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662A -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662A
KR20140074662A KR1020120142878A KR20120142878A KR20140074662A KR 20140074662 A KR20140074662 A KR 20140074662A KR 1020120142878 A KR1020120142878 A KR 1020120142878A KR 20120142878 A KR20120142878 A KR 20120142878A KR 20140074662 A KR20140074662 A KR 20140074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transistor
pixel
pixel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995B1 (ko
Inventor
이지흔
윤재경
홍상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9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센싱 트랜지스터,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 화소의 센싱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을 기저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기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가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압차가 0이 되는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을 센싱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이동도 변동을 보상할 수 있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널리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고도 불리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또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는,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여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이러한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기판(flexible substrate) 위에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체 발광에 의해 색감이 뛰어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이나 무기 전기발광(EL) 디스플레이에 비해 낮은 전압에서 (10V이하)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는 수동형(passive matrix type) 및 능동형(active matrix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저소비전력, 고정세, 대형화가 가능한 능동형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가 다양한 표시장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L)을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영역(P)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와 구동 트랜지스터(Tdr),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Del)가 형성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와 고전위 전압(VDD) 사이에 연결되며, 발광 다이오드(Del)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와 저전위 전압(VSS)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영상표시 동작을 살펴보면, 게이트 배선(GL)을 통해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Tsw)가 턴-온(turn-on) 되고, 이때, 데이터 배선(DL)으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가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에 인가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턴-온 되어 발광 다이오드(Del)를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즉, 발광 다이오드(Del)를 흐르는 전류의 양은 데이터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고, 발광 다이오드(Del)가 방출하는 빛의 세기는 발광 다이오드(Del)를 흐르는 전류의 양에 비례하므로, 화소영역(P)은 데이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계조를 표시하고, 그 결과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하를 일 프레임(frame) 동안 유지하여 발광 다이오드(Del)를 흐르는 전류의 양을 일정하게 하고 발광 다이오드(Del)가 표시하는 계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화 영역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은 다음의 식(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 식(1)
여기서, W는 채널 폭이고, L은 채널 길이이며, Cox는 단위 면적당 게이트 절연막의 용량(capacity)이고, μ는 이동도(mobility)이며, Vth는 임계값, 즉,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소스 전극 사이의 전압차 VGS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전류 IDS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Del)를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화소영역의 트랜지스터가 일 프레임 중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턴-온 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와는 달리,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Del)가 발광하여 계조를 표시하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데이터 신호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어 턴-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데이터 신호의 장시간 인가에 의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열화(deterioration) 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이동도(mobility)와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Vth)이 변하게 되며,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은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상이한 계조를 표시하게 되고, 휘도 불균일이 나타나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화질이 악화된다.
이동도와 문턱전압의 변동에 의한 전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다양한 보상 회로가 사용되고 있는데, 보상 방식에 따라 외부 보상회로와 내부 보상회로로 나뉜다.
이중, 외부 보상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차이를 구동 집적회로(driver integrated circuit: D-IC)와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를 사용해서 측정 및 보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외부 보상회로를 이용한 보상 과정을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다.
도 2a는 문턱전압 및 이동도 보상 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문턱전압 보상 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2c는 문턱전압 및 이동도 보상 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 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대한 전류(Ids) 특성은 기준 데이터(REF)에 비해 오른쪽으로 쉬프트(shift)되어 있다. 이때, 게이트-소스 전압(Vgs)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data)에 해당하고, 전류(Ids)는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해당하며, K(Vgs-Vth)2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K는 전류이득으로 식(1)에서 (1/2)(W/L)Cox·μ에 해당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외부 보상회로를 통해 측정된 문턱전압(Vth)을 반영한다. 따라서, 문턱전압(Vth)이 보상된 게이트-소스 전압(Vgs)은 Vdata + Vth가 되고, 전류(Ids)는 K(Vdata)2이 된다.
다음,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턱전압(Vth)이 보상된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외부 보상 회로를 통해 연산된 이동도를 반영한다. 따라서, 문턱전압(Vth) 및 이동도가 보상된 게이트-소스 전압(Vgs)은
Figure pat00002
가 되고, 전류(Ids)는 KREF(Vdata)2이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대한 전류(Ids) 특성은 기준 데이터(REF)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이론적으로 문턱전압(Vth) 및 이동도 보상이 가능하지만, 실제 외부 보상회로에서 센싱시에는 배선 저항과 기생용량 등으로 인해 구동 트랜지스터만의 K 값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아, 실제로는 이동도 보상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이동도 및 문턱전압을 보상할 수 있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휘도가 균일한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센싱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화소의 센싱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은 기저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는 기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는 가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압차가 0이 되는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은 센싱 데이터 전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고전위 전압 및 저전위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저전위 전압은 상기 고전위 전압보다 큰 값을 가진다.
상기 다수의 화소는 Z-인버전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화소는 m*n (m과 n은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m-1)행의 화소들은 제1 내지 제n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고, m행의 화소들은 제2 내지 제(n+1)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각각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센싱 트랜지스터,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 화소의 센싱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을 기저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기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가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압차가 0이 되는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을 센싱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고전위 전압 및 저전위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본 발명의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기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고전위 전압보다 큰 값의 상기 저전위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센싱 데이터 전압과 상기 기준 데이터 전압의 차를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이동도를 반영한 보정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을 센싱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화소는 Z-인버전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화소는 m*n (m과 n은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m-1)행의 화소들은 제1 내지 제n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고, m행의 화소들은 제1 내지 제(n+1)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며, 본 발명의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m-1)행의 k번째(k는 n보다 작은 자연수)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설정하는 단계와; 제(m-1) 게이트 배선과 제k 데이터 배선 및 제n 데이터 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화소와 상기 (m-1)행의 n번째 화소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m-1) 게이트 배선과 제m 게이트 배선, 상기 제k 데이터 배선 및 제(n+1) 데이터 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화소와 상기 m행의 n번째 화소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설정하고 기준 화소와 동일한 전류 특성을 갖기 위해 필요한 다른 화소들의 데이터 전압, 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인가되는 전압의 보정 값을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 전압에 반영함으로써, 문턱전압과 이동도 보상을 가능하게 하고, 전 영역에 대한 휘도 균일도 특성을 개선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2a는 문턱전압 및 이동도 보상 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문턱전압 보상 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2c는 문턱전압 및 이동도 보상 후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압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비교하는 구동 트랜지스터가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는 구동 트랜지스터가 다른 경우의 기준 데이터 전압과 센싱 데이터 전압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데이터 전압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이 교차하여 화소 영역(P)을 정의하고, 각각의 화소 영역(P)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와 구동 트랜지스터(Tdr),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발광 다이오드(Del), 그리고 센싱 트랜지스터(Tse)가 형성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w)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은 각각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되어 각각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고,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sw)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은 센싱 트랜지스터(Tse)의 드레인 전극 및 발광 다이오드(Del)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 전극은 고전위 전압(VDD)에 연결된다. 발광 다이오드(Del)의 캐소드 전극은 기저 전압(ground) 또는 저전위 전압에 연결된다.
센싱 트랜지스터(Tse)의 게이트 전극은 센싱 배선(SL)에 연결되어 센싱 신호를 공급받고, 센싱 트랜지스터(Tse)의 소스 전극은 기준 배선(reference line, RL)에 연결된다. 여기서, 센싱 트랜지스터(Tse)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그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즉, 센싱 트랜지스터(Tse)의 소스 전극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각각 연결되고, 센싱 트랜지스터(Tse)의 드레인 전극이 기준 배선(RL)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sw)의 드레인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타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 및 발광 다이오드(Del)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어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하고,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어 발광 다이오드(Del)의 전류를 제어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하를 일 프레임(frame) 동안 유지하여 발광 다이오드(Del)를 흐르는 전류의 양을 일정하게 하고 발광 다이오드(Del)가 표시하는 계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압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화소(P1)와 비교 화소(P2)를 정하여 두 화소(P1, P2)를 비교한다. 이때, 기준 화소(P1)와 비교 화소(P2)의 기준 배선(RL1, RL2)은 기저 전압(GND)에 연결되며, 저항 R1과 R2는 기준 배선(RL1, RL2) 자체의 등가 저항이거나 또는 기준 배선(RL1, R2)을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연결된 저항일 수 있다.
먼저, 기준 화소(P1)와 비교 화소(P2)의 저전위 전압(VDD)을 고전위 전압(VSS)보다 높게 설정하여 발광 다이오드(Del)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일례로, 고전위 전압(VDD)은 15V이고, 저전위 전압(VSS)은 20V일 수 있다.
이어, 기준 화소(P1)의 구동 트랜지스터(Tdr1)의 게이트 전극에 기준 데이터 전압(Vdata1)을 인가한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 전압(Vdata1)은 기준 화소(P1)의 구동 트랜지스터(Tdr1)의 문턱전압보다 높은 값을 가져 구동 트랜지스터(Tdr1)는 턴-온 된다. 또한, 기준 화소(P1)의 센싱 트랜지스터(Tse1)의 게이트 전극에 센싱 배선(SL1)을 통해 센싱 신호가 인가되어 센싱 트랜지스터(Tse1)는 턴-온 된다. 따라서, 고전위 전압(VDD)으로부터 구동 트랜지스터(Tdr1)와 센싱 트랜지스터(Tse1) 및 기준 배선(RL1)을 통해 제1전류(i1)가 흐른다.
다음, 비교 화소(P2)의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게이트 전극에 가변 데이터 전압(Vdata2)을 인가한다. 여기서, 가변 데이터 전압(Vdata2)은 비교 화소(P2)의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문턱전압보다 높은 값을 가져 구동 트랜지스터(Tdr2)는 턴-온 되며, 가변 데이터 전압(Vdata2)은 일정 값을 기준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면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비교 화소(P2)의 센싱 트랜지스터(Tse2)의 게이트 전극에 센싱 배선(SL2)을 통해 센싱 신호가 인가되어 센싱 트랜지스터(Tse2)는 턴-온 된다. 따라서, 고전위 전압(VDD)으로부터 구동 트랜지스터(Tdr2)와 센싱 트랜지스터(Tse2) 및 기준 배선(RL2)을 통해 제2전류(i2)가 흐른다.
이때, 가변 데이터 전압(Vdata2)의 변화에 따라 기준 화소(P1)와 비교 화소(P2)의 기준 배선(RL1, RL2)의 전압차(ΔV)를 센싱하여 두 전압의 차이가 0이 되는 가변 데이터 전압(Vdata2)의 값을 찾는다. 여기서, 제1전류(i1)와 제2전류(i2)를 측정하며, 제1전류(i1)와 제2전류(i2)가 같으면 전압차(ΔV)는 0이 된다.
따라서, 기준 화소(P1)와 비교 화소(P2)의 기준 배선(RL1, RL2)의 전압차(ΔV)가 0이 되는 가변 데이터 전압(Vdata2)의 값을 센싱 데이터 전압(Vsen)으로 출력하고, 센싱 데이터 전압(Vsen)을 기준 데이터 전압(Vdata1)과 비교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보정 값을 얻는다. 이러한 보정 값은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문턱전압과 이동도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이를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Vg)에 더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문턱전압과 이동도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비교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dr1, Tdr2)가 동일한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데이터 전압(Vdata1)과 센싱 데이터 전압(Vsen)은 동일한 값, 일례로, 6V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화소(P1)의 구동 트랜지스터(Tdr1)와 비교 화소(P2)의 구동 트랜지스터(Tdr2)는 동일한 크기의 채널 폭과 길이를 가진다.
반면, 비교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dr1, Tdr2)가 다른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데이터 전압(Vdata1)과 센싱 데이터 전압(Vsen)은 다른 값을 가진다. 일례로, 센싱 데이터 전압(Vsen)은 6.34V이로, 센싱 데이터 전압(Vsen)과 기준 데이터 전압(Vdata1)의 차이인 0.34V의 구동 트랜지스터(Tdr2)의 보정 값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화소(P1)의 구동 트랜지스터(Tdr1)와 비교 화소(P2)의 구동 트랜지스터(Tdr2)는 다른 크기의 채널 폭과 동일한 크기의 채널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기준 화소(P1)에 대한 비교 화소(P2)의 보정 값 측정 과정을 표시패널 전 화소들에 대해 수행하여, 각 화소들의 보정 값을 얻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데이터 전압 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의 화소들은 Z-인버전(Z-inversion) 방식으로 배치된다. 즉, 제1행의 화소들(P11 내지 P1n)은 제2 데이터 배선(DL1) 내지 제(n+1) 데이터 배선(DL(n+1)))에 각각 연결되고, 제2행의 화소들(P21 내지 P2n)은 제1 데이터 배선(DL1) 내지 제n 데이터 배선(DLn)에 각각 연결되며, 제m행의 화소들(Pm1 내지 Pmn)은 제(n+1) 데이터 배선(DL(n+1)))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이며, m이 짝수일 경우, 제m행의 화소들(Pm1 내지 Pmn)은 제1 데이터 배선(DL1) 내지 제n 데이터 배선(DLn)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특정 화소, 예를 들어, 제1행의 첫 번째 화소인 P11을 기준 화소로 설정한다.
이어, 제2 데이터 배선(DL2)과 제3 데이터 배선(DL3) 및 제1 게이트 배선(GL1)을 이용하여 P11과 P12의 구동 트랜지스터 특성을 비교한다.
다음, 제3 데이터 배선(DL3)과 제4 데이터 배선(DL4) 및 제1 게이트 배선(GL1)을 이용하여 P12와 P13의 구동 트랜지스터 특성을 비교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P11을 P1(n-1) 및 P1n과 차례로 비교한다. 따라서, 제1행의 화소들(P11 내지 P1n)의 보정 값을 얻는다.
다음,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게이트 배선(GL2)을 이용하여 P11과 P21의 구동 트랜지스터 특성을 비교한다.
이어, 제2 데이터 배선(DL2)과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게이트 배선(GL2)을 이용하여 P11과 P22의 구동 트랜지스터 특성을 비교한다.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P11을 P2(n-1) 및 P2n과 차례로 비교한다. 따라서, 제2행의 화소들(P21 내지 P2n)의 보정 값을 얻는다.
다음, 앞선 단계를 반복하여 P11을 제m행의 화소들(Pm1 내지 Pmn)과 비교한다. 따라서, 제m행의 화소들(Pm1 내지 Pmn)의 보정 값을 얻는다.
이러한 표시패널로부터 얻어진 화소들(P11 내지 Pmn)의 보정 값을 타이밍 제어부에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Vdata)에 반영하고, 보정된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보상회로 구조에서, 특정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설정하고, 기준 화소와 동일한 전류 특성을 갖기 위해 필요한 다른 화소들의 데이터 전압, 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보정 값을 측정한다. 따라서, 문턱전압 및 이동도를 보상하여 표시패널의 전 영역에 대한 휘도 균일도 특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P1: 기준 화소 P2: 비교 화소
SL1, SL2: 센싱 배선 Tdr1, Tdr2: 구동 트랜지스터
Del: 발광 다이오드 Cst: 스토리지 캐패시터
Tse1, Tse2: 센싱 트랜지스터 RL1, RL2: 기준 배선
VDD: 고전위 전압 VSS: 저전위 전압
GND: 기저 전압 R1, R2: 저항
i1: 제1전류 i2: 제2전류
ΔV: 전압차

Claims (10)

  1.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센싱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화소의 센싱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은 기저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는 기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는 가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압차가 0이 되는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은 센싱 데이터 전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소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고전위 전압 및 저전위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저전위 전압은 상기 고전위 전압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는 Z-인버전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는 m*n (m과 n은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m-1)행의 화소들은 제1 내지 제n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고, m행의 화소들은 제2 내지 제(n+1)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5. 각각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센싱 트랜지스터,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 화소의 센싱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을 기저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기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가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압차가 0이 되는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을 센싱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소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고전위 전압 및 저전위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고전위 전압보다 큰 값의 상기 저전위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전압과 상기 기준 데이터 전압의 차를 상기 제2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이동도를 반영한 보정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데이터 전압의 값을 센싱 데이터 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배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는 Z-인버전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는 m*n (m과 n은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m-1)행의 화소들은 제1 내지 제n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고, m행의 화소들은 제1 내지 제(n+1)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m-1)행의 k번째(k는 n보다 작은 자연수)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설정하는 단계와;
    제(m-1) 게이트 배선과 제k 데이터 배선 및 제n 데이터 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화소와 상기 (m-1)행의 n번째 화소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m-1) 게이트 배선과 제m 게이트 배선, 상기 제k 데이터 배선 및 제(n+1) 데이터 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화소와 상기 m행의 n번째 화소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0142878A 2012-12-10 2012-12-10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3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78A KR101933995B1 (ko) 2012-12-10 2012-12-10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78A KR101933995B1 (ko) 2012-12-10 2012-12-10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662A true KR20140074662A (ko) 2014-06-18
KR101933995B1 KR101933995B1 (ko) 2019-04-05

Family

ID=5112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878A KR101933995B1 (ko) 2012-12-10 2012-12-10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9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780A (ko) * 2014-10-01 2016-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063449A (ko) * 2014-11-26 2016-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CN115881039A (zh) * 2021-09-27 2023-03-31 乐金显示有限公司 像素电路和包括该像素电路的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0846A1 (en) * 2006-12-21 2008-06-26 Boyong Chu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00069427A (ko) * 2008-12-16 201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100164847A1 (en) * 2008-12-29 2010-07-01 Lee Baek-Woo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1013409A1 (ja) * 2009-07-28 2011-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0846A1 (en) * 2006-12-21 2008-06-26 Boyong Chu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00069427A (ko) * 2008-12-16 201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100164847A1 (en) * 2008-12-29 2010-07-01 Lee Baek-Woo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00077649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1013409A1 (ja) * 2009-07-28 2011-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780A (ko) * 2014-10-01 2016-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063449A (ko) * 2014-11-26 2016-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CN115881039A (zh) * 2021-09-27 2023-03-31 乐金显示有限公司 像素电路和包括该像素电路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995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373B1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2129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EP20937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37447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282996B1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366655B1 (en) Pixel driver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804170B1 (en) Pixel circuit and drive method therefor
KR101932744B1 (ko) 픽셀 회로, 이를 위한 구동 방법 및 능동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US20160133187A1 (en) Pixel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KR10159696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0570819B (zh)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KR20140077458A (ko) 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00069427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901757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88595B1 (ko)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153349B1 (ko) 전압보상방식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1968116B1 (ko)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29997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288596B1 (ko)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080231566A1 (en) Minimizing dark current in oled display using modified gamma network
US11521547B2 (en) Display device
KR101933995B1 (ko)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46679B1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6657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94130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열화 센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