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131A -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Google Patents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5131A KR20140075131A KR1020120143113A KR20120143113A KR20140075131A KR 20140075131 A KR20140075131 A KR 20140075131A KR 1020120143113 A KR1020120143113 A KR 1020120143113A KR 20120143113 A KR20120143113 A KR 20120143113A KR 20140075131 A KR20140075131 A KR 201400751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vertisement
- recognition
- broadcast content
- smart
- image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을 위해 방송통신망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 각각에 대한 물체 인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 구현을 준비하는 방송콘텐츠 처리모듈; 및 광고대상물과 인식대상물 모두에 대한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와, 각 광고대상물 및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부로의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구현과 함께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광고 영역 외의 일반적인 대상에 대한 광고가 수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광고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감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나 광고를 방송시 가중 중요한 목적은 시청하는 사람들에게 실제로 보여지느냐에 따른 효용성일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 별도로 시청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서 광고방송을 별도로 제공시 광고방송에 대한 반감을 갖고 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방송콘텐츠 속의 특정 제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광고를 수행하여 스마트 TV 사용자가 광고대상물을 제외한 제품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 및 구매로 이어지기 힘든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대상물의 범위를 사용자 기반으로 확대할 뿐만 아니라,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방송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덜어주기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광고 시스템을 구비한 스마트패드 및 그 광고 표시방법(Advertis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smartpad)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32083호)
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moving picture executed on a smart device and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272호)
3. 스마트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A smart advertising information offer system)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0040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광고 영역 외의 일반적인 대상에 대한 광고가 수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광고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감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의 부작용인 시청의 불편함 초래를 최소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 시 명시적 광고 제공을 통해 구체적 광고 상세정보에 대한 제공이 가능한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는,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을 위해 방송통신망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 각각에 대한 물체 인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 구현을 준비하는 방송콘텐츠 처리모듈; 및 광고대상물과 인식대상물 모두에 대한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와, 각 광고대상물 및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부로의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구현과 함께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물체 인식을 위한 상기 방송콘텐츠 처리모듈의 요청에 따라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존재형(Tag data existence)과,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는 일반 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으로 구분된 뒤, 상기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물체인식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체인식모듈은, 상기 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품 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품 패턴 정보를 상기 방송콘텐츠를 수신하기 이전 또는 수신과 함께, 상기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체인식모듈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 각각에 대해 제품인지 여부를 판별을 위해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 뒤, 상기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미리 다수의 제품 중 하나의 제품 패턴 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제품으로 판단하여 대상물로 인식하는 대상물 인식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 인식수단은, 각 영상정보에서 제품을 판별하기 위한 미리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정보를 활용하며, 상기 제품 패턴 정보는, 다양한 제품 패턴 자체 정보, 다양한 제품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및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 인식수단은, 상기 화소의 특정시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에 대한 특성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상물 인식수단은, 상기 스마트 TV가 하나의 영상정보에 대한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갖는 제품 패턴 정보가 있는 제품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하는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광고대상물 구매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콘텐츠 처리모듈은,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한 뒤, 상기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tracking: 추적)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콘텐츠 처리모듈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 상에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물에 대한 상기 물체인식모듈에 의한 물체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의 질의 메시지 전송에 따라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추가적 태그 데이터를 반환받은 뒤, 상기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콘텐츠 상에서의 물체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은, 상기 방송콘텐츠 상에서 상기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출력부의 UI화면으로 구현시, 상기 각 인식대상물의 상기 UI화면 상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상기 위치 변경이나 상기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 TV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뒤,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를 설정하며, 상기 출력부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암시효과가 반영된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며, 상기 물체인식모듈에 의해 상기 출력부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시 상기 물체인식모듈로 통지하여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해 입력인터페이스로부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시효과는, 상기 방송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현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노출전에 암시적으로 상기 스마트 TV의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리미날 효과는, 상기 방송송출 프레임을 이루는 각 광고대상물을 포함하는 방송송출 이미지(broadcasting image) 사이에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empty-imag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는, 색변화 설정, 후광 설정, 애드바 설정, 상태바 설정, 아이콘 설정, 그리고 테두리 컬러 설정 중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른 암시 인디케이터의 위치 및 형상도 함께 변환시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체인식모듈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위치트래킹 마킹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수단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 뒤, 각 인식대상물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각 대상물에 대해 획득한 영상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인식대상물로 판단하여 위치트래킹 마크가 위치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 구현된 인식대상물에 해당하는 이미지정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상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력부로 상기 방송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대상물 및 상기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통해 광고를 구현하며, 상기 출력부로 상기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가 구현되도록 상기 물체인식모듈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로부터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수단은, 상기 대상물 표식자에 대한 트래킹 효과 구현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 뒤, 각 인식대상물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각 대상물에 대해 획득한 영상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인식대상물로 판단하여 위치트래킹 마크가 위치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 구현된 인식대상물에 해당하는 이미지정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는,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광고 영역 외의 일반적인 대상에 대한 광고가 수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광고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감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는,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시 명시적 광고 제공을 통해 구체적 광고 상세정보에 대한 제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스마트 TV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외의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중 대상물 인식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중 대상물 인식 후의 위치트래킹 마크를 설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
도 8은 도 7의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흐름도.
도 2는 도 1에서의 스마트 TV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외의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중 대상물 인식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중 대상물 인식 후의 위치트래킹 마크를 설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
도 8은 도 7의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은 스마트 TV(10), 리모컨(20), 방송통신망(30), 방송콘텐츠 서버(40),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50), 데이터통신망(60) 및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TV(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셋탑박스(STB)를 구비한 셋탑박스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셋탑박스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셋탑박스(STB) 없이 방송콘텐츠 서버(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TV(10)는 방송콘텐츠와 함께 수신되는 태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태그 데이터에 해당하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암시적 및 명시적 광고를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10)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을 제외한 물체에 대한 인식(Object recognition)을 통해 추가적으로 암시적 및 명시적 광고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광고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통신망(6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6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단말,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S13).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50)는 스마트 TV(10) 사용자가 암시적 광고 구현 후의 명시적 광고 구현에 따라 광고대상물에 대한 상세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광고대상물에 대한 상세정보를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스마트 TV(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외의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 센싱부(12), 입력 인터페이스(13), 제어연산부(14), 저장부(15) 및 유무선 통신모듈(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13)는 입력부(13a) 및 리모컨 신호 수신부(13b)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연산부(14)는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 및 물체인식모듈(14e)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연산부(14)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함으로써,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패킷으로부터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방송콘텐츠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출력부(11)로의 구현을 준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을 전송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콘텐츠 서버(4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방송콘텐츠 서버(40)의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패킷화된 상태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하여, 저장부(15)에 저장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리딩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tracking: 추적)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 여기서 위치트래킹 마킹은 각 광고대상물이 광고콘텐츠 상에서의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따른 출력부(11)로의 구현시 각 광고대상물을 트래킹하기 위한 표식자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트래킹 마킹 설정에 따라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변경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부(15)에 저장됨으로써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추가적 과정으로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방송콘텐츠에 광고대상물을 제외한 대상물에 대한 인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대상물 인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시 입체적 관점 각각에 대한 인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인식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의 질의 메시지 전송하며, 이에 대한 반환으로 인식대상물에 대한 추가적 태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수신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한다. 그리고,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콘텐츠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 여기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은,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출력부(11)의 UI화면으로 구현시, 각 인식대상물의 UI화면 상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각 인식대상물의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 TV의 저장부(15)에 저장된 뒤,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인식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출력부(11)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며,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어 저장부(15) 상에 버퍼링 상태에 있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을 개시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과 물체인식모듈(14e) 간의 연계를 통한 광고대상물 외의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물체인식모듈(14e)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의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 개시에 따라,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를 출력부(11)로 구현한 뒤,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수신되고 있는 방송콘텐츠의 출력부(11)로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현과 함께, 암시효과가 반영된 각 광고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를 설정한다. 여기서 암시효과는 방송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현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노출전에 암시적으로 스마트 TV(10)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암시효과는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브리미날 효과는 방송송출 프레임을 이루는 광고대상물을 포함하는 다수의 방송송출 이미지(broadcasting image) 사이에 하나의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empty-imag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서브리미날 효과를 위한 엠프티 이미지에서 광고대상물 내지는 인식대상물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마에 대한 색변화 설정, 구두에 대한 후광 설정이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 설정이 또 다른 예가 될 수 있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 설정에 따른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암시 인디케이터는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색변화, 후광,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로 구현가능하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에 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이때,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 효과 구현시 직접적 수행이 아닌 후술하는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로의 요청을 통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암시 인디케이터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해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한 뒤,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로 통지함으로써, 암시적 광고출력 과정을 종료한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에 의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를 구현하며, 대상물 표식자 선택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통해 광고를 구현한다.
한편,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다수의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의 대상물 표식자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경우, 센싱부(12)를 통해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 인식데이터에 따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센싱부(12)가 카메라촬영 방식의 인식모듈로 구현된 경우, 카메라 촬영을 통한 안구 인식의 결과 사용자의 눈길이 자주 가는 곳에 선택신호로 인식되거나, 사용자 촬영에 따른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에 대해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관심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대상물 표식자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이때,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 효과 구현시 직접적 수행이 아닌 후술하는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로의 요청을 통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대상물 표식자의 위치를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다수의 광고 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대기한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을 통해 판단 결과를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로 통지함으로써, 명시적 광고 수행을 완료한다.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은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의 판단 결과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 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은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리모컨(20)으로부터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를 리모컨 신호 수신부(13b)를 통해 수신하거나 입력부(13a)로의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 수신을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구매 요청으로 인식하여 구매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물체인식모듈(14e)은 대상물 인식수단(14e-1) 및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1)으로 구분된다. 먼저,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에 의해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에 대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가 완료되면,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대상물 인식수단(14e-1)에 의한 물체 인식(Object recognition)의 경우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존재형(Tag data existence)과,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는 일반 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으로 구분된 뒤, 후자인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여기서 각 태그 데이터는 하나의 광고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한편,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대상물의 촬영 시에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를 위해 대상물에 대한 제품을 판별하기 위한 제품 패턴 정보를 방송콘텐츠를 수신하기 이전 또는 수신과 함께,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여 저장부(15)에 저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획득한 각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 각각에 대해 제품인지 여부를 판별을 위해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각 영상정보에서 제품을 판별하기 위해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정보를 활용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제품 패턴 자체 정보 또는 다양한 제품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제품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제품을 판별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제품 판별을 위한 제 1 단계로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각 대상물에 대해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저장부(15)에 저장된 다수의 제품 중 하나의 제품 패턴 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제품으로 판단하여 대상물로 인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각 대상물에 대해 특정된 하나의 영상정보에 대한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갖는 제품 패턴 정보가 있는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대상물 인식수단(14e-1)은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과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 제품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은 대상물 인식수단(14e-1)에 의한 대상물 인식 후,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에 의한 위치트래킹 마크가 설정된 뒤, 위치트래킹 마크를 이용한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에 의한 암시적 광고가 수행되거나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에 의한 명시적 광고가 수행되는 경우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즉,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와, 해당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대상물 인식수단(14e-1)에 의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의 각 인식대상물인지 여부에 대한 판별을 위한 첫 단계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은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 특정시 인식대상물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트래킹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이미지정보 패턴 자체 정보 또는 이미지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에 대한 모든 화소 특성을 특정한다. 또한,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은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 특정시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다.
위치트래킹 마킹수단(14e-2)은 각 인식대상물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대상물 인식수단(14e-1)에 의해 획득한 영상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인식대상물로 판단하여 위치트래킹 마크가 위치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 구현된 인식대상물에 해당하는 이미지정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중 대상물 인식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S1). 스마트 TV(10)에 의한 물체 인식(Object recognition)의 경우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존재형(Tag data existence)과,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는 일반 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으로 구분된 뒤, 후자인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여기서 각 태그 데이터는 하나의 광고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한편, 스마트 TV(10)는 대상물의 촬영 시에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를 위해 대상물에 대한 제품을 판별하기 위한 제품 패턴 정보를 방송콘텐츠를 수신하기 이전 또는 수신과 함께,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여 저장부(15)에 저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에서 획득한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 각각에 대해 제품인지 여부를 판별을 위해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다(S2).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TV(10)는 각 영상정보에서 제품을 판별하기 위해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정보를 활용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제품 패턴 자체 정보 또는 다양한 제품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제품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제품을 판별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제품 판별을 위한 제 1 단계인 단계(S2)는 스마트 TV(10)가 단계(S1)에서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단계(S2)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2)에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저장부(15)에 저장된 다수의 제품 중 하나의 제품 패턴 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제품으로 판단하여 대상물로 인식한다(S3).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TV(10)는 단계(S2)에서 특정된 하나의 영상정보에 대한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갖는 제품 패턴 정보가 있는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스마트 TV(10)는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와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 제품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중 대상물 인식 후의 위치트래킹 마크를 설정뒤에 위치트래킹 마크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은 광고대상물 외의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이 방송콘텐츠 상에서 완료된 뒤, 스마트 TV(10)는 광고대상물과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적 광고 및 명시적 광고에서 사용되는 트래킹 기법 적용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도 6와 같이, 인식대상물에 대한 위치트래킹 마크를 이용한 암시적 광고에서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 구현하거나 명시적 광고에서 인식대상물별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시 암시 인디케이터 또는 대상물 표식자에 해당하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 기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스마트 TV(10)는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와, 해당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도 5의 단계(S1)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각 인식대상물인지 여부에 대한 판별을 위한 첫 단계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다(S4).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TV(10)는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 특정시 인식대상물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트래킹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이미지정보 패턴 자체 정보 또는 이미지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에 대한 모든 화소 특성을 특정한다. 또한, 스마트 TV(10)는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 특정시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다.
단계(S4)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5)에서 각 인식대상물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단계(S1)에서 획득한 영상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인식대상물로 판단하여 위치트래킹 마크가 위치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 구현된 인식대상물에 해당하는 이미지정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S5),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출력부(11)로의 구현을 준비한다(S10).
여기서,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단계(S10) 이후, 스마트 TV(10)는 암시적 광고출력 과정으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의 출력부(11)로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현과 함께,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및 각 광고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S20).
단계(S20) 이후, 스마트 TV(10)는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부(11)로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현과 함께, 단계(S10)의 과정에 따라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광고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한다(S30).
단계(S30)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30)에 의한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 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S40).
도 8은 도 7의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의 각 단계(S10) 내지 단계(S40)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S11). 여기서 데이터통신망(6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6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단말,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광고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S1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단계(S11)에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2) 이후,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S13).
단계(S13)에 따라 스마트 TV(10)는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한다(S14).
단계(S14)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4)에서 리딩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S15). 여기서 위치트래킹 마킹은 각 광고대상물이 광고콘텐츠 상에서의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따른 출력부(11)로의 구현시 각 광고대상물을 트래킹(tracking)하기 위한 표식자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5)에서의 위치트래킹 마킹 설정에 따라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변경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스마트 TV(10)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부(15)에 저장됨으로써,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한다.
한편, 단계(S15) 이후, 스마트 TV(10)는 추가적 과정으로 방송콘텐츠에 광고대상물을 제외한 대상물에 대한 인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대상물 인식 과정인 단계(S16)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TV(10)는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시 입체적 관점 각각에 대한 인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6)를 살펴보면, 스마트 TV(10)는 단계(S14)에서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한다(S16a). 이때,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6a)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6a)에서 인식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의 질의 메시지 전송에 따라 인식대상물에 대한 추가적 태그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S16b). 단계(S16b) 이후, 그리고, 스마트 TV(10)는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콘텐츠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S16c).
여기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은,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출력부(11)의 UI화면으로 구현시, 각 인식대상물의 UI화면 상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각 인식대상물의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스마트 TV(1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 TV의 저장부(15)에 저장된 뒤,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인식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된다.
단계(S15) 또는 단계(S16)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며,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과 동시에 출력을 개시 준비함으로써(S17), 단계(S10)의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 준비 과정을 완료한다.
단계(S11) 내지 단계(S17)에 따른 단계(S10) 수행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5)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단계(S16c)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를 설정한다(S21). 여기서 암시효과는 방송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현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노출전에 암시적으로 스마트 TV(10)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암시효과는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브리미날 효과는 방송송출 프레임을 이루는 광고대상물을 포함하는 방송송출 이미지(broadcasting image) 사이에 하나의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empty-imag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서브리미날 효과를 위한 엠프티 이미지에서 광고대상물 내지는 인식대상물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마에 대한 색변화 설정, 구두에 대한 후광 설정이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 설정이 또 다른 예가 될 수 있다.
단계(S21)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가 반영된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S22). 상술한 바와 같이, 암시 인디케이터는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색변화, 후광,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로 구현가능하다.
단계(S22)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S23). 이때, 트래킹 효과는 도 6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단계(S15)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단계(S16c)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암시 인디케이터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23) 이후, 스마트 TV(10)는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해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한 뒤(S24),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25), 암시적 광고출력 과정을 종료한다.
단계(S25)의 판단 결과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를 구현하며, 대상물 표식자 선택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통해 광고를 구현한다(S31).
한편, 스마트 TV(10)는 다수의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의 대상물 표식자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경우, 센싱부(12)를 통해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 인식데이터에 따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센싱부(12)가 카메라촬영 방식의 인식모듈로 구현된 경우, 카메라 촬영을 통한 안구 인식의 결과 사용자의 눈길이 자주 가는 곳에 선택신호로 인식되거나, 사용자 촬영에 따른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에 대해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관심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대상물 표식자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1)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S32). 이때, 트래킹 효과는 도 6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단계(S15)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단계(S16c)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대상물 표식자의 위치를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32) 이후, 스마트 TV(10)는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다수의 광고 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대기한다(S33).
단계(S33) 이후, 스마트 TV(10)는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S34), 명시적 광고를 수행을 완료한다.
단계(S34)의 판단 결과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시, 스마트 TV(10)는 단계(S34)에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모션 제스처를 통한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TV(10)는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리모컨(20)으로부터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를 리모컨 신호 수신부(13b)를 통해 수신하거나 입력부(13a)로의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 수신을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구매 요청으로 인식하여 구매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 TV
11: 출력부
12: 센싱부
13: 입력 인터페이스
13a: 입력부
13b: 리모컨 신호 수신부
14: 제어연산부
14a: 방송콘텐츠 처리모듈
14b: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
14c: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
14d: 광고대상물 구매모듈
14e: 물체인식모듈
14e-1: 대상물 인식수단
14e-2: 위치트래킹 마킹수단
15: 저장부
16: 유무선 통신모듈
STB: 셋탑박스
20: 리모컨
30: 방송통신망
40: 방송콘텐츠 서버
50: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60: 데이터통신망
70: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
11: 출력부
12: 센싱부
13: 입력 인터페이스
13a: 입력부
13b: 리모컨 신호 수신부
14: 제어연산부
14a: 방송콘텐츠 처리모듈
14b: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
14c: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
14d: 광고대상물 구매모듈
14e: 물체인식모듈
14e-1: 대상물 인식수단
14e-2: 위치트래킹 마킹수단
15: 저장부
16: 유무선 통신모듈
STB: 셋탑박스
20: 리모컨
30: 방송통신망
40: 방송콘텐츠 서버
50: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60: 데이터통신망
70: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
Claims (23)
-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을 위해 방송통신망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 각각에 대한 물체 인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 구현을 준비하는 방송콘텐츠 처리모듈; 및
광고대상물과 인식대상물 모두에 대한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와, 각 광고대상물 및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부로의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구현과 함께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체 인식을 위한 상기 방송콘텐츠 처리모듈의 요청에 따라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존재형(Tag data existence)과,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는 일반 대상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으로 구분된 뒤, 상기 태그 데이터 비존재형(Tag data no-existence)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물체인식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모듈은,
상기 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품 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품 패턴 정보를 상기 방송콘텐츠를 수신하기 이전 또는 수신과 함께, 상기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모듈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 각각에 대해 제품인지 여부를 판별을 위해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 뒤, 상기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미리 다수의 제품 중 하나의 제품 패턴 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제품으로 판단하여 대상물로 인식하는 대상물 인식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인식수단은,
각 영상정보에서 제품을 판별하기 위한 미리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정보를 활용하며,
상기 제품 패턴 정보는,
다양한 제품 패턴 자체 정보, 다양한 제품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및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인식수단은,
상기 화소의 특정시 획득한 각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에 대한 특성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인식수단은,
상기 스마트 TV가 하나의 영상정보에 대한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갖는 제품 패턴 정보가 있는 제품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4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하는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광고대상물 구매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 처리모듈은,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한 뒤, 상기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tracking: 추적)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 처리모듈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 상에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물에 대한 상기 물체인식모듈에 의한 물체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의 질의 메시지 전송에 따라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추가적 태그 데이터를 반환받은 뒤, 상기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방송콘텐츠 상에서의 물체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은,
상기 방송콘텐츠 상에서 상기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출력부의 UI화면으로 구현시, 상기 각 인식대상물의 상기 UI화면 상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상기 위치 변경이나 상기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 TV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뒤,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를 설정하며, 상기 출력부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상기 암시효과가 반영된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며,
상기 물체인식모듈에 의해 상기 출력부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시 상기 물체인식모듈로 통지하여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해 입력인터페이스로부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암시효과는,
상기 방송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현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노출전에 암시적으로 상기 스마트 TV의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서브리미날 효과는,
상기 방송송출 프레임을 이루는 각 광고대상물을 포함하는 방송송출 이미지(broadcasting image) 사이에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empty-imag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는,
색변화 설정, 후광 설정, 애드바 설정, 상태바 설정, 아이콘 설정, 그리고 테두리 컬러 설정 중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른 암시 인디케이터의 위치 및 형상도 함께 변환시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모듈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위치트래킹 마킹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수단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 뒤, 각 인식대상물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각 대상물에 대해 획득한 영상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인식대상물로 판단하여 위치트래킹 마크가 위치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 구현된 인식대상물에 해당하는 이미지정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상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력부로 상기 방송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대상물 및 상기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통해 광고를 구현하며,
상기 출력부로 상기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구현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가 구현되도록 상기 물체인식모듈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은,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로부터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 각각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위치트래킹 마킹수단은,
상기 대상물 표식자에 대한 트래킹 효과 구현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해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특정한 뒤, 각 인식대상물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특정된 화소의 특성과, 각 대상물에 대해 획득한 영상정보가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인식대상물로 판단하여 위치트래킹 마크가 위치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 구현된 인식대상물에 해당하는 이미지정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트래킹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143113A KR101506717B1 (ko) | 2012-12-10 | 2012-12-10 |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143113A KR101506717B1 (ko) | 2012-12-10 | 2012-12-10 |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5131A true KR20140075131A (ko) | 2014-06-19 |
KR101506717B1 KR101506717B1 (ko) | 2015-04-02 |
Family
ID=5112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143113A KR101506717B1 (ko) | 2012-12-10 | 2012-12-10 |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6717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788B1 (ko) * | 2012-12-10 | 2014-10-27 | 김혜연 |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KR20140075655A (ko) * | 2014-04-29 | 2014-06-19 | 김혜연 |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
2012
- 2012-12-10 KR KR20120143113A patent/KR1015067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6717B1 (ko) | 2015-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7479B1 (ko) |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
KR101519019B1 (ko) | 감성광고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453788B1 (ko) |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
KR101519052B1 (ko) | 감성광고 기반의 광고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519021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 |
KR101506717B1 (ko) |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20140075655A (ko) |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
KR101510747B1 (ko) | 모션 센싱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20150044443A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453813B1 (ko) | 감성광고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536262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방법 | |
KR101510761B1 (ko) | 감성광고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534204B1 (ko) |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
KR101453793B1 (ko) | 스마트 tv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감성광고 방법 | |
KR101487477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453822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모션 결제 방법 | |
KR101519030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510765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 기반의 대상물 타겟에 따른 광고정보 제공방법 | |
KR101510737B1 (ko) | 모션 센싱 및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 |
KR101453798B1 (ko) | 스마트 tv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 |
KR101453884B1 (ko) | 사용자 맞춤형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510770B1 (ko) |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방법 | |
KR101506633B1 (ko) |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 |
KR101453823B1 (ko) | 감성광고 기반의 모션 결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
KR101453812B1 (ko) | 감성광고 기반의 대상물 타겟에 따른 광고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