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480A -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 Google Patents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480A
KR20140075480A KR1020120143867A KR20120143867A KR20140075480A KR 20140075480 A KR20140075480 A KR 20140075480A KR 1020120143867 A KR1020120143867 A KR 1020120143867A KR 20120143867 A KR20120143867 A KR 20120143867A KR 20140075480 A KR20140075480 A KR 20140075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ound
handle
main bod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현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사)세계를꿈꾸는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세계를꿈꾸는사람들 filed Critical (사)세계를꿈꾸는사람들
Priority to KR102012014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480A/en
Publication of KR2014007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4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weak which includes a main body which has a plurality of drive wheels on the bottom and a handle which controls the travelling a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walk assist device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mirrors which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andle so that a user can see a rear view with the naked eye; a pair of left and right microphones which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 mirrors or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collect sound from surroundings; and a display unit which visually displays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a micom which determines the size of sound collected by the microphone and generates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sound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e direction and size of sound.

Description

노약자 보행 보조기{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0002]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0003]

본 발명은 노약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력 및 시력이 취약하거나 그 기능을 상실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근접하는 차량의 경적소리를 인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ssisting the aged of the elde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assisting the elderly to wal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derly person with poor hearing and vi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기는 환자나 노약자 그리고 다리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행 보조기는 가벼운 걷기 운동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몸을 지탱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Generally, a walking aids are used as an assistive device when the patient, the elderly person, and the disabled or the legs or the disabled are walking, and the walking aids allow the body to be supported while being lightly walked or moved to another place.

이러한 종래의 보행 보조기는 다양한 형태가 있었으나 통상 손으로 파지하여 밀거나 당기면서 운행할 수 있는 조작핸들부와, 상기 조작핸들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통상 스틸파이프를 절곡하여 틀을 형성하여 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로 구성된다. Such a conventional walking aiding device has various operation modes, such as an operation handle portion which can be operated by holding it by hand and pushing or pulling it, and a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handle portion, And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0123호(2003.10.04.)에는 전륜바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단부에 힌지가 결합되어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어 접철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의자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의자 등받이 배면에 위치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가방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서 후측으로 힌지결합으로 연장형성되어 후륜바퀴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힌지연결로 접철이 보조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핸드브레이크에서 연장된 케이블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행브레이크와,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시키는 제동브레이크로 이루어져 노약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기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0123 (Apr. 04, 2003) discloses a frame having a frame extending from a front wheel and folded into upper and lower ends by a hinge coupled to a middle portion, and a hand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A chair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is folded by a hinge; a bag which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chair back and is folded by a hinge; A driving brake formed on the rear wheel and driven and controlled by a cable extending from the hand brake of the handle, and a rear wheel, which is formed on the rear wheel, And a braking brake for stepping on the foot to assist the elderly in walking.

그러나, 청력이나 시력이 취약한 노약자 또는 시각, 청각장애인이 노약자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차량이 보행기에 근접하면서 위험신호를 알리는 차량의 경적과 같은 경고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행기 사용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no means for the user to recognize a warning sound such as a horn of the vehicle, which informs the danger signal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walker, when the elderly person with weak hearing or sight, or visually or deaf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f walker users becomes very high.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청력 및 시력이 취약하거나 기능을 상실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근접하는 차량의 경적음을 인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derly person's walking assistant capable of recognizing the sound of a nearby vehicle or a safe walk, I want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주행휠을 하부단에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좌우한쌍의 사이드미러 ; 상기 좌우한쌍의 사이드미러 또는 상기 본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취득하는 좌우한쌍의 마이크 ; 상기 마이크에서 취득한 소리의 크기를 판단하고 소리크기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 및 소리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a person with a walking disability,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traveling wheels at its lower end and a handle provided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main body an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mirrors respectively mount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rear side;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mirrors or a pair of right and left microphone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to acquire sound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direction and a sound size of a sound generated by a microcomputer by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microcomput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ound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드미러는 후방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side mirror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in a rear state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unit.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취득한 소리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고,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된 램프의 점등영역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display unit is selectively illu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on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user holding the handle, and is displayed visually through a lighting region of the lamps installed in multi- And a second display unit.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후방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2표시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backward state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captured image.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취득한 소리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고,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른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켜 촉감적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handle is operated to generate vibration sel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generates a vibration of a different intensity according to the acquired sound to thereby tactilely display the third display unit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3표시부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중공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편심부재를 회전시키는 좌우한쌍의 진동모터와, 상기 편심부재의 외부면과 접하도록 상기 중공파이프의 내부면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third display unit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vibration motors disposed inside the hollow pipe provided in the handle to rotate the eccentric member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vibration motors disposed inside the hollow pipe And a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surfa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사이드미러 및 카메라로서 후방의 사물을 확인 및 촬영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변환경의 위험을 인지하도록 하고, 마이크에서 취득한 차량의 소음이나 경적소리를 크기에 맞추어 소리가 발생한 방향과 더불어 그 크기가 점등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청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청각장애인이 좌측 또는 우측에서의 소리로 대변되는 위험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기의 사용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1) As a side mirror and a camera, a rear object is identified and photograph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danger, thereby recognizing the danger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irection and the size thereof is visually displayed through the lighting means, so that the aged person who is weak in hearing or the hearing-impaired person can visually confirm the risk situation in which the sound is represented by the soun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have.

(2) 마이크에서 취득한 차량의 소음이나 경적소리를 크기에 맞추어 소리가 발생한 방향과 더불어 그 크기를 진동모터가 설치된 손잡이를 통해 촉감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시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시각장애인이 좌측 또는 우측에서의 소리로 대변되는 위험상황을 촉감적으로 확인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기의 사용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oise or the horn sound of the vehicle acquired from the microphone, the size of the sound is displayed tactilely through the handle provided with the vibration motor as well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so that the elderly or visually impaired Since the dangerous situation represented by sound can be tactually confirmed and promptly responded, the safety of the walk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약자 보행 보조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약자 보행 보조기에 채용되는 제3표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lking aid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display unit employed in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약자 보행 보조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방 주행휠(11,12)과 같은 복수개의 주행휠을 하부단에 구비하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이러한 본체(10)에는 주행을 제어하고 본체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2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청력 및 시력이 취약하거나 기능을 상실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근접하는 차량의 경적음을 인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사이드미러(110), 마이크(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elderly person's walking assistant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traveling wheels, such as front and rear traveling wheels 11 and 12,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grip 2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udible sound of the vehicle in which the elderly person or the disabled who is weak in hearing, And includes a side mirror 110, a microphone 120, and a display unit 130 to enable safe walking.

상기 본체(10)는 알루미늄와 같은 경량소재의 중공파이프를 이용하여 절곡형성한 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본체(10)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석(30)이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4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formed of a frame formed by bending a hollow pipe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aluminum.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eat 30 for allowing a user to sit comfortably, .

상기 사이드미러(110)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손잡이(20)를 파지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0)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미러부재이다. The side mirror 110 is a mirror member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20 so that the user holding the handle 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can visually recognize the rear side.

이러한 사이드미러(11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시각에 따라 설치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휨변형이 가능한 가요성부재(112)를 매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de mirror 110 is preferably assembled through a flexible member 112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vision.

또한, 상기 사이드미러(110)에는 후방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1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mirror 110 is provided with a camera 114 for photographing a rear view image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30 for confirmation.

여기서, 상기 카메라(114)는 상기 사이드미러(110)의 거울면에 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커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거나 상기 손잡이(20)의 좌우양측에 다른 가요성부재를 매개로 조립될 수도 있다. Here, the camera 114 may b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cover on which the side mirrors are mounted so as to expose a lens on the mirror surface of the side mirror 110, or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20 with other flexible members .

상기 마이크(120)는 보행기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소리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한쌍의 사이드미러(110) 또는 상기 본체(10)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The microphone 120 is mounted on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 mirrors 110 or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acquire various types of sounds generated in the environment of the walker.

이러한 마이크(120)는 보행기의 좌우양측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경적소리, 급브레이크소리, 경보음과 같은 소리를 취득하여 감지하는 음향감지센서로 대체될 수도 있다. The microphone 120 may be replaced with an acoustic sensor that senses sounds such as a horn sound, a sudden brake sound, and an alarm sound of a vehicle generated on both sides of the walker.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마이크(120)에서 취득한 소리의 크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리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본값과 비교하여 표시여부를 판단하고, 소리크기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과 같은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30 receives the size of sound obtained from the microphone 120, compares the received sound value with a predetermined default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the sound,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ze.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마이컴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 및 소리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visually displays a direction and a magnitude of sound to be generated by the user.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손잡이(20)를 파지하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에 취득한 소리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고,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된 램프의 점등영역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부(132)를 구비한다. The display unit 130 is selective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ound obtained at the front facing the user holding the knob 20 and displayed visually through the lighting region of the lamps installed in multi- The first display portion 132 is provided.

이에 따라, 청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청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접근하는 차량에서 경적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120)를 통하여 취득되는 경적소리는 상기 마이컴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한 표시여부를 판단하고, 취득된 경적소리의 크기를 결정하고, 취득된 경적소리의 발생위치에 맞추어 방향을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a horn sound is generated in a vehicle approaching the left or right side while the user, such as the aged person with weak hearing or the hearing-impaired person, is walking while gripping the knob, The microcomputer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is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determines the size of the obtained sound,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tained sou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제1표시부에서는 청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으로 경적소리의 방향 및 크기를 인지시킬 수 있도록 좌우양측의 점등영역 중 해당하는 점등영역을 작동시키고,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된 램프의 점등영역을 선택적으로 점등하게 됨으로써 청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청각장애인은 제1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위험을 감지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corresponding light of the left and right side lighting regions so that the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sound of the horn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elderly or the hearing- And selectively illuminates a lighting area of a lamp provided in a multistage mann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tained sound. Thus, the elderly person or the hearing-impaired person with poor hearing can visually check the first display unit to detect danger.

이와 더불어, 상기 카메라(114)를 통하여 제2표시부(132)를 통하여 표시되는 후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rear view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32 through the camera 114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상기 좌우한쌍의 사이드미러(110)에 구비되는 카메라(114) 또는 상기 본체(10)의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다른 카메라에 의해서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후방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2표시부(134)를 구비한다.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camera 114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110 or a rear camera for holding a handle by another camera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a second display unit 134 for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so as to be visually confirmed.

이러한 제2표시부(134)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취득한 소리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점등되는 제1표시부(13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134 is installed close to the first display unit 132 which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sound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한편, 보행기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20)에는 상기 마이크(120)를 통하여 취득한 소리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용자는 손의 촉감을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전원인가시 작동되는 좌우한쌍의 진동모터(136a)를 포함하는 제3표시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andle 20 to be held by the user of the walker, vibrations are selectively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120, and the user operates a pair of right and left And a third display unit 136 including a vibration motor 136a.

이러한 제3표시부(136)에 구비되는 진동모터(136a)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맞추어 해당하는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소리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진동을 통하여 시력이 취약한 노약자 또는 시각장애인은 경족소리가 발생하는 방향과 더불어 경적소리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e vibration motor 136a provided on the third display unit 136 generates vibrations of a correspond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ou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The visually impaired can indirectly confirm the magnitude of the horn sound along with the direction of the horn sound.

여기서, 상기 제3표시부(136)는 상기 손잡이(20)를 구성하는 중공파이프(29)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편심부재(136b)를 회전시키는 좌우한쌍의 진동모터(136a)와, 상기 편심부재(136b)의 외부면과 접하도록 상기 중공파이프(29)의 내부면에 돌출되는 돌출부(136c)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display unit 136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vibration motors 136a disposed inside the hollow pipe 29 constituting the handle 20 to rotate the eccentric member 136b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And a protrusion 136c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ipe 29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eccentric member 136b.

이에 따라, 시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접근하는 차량에서 경적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120)를 통하여 취득되는 경적소리는 상기 마이컴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3표시부(136)의 진동모터(136a)를 통한 진동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취득된 경적소리의 크기를 결정하고, 취득된 경적소리의 발생위치에 맞추어 방향을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a horn sound is generated in a vehicle approaching the left or right side while a user such as an aged person with low vision 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grasps the handle and strolls, the horn sound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120 The microcomputer determines whether vibration has occurred through the vibration motor 136a of the third display unit 136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alue, determines the size of the obtained sound, determines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tained sound There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제1표시부에서는 시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시각장애인에게 양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통해 촉감적으로 경적소리의 방향 및 크기를 인지시킬 수 있도록 좌우양측의 진동모터 중 경적소리가 발생하는 위치와 대응하는 진동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경적소리의 발생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in the first display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30, the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horn sound can be tactilely recognized through the handle of the elderly or visually impair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horn sound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rn sound is generated in the vibration motors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마이크(120)를 통한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맞추어 따라 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진동모터(136a)의 편심부재(136b)와 접하는 돌출부(136c)를 통해 손잡이에 전달되는 진동력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력이 취약한 노약자나 시각장애인은 진동을 통하여 위험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The vibrating motor 136a has a vibrating motor 136a and a vibrating motor 136b that vibrates the vibrating motor 136a and vibrates the vibrating motor 136a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sound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120, , The aged and visually impaired can detect and cope with the danger through vib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본체
20 : 손잡이
110 : 사이드미러
120 : 마이크
130 : 디스플레이부
132 : 제1표시부
134 : 제2표시부
136 : 제3표시부
10: Body
20: Handle
110: Side mirror
120: microphone
130:
132: first display section
134: second display section
136: Third display section

Claims (6)

복수개의 주행휠을 하부단에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좌우한쌍의 사이드미러 ;
상기 좌우한쌍의 사이드미러 또는 상기 본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취득하는 좌우한쌍의 마이크 ;
상기 마이크에서 취득한 소리의 크기를 판단하고 소리크기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 및 소리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
1. A walking aid for a senior citizen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traveling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handle provided to control traveling of the main body an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mirrors respectively mount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rear side;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mirrors or a pair of right and left microphone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to acquire sound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direction in which a sound is generated and a magnitude of a sound by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microcomput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ound, And an elderly person walking on the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미러는 후방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mirror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backward state as an image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side mirror can be che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취득한 소리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고,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된 램프의 점등영역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s selectively illu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on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user holding the handle,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first And a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후방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backward state of the user holding the knob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취득한 소리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고, 취득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른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켜 촉감적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display unit that is operated to generate vibration sel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generates tactile vibration of different intens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cquired sound, Walking aids for the elder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표시부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중공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편심부재를 회전시키는 좌우한쌍의 진동모터와, 상기 편심부재의 외부면과 접하도록 상기 중공파이프의 내부면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display unit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vibration motors disposed inside the hollow pipe provided on the handle to rotate the eccentric member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vibration motors project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ipe And a protruding portion.
KR1020120143867A 2012-12-11 2012-12-11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KR201400754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867A KR20140075480A (en) 2012-12-11 2012-12-11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867A KR20140075480A (en) 2012-12-11 2012-12-11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480A true KR20140075480A (en) 2014-06-19

Family

ID=5112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867A KR20140075480A (en) 2012-12-11 2012-12-11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48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52A (en) 2015-08-28 2017-03-08 이상민 Smart walk-assistive apparatus with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90077642A (en)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KR20200012357A (en) 2018-07-27 2020-02-05 김영관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US20220057613A1 (en) * 2019-08-23 2022-02-24 John Poston View redirecting system
KR20220055525A (en) 2020-10-26 2022-05-04 이재완 ICT-based smart healthcare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elder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52A (en) 2015-08-28 2017-03-08 이상민 Smart walk-assistive apparatus with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90077642A (en)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KR20200012357A (en) 2018-07-27 2020-02-05 김영관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US20220057613A1 (en) * 2019-08-23 2022-02-24 John Poston View redirecting system
KR20220055525A (en) 2020-10-26 2022-05-04 이재완 ICT-based smart healthcare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elder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5432B (en) Rehabilitation device with pace pattern projecting function and seat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75480A (en) Walk Assist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WO2017211114A1 (en) Travel tool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7251126B (en) Stimulation application device
WO2015169072A1 (en) Spectacles for blind person
KR102277565B1 (en) Electric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82225A (en) System for announce blind persons and method for announce using the same
JP7403783B2 (en) Behavior support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20170107707A (en) Robot for assisting user to stand up and walk
JP2015194798A (en) Driving assistance control device
JP2015118667A (en) Approach notification device
KR101973784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the drive of electric wheel chair and electric wheel chair having the same
KR20160144211A (en) Walking Assistive Method Based On Intelligent Walking Assistive Algorithm
JP2004174692A (en) Man-machine robot and control method of man machine robot
KR20110041182A (en) Reverse path unit mounted on electric wheelchair
JP6434565B2 (en) Walking assist device
JP2012120798A (en) Wearable input device, human assist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human assistance device
KR20190065612A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help standing and sitting moving if user
JP6344331B2 (en) Notification device
KR102395512B1 (en) Self Safe braking motor-driven elderly walking assist device
JP2012205834A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23361B2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96149B1 (en) The secondary walker having object detection function
KR20190092182A (en) Wearable electric walking aids
Leporini et al. Haptic Wearable System to Assist Visually-Impaired People in Obstacl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