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660A -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660A
KR20140075660A KR1020140057445A KR20140057445A KR20140075660A KR 20140075660 A KR20140075660 A KR 20140075660A KR 1020140057445 A KR1020140057445 A KR 1020140057445A KR 20140057445 A KR20140057445 A KR 20140057445A KR 20140075660 A KR20140075660 A KR 2014007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e
input
touch inpu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동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 정보가 매칭된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1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에 매칭된 시간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RATUS FOR DISPLAYING IMAGE}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및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모두 활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출력 수단 및 입력 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직관적이고 간단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사전 지식 없이도 원하는 메뉴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한다.
위와 같은 장점을 이유로, 터치 스크린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및 PMP(Portable Media Player) 등 수많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활용된다.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한정된 크기의 입력 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많은 수의 이미지들을 날짜 별로 검색하거나, 표시하기를 원하는 이미지의 범위를 설정하는 동작 등 구체적인 동작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수 차례의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와 같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별도의 입력 수단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구체적인 동작을 입력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직관성이 결여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선 학습을 요구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은, 시간 정보가 매칭된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제1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에 매칭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간 정보는,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방법은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의 방향이 제1방향으로 결정된 경우 제1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를 변경하고, 제2방향으로 결정된 경우 제1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방향은 좌 또는 우 방향이고, 제2방향은 상 또는 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터치 입력의 방향은, 터치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 끝점의 위치, 가속도의 방향, 및 입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스와이프(swipe) 입력,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 및 플릭(flick)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된 날짜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날짜 검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날짜 검색 바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생성된 시점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방법은,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및 시점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날짜 검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는,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날짜를 커서(cursor)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방법은,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멀티 터치(multi touch) 입력에 기초하여, 날짜 검색 구간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방법은,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는, 시간 정보가 매칭된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에 매칭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이미지 결정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변경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상에 효율적인 화면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단순한 동작 만으로도 원하는 이미지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터치 스크린의 화면 전환 없이도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터치(touch)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날짜 검색 바 및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멀티 터치(multi touch) 입력에 따라 날짜 검색 바를 조절하는 실시 예를 도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및 “…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입력 수신부(110), 이미지 결정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및 PMP(Portable Media Player)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장치라도 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 수준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다른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를 생성한 다른 장치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이미지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통해 대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시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각각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점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들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날짜 및 시점을 이미지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다른 장치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다른 장치로부터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 및 시점에 대한 정보인 시간 정보를 메타데이터(metadata)의 형태로 이미지와 함께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직접 생성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촬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직접 생성하는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 및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 및 시점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이미지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이미지를 저장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이미지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저장부(미도시)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이미지와 함께 시간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정보에는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 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이미지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한다. 수신되는 외부 입력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입력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신체 일부로 입력 수신부(110)를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신부(110)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입력 도구를 통해서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입력 수신부(110)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과 레이어(layer)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은,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110)인 동시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입력의 위치, 면적, 및 압력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실제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또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신부(110)는 감압식 터치(resistive touch) 및 정전식 터치(capacitive touch)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touch)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신부(110)는 스와이프(swipe) 입력,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 및 플릭(flick)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또는 시점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하여 터치(touch)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위치를 선택하는 멀티 터치(multi-touch)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입력 수신부(110)는 두개 이상의 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날짜 검색 바에 대하여, 두 개의 점을 선택하고 이동시키는 핀치(pinch) 입력 또는 언핀치(unpinch)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핀치 입력 및 언핀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임의의 두 점을 각각 새로운 두 점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핀치 입력 및 언핀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된 임의의 두 점 중에서 하나의 점만을 새로운 점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날짜 검색 바에 대하여,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은 상술한 터치 입력과 유사하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임의의 점 하나를 기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여 시작점으로 선택한다는 점에서 터치 입력과 구별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입력 수신부(110)는 터치 스크린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센서(sensor)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 수신부(110)는,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입력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이미지 표시 장치(100)를 좌, 우, 상 또는 하로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결정부(120)는, 입력 수신부(110)가 수신한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표시 할 이미지를 결정한다. 즉, 이미지 결정부(120)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 할 이미지에 매칭되는 시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결정부(120)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되고 있는 제1 이미지에 매칭된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결정부(120)는, 표시되는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시간 정보 변경 모듈(121) 및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결정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 변경 모듈(121)은, 표시되는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시간 정보 변경 모듈(121)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제2 이미지에 매칭되는 시간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간 정보 변경 모듈(121)은 입력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터치 입력의 방향을 기초로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방향 결정 모듈(122)은, 입력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한다. 터치 입력의 방향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은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제2 방향은 ‘상’ 또는 ‘하’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향 결정 모듈(122)은 입력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터치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 끝점의 위치, 가속도의 방향 및 입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살펴본다.
이와 같이, 시간 정보 변경 모듈(121)은, 방향 결정 모듈(122)이 터치 입력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결정한 경우, 제1 이미지의 시간 정보 중에서 제1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의 방향이 제2 방향으로 결정된 경우, 시간 정보 변경 모듈(121)은 제1 이미지의 시간 정보 중에서 제1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시간 정보가 매칭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이미지 결정부(120)가 이미지에 매칭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입력, 및 멀티 터치 입력 등 입력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된 날짜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날짜 검색 바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생성된 시점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시점 검색 바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 수신부(120)가 수신한 멀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날짜 검색 바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이미지에 대한 부가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도 있다. 부가 정보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및 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의료용 초음파 영상이고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초음파 진단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부가 정보로써 대상체의 측정 정보, 진단 정보, 및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 입력 수신부(110), 이미지 결정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이미지 결정부(120)가 입력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외부 입력을 기초로 시간 정보를 변경하거나 표시할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이미지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제1 이미지는, 시간 정보와 매칭되며, 생성된 날짜 및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수신되는 터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는 입력이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의 두 점을 연결하는 입력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와이프 입력,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및 플릭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스크린 상의 위치인 시작점 및 끝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위치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의 가속도의 방향, 또는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가속도 방향을 검출하고, 가속도 방향을 터치 입력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좌, 우, 상, 및 하 방향에 대한 입력 패턴을 미리 저장한 뒤, 수신되는 터치 입력과 비교하여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단계 230에서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좌, 우, 상,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시작점 및 끝점을 연결한 직선이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도가 0도 이상 45도 미만이라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좌 또는 우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터치 입력이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도가 45도 이상 90도 이하라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상 또는 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대각선 방향으로도 결정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이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도가 0도 이상 30도 미만에 대해서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좌 또는 우로, 60도 이상 90도 미만에 대해서는 방향을 상 또는 하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미만의 각도에 대해서, 방향 결정 모듈(122)은 터치 입력의 방향을 왼쪽 위방향 대각선, 왼쪽 아래방향 대각선, 오른쪽 위방향 대각선 및 오른쪽 아래방향 대각선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시간 정보를 변경한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단계 230에서 결정된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자세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기초로, 표시할 이미지에 매칭되는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이 제1방향인 경우 제1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를 변경하고, 터치 입력이 제2방향인 경우 제1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좌, 우, 상, 및 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추가적으로 살펴본다.
단계 25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변경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단계 240에서 변경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새로운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3은, 터치 스크린 상에 날짜 검색 바 및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31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된 날짜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날짜 검색 바를 표시한다. 날짜 검색 바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생성된 시점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할 수 있다. 시점 검색 바에는, 날짜 검색 바에서 선택된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이 시점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및 시점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를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복수 개의 이미지가 시간 정보와 매칭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테이블(400)은, 복수 개의 이미지들의 실제적인 위치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이미지들이 시간 정보와 매칭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가상적인 순서 및 배열임을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테이블(400)의 사각형 박스들(410, 420, 430, 440)은 각각 이미지 표시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테이블(400)의 가로축은 복수 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된 날짜에 대한 정보이며, 세로축은 복수 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현재 2011.1.10 일에 촬영된 첫 번째 시점 순서의 이미지인 410을 표시 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테이블(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1.1.1 일에 촬영된 이미지는 3개, 2011.1.15 일에 촬영된 이미지는 1개, 2011.1.10 일에 촬영된 이미지는 4개 등 각 날짜 별로 도시된 박스들의 개수가 각각 해당 일자에 촬영된 이미지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날짜에 촬영된 복수 개의 이미지들은, 각각의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시점 순서에 따라 가상의 테이블(400)에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가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이 ‘우’ 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는 현재 표시 되는 이미지 410에서 다음 날짜인 2011.1.20 의 이미지인 430가 표시되기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는, 현재의 시간 정보를 변경하여, 다음 날짜인 2011.1.20 및 해당 날짜의 첫 번째 순서의 시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는 2011.1.20 날짜 및 첫 번째 순서의 시점에 해당되는 이미지인 430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터치 입력의 방향이 ‘좌’로 결정된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는 이전 날짜인 2011.1.5 및 해당 날짜의 첫 번째 순서의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20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치 입력의 방향이 ‘하’로 결정된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는 2011.1.10의 날짜와 매칭되는 4개의 이미지 중에서, 두 번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40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날짜인 2011.1.10에서 이미지 410 보다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는 없기 때문에, 이미지 표시 장치는 이전 날짜인 2011.1.5에 매칭되는 이미지 중 마지막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시간 정보와 각각 매칭하여,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스크린(500)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5를 도 4의 내용과 함께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500)에는, 이미지가 표시 되는 제1영역(510),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되는 제2영역(520), 시점 검색 바가 표시되는 제3영역(530)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는, 제1영역(510)에는 표시할 이미지를, 제2영역(520)에는 날짜 검색 바를, 제3영역(530)에는 시점 검색 바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영역(510)에 관한 실시 예를 도시 및 설명하며, 제2영역(520) 및 제3영역(530)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제1영역(510)에 도 4의 이미지 4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500)의 제1영역(510)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터치 입력의 방향이 ‘좌’인 경우(511, 512) 및 ‘상’인 경우(513, 514)를 도시한다.
먼저, 터치 입력의 방향이 ‘좌’인 경우(511, 512)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제1영역(510)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511) 및 끝점(512)을 연결한 직선이,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각도가 기결정된 각도 이하인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을 ‘좌’ 또는 ‘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511) 및 끝점(512)을 연결한 직선이,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평행하고, 시작점(511)의 위치가 끝점(512)의 위치보다 오른쪽이므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좌’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현재 표시하는 이미지 410의 날짜, 시점 및 터치 입력의 방향을 기초로 새롭게 표시할 이미지의 날짜 및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이 ‘좌’ 또는 ‘우’인 경우, 현재 표시하는 이미지의 날짜를 변경하여 새로운 날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술한 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410의 날짜인 2011.1.10 이전 날짜는 2011.1.5 에 해당하므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2011.1.5 에 매칭되는 날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2011.1.5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2011.1.5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는 2011.1.5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 중에서 가장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 410에서 터치 입력의 방향이 ‘우’로 결정된 경우, 2011.1.20 에 매칭되는 2개의 이미지 중에서 가장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30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500)의 제1영역(510)에 수신되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513) 및 끝점(514)을 기초로,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입력이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도가 기결정된 각도 이상인 90도이고, 시작점(513)의 위치가 끝점(514) 보다 아래쪽인 경우이므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을 ‘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날짜, 시점, 및 터치 입력의 방향을 기초로 새롭게 표시할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4와 함께 설명하면,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 410의 날짜(2011.1.10), 시점(첫 번째 순서) 및 터치 입력의 방향(상)을 기초로, 이전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1.1.10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 중 현재의 이미지 410가 가장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2011.1.10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아닌, 이전 날짜인 2011.1.5 에 매칭되는 이미지 중 가장 늦은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가 440 인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으로 결정됨에 따라 같은 날짜인 2011.1.10에 매칭되는 이미지 중 이전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410을 제1영역(5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날짜와 시점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간단한 동작 만으로도 원하는 날짜 및 시점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위치 이외에도 가속도의 방향 및 입력 패턴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하여,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도를 기준으로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수신되는 터치 입력의 입력 패턴을 저장된 하나 이상의 패턴과 비교하여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500)의 제4영역(미도시)에 이미지에 대한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부가 정보로써,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 및 날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초음파 진단 장치이고, 표시되는 이미지가 초음파 영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부가 정보로써 대상체를 측정한 길이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측정 정보, 대상체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인 진단 정보, 및 대상체의 이름, 나이 등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이미지를 선택하고, 해당하는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미지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날짜 검색 바 및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500)의 제2영역(520)에 날짜 검색 바(525)를, 제3영역(530)에 시점 검색 바(535)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된 날짜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날짜 검색 바(525)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생성된 시점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시점 검색 바(535)를 각각 제2영역(520) 및 제3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날짜 검색 바(525)에는, 2010.10.31부터 2012.03.01까지의 날짜 검색 구간이 도시되어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저장된 복수 개의 이미지들의 날짜를 기초로 날짜 검색 바(525)에 표시되는 날짜 검색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2010.10.31 이전 혹은 2012.03.01 이후의 날짜 검색 구간에 대한 이미지가 이미지 표시 장치에 저장되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구간을 2010.10.31 보다 이전으로, 혹은 2012.03.01 보다 이후로 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날짜 검색 바(525)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바(525)의 날짜 검색 구간 중에서 연도가 변경되는 지점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2010 년도에서 2011 년도로 변하는 지점을 527a 의 점선으로 표시하고, 2011 년도에서 2012 년도로 변하는 지점을 527b 의 점선으로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연도 변경 지점은, 점선이 아닌 여러 가지 종류의 다른 방법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를 날짜 검색 바(525)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전체 날짜 검색 구간 중에서 저장된 이미지들의 날짜를 날짜 검색 바(525)에 굵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실시 예에 따라, ‘4’, ‘3’, ‘10’으로 표시된 숫자와 함께 굵게 표시된 선(526)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해당되는 날짜에 각각 4개, 3개, 10개의 이미지가 저장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날짜 검색 바에 나타난 숫자 및 선(526)들을 참고하여, 전체 이미지의 분포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날짜 중에서 외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날짜를 숫자 및/또는 커서(528, cursor)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선택된 날짜를 다른 날짜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체 날짜 검색 구간 중에서 현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날짜가 분포하는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멀티 터치 입력을 통해, 날짜 검색 바에 표시되는 날짜 검색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 에서 살펴본다.
도 6에서, 터치 스크린(500)의 제3영역(530)에 표시된 시점 검색 바(535)가 도시된다. 제2영역(520)에 표시된 날짜 검색 바(525)의 날짜 검색 구간 중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2011.2.3 날짜에 매칭되는 4개의 이미지들은, 시점 검색 바(535)에 시점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4개의 이미지들의 시점은 각각 굵은 선(536)들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날짜 검색 바(525)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날짜가 변경되면, 해당 날짜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이 시점 검색 바(535)에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바(525)에서 결정된 날짜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시점을 시점 검색 바(535)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바(525)에서 선택된 날짜 검색 구간에 포함되는 이미지들의 총 개수를 시점 검색 바(535)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시점 검색 바(535)에 ‘4’(538)라는 숫자가 표시되어, 현재 선택된 날짜(528)에 매칭되는 전체 이미지 분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또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바(525) 및 시점 검색 바(535)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날짜 및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바(525) 및 시점 검색 바(535)에 수신되는 외부 입력을 기초로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도 6과 함께 자세히 살펴보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날짜 검색 바(525)에서 10개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된 날짜를 의미하는 ‘10’ 숫자 또는 ‘10’ 숫자와 연결된 굵은 선(526)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는 해당 날짜에 매칭되는 10개의 이미지 중에서 가장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1영역(5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가 제1영역(510)에 ‘하’ 방향의 터치 입력을 3차례 수신한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는 10개의 이미지 중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가장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로부터,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터치 스크린(5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좌’ 또는 ‘우’ 방향의 터치 입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터치 입력이 ‘좌’ 방향으로 수신되는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는 10개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된 날짜 바로 이전의 날짜인 3개의 이미지가 저장된 날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3개의 이미지 중 가장 빠른 순서의 시점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에 따라, 이미지 표시 장치는 이미지, 날짜 검색 바(525) 및 시점 검색 바(535)를 터치 스크린(500)에 표시하고,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새롭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 터치 입력 등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날짜 및 시점을 변경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멀티 터치 입력을 통해 날짜 검색 구간을 조절하는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서, 이미지 표시 장치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날짜 검색 바(7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하여, 날짜 검색 바(710)에는 2011.01.01부터 2011.12.31까지의 날짜 검색 구간이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날짜 검색 구간을 조절하고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 장치는 핀치(pinch) 입력을 기초로, 기존의 날짜 검색 구간을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으로 확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711a 및 712a로 이루어진 범위는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해 각각 711b 및 712b 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멀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날짜 검색 구간을 2011.4.1부터 2011.8.1까지로 새롭게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멀티 터치 입력을 기초로 날짜 검색 바가 확대되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표시 장치는 멀티 터치 입력을 통해 결정된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에 대하여,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의 이미지들의 시점을 시점 검색 바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b에서, 도 7a와는 반대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날짜 검색 바(720)의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멀티 터치 입력에 따라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b 에서는, 언핀치(unpinch) 입력을 통해 날짜 검색 구간을 조절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멀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2011.4.1부터 2011.8.1까지의 날짜 검색 구간을 축소하여 조절할 수 있다. 즉, 721a 및 722a로 표현되는 범위가 멀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각각 721b 및 722b로 축소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러한 멀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날짜 검색 구간을 2011.2.1부터 2011.11.1까지로 새롭게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멀티 터치 입력을 기초로 날짜 검색 바가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 7c에 도시된다.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새롭게 결정된 마커(721b, 722b)들에 기초하여, 좁아진 날짜 검색 구간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표시 장치는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의 시점을 시점 검색 바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c에서는, 이미지 표시 장치가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을 결정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즉,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수신된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해 현재의 날짜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731a 및 732로 이루어진 범위는,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해 731b 및 732로 새롭게 결정될 수 있다. 즉, 732를 터치하는 입력은 유지한 채로 731a를 이동시키는 멀티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새롭게 결정된 날짜 검색 구간은, 2011.2.1부터 2011.7.1로 새롭게 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표시 장치는 새로운 날짜 검색 구간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결정하고, 이미지들의 시점을 시점 검색 바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미지 표시 장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의하면, 복수 개의 이미지를 날짜와 시점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날짜 검색 바 및 시점 검색 바를 이용하여, 여러 날짜 및 시점에 걸쳐 저장된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간단한 동작 만으로도 검색 및 관찰이 가능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장에서는 한정된 터치 스크린으로도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이미지 표시 장치가 터치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 정보가 매칭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영역에 제 1 시간 정보로부터 날짜가 변경된 제 2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 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구별되는 제 2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정보로부터 시점이 변경된 제 3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 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좌 또는 우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 또는 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은,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 끝점의 위치, 가속도의 방향, 및 입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스와이프(swipe) 입력,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 및 플릭(flick)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된 날짜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날짜 검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날짜 검색 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생성된 시점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방법은, 상기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및 상기 시점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 검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날짜를 커서(cursor)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방법은, 상기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멀티 터치(multi touch) 입력에 기초하여, 날짜 검색 구간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방법은,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1. 터치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시간 정보가 매칭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및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정보로부터 날짜가 변경된 제 2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 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구별되는 제 2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영역에 상기 제 1 시간 정보로부터 시점이 변경된 제 3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제 3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좌 또는 우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 또는 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은,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 끝점의 위치, 가속도의 방향, 및 입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신부는, 스와이프(swipe) 입력,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 및 플릭(flick)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된 날짜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날짜 검색 바를 표시하고,
    상기 날짜 검색 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각각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생성된 시점에 따라 검색하기 위한 시점 검색 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및 상기 시점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날짜를 커서(cursor)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날짜 검색 바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멀티 터치(multi touch) 입력에 기초하여, 날짜 검색 구간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장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57445A 2012-02-16 2014-05-13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75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9740P 2012-02-16 2012-02-16
US61/599,740 2012-02-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65A Division KR20130094674A (ko) 2012-02-16 2012-05-30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660A true KR20140075660A (ko) 2014-06-19

Family

ID=492184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65A KR20130094674A (ko) 2012-02-16 2012-05-30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140057445A KR20140075660A (ko) 2012-02-16 2014-05-13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65A KR20130094674A (ko) 2012-02-16 2012-05-30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9467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674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6016B1 (en) Nested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JP542906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こ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96903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AU2013223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US9256917B1 (en) Nested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US9041648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01219B2 (en) 2D line data cursor
EP2144147A2 (en) Systems and methods of touchless interaction
US20110216095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Multi-Touch Drag and Drop Operations for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s
US9213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20140126093A (ko)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80082354A (ko) 스크롤 기반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232802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生成方法、記憶媒体
JP20155082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を通じてユーザの頭部を追跡することによりスクリーン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US9477373B1 (en) Simultaneous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KR2017000887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US20190095049A1 (en) Window expansion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JP58352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42438B1 (ko) 듀얼 터치 경험 필드를 달성하기 위한 싱글 터치 프로세스
US10140003B1 (en) Simultaneous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EP3046014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tem management
US8731824B1 (en) Navigation control for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JP6222896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75660A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US98861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