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745A -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45A
KR20140074745A KR1020120143040A KR20120143040A KR20140074745A KR 20140074745 A KR20140074745 A KR 20140074745A KR 1020120143040 A KR1020120143040 A KR 1020120143040A KR 20120143040 A KR20120143040 A KR 20120143040A KR 20140074745 A KR20140074745 A KR 2014007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data
data storage
storage devic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745A/ko
Publication of KR2014007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제1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2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및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토큰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토큰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단말의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급하여 각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STORAGE USING TOKEN}
본 발명은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단말의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급하여 각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망이 광범위하게 구축되고 해당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 태블릿, 넷북 등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통신단말은 고유한 기능인 통화기능뿐 아니라, 고성능 프로세서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처리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무선 통신단말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강의나, 세미나 등을 진행할 시, 인쇄물이나 책자를 배포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무선 통신단말에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무선 통신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중 하나는 가입한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 통화료를 부담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강의나 세미나 등을 목적으로 다수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참석자들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통화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도 활성화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파이 방식으로 강의나 세미나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 로그인, 검색 등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67689: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단말의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급하여 각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제1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2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및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토큰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토큰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토큰은 토큰 ID와,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접속주소 및 상기 토큰의 유효시간을 포함하는 유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발급부; 수신된 토큰에 포함된 유효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효성을 판단하여 해당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토큰 인증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토큰 발급부에서 생성된 토큰을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1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토큰 인증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며, 상기 토큰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토큰은 토큰 ID,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접속주소 및 상기 토큰의 유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감지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접근 권한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제1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토큰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 송신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2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토큰 발급부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b)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토큰을 제1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토큰 인증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d) 상기 토큰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토큰 ID와,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접속주소 및 상기 토큰의 유효시간을 포함하는 유효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단말의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급하여 각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관리자 단말(300), 관리자 단말(300)이 설정한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발급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로부터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토큰을 발급받아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설정하여,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이 생성 및 발급되도록 한다. 예컨대,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데이터를 송신할 시간, 수신할 시간, 송신 혹은 수신 허용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3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3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유선 혹은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로부터 NFC,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토큰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토큰을 수신할 때와 마찬가지로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관리자 단말(300)의 데이터 접근 권한 설정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토큰은, 토큰 ID,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와 접속하기 위한 주소, 토큰의 유효시간 혹은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NFC,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토큰을 제공한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토큰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제시한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서만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이 만료되거나 토큰 ID의 접속 횟수가 경과된 경우 해당 토큰 ID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토큰 ID 별로 각기 다른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각 토큰 ID에 따라 데이터 리스트 또한 각기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강의실이나 세미나실 입구 측에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를 설치하여 참석자에게 토큰을 발급하고, 강의나 세미나가 진행되는 중에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근거리 송신함으로써 관련 자료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이 강의실이나 세미나실을 벗어나는 경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영역을 이탈하게 되므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고, 토큰의 유효시간 혹은 다운로드 횟수가 경과된 경우에도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 이에, 관리자는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하는 한편, 해당 시간과 공간을 벗어난 경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대한 데이터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관리자 인터페이스(240), 토큰 발급부(220), 토큰 인증부(230), 제어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토큰을 송신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토큰 송신 시에는 NFC 등의 제1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고, 데이터를 송신할 시에는 제1 근거리 통신방식보다는 상대적으로 대용량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송신할 시에는 WIFI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관리자 인터페이스(240)는 관리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관리자 인터페이스(240)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토큰 발급을 위한 데이터 접근권한을 설정 받아 제어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인터페이스(240)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토큰 발급부(220)는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권한에 따라 토큰을 발급한다. 토큰에는, 토큰 ID,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접속주소, 토큰 유효정보가 명시된다. 토큰 발급부(220)는 토큰 ID 별로 자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토큰 ID에 따라 몇 번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는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토큰의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토큰의 유효기간, 예를 들면 세미나 시간인 1시간이 지난 후에는 자료를 받을 수 없게 할 수 있다.
토큰 인증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토큰의 유효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 접근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260)에는 사용자 단말(100) 측에 제공할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25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240)로 입력된 데이터 접근 권한 설정에 따라 토큰 발급부(220)를 제어하여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을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NFC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제어부(250)는 토큰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데이터의 데이터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데이터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토큰 인증부(230)를 통해 수신된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각 토큰 ID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각 ID 별로 각기 상이한 데이터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시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WIFI 등의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한다. 반면, 제어부(250)는 토큰에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거나 접속 횟수가 초과된 경우 해당 토큰 ID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관리자 단말(3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데이터를 업로드하고(S110), 해당 데이터에 접근권한을 부여하는 토큰을 설정한다(S112). 이에, 이동형 저장장치(200)는 관리자 단말(3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하고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토큰을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토큰을 요청하고(S114),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토큰을 발급한다(S116).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관련 어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토큰을 요청할 수 있으며, 혹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예컨대, NFC,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100)이 진입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토큰이 자동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토큰을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100)에 데이터 리스트를 제공한다(S118). 여기서, 데이터 리스트는 토큰 ID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토큰 발급 이 후에 데이터가 업로드된 경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업데이트된 데이터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된 데이터 리스트 상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데이터를 요청한다(S120). 데이터 요청 시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서 발급받은 토큰의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토큰정보를 인증하고(S122),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S124). 여기서,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WIFI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제어부(25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240)로 입력된 데이터 접근 권한 설정에 따라 토큰 발급부(220)를 제어하여 토큰을 생성한다(S210). 여기서 토큰은, 토큰 ID,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접속주소, 토큰 유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유효정보는 다운로드 횟수로 제한되거나 혹은 다운로드 가능한 시간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각 토큰 ID에 따라 각기 다른 유효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생성된 토큰을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제1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S212), 토큰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S214).
토큰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250)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데이터베이스(260)의 데이터 리스트를 송신한다(S216). 여기서, 제어부(250)는 각 토큰 ID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각 ID 별로 각기 상이한 데이터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토큰 및 데이터 전송요청이 수신된 경우(S218), 제어부(250)는 토큰 인증부(230)를 통해 해당 토큰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220).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시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제2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S222). 이에 따라, 강의실이나 세미나실 입구 측에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를 설치하여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참석자에게 토큰을 발급하고, 강의나 세미나가 진행되는 중에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WIFI 방식으로 근거리 송신함으로써 관련 자료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250)는 토큰에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거나 접속 횟수가 초과된 경우 해당 토큰 ID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S224). 이에 따라, 토큰의 유효시간 혹은 다운로드 횟수가 경과된 경우에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도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관리자는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하는 한편, 해당 시간과 공간을 벗어난 경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대한 데이터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단말의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급하여 각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210 : 근거리 통신부 220 : 토큰 발급부
230 : 토큰 인증부 240 : 관리자 인터페이스
250 : 제어부 260 : 데이터베이스
300 : 관리자 단말

Claims (10)

  1.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제1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2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및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토큰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토큰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토큰 ID와,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접속주소 및 상기 토큰의 유효시간을 포함하는 유효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3.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발급부;
    수신된 토큰에 포함된 유효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효성을 판단하여 해당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토큰 인증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토큰 발급부에서 생성된 토큰을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1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토큰 인증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며, 상기 토큰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토큰 ID와,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접속주소 및 상기 토큰의 유효시간을 포함하는 유효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감지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접근 권한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7. (a)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제1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토큰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 송신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2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
  8. (a) 토큰 발급부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b)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토큰을 제1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토큰과 함께 데이터에 송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토큰 인증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d) 상기 토큰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토큰에 설정된 데이터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토큰 ID, 상기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접속주소 및 상기 토큰의 유효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43040A 2012-12-10 2012-12-10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4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40A KR20140074745A (ko) 2012-12-10 2012-12-10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40A KR20140074745A (ko) 2012-12-10 2012-12-10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45A true KR20140074745A (ko) 2014-06-18

Family

ID=5112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040A KR20140074745A (ko) 2012-12-10 2012-12-10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7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4262A1 (en) Decentralized virtual trustless database for access control
US20190090174A1 (en) Vehicle as public wireless hotspot
CN101753560B (zh) 用于便携式设备的无线网络接入的预配置
JP6135963B2 (ja) 複数の端末が仮想simカード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端末、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EP1679843B1 (en) Security group management system
US92886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service
CN108337677B (zh) 网络鉴权方法及装置
US9615254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s, methods for signaling access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authoriz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CN109756915B (zh) 一种无线网络管理方法及系统
US20130067544A1 (en) System for authentication management of a sensor node having a subscription processing func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CN111742531B (zh) 简档信息共享
KR20110092516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063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allets between mobile devices
US20220294642A1 (en) Use Righ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e Righ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Use Righ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ased on Smart Contract
EP36088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542569B2 (en) Community-based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CN107396295B (zh) 一种用于对用户设备进行无线连接预授权的方法与设备
KR20110127565A (ko) 모바일 오피스에 적용 가능한 정보의 요약을 통한 생성, 관리 및 그를 이용한 인증 제어 방법
KR20140074745A (ko) 토큰을 이용한 이동형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1243A (ko)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KR20110127566A (ko) 정보인식 전달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결제 방법
KR101805906B1 (ko) 보안 관리 서버와 이를 이용한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373234B1 (ko) 접속시설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495073B2 (en) Decentralized virtual trustless database for access control
KR20190116866A (ko)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