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278A -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278A
KR20140075278A KR1020120143482A KR20120143482A KR20140075278A KR 20140075278 A KR20140075278 A KR 20140075278A KR 1020120143482 A KR1020120143482 A KR 1020120143482A KR 20120143482 A KR20120143482 A KR 20120143482A KR 20140075278 A KR20140075278 A KR 20140075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formation
building
s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장치영
조남각
허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4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278A/ko
Publication of KR2014007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으로서, 건물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기보유한 건물 정보 모델링(BIM) 데이터에서 상기 위치정보와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설비물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설비물 정보 상의 선택된 구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구간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로부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취합하는 에너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에너지 센서가 배치된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에너지 손실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내에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 영역에서도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제거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System and Method of the Saving Energy in building, using by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본 발명은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내에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지대의 구간에 대하여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하여 에너지의 흐름을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에너지 손실을 제거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건물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은 재산 가치와 거주 수준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즉, 고층 건물에 설치된 파이프 배관, 케이블 배선, 화재 감지 장치, 보일러 장치 등과 같은 설비물은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만, 건물 가치도 유지되고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막아 거주자들의 쾌적한 생활 환경도 유지된다.
그런데 건물에 설치된 설비물 중에서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설비물에 대해서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나, 건물 천장, 벽면, 바닥면 내부에 설치된 수도 배관, 케이블 등은 건물 설계 도면이 있어야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벽면이나 천장 등의 내부에 설치된 설비물을 해체하지 않고는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벽면이나 천장의 구조물을 제거하고 해당 설비물을 육안으로 관찰하더라도 실질적인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 여유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IT 기술을 접속시키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서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건물 정보 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을 2D 또는 3D로 모델링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와 분산 배치된 에너지 센서들을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에 적용하여 설비물의 관리 및 제어와 유지 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대형 건물의 세부적인 모든 영역에 걸쳐서 내부 설비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일정 영역 단위로 내부 설비물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설사 에너지 센서들을 무수히 많이 배치하여 세부 영역에 대한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고 하더라도 이로 인해 연산해야 될 데이터 량은 에너지 센싱 데이터의 자승으로 늘어나게 되어 방대한 량의 데이터 처리가 용이하지 않고 이를 위해서는 상당히 고가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에너지 센서들을 무수히 배치하더라도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지대가 발생되며, 이와 같은 사각지대에 대한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건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 건물 내부의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파악함에 있어서 처리할 데이터량이 방대함으로 인해 전체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건물내에 에너지 센서들을 무수히 배치하더라도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지대가 발생되며, 이와 같은 사각지대에 대한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성은, 건물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기보유한 건물 정보 모델링(BIM) 데이터에서 상기 위치정보와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설비물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설비물 정보 상의 선택된 구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구간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로부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취합하는 에너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에너지 센서가 배치된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에너지 손실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는,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에너지 유입에 따른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간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의 차이를 설정범위와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는, 상기 구간의 이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구간의 이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간의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구간의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의 차이를 설정범위와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설비물 정보 전송 단계는, 건물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건물내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영역에 대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물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상기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설비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구간의 이전 및 상기 구간의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로부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를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매칭시켜 취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는,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의 차이로 에너지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손실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에너지 손실값과 상기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너지 손실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성은, 건물내의 설비물에 대한 연결 구조가 그래픽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래픽에 각 설비물의 정보가 매칭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건물내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설비물의 선택된 구간을 판단하는 단말기 위치 판단부; 상기 단말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설비물 정보 제공부; 상기 건물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 중 상기 구간에 인접한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에너지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센서는, 풍속 측정 센서, 전압 측정 센서, 전류 측정 센서 또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는, 풍속 에너지, 냉난방 에너지 또는 전력 에너지 중 어느 하나의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는,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에너지 유입 또는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흐름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와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자신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설비물 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설비물 정보에서 선택된 구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에너지 손실 여부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구간에 대응하여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와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건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건물 내부의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파악함에 있어서 처리할 데이터량을 줄이리 수 있고 또한 배치되는 에너지 센서의 개수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건물내에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 영역에서도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제거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건물 정보 모델링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손실 판단 과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서 설비물 정보 전송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비물 정보가 전송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상기 도 6의 실시예에서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간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된 구간에서 에너지 손실 판단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된 구간에서 에너지 손실을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건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건물 에너지의 손실을 점검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 설비물 정보 데이터베이스(200), 건물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 및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서로 연동하여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건물내 해당 영역의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에 대하여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와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가 측정한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고 에너지 손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건물 내에서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지대에 설치된 설비물에 대한 에너지 손실 여부도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는 해당 건물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해당 건물 외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건물에 대하여 각각의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는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서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비물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는 해당 건물내에 설치된 설비물들에 대한 3차원 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데, 도 2는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되는 설비물 정보로서 3차원 그래픽 정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되는 3차원 그래픽 정보는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기반으로 하여 건물 내부의 벽면, 바닥면, 천장 등에 설치된 각종 케이블, 수도관, 가스관 등의 설비물과 공조설비, 발전기, 통신장치 등의 설비물 자체 및 이들의 배관과 배선 구조를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건물 정보 모델링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상에 각각의 설비물들에 대한 모델명, 제조일자, 설치일자, 점검일자 등의 관련 정보가 매칭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로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건물내에는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가 각각의 시설물들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는 배치된 설비물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풍속 측정 센서, 전압 측정 센서, 전류 측정 센서 또는 온도 측정 센서나 이중 두 개 이상의 센서가 결합된 복합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설치된 지점에서의 풍속, 냉난방, 전력 등의 에너지 흐름을 측정하고, 측정된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구성부터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는 설비물 정보 제공부(110),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 센싱 데이터 수집부(130),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어떤 설비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내의 어떤 시설물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위성 정보나 기지국 기반의 정보 등 다양한 위치기반정보(LBS)를 통해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방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내장된 전자 나침반이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되는 기울기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제공된 시설물 정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시설물 정보 상에서 상기 구간 정보의 양 끝단을 판단하게 된다.
설비물 정보 제공부(110)는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의 상기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센싱 데이터 수집부(130)는 건물내의 설비물에 분산 배치된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로부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상기 구간 정보의 양 끝단에 각각 인접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모든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로부터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해당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에너지 센싱 데이터의 제공시에는 해당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매칭시켜 제공하게 된다.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구간에 인접한 에너지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한다.
에너지 센서를 조밀하게 배치하더라도 설비물의 모든 영역의 에너지 흐름을 센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는데,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는 상기 구간의 에너지의 흐름에 대한 직접적인 에너지 센싱 데이터가 없는 사각지대의 구간에서도 에너지 손실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된 구간에서 에너지 손실 판단 과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 구간에서의 설비물을 통한 에너지 흐름을 계산하여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는데, 이는 가령 도로에서의 자동차 흐름과 대비해 볼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도로 구간(500) 상에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구간(510)을 운행 중인 차량은 도착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데, 주행 구간(510)에 일정 구간별(530)로 배치된 복수개의 CCTV(520)를 통해 각각의 구간에서의 차량 흐름을 파악하고 그 거리와 교통량을 측정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시작단부터 끝단까지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간에 대한 소요 시간을 합산하여 주행 구간(510)에 대한 총 소요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교통정보의 원리를 에너지 흐름에도 적용하여 일정 구간에서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는데, 즉 상기 도 3에서 전체 도로 구간(500)은 전체 설비물에 대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되고, 주행 구간(510)은 해당 설비물에 대응되며, 일정 구간(530)은 선택된 구간에 대응되고, CCTV(520)는 에너지 센서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대응 관계를 통해 건물내의 설비물에 분산 배치된 에너지 센서들을 통해 전체적인 에너지 흐름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구간에 인접한 에너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에너지 센싱 데이터와 상기 에너지 센서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를 통해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아 직접적인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사각 지대의 설비물 구간에 대해서도 상당히 정확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의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통신부(150)는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서로 연동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데, 여기서 통신부(15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3G, LTE 등의 이동통신 전화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와이파이 등의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통신망과 통신 방식은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통신망과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부(150)는 건물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데, 여기서도 통신부(150)와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300a, 300b, 300c,…,300n) 간의 통신방식은 제한 없이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서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설비물 정보 데이터베이스(200)와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두 장치의 설치 위치와 효율성을 고려하여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 내에 설비물 정보 데이터베이스(200)가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건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내의 에너지 손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은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하기에서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실시예를 같이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위한 해당 영역의 설비물 구조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가 해당 영역의 설비물 구조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서 설비물 정보 전송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설비물 정보 요청을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가 수신(S110)하고, 이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S120)한다.
여기서 설비물 정보 요청 수신 과정(S110)과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 수신 과정(S120)은 하나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설비물 정보 요청 수신 과정(S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에 무선 접속하고, 무선 접속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로 자신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S120)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건물 내에서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또한 상기 방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역에 대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의 해당 설비물 정보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따라 해당 설비물이 판단되면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설비물 정보 제공부(110)는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물에 대응되는 설비물 정보를 추출(S130)하고,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가 추출된 설비물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S140)한다.
이와 같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해당 영역의 설비물 구조 정보가 제공되며,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전송 받은 해당 영역의 설비물 구조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현하여 제공하게 되는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비물 정보가 전송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되는 설비물 정보는 건물 정보 모델링(BIM)에 기반한 정보로서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에 대한 3차원 그래픽 정보(410)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영역에 설명과 설치된 설비물의 리스트(420)가 동시에 시현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설비물의 리스트(420) 상에서 특정 설비물을 선택하면 선택된 설비물에 대한 세부 정보(430)가 화면 상에 시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설치된 설비물에서 특정 구간에 대한 에너지 손실을 파악하기 위한 구간 선택(440) 아이콘을 선택하여 특정 설비물에 대하여 원하는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6의 실시예에서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간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상기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구간 선택(440)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도 8의 화면이 시현되고, 해당 영역에 대한 3차원 그래픽 정보(45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을 상기 도 8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일정 구간이 선택되면 선택된 구간의 설비물에 대한 정보(460)와 선택 구간의 길이 등의 정보(470)가 시현된다.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통한 선택된 구간 정보는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로 전송되며, 다시 상기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 회귀하여 그 이후 과정을 살펴본다.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단말기 위치 판단부(120)는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선택된 구간을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센싱 데이터 수집부(130)는 상기 구간에 인접한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여 검색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S400)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센싱 데이터 수집부(130)는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모든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간의 선택시에 해당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여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 수집부(130)는 검색된 에너지 센서의 배치된 위치 정보를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매칭시켜 제공한다.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가 확보되면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는 상기 구간의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구간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S400)하고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 여부를 판단(S450)하게 되는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된 구간에서 에너지 손실 판단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설비물을 통한 에너지 흐름에 대한 에너지 수치를 산출하는 원리는 앞서 상기 도 4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상기 도 4의 원리를 적용한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된 구간에서 에너지 손실을 판단하는 실시예를 같이 참조하여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는 상기 구간의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S410)함에 있어서, 해당 설비물에 대한 건물 모델링 데이터에 유입 및 유출되는 에너지를 고려하여 해당 설비물 전체에 대하여 에너지 흐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선택된 구간만을 추출하여 그 값을 상기 구간의 에너지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간의 이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할 수도 있는데, 즉 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간이 지점 A부터 지점 B까지인 경우에, 상기 구간의 이전에 인접하여 배치된 에너지 센서(300a)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상기 구간의 지점 A와 에너지 센서(300a) 간의 거리에 따른 기본 에너지 손실치를 반영하여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는 상기 구간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S420)하는데, 상기 구간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함에 있어서는, 상기 구간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간의 이전에 인접하여 배치된 에너지 센서(300a)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상기 구간의 시작단인 지점 A와 에너지 센서의 거리에 따른 기본 에너지 손실치를 반영하여 상기 구간의 시작단인 지점 A에서의 에너지 흐름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의 이후에 인접하여 배치된 에너지 센서(300b)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상기 구간의 끝단인 지점 B와 에너지 센서(300b)의 거리에 따른 기본 에너지 손실치를 반영하여 상기 구간의 끝단인 지점 B에서의 에너지 흐름값을 산출한 후 상기 구간의 시작단 지점 A와 끝단 지점 B에서의 각각의 에너지 흐름값에 대한 평균치로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간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구간의 이후에 인접하여 배치된 에너지 센서(300b)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상기 구간의 지점 B와 에너지 센서(300b) 간의 거리에 따른 기본 에너지 손실치를 반영하여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된 구간을 일정 거리를 갖는 두 지점간일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하나의 지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이 산출되면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S460)하고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 간의 차이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S470)하여 상기 차이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480)하고 상기 차이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간에서 에너지 흐름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S490)한다.
다시 상기 도 5의 흐름도로 돌아가서,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의 에너지 정보 산출부(140)에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손실 발생 판단(S450)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발생된 경우에는 에너지 손실 메시지(S500)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에너지 손실 메시지에는 상기 차이값에 근거한 에너지 손실값과 상기 구간에 대한 설비물의 제품 정보, 설치 일자, 이전 점검 일자 등의 제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손실 발생 판단(S450)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없는 경우에는 에너지 흐름 정상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S550)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400) 자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구간에 대응하여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와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상기 도 5의 흐름도 상에서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가 선택된 구간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S300)하는 과정 이후에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100)는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검색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에 구성된 에너지 정보 산출부가 상기 검색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도 9와 도 10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건물내에 에너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 영역에서도 에너지 흐름에 대한 손실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제거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건물 내부의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파악함에 있어서 처리할 데이터량을 줄이리 수 있고 또한 배치되는 에너지 센서의 개수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물 에너지 절감 장치,
110 : 설비물 정보 제공부, 120 : 단말기 위치 판단부,
130 : 센싱 데이터 수집부, 140 : 에너지 정보 산출부,
150 : 통신부,
200 : 설비물 정보 데이터베이스,
300a, 300b, 300c,…300n : 에너지 센서,
400 :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12)

  1. 건물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기보유한 건물 정보 모델링(BIM) 데이터에서 상기 위치정보와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설비물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설비물 정보 상의 선택된 구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구간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로부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취합하는 에너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에너지 센서가 배치된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에너지 손실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는,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에너지 유입에 따른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흐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간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의 차이를 설정범위와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는,
    상기 구간의 이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구간의 이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간의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 및 상기 구간의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의 차이를 설정범위와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물 정보 전송 단계는,
    건물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건물내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영역에 대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물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상기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설비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구간의 이전 및 상기 구간의 이후에 배치된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로부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구간 간의 거리를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매칭시켜 취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손실 판단 단계는,
    상기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의 차이로 에너지 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손실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에너지 손실값과 상기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너지 손실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7. 건물내의 설비물에 대한 연결 구조가 그래픽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래픽에 각 설비물의 정보가 매칭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건물내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설비물의 선택된 구간을 판단하는 단말기 위치 판단부;
    상기 단말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물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설비물 정보 제공부;
    상기 건물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 중 상기 구간에 인접한 에너지 센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에너지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센서는,
    풍속 측정 센서, 전압 측정 센서, 전류 측정 센서 또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는,
    풍속 에너지, 냉난방 에너지 또는 전력 에너지 중 어느 하나의 에너지 기준값과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는,
    상기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에너지 유입 또는 상기 에너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간에서의 에너지 흐름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복수개의 에너지 센서와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자신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설비물 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설비물 정보에서 선택된 구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에너지 손실 여부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구간에 대응하여 검색된 상기 에너지 센서의 에너지 센싱 데이터와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에너지 센서의 위치 정보와 에너지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측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에너지 기준값과 상기 에너지 측정값을 대비하여 에너지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에너지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KR1020120143482A 2012-12-11 2012-12-11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KR20140075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482A KR20140075278A (ko) 2012-12-11 2012-12-11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482A KR20140075278A (ko) 2012-12-11 2012-12-11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278A true KR20140075278A (ko) 2014-06-19

Family

ID=5112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482A KR20140075278A (ko) 2012-12-11 2012-12-11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457A1 (ko) * 2014-06-26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물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20058793A (ko) * 2020-10-30 2022-05-10 주식회사 플럭시티 빌딩정보모델링 데이터의 xml 파싱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구현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시각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457A1 (ko) * 2014-06-26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물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US11092934B2 (en) 2014-06-26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KR20220058793A (ko) * 2020-10-30 2022-05-10 주식회사 플럭시티 빌딩정보모델링 데이터의 xml 파싱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구현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시각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BIM integrated smart monitoring technique for building fire prevention and disaster relief
CN108133522B (zh) 一种管廊巡检方法及系统
KR102209384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재난관리 방법
KR20190098784A (ko)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3d 기술 융복합 현실 기반 지능형 전력구 관리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269192B1 (ko) 지하공동구 고장 예방 방법 및 장치
CN110309620B (zh) 基于物联网和bim的地下管廊火灾爆裂监控系统和实施方法
EP3150536A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with elevator display
CN111964731A (zh) 一种管廊监测与告警装置及方法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N105632086A (zh) 异常状况预警方法及装置
CN105828433A (zh) 一种基于ZigBee的隧道定位系统及方法
CN112365246A (zh) 一种基于ai+gis+bim的智慧管廊综合管理平台
KR20140075278A (ko) 건물 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 방법
CN213120575U (zh) 室内定位导航系统和室内配电设备监测控制系统
Zha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using RFID integrated BIM model for safety and facility management
KR101753349B1 (ko) 사물인식 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물리좌표 연산을 활용한 사용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내에서의 비상대피경로 안내 및 정보전달 시스템
Netland et al. The capa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remote inspection of wind turbines
CN111928856A (zh) 室内定位导航方法、系统和室内配电设备监测控制系统
CN116243114A (zh) 一种基于红外成像技术的电缆故障检测方法及系统
KR20170122443A (ko) 공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KR101853700B1 (ko) 재난 구조시의 실내 위치 표시 시스템 및 방법
WO2015049248A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eismic monitoring system and seismic monitoring system thus obtained
KR101519560B1 (ko) 맨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맨홀 관리 방법
CN112446077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综合管廊运维风险评估系统及方法
KR102500017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