠를 오쏘링하는 제 120 단계; 및
오쏘링된 2차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3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내용 연관성을 기준으로, 연관성이 있는 일부를 인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가 텍스트 또는 메타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또는 메타 태그를 분석함으로써 키워드를 추출하는 제 111 단계;
상기 추출된 각 컨텐츠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의 일치여부 또는 유사여부를 판정하는 제 112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키워드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컨텐츠들을 인출하는 제 113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내용 연관성을 기준으로, 연관성이 있는 일부를 인출하는 방법의 이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생성시점을 분석하여, 컨텐츠들의 생성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간을 판정하는 제 114 단계;
상기 판정된 기간동안 생성된 컨텐츠들을 인출하는 제 115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내용 연관성을 기준으로, 연관성이 있는 일부를 인출하는 방법의 삼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촬영 대상물의 유형을 판정하는 제 116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 또는 동영상 가운데 판정된 촬영 대상물의 유형이 일치하는 것을 인출하는 제 117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내용 연관성을 기준으로, 연관성이 있는 일부를 인출하는 방법의 사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의 EXIF 태그를 분석하여 촬영 장소를 판정하는 제 118 단계;
상기 판정된 촬영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이미지 가운데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것들을 인출하는 제 119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19 단계에서 상기 인출된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인근 시간대에 촬영된 이미지들을 더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자칫 사장되기 쉬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록들을 관리와 감상이 용이한 하나의 동영상으로 생성하여 간단히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에 의할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축적된 기록들의 영속성을 보장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자체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부가 서비스를 통한 수익창출 모델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컨텐츠를 무작위로 업데이트하더라도 그 가운데 일관성이 있는 것들을 자동으로 추려서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해줌으로써, 동영상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의 기록을 주제별로 분류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연결관계도이며,
도 2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저장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오쏘링된 동영상이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삼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연결관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20)와 연결된다.
이때, 서버(10)는 바람직하게는 단말기(20)로부터 사진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업로드되면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의 계정에 게시물의 형태로 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인맥으로 연결된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해당 게시물을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기(20)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의 형태일 수 있으며, 언제 어디에서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서버(10)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기(20)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동영상과 같은 형태의 2차적 저작물을 오쏘링하되, 2차적 저작물로 오쏘링될 로 데이터들을 컨텐츠 내용상의 일관성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하는 방법을 한정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저장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오쏘링된 동영상이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단말기(20) 사용자가 서버(10)로 접속하여, 서버(10)가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저장된 자신의 기록들을 이용하여 2차적 저작물(예컨대, 동영상)을 생성해 줄 것을 요청하면,
서버(10)는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기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연관성이 있는 적어도 일부를 인출한다(S110).
이는 연관성이 있는 컨텐츠들을 인출하여 이를 통합함으로써 2차적 저작물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즉, 그 내용상 일관성이 있는 컨텐츠들을 인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는 신변잡기적인 이야기부터, 회사나 휴가, 취미생활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하여 무작위로 사진을 찍거나 글을 쓰는 등의 방식으로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포스팅을 하는데, 이를 단순히 시간순으로 정렬하여 동영상 등의 2차적 저작물을 만든다면, 2차적 저작물로서의 가치나 완성도가 현저하게 낮아질 것이다.
그러나, 컨텐츠들은 대체로 일관성 없이 무작위로 포스팅되기 때문에 서버(1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일관성이 유지되는 컨텐츠들을 추출해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서버(10)는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컨텐츠들의 내용상 일관성을 분석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단말기(20) 사용자가 컨텐츠의 업로드시에 텍스트를 함께 입력하거나, 또는 이미지나 동영상 등에 태그를 달아서 업로드 한 경우의 처리과정에 해당한다.
즉, 단말기(20) 사용자가 업로드한 로 데이터가 텍스트의 형태로 인식이 가능한 정보를 부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우선,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가 텍스트 또는 메타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또는 메타 태그(Meta Tag)를 분석함으로써 키워드를 추출한다(S111).
키워드의 획득을 위하여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의 어근을 분석해내고, 주로 용언을 위주로 하여 키워드를 추출해낸다. 이를 위하여 알려진 종래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인출된 각각의 컨텐츠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이들 키워드들의 일치여부 또는 유사여부를 판정한다(S112).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의미 유사성을 갖는 키워드들에 대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때 키워드들의 의미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분석 사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가 동일한 컨텐츠들이나, 키워드간 의미 유사성이 인정되는 컨텐츠들을 인출한다(S113).
예컨대, "맛집"이라는 키워드와 "맛있다"라는 키워드는 어근이 동일하므로 의미 유사성이 인정된다.
"사랑"과 "좋다" 역시 의미 유사성이 인정된다.
키워드들간 의미 유사성에 대해서는 기분석사전을 이용한 어근 분석 이외에도, 의미 유사성이 인정되는 키워드들을 미리 정해둘 수 있다.
사용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빈번하게 사용하는 단어들은 의외로 그렇게 다양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흔히 사용하는 단어들을 키워드로 하여 의미 유사성을 미리 정의해 둠으로써 이러한 과정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 서버(10)는 컨텐츠들이 서버(10)에 업로드 된 시점과 해당 시점에서의 단말기(20)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빈도 등을 감안하여 컨텐츠의 내용상 일관성을 유추한다.
서버(10)는 단말기(20)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의 업로드시에 날짜와 업로드 시간을 함께 기록하며, 업로드된 날짜와 시간을 팩터로 하여 분석을 행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우선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생성시점을 분석하여, 컨텐츠들의 생성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간을 판정한다(S114).
예컨대, 1월 1일부터 1월 10일까지는 일 1건 또는 그 미만, 1월 11일부터 1월 18일까지 일 평균 8건의 업로드를 했다고 가정할 때, 평균 업로드 횟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횟수가 특정 기간 동안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업로드 횟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한 1월 11일부터 1월 18일에 이르는 기간 동안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에게 일정한 사정의 변화, 변경이 있었고 이에 의해 업로드가 증가했다고 볼 개연성이 있으며, 해당 기간 동안 단말기(20)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들은 대체로 내용상의 유사성을 가진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기간동안 단말기(20) 사용자가 휴가를 얻어 여행을 다녀왔다거나, 새로운 연인을 만나게 되어 추억거리를 활발하게 만들기 시작했다는 등, 단말기(20) 사용자에게 기억할만한 일들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20) 사용자의 업로드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기간 동안의 업로드 컨텐츠들은 대체로 의미 관련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에, 서버(10)는 상기 판정된 기간(상기 예에서는 1월 11일 내지 1월 18일)동안 생성된 컨텐츠들을 인출한다(S115).
한편,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삼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삼 실시예에서 서버(10)는 인출 대상인 컨텐츠들이 사진인 경우, 각 사진들의 피사체의 일관성 또는 사진이 촬영된 장소의 일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컨텐츠의 내용상 일관성을 유추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우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를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촬영 대상물의 유형을 판정한다(S116).
예컨대,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색상, 인물의 윤곽이 추출된다면 이는 인물사진인 것으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의 윤곽이 추출된다면 차량 사진인 것으로, 피사체와의 초첨거리가 멀고 초첨거리가 가까이 있는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풍경사진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피사체의 유형이 사람, 자동차, 풍경 가운데 하나 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유형들도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시 화소의 분석에 의한 판정에 더하여 EXIF 태그에 저장된 초점거리, 조리개값, 셔터스피드 등을 보조적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때 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스틸 이미지를 지칭하나 동영상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촬영 대상물의 유형 분석결과,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촬영 대상물의 유형이 일치하는 것들을 인출할 수 있다(S117).
예컨대, 사용자가 촬영하여 장기간에 걸쳐 업로드한 사진들 가운데 인물 사진만을 모아 인출한다거나, 풍경사진만을 인출하는 등이 그것이다.
한편,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축적된 컨텐츠들의 일관성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 실시예를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사 실시예에서 서버(10)는 인출 대상인 컨텐츠들이 사진인 경우, 각 사진들의 EXIF 태그로부터 사진이 촬영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컨텐츠의 내용상 일관성을 유추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사 실시예는 촬영된 사진 이미지의 EXIF 태그에 GPS 좌표정보가 부가적으로 저장된 경우를 가정한다. 예컨대, DSLR 카메라의 애드온으로 사진 촬영시 GPS 좌표를 읽어 이를 사진의 EXIF 태그에 저장하는 경우 또는 GPS 모듈을 내장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각 이미지들의 EXIF 태그로부터 GPS 좌표값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촬영 장소를 판정한다(S118).
이후, 상기 판정된 촬영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이미지 가운데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것들을 인출한다(S119).
이때,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사진 이미지와 촬영시간대를 비교하여 인접 시간대에 촬영된 이미지들을 함께 인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때 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스틸 이미지를 지칭하나 동영상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서버(10)는 S11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누적하여 저장된 컨텐츠들로부터 의미 유사성이 있는 컨텐츠들을 인출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카테고리를 미리 나누어 컨텐츠들을 저장해두었다면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의 의미 유사성을 우선적으로 인정하여, 이들을 위주로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110 단계에서 이와 같이 의미 유사성이 인정되는 컨텐츠들이 인출되면, 서버(10)는 상기 인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2차 컨텐츠를 오쏘링한다(S120).
이때, 2차 컨텐츠의 오쏘링은 예컨대, 이미지나 텍스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이를 동영상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S120 단계에서 서버(10)는 상기 인출된 컨텐츠를 시간순으로 정렬한 다음 이를 동영상의 형태로 오쏘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컨텐츠가 오쏘링됨에 따라 서버(10)는 오쏘링된 2차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S130).
2차 컨텐츠의 제공은 바람직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20) 사용자가 2차 컨텐츠의 오쏘링을 요청함에 따라 서버(10)가 이를 수행한 다음,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인맥으로 연결된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기(20)로 상기 2차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마트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이라는 표현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의 일 예로 사용된 것이며 따라서 타블렛(Table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넷북(Netbook)등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스마트폰"의 균등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등과 같이 지칭되는 공지의 유무선 통신방식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분야 및 그 인접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서버
20 : 단말기

Claims (9)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로부터 컨텐츠를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이를 상기 사용자와 인맥으로 연결된 사용자들끼리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 가운데 어느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연관성이 있는 적어도 일부를 인출하는 제 110 단계;
    상기 인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2차 컨텐츠를 오쏘링하는 제 120 단계; 및
    오쏘링된 2차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3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가 텍스트 또는 메타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또는 메타 태그를 분석함으로써 키워드를 추출하는 제 111 단계;
    상기 추출된 각 컨텐츠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의 일치여부 또는 유사여부를 판정하는 제 112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키워드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컨텐츠들을 인출하는 제 11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생성시점을 분석하여, 컨텐츠들의 생성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간을 판정하는 제 114 단계;
    상기 판정된 기간동안 생성된 컨텐츠들을 인출하는 제 11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촬영 대상물의 유형을 판정하는 제 116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 또는 동영상 가운데 판정된 촬영 대상물의 유형이 일치하는 것을 인출하는 제 11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이미지의 EXIF 태그를 분석하여 촬영 장소를 판정하는 제 118 단계;
    상기 판정된 촬영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이미지 가운데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것들을 인출하는 제 119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19 단계에서 상기 인출된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인근 시간대에 촬영된 이미지들을 더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서버가 어느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연관성이 있는 적어도 일부를 인출할 때,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상기 인출된 컨텐츠를 시간순으로 정렬한 다음 이를 동영상의 형태로 오쏘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서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와 인맥으로 연결된 다른 단말기로 상기 오쏘링된 2차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8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43258A 2012-12-11 2012-12-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KR20140075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58A KR20140075903A (ko) 2012-12-11 2012-12-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58A KR20140075903A (ko) 2012-12-11 2012-12-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903A true KR20140075903A (ko) 2014-06-20

Family

ID=5112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258A KR20140075903A (ko) 2012-12-11 2012-12-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9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2759A (zh) * 2019-12-25 2020-06-05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的会计电子档案处理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2759A (zh) * 2019-12-25 2020-06-05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的会计电子档案处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9595B (zh) 通过快门按击的自动媒体共享
US8224824B2 (en) Saving device for image sharing, image sharing system, and image sharing method
US8855379B2 (en) Saving device for image sharing, image sharing system, and image sharing method
US9477685B1 (en) Finding untagged images of a social network member
US10459968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686830B1 (ko)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이미지를 위한 태그 제안
US20130243273A1 (en) Image publishing device, image publishing method, image publishing system, and program
US9521211B2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US10276213B2 (en) Automatic and intelligent video sorting
KR100956159B1 (ko) 라이프로그 장치 및 정보 자동 태그 입력 방법
US11601391B2 (en) Automated image processing and insight presentation
KR101832680B1 (ko) 참석자들에 의한 이벤트 검색
US20150242405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ntext-sensitive organization of media files
JP2019159537A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80039854A1 (en) Personalized image collections
JP59241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68192B2 (ja)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EP28357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classification by correlating contextual cues with images
KR2014007590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카이브의 분류방법
KR20130020419A (ko) 온라인 콘텐츠 종합 관리 시스템
KR20220042930A (ko)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4182681A (ja) 共有情報提供システム
JP5506872B2 (ja) 投稿画像評価装置、投稿画像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462624B (zh) 一种网络相册的共享方法及系统
JP6003633B2 (ja) 会議資料作成支援プログラム,会議資料作成支援方法及び会議資料作成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