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33B1 -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33B1
KR101506633B1 KR20120143149A KR20120143149A KR101506633B1 KR 101506633 B1 KR101506633 B1 KR 101506633B1 KR 20120143149 A KR20120143149 A KR 20120143149A KR 20120143149 A KR20120143149 A KR 20120143149A KR 101506633 B1 KR101506633 B1 KR 10150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mart
information
broadcast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144A (ko
Inventor
박수조
송지성
김일
전정구
조희정
최유빈
Original Assignee
박수조
송지성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김일
전정구
조희정
최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조, 송지성,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김일, 전정구, 조희정, 최유빈 filed Critical 박수조
Priority to KR2012014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TV가 암시적 광고 및 명시적 광고의 순차적 구현을 위해 방송통신망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서브리미날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암시적 광고 개시 준비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information for logotional advertisement based on smart-TV}
본 발명은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기 위한 암시 효과를 제공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홈쇼핑과의 연계를 통해 관심을 갖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현재의 판매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나 광고를 방송시 가중 중요한 목적은 시청하는 사람들에게 실제로 보여지느냐에 따른 효용성일 것이다. 종래에는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 별도로 시청하도록 하거나,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시켜도 광고인지를 모르게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서 광고방송을 별도로 제공시 광고방송에 대한 반감을 갖고 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현재에는 홈쇼핑 광고와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이원화되어 방송콘텐츠 중간에 홈쇼핑 광고에 대한 청취를 하거나 별도의 채널을 통해 홈쇼핑 광고를 청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방송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홈쇼핑과 연계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광고 채널을 볼 필요 없이 홈쇼핑 대상 물품을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광고 시스템을 구비한 스마트패드 및 그 광고 표시방법(Advertis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smartpad)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32083호)
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moving picture executed on a smart device and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272호)
3. 스마트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A smart advertising information offer system)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0040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의 부작용인 시청의 불편함 초래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홈쇼핑과의 연계를 통해 관심을 갖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현재의 판매 상태를 확인 및 구매까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시 명시적 광고 제공을 통해 구체적 광고 상세정보에 대한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은, 스마트 TV가 암시적 광고 및 명시적 광고의 순차적 구현을 위해 방송통신망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서브리미날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암시적 광고 개시 준비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에서 적용되는 상기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대해 방송송출 이미지들의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을 구분하는 제 2-1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해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각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대한 상기 출력부로 구현시 상기 엠프티 이미지를 삽입시키는 제 2-3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3 단계 사이에,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태그 콘텐츠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2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선 엠프티 이미지 삽입 전후의 방송송출 이미지에 대한 색상, 명도 및 채도와,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 각각의 색상, 명도 및 채도 간의 상보적 매칭을 위한 보정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와, 상기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상기 출력부로의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구현에 의해 상기 암시적 광고를 구현하는 제 3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출력부 상의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되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판매상황 정보를 광고대상물 각각의 아이콘과 함께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구현을 개시하는 제 4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가 설정된 광고대상물 각각의 태그 데이터에서 카테고리 정보 및 아이콘 정보 추출하는 제 4-1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정보 영역 상기 추출된 광고대상물의 아이콘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구현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판매상황 정보를 목표 판매치에 대한 백분율로 하여, 각 광고대상물과 매칭되는 아이콘 상에 색상정보로 구현하는 제 4-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2 단계 및 상기 제 4-3 단계 사이에,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출력을 위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실시간 판매상황 정보를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홈쇼핑 서버로 요청하여 실시간 수신을 개시하는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상기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을 개시하는 제 5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tracking: 추적)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된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를 활용하여 추적위치 화면효과를 구현하는 제 6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상기 방송콘텐츠 구현시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되는 각 아이콘의 추가 및 삭제를 확인하는 제 6-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삭제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현재의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영역으로 다시 돌아가는 역추적위치 화면효과를 실시간 구현하는 제 6-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2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추가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현재의 UI 화면상에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추적위치 화면효과를 실시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제 7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의 부작용인 시청의 불편함 초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은, 홈쇼핑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갖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현재의 판매 상태를 확인 및 구매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은,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암시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 시 명시적 광고 제공을 통해 구체적 광고 상세정보에 대한 제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스마트 TV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기반의 광고 정보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중 서브리미날 효과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중 암시적 광고 구현시의 아이콘 기반의 정보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중 명시적 광고 구현시의 아이콘 기반의 정보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은 스마트 TV(10), 리모컨(20), 방송통신망(30), 방송콘텐츠 서버(40),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50), 데이터통신망(60) 및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TV(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셋탑박스(STB)를 구비한 셋탑박스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셋탑박스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셋탑박스(STB) 없이 방송콘텐츠 서버(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광고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통신망(6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6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단말,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S13).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50)는 스마트 TV(10) 사용자가 암시적 광고 구현 후의 명시적 광고 구현에 따라 광고대상물에 대한 상세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광고대상물에 대한 상세정보를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스마트 TV(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기반의 광고 정보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 센싱부(12), 입력 인터페이스(13), 제어연산부(14), 저장부(15) 및 유무선 통신모듈(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13)는 입력부(13a) 및 리모컨 신호 수신부(13b)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연산부(14)는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 및 정보구현 모듈(14e)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연산부(14)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함으로써,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패킷으로부터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방송콘텐츠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출력부(11)로의 구현을 준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을 전송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콘텐츠 서버(4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방송콘텐츠 서버(40)의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패킷화된 상태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하여, 저장부(15)에 저장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리딩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tracking: 추적)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 여기서 위치트래킹 마킹은 각 광고대상물이 광고콘텐츠 상에서의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따른 출력부(11)로의 구현시 각 광고대상물을 트래킹하기 위한 표식자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트래킹 마킹 설정에 따라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변경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부(15)에 저장됨으로써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추가적 과정으로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방송콘텐츠에 광고대상물을 제외한 대상물에 대한 인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대상물 인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시 입체적 관점 각각에 대한 인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인식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의 질의 메시지 전송하며, 이에 대한 반환으로 인식대상물에 대한 추가적 태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수신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6)을 제어한다. 그리고,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콘텐츠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 여기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은,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출력부(11)의 UI화면으로 구현시, 각 인식대상물의 UI화면 상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각 인식대상물의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 TV의 저장부(15)에 저장된 뒤,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인식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된다.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은 출력부(11)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며,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어 저장부(15) 상에 버퍼링 상태에 있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을 개시한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방송콘텐츠 처리모듈(14a)의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 개시에 따라,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를 출력부(11)로 구현한 뒤,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수신되고 있는 방송콘텐츠의 출력부(11)로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현과 함께, 암시효과가 반영된 각 광고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를 설정한다. 여기서 암시효과는 방송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현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노출전에 암시적으로 스마트 TV(10)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암시효과는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브리미날 효과는 방송송출 프레임을 이루는 광고대상물을 포함하는 다수의 방송송출 이미지(broadcasting image) 사이에 하나의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empty-imag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후술하는 정보구현 모듈(14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서브리미날 효과를 위한 엠프티 이미지에서 광고대상물 내지는 인식대상물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마에 대한 색변화 설정, 구두에 대한 후광 설정이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 설정이 또 다른 예가 될 수 있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 설정에 따른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암시 인디케이터는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색변화, 후광,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로 구현가능하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에 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암시 인디케이터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은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해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한 뒤,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로 통지함으로써, 암시적 광고출력 과정을 종료한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에 의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를 구현하며, 대상물 표식자 선택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통해 광고를 구현한다.
한편,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다수의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의 대상물 표식자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경우, 센싱부(12)를 통해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 인식데이터에 따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센싱부(12)가 카메라촬영 방식의 인식모듈로 구현된 경우, 카메라 촬영을 통한 안구 인식의 결과 사용자의 눈길이 자주 가는 곳에 선택신호로 인식되거나, 사용자 촬영에 따른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에 대해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관심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대상물 표식자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대상물 표식자의 위치를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다수의 광고 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대기한다.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은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을 통해 판단 결과를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로 통지함으로써, 명시적 광고 수행을 완료한다.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은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c)의 판단 결과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 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대상물 구매모듈(14d)은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리모컨(20)으로부터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를 리모컨 신호 수신부(13b)를 통해 수신하거나 입력부(13a)로의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 수신을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구매 요청으로 인식하여 구매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정보구현 모듈(14e)은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 암시 정보 구현수단(14e-2) 및 명시 정보 구현수단(14e-3)을 구비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고대상물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인식대상물로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다.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은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에 의한 암시적 광구 구현시 암시 효과로 설명한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방송콘텐츠로부터 각 방송송출 프레임 중 광고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방송송출 이미지들(도 3 참조)의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을 구분한다. 즉,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은 암시적 광고를 위한 서브리미날 효과 적용의 기반이 되는 엠프트 이미지를 삽입할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엠프트 이미지가 삽입되는 방송송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송송출 프레임은,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되거나 수신되고 있는 방송콘텐츠에서 전부의 방송송출 프레임을 포함하는 개념이거나 해당 방송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되는 것으로 가변적으로 본 발명에선 적용가능하다.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은 광고태그 콘텐츠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설정한다. 즉, 가방류에 대한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색변화를 활용한 암시 인디케이터, 카테고리 중 의류에 대해서는 후광을 활용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은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해 해당 설정된 카테고리별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선 엠프티 이미지 삽입 전후의 방송송출 이미지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 암시 인디케이터의 형상, 색상, 명도, 채도, 투명도에 대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 방송송출 이미지와 각 암시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상호 보색으로 설정하거나, 명도와 채도 차가 극대화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은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각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대한 출력부(11)로 구현시 단계(S21c)에서 생성된 엠프티 이미지를 삽입시키기 위한 메타 정보를 저장부(15) 상에 저장함으로써, 서브리미날 효과에 대한 구현 준비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암시 정보 구현수단(14e-2)은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에 의해 서브리미날 효과에 대한 준비 완료와,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에 의한 서브리미날 효과를 적용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암시적 광고 구현이 개시되면, 현재 출력부(11)의 UI 화면에 구현된 암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광고대상물 각각의 태그 데이터에서 카테고리 정보 및 아이콘 정보 추출한다. 이를 위해 방송콘텐츠 서버(40)가 각 태그 데이터를 생성시 광고대상물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 및 아이콘 정보를 포함시켜야 한다.
암시 정보 구현수단(14e-2)은 출력부(11) 상의 광고정보 영역(11a)에 상술한 암시효과 생성수단(14e-1)에 의해 추출된 각 광고대상물의 아이콘 정보를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명시적으로 구현한다.
암시 정보 구현수단(14e-2)은 출력부(11) 상의 광고정보 영역(11)에 출력을 위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실시간 판매상황 정보를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홈쇼핑 서버(80)로 요청하도록 유무선 송수신모듈(16)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홈쇼핑 서버(80)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실시간 판매상황 정보를 이후 주기적으로 스마트 TV(10)로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전송한다.
암시 정보 구현수단(14e-2)은 출력부(11) 상의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되는 카테고리별 광고대상물에 대한 판매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데, 출력된 각 판매상황 정보를 목표 판매치에 대한 백분율로 각 광고대상물의 아이콘 상에 색상정보로 실시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마지막으로 명시 정보 구현수단(14e-3)은 암시적 광고가 완료에 따라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14b)에 의해 명시적 광고가 시작되면, 현재 출력부(11) 상의 UI 화면의 광고정보 영역(11a)에 구현된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를 활용함으로써,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이 있는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추적위치 화면효과를 준비하거나 구현한다(도 5 참조). 여기서 추적위치 화면효과는 아이콘이 흔들리면서 램프에서 램프의 요정(지니)가 나오듯 화면 하단 아이콘에서 물품이 빠져나와 광고대상물의 위치로 가는 효과일 수 있다.
명시 정보 구현수단(14e-3)은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방송콘텐츠 구현시 광고정보 영역(11a)에 구현되는 카테고리별 각 아이콘의 추가 및 삭제를 확인하여, 삭제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현재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로부터 광고정보 영역(11a)으로 다시 돌아가는 역추적위치 화면효과에 대한 실시간 구현 준비를 완료하거나 실시간으로 구현한다. 여기서 역추적위치 화면효과는 램프의 요정(지니)가 램프로 다시 들어가듯 광고대상물이 아이콘으로 빨려 들려가며, 들어간 후에 아이콘이 몇 번 흔들리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명시 정보 구현수단(14e-3)은 반대로 추가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이 있는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추적위치 화면효과에 대한 실시간 구현을 준비를 완료하거나 실시간으로 구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중 서브리미날 효과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이하의 도 6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고대상물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인식대상물로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암시적 광고 구현에서 적용되는 상술한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출력부(11)로의 구현을 준비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스마트 TV(10)는 방송콘텐츠로부터 각 방송송출 프레임 중 광고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방송송출 이미지들(도 3 참조)의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을 구분한다(S21a). 즉, 스마트 TV(10)는 암시적 광고를 위한 서브리미날 효과 적용의 기반이 되는 엠프트 이미지를 삽입할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엠프트 이미지가 삽입되는 방송송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송송출 프레임은,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되거나 수신되고 있는 방송콘텐츠에서 전부의 방송송출 프레임을 포함하는 개념이거나 해당 방송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되는 것으로 가변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단계(S21a) 이후, 스마트 TV(10)는 광고태그 콘텐츠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설정한다(S21b). 즉, 가방류에 대한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색변화를 활용한 암시 인디케이터, 카테고리 중 의류에 대해서는 후광을 활용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1b) 이후, 스마트 TV(10)는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해 단계(S21b)에서 설정된 카테고리별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한다(S21c). 여기서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선 엠프티 이미지 삽입 전후의 방송송출 이미지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 암시 인디케이터의 형상, 색상, 명도, 채도, 투명도에 대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 방송송출 이미지와 각 암시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상호 보색으로 설정하거나, 명도와 채도 차가 극대화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단계(S21c) 이후, 스마트 TV(10)는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각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대한 출력부(11)로 구현시 단계(S21c)에서 생성된 엠프티 이미지를 삽입시키기 위한 메타 정보를 저장부(15) 상에 저장함으로써, 서브리미날 효과에 대한 구현 준비를 완료한다(S21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중 암시적 광고 구현시의 아이콘 기반의 정보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서브리미날 효과에 대한 준비 완료와 이를 이용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암시적 광고 구현이 개시되면, 스마트 TV(10)는 단계(S21c)에 의한 설정에 따라 현재 출력부(11)의 UI 화면에 구현된 암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광고대상물 각각의 태그 데이터에서 카테고리 정보 및 아이콘 정보 추출한다(S22a-1).
단계(S22a-1)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 상의 광고정보 영역(11a)에 단계(S22a-1)에서 추출된 카테고리별 광고대상물의 아이콘 정보를 구현한다(S22a-2).
단계(S22a-2)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 상의 광고정보 영역(11)에 출력을 위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실시간 판매상황 정보를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홈쇼핑 서버(80)로 요청한다(S22a-3). 이에 따라, 홈쇼핑 서버(80)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실시간 판매상황 정보를 단계(S22a-3) 이후 주기적으로 스마트 TV(10)로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S22a-3)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 상의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되는 카테고리별 광고대상물에 대한 판매상황 정보를 출력하며, 출력된 각 판매상황 정보를 목표 판매치에 대한 백분율로 각 광고대상물의 아이콘 상에 색상정보로 실시간 구현한다(S22a-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중 명시적 광고 구현시의 아이콘 기반의 정보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상술한 단계(S22a) 이후, 암시적 광고가 완료에 따라 명시적 광고가 시작되면, 스마트 TV(10)는 현재 출력부(11) 상의 UI 화면의 광고정보 영역(11a)에 구현된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를 활용함으로써,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이 있는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추적위치 화면효과를 준비하거나 구현한다(S31a-1).
한편, 단계(S31a-1) 이후, 스마트 TV(10)는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방송콘텐츠 구현시 광고정보 영역(11a)에 구현되는 카테고리별 각 아이콘의 추가 및 삭제를 확인하여, 삭제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현재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로부터 광고정보 영역(11a)으로 다시 돌아가는 역추적위치 화면효과에 대한 실시간 구현 준비를 완료하거나 실시간으로 구현한다(S31a-2).
그리고 단계(S31a-2)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스마트 TV(10)는 단계(S31a-3)과는 반대로 추가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단계(S31a-1)와 같이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이 있는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추적위치 화면효과에 대한 실시간 구현을 준비를 완료하거나 실시간으로 구현한다(S31a-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방송콘텐츠에 대한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출력부(11)로의 구현을 준비한다(S10).
여기서,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단계(S10) 이후, 스마트 TV(10)는 암시적 광고출력 과정으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의 출력부(11)로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현과 함께,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및 각 광고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S20).
단계(S20) 이후, 스마트 TV(10)는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에 대한 출력부(11)로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현과 함께, 단계(S10)의 과정에 따라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광고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를 수행한다(S30).
단계(S30)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30)에 의한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 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13)을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S40).
도 10은 도 9의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의 각 단계(S10) 내지 단계(S40)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60)을 통해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S11). 여기서 데이터통신망(6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6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광고주단말 그룹(7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단말,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광고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S1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단계(S11)에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2) 이후,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 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S13).
단계(S13)에 따라 스마트 TV(10)는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한다(S14).
단계(S14)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4)에서 리딩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S15). 여기서 위치트래킹 마킹은 각 광고대상물이 광고콘텐츠 상에서의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따른 출력부(11)로의 구현시 각 광고대상물을 트래킹(tracking)하기 위한 표식자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5)에서의 위치트래킹 마킹 설정에 따라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변경 또는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스마트 TV(10)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부(15)에 저장됨으로써,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광고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한다.
한편, 단계(S15) 이후, 스마트 TV(10)는 추가적 과정으로 방송콘텐츠에 광고대상물을 제외한 대상물에 대한 인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대상물 인식 과정인 단계(S16)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TV(10)는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시 입체적 관점 각각에 대한 인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6)를 살펴보면, 스마트 TV(10)는 단계(S14)에서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광고 태그콘텐츠의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로 리딩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한다(S16a). 단계(S16a)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6a)에서 인식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의 질의 메시지 전송에 따라 인식대상물에 대한 추가적 태그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S16b). 단계(S16b) 이후, 그리고, 스마트 TV(10)는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방송콘텐츠의 이미지정보에 대한 물체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한다(S16c).
여기서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은, 방송콘텐츠 상에서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출력부(11)의 UI화면으로 구현시, 각 인식대상물의 UI화면 상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입체적 관점이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각 인식대상물의 위치 변경이나 입체적 관점 변경에 따른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스마트 TV(1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 TV의 저장부(15)에 저장된 뒤, 각 인식대상물에 대한 트래킹시 저장된 실시간 변경데이터가 활용되어 출력부(11) 상에 구현되는 UI 화면에서의 인식대상물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된다.
단계(S15) 또는 단계(S16)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를 구현하며,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과 동시에 출력을 개시 준비함으로써(S17), 단계(S10)의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 준비 과정을 완료한다.
단계(S11) 내지 단계(S17)에 따른 단계(S10) 수행 이후, 스마트 TV(10)는 단계(S15)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단계(S16c)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를 설정한다(S21).
여기서 암시효과는 방송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현시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노출전에 암시적으로 스마트 TV(10)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암시효과는 서브리미날 효과(subliminal effec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브리미날 효과는 방송송출 프레임을 이루는 광고대상물을 포함하는 방송송출 이미지(broadcasting image) 사이에 하나의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empty-imag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서브리미날 효과 설정을 위한 구체적인 과정은 상술한 도 6에 의한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서브리미날 효과를 위한 엠프티 이미지에서 광고대상물 내지는 인식대상물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마에 대한 색변화 설정, 구두에 대한 후광 설정이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 설정이 또 다른 예가 될 수 있다.
단계(S21)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암시효과가 반영된 암시 인디케이터를 구현한다(S22). 상술한 바와 같이, 암시 인디케이터는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색변화, 후광, 애드바, 상태바, 아이콘, 테두리 컬러로 구현가능하다. 한편, 단계(S22)와 후술하는 단계(S23) 사이에, 상술한 도 7과 같은 암시적 광고 구현시의 아이콘 기반의 정보제공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S22)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암시 인디케이터에 대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S23).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단계(S15)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단계(S16c)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암시 인디케이터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23) 이후, 스마트 TV(10)는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해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한 뒤(S24),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25), 암시적 광고출력 과정을 종료한다.
단계(S25)의 판단 결과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와 함께 광고대상물 및 인식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를 구현하며, 대상물 표식자 선택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통해 광고를 구현한다(S31). 한편, 단계(S31)와 후술하는 단계(S32) 사이에, 상술한 도 8과 같은 명시적 광고 구현시의 아이콘 기반의 정보제공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스마트 TV(10)는 다수의 대상물 표식자 중 하나의 대상물 표식자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경우, 센싱부(12)를 통해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된 인식데이터에 따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센싱부(12)가 카메라촬영 방식의 인식모듈로 구현된 경우, 카메라 촬영을 통한 안구 인식의 결과 사용자의 눈길이 자주 가는 곳에 선택신호로 인식되거나, 사용자 촬영에 따른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에 대해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관심카테고리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해당하는 대상물 표식자(도 5의 A1, A2 참조)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1) 이후, 스마트 TV(10)는 출력부(11)로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의 흐름에 따른 광고대상물별 또는 인식대상물별 대상물 표식자를 이용한 트래킹 효과를 구현한다(S32). 여기서 트래킹 효과는 단계(S15)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광고대상물, 그리고 단계(S16c)에서 위치트래킹 마킹이 설정된 인식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따라 대상물 표식자의 위치를 변환시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32) 이후, 스마트 TV(10)는 입력인터페이스(13)로부터 다수의 광고 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대기한다(S33).
단계(S33) 이후, 스마트 TV(10)는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S34), 명시적 광고를 수행을 완료한다.
단계(S34)의 판단 결과 다수의 광고대상물 및 다수의 인식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시, 스마트 TV(10)는 단계(S34)에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모션 제스처를 통한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TV(10)는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리모컨(20)으로부터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를 리모컨 신호 수신부(13b)를 통해 수신하거나 입력부(13a)로의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 수신을 통한 모션 제스처 입력시 선택된 광고대상물 또는 인식대상물에 대한 구매 요청으로 인식하여 구매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 TV
11: 출력부
12: 센싱부
13: 입력 인터페이스
13a: 입력부
13b: 리모컨 신호 수신부
14: 제어연산부
14a: 방송콘텐츠 처리모듈
14b: 암시적 광고 구현모듈
14c: 명시적 광고 구현모듈
14d: 광고대상물 구매모듈
14e: 정보구현 모듈
14e-1: 암시효과 생성수단
14e-2: 암시 정보 구현수단
14e-3: 명시 정보 구현수단
15: 저장부
16: 유무선 통신모듈
STB: 셋탑박스
20: 리모컨
30: 방송통신망
40: 방송콘텐츠 서버
50: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60: 데이터통신망
70: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

Claims (14)

  1. 스마트 TV가 암시적 광고 및 명시적 광고의 순차적 구현을 위해 방송통신망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서브리미날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암시적 광고 개시 준비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암시적 광고 구현에서 적용되는 상기 방송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대해 방송송출 이미지들의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을 구분하는 제 2-1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해 암시 인디케이터만 포함시킨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미리 설정된 삽입 간격이 구분된 각 방송송출 프레임에 대한 출력부로 구현시 상기 엠프티 이미지를 삽입시키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3 단계 사이에,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태그 콘텐츠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 암시 인디케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2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엠프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선 엠프티 이미지 삽입 전후의 방송송출 이미지에 대한 색상, 명도 및 채도와,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 각각의 색상, 명도 및 채도 간의 상보적 매칭을 위한 보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명시적 광고 전환을 위한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와, 상기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암시 인디케이터를 상기 방송콘텐츠에 대한 상기 출력부로의 프레임 단위의 스트리밍 방식으로의 구현에 의해 상기 암시적 광고를 구현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출력부 상의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되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판매상황 정보를 광고대상물 각각의 아이콘과 함께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구현을 개시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암시 인디케이터가 설정된 광고대상물 각각의 태그 데이터에서 카테고리 정보 및 아이콘 정보 추출하는 제 4-1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상기 추출된 광고대상물의 아이콘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구현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판매상황 정보를 목표 판매치에 대한 백분율로 하여, 각 광고대상물과 매칭되는 아이콘 상에 색상정보로 구현하는 제 4-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4-2 단계 및 상기 제 4-3 단계 사이에,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출력을 위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실시간 판매상황 정보를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홈쇼핑 서버로 요청하여 실시간 수신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전환 인디케이터 선택신호 수신시 상기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포함된 각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대상물 표식자 구현에 따른 명시적 광고 수행을 개시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패킷화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분리한 뒤, 분리된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를 리딩(reading) 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각 광고대상물별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해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트래킹(tracking: 추적)을 위한 위치트래킹 마킹을 설정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된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를 활용하여 추적위치 화면효과를 구현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각 방송송출 프레임 단위로 상기 방송콘텐츠 구현시 상기 광고정보 영역에 구현되는 각 아이콘의 추가 및 삭제를 확인하는 제 6-1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가 삭제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현재의 위치트래킹 마킹 위치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영역으로 다시 돌아가는 역추적위치 화면효과를 실시간 구현하는 제 6-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6-2 단계는,
    상기 스마트 TV가 추가되어야 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현재의 UI 화면상에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추적위치 화면효과를 실시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명시적 광고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시,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션 제스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으로 판단하여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KR20120143149A 2012-12-10 2012-12-10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KR10150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3149A KR101506633B1 (ko) 2012-12-10 2012-12-10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3149A KR101506633B1 (ko) 2012-12-10 2012-12-10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44A KR20140075144A (ko) 2014-06-19
KR101506633B1 true KR101506633B1 (ko) 2015-04-13

Family

ID=5112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3149A KR101506633B1 (ko) 2012-12-10 2012-12-10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398A (ko) * 2007-01-02 2009-01-12 주식회사 셀런 스트리밍 환경에서 피드백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시청 패턴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4221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케이티 양방향 광고 정보 파일 저작 서비스 제공방법, 양방향 광고포함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398A (ko) * 2007-01-02 2009-01-12 주식회사 셀런 스트리밍 환경에서 피드백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시청 패턴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4221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케이티 양방향 광고 정보 파일 저작 서비스 제공방법, 양방향 광고포함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44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479B1 (ko)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536283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9019B1 (ko) 감성광고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34215B1 (ko)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9021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KR101519052B1 (ko) 감성광고 기반의 광고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06633B1 (ko)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방법
KR101453871B1 (ko) 감성광고를 위한 정보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487477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9030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0761B1 (ko) 감성광고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453788B1 (ko) 대상물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453793B1 (ko) 스마트 tv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감성광고 방법
KR101453813B1 (ko) 감성광고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0765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 기반의 대상물 타겟에 따른 광고정보 제공방법
KR101510747B1 (ko) 모션 센싱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34204B1 (ko)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453798B1 (ko) 스마트 tv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510737B1 (ko) 모션 센싱 및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506717B1 (ko) 대상물 인식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453802B1 (ko) 스마트 tv 감성광고 기반의 트래킹 설정에 따른 광고비 산출 방법
KR101453884B1 (ko) 사용자 맞춤형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06664B1 (ko) 광고비 산출 기능을 구비한 감성광고 기반의 스마트 tv의 광고 제공 방법
KR101533834B1 (ko) 트래킹 설정에 따른 광고비 산출 기능을 구비한 감성광고 기반의 스마트 tv
KR20140076535A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