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563A -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563A
KR20140074563A KR1020120142646A KR20120142646A KR20140074563A KR 20140074563 A KR20140074563 A KR 20140074563A KR 1020120142646 A KR1020120142646 A KR 1020120142646A KR 20120142646 A KR20120142646 A KR 20120142646A KR 20140074563 A KR20140074563 A KR 2014007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er
putting
head part
head
putt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932B1 (ko
Inventor
임용택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9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63B53/0462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characterised by tapering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샤프트부와, 그립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헤드부는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퍼터페이스와, 후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윙을 구비하며, 퍼팅시 잔상을 형성하여 타구 방향을 미리 가늠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가이드를 윙 사이에 구비한다. 헤드부에는 퍼터페이스를 이루는 소재를 일부 교체할 수 있도록 인서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을 직접 가격하는 퍼터페이스가 헤드부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골프공을 퍼터페이스의 중앙으로 안내한 후 직진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미숙자라도 안정된 스트로크가 가능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 뒤쪽으로 이동된 무게중심과 헤드부의 양측으로 분산시킨 무게에 의해 퍼터페이스에 넓은 스윗 스팟을 만들어 정확도가 높은 퍼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팅시 헤드부의 운동 궤적을 나타내는 잔상을 형성하여 타구 방향을 미리 가늠할 수 있으므로 얼라인먼트를 용이하게 하여 정확도가 높은 퍼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팅시 퍼터페이스의 소재를 일부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퍼터로 다양한 그린 환경에 적합한 여러 개의 퍼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의 하부면 앞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 퍼팅시 퍼터의 헤드부가 바닥에 끌리지 않으며 부드럽게 나아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 퍼터{Golf putter}
본 발명은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퍼의 퍼팅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도 방향성이 일정한 퍼팅을 가능하게 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퍼터는 퍼팅 그린에서 홀에 골프공을 넣을 때 사용하는 골프 클럽을 말한다. 퍼터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타입과 말렛 타입으로 나누어지는데, 블레이드 타입이란 헤드부가 얇은 L자형 퍼터로 무게감이 약하지만 골퍼의 숙련도에 따라 다양하고 정교한 스트로크의 구현이 가능하며, 말렛 타입은 헤드부가 두꺼운 D자형 퍼터로 무게감이 있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나 그린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고 정교한 스트로크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종래 퍼터는 골퍼가 원하는 방향으로 골프공을 보내기 위하여 골퍼가 그린의 경사도를 읽고, 라인과 속도를 결정한 후에, 퍼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 및 원하는 속도로 볼을 타격하여야 한다. 그러나 골퍼의 퍼팅 숙련도와 집중도에 따라 퍼팅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2011년 한국등록특허 제1164735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각 조준화가 향상된 퍼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퍼터는 퍼터의 헤드부에 비반사 무광택 마감처리를 하여 골퍼의 시각적 부담을 덜어주고, 골프공의 조준을 도와주는 조준 보조부를 헤드부의 상부면에 그려넣어 퍼팅의 정확도를 높인다.
그러나 이러한 퍼터는 조준 보조부를 그려넣기 위해 넓은 상부면을 필요로 하므로 L자형 퍼터에 적용하면 조준 보조부가 잘 보이지 않아 골퍼의 숙련도에 따라서 정확한 조준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골퍼의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그린 환경에 대응하기가 용이한 새로운 퍼터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팅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골프 퍼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 퍼터는, 골프공을 타구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결합되며 퍼팅시 상기 헤드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부와, 샤프트부를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샤프트부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퍼팅시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부면 앞부분이 라운드 처리되고, 헤드부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타구시 골프공을 직접 가격하는 퍼터페이스와, 헤드부의 무게중심이 헤드부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헤드부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윙을 구비한다.
윙은 끝단이 구부러져 형성된다.
퍼터페이스는 두 평면을 곡면으로 이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골프 퍼터의 헤드부는 퍼팅시 헤드부의 운동 궤적을 나타내는 잔상을 형성하여 타구 방향을 미리 가늠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가이드를 윙 사이에 구비한다. 또한, 헤드부의 전면에는 퍼터페이스를 이루는 소재를 일부 교체할 수 있도록 인서트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헤드부는 철, 알루미늄, 폴리머, 목재, 및 석재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는 퍼터페이스의 표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골프공을 직접 가격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형성된다. 또한, 인서트는 텅스텐 파우더로 표면을 처리하여 거칠기가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샤프트부는 그립부와 결합된 부분에서 헤드부와 결합된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로 가늘어진다.
그립부는 외주가 40 내지 80mm인 커버를 샤프트부에 덧씌워 형성된다. 또한, 그립부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다.
요철은 다이애거널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 퍼터에 의하면, 골프공을 직접 가격하는 퍼터페이스가 헤드부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골프공을 퍼터페이스의 중앙으로 안내한 후 직진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미숙자라도 안정된 스트로크가 가능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 뒤쪽으로 이동된 무게중심과 헤드부의 양측으로 분산시킨 무게에 의해 퍼터페이스에 넓은 스윗 스팟을 만들어 정확도가 높은 퍼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팅시 헤드부의 운동 궤적을 나타내는 잔상을 형성하여 타구 방향을 미리 가늠할 수 있으므로 얼라인먼트를 용이하게 하여 정확도가 높은 퍼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팅시 퍼터페이스의 소재를 일부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퍼터로 다양한 그린 환경에 적합한 여러 개의 퍼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의 하부면 앞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 퍼팅시 퍼터의 헤드부가 바닥에 끌리지 않으며 부드럽게 나아가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헤드부를 도시한 골프퍼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터의 퍼팅시의 작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터(1000)는 헤드부(1100)와 샤프트부(1200)와 그립부(1300)을 포함한다.
헤드부(1100)는 골프공을 타구한다. 샤프트부(1200)는 헤드부(1100)에 결합되어 퍼팅시 헤드부(1100)에 동력을 전달한다. 그립부(1300)는 샤프트부(1200)에 결합되어 샤프트부(1200)를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한다.
헤드부(1100)는 골퍼가 퍼팅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무게감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보통 철의 합금이 널리 사용되며, 본 발명에 의한 골프 퍼터(1000)의 헤드부(1100)는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머, 목재, 및 석재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헤드부(1100)는 내부의 코어를 이루는 소재와 외부를 이루는 소재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코어와 외부의 소재가 서로 다른 소재로서 층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헤드부(1100)의 경우에는 골프공의 타격시 터치감이 우수하고, 타구음이 청명하다. 헤드부(1100)의 하부면 앞부분은 완만하게 라운드 처리가 되어 퍼팅시 퍼터(1000)의 헤드부(1100)가 바닥에 끌리지 않으며 부드럽게 나아가도록 한다.
샤프트부(1200)는 헤드부(1100)의 중앙에 결합되거나 헤드부(1100)의 한쪽에 치우쳐서 결합된다. 샤프트부(1200)가 헤드부(1100)의 중앙에 결합된 퍼터(1000)는 일직선의 궤적을 그리도록 퍼팅할 수 있게 하며, 샤프트부(1200)가 헤드부(1100)의 한쪽에 치우쳐서 결합된 퍼터(1000)는 곡선의 궤적을 그리도록 퍼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샤프트부(1200)는 헤드부(1100)에 결합된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로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의 샤프트부(1200)는 유연성이 향상되므로, 스트로크에 의해 헤드부(1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샤프트부(1200)를 따라 흐르는 것을 완화하고, 퍼팅시 터치감을 향상시킨다. 샤프트부(1200)의 길이는 33 내지 35 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4 인치인 것으로 한다. 샤프트부(1200)의 길이가 33 인치보다 짧을 경우에는 헤드부(1100)의 중량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퍼팅시 골퍼가 느끼는 무게감이 줄어들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우므로 퍼팅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샤프트부(1200)의 길이가 35 인치보다 길 경우에는 퍼터(1000)의 한쪽 끝이 들리기 쉬워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샤프트부(1200)의 길이가 34인치일 경우에는 골퍼가 퍼팅을 위하여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퍼팅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립부(1300)는 퍼팅시 골퍼가 퍼터(1000)를 쥘 수 있도록 샤프트부(1200)에 결합된다. 그립부(1300)는 외주가 40 내지 80 mm인 커버를 샤프트부(1200)에 덧씌워 형성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외주가 60 mm 인 것으로 한다. 그립부(1300)의 외주가 40 mm보다 작을 경우에는 퍼터를 잡고서 자세를 잡을 때에 손을 포함한 근육을 긴장시키기 쉬워 퍼트 미스가 발생하기 쉽다. 그립부(1300)의 외주가 80 mm보다 클 경우에는 퍼터(1000)의 무게가 그립부(1300)에 많이 배분되게 되므로 헤드부(1100)의 중량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퍼팅시 골퍼가 느끼는 무게감이 줄어들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우므로 퍼팅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외주가 60 mm인 커버를 샤프트부(1200)에 덧씌워 형성된 그립부(1200)의 경우에는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함으로서 골퍼의 근육 긴장을 완화시켜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립부(1300)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다. 요철은 이랑과 골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이애거널 패턴(diagonal pattern)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다이애거널 패턴으로 이루어진 요철은 이랑 및 골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잘 미끄러지지만, 이랑 및 골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 퍼터(1000)는 다이애거널 패턴의 이랑 및 골을 퍼팅시 골퍼의 손이 미끄러지는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열하여 퍼팅시 골퍼의 손이 미끄러지거나 손목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그립부(1300)를 포함하는 퍼터(1000)는 퍼팅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헤드부를 도시한 골프 퍼터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터의 퍼팅시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헤드부(1100)의 전면에는 골프공(2000)의 타구시 골프공(2000)을 직접 타격하는 퍼터페이스(1110)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부(1100)의 후면의 양측에는 헤드부(1100)의 무게중심이 헤드부(110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윙(1130)이 한 쌍 구비된다. 윙(1130)은 끝단이 상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퍼터페이스(1110)는 골프공(2000)을 직접 가격하도록 헤드부(1100)의 전면에 형성되는데, 도 2와 같이 두 평면을 곡면으로 이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이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한 중앙을 가지는 퍼터페이스(1110)는 퍼팅시 골프공(2000)을 퍼터페이스(1110)의 오목한 중앙으로 안내한 후 직진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며, 퍼터페이스(1110) 중앙의 오목한 곡면은 접선이 항상 골프공(2000)의 중심과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골프공(2000)이 퍼터페이스(1110)의 어느 지점으로 타격되더라도 골프공(2000)의 중심에 정확하게 힘이 가해진다. 퍼터페이스의 중앙은 타구의 방향성과 정확도 및 거리를 향상시켜주는 스윗 스팟(sweet spot)과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스윗 스팟 내지는 퍼터페이스 중앙에 골프공(2000)이 위치하도록 타격하는 것이 미숙한 골퍼라도 본 발명에 의한 골프퍼터(1000)의 오목한 퍼터페이스(1110)에 의해 골프공(2000)을 중앙으로 모아서 밀어주는 것이 가능하여 스트로크가 안정되며, 퍼팅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윙(1130)은 헤드부(1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헤드부(1100)의 무게중심을 뒤쪽으로 이동시켜준다. 윙(1130)의 무게는 헤드부(1100) 전체의 무게에서 절반에 해당하며, 헤드부(1100)의 무게중심은 헤드부(1100) 전면으로부터 윙(1130) 길이의 1/3 지점에 오게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퍼팅 자세를 유지하는데에 유리하다. 무게중심이 헤드부(1100) 전면으로부터 윙(1130) 길이의 1/3 지점보다 뒤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퍼팅시 헤드부(1100) 전면이 위쪽으로 들리는 느낌이 들게 되어 자세가 부자연스러워지기 쉽고, 무게중심이 헤드부(1100) 전면으로부터 윙(1130) 길이의 1/3 지점보다 앞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퍼팅시 헤드부(1100) 전면이 아래쪽으로 처지는 느낌이 들게 되어 자세가 부자연스러워지기 쉽다. 또한 윙(1130)은 헤드부(1100)의 후면상의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헤드부(1100)의 무게를 양측으로 균형있게 분산시켜주게 된다. 뒤쪽으로 이동된 무게중심과 양측으로 분산시킨 무게에 의해 헤드부(1100)의 퍼터페이스(1110)에는 보다 넓은 면적의 스윗 스팟(sweet spot)이 형성되어 골퍼가 숙련도에 상관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타구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윙(1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상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는 퍼팅시 윙(1130)의 단부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부가 지면에 닿게 되면 스트로크 자세가 부자연스러워지게 되며, 퍼팅의 정확도가 낮아지게 된다.
헤드부(1100)에는 홀(1121)이 형성된 가이드(1120)가 헤드부(1100) 후면에 위치한 한 쌍의 윙(1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1120)에는 중심의 연장선이 퍼터페이스(1110)의 오목한 중앙과 만나도록 형성된 홀(1121)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121)은 퍼팅 및 퍼팅 준비를 위한 헤드부(1100)의 왕복운동시 헤드부(1100)의 운동 궤적을 나타내는 잔상을 형성하여 골퍼가 타구의 방향을 미리 가늠할 수 있게 한다. 골퍼는 홀(1121)의 잔상을 통하여 퍼팅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으며, 안정도와 정확도가 높은 퍼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잔상은 헤드부(1100)의 왕복 운동시 홀(1121)도 왕복 운동을 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홀(1121)의 왕복 운동이 잔상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빠르지 못할 경우에도, 가이드(1120)에 구비된 여러 개의 홀(1121)이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홀(1121)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이 골프공(2000)의 중심을 지나는지 판단하여 퍼팅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연장선은 헤드부(1100)의 왕복 운동시 생기는 홀(1121)의 잔상과 일치한다.
헤드부(1100)의 전면에는 퍼터페이스(1110)를 이루는 소재를 일부 교체할 수 있도록 인서트(114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서트(1140)는 퍼터페이스(1110)의 표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골프공(2000)을 직접 타격하는 부분이 도 3의 (a)와 같이 오목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오목한 형상의 인서트(1140)를 결합한 퍼터페이스(1110)를 포함하는 퍼터(1000)를 사용하여 퍼팅할 경우에는, 퍼터페이스(1110)의 오목한 곡면을 따라 골프공(2000)을 퍼터페이스(1110)의 중앙으로 유도한 후 직진방향으로 밀어준다. 퍼터페이스(1110)의 오목한 중앙은 타구의 방향성과 정확도 및 거리를 향상시켜주는 스윗 스팟(sweet spot)과 일치하므로, 퍼터페이스(1110)의 중앙으로 스트로크 하는 것이 미숙한 골퍼라도 보다 안정된 스트로크가 가능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보다 안정된 스트로크가 가능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서트(1140)는 도 3의 (b)와 같이 볼록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돌출하여 형성될 수 도 있다. 볼록한 형상의 인서트(1140)를 결합한 퍼터페이스(1110)를 포함하는 퍼터(1000)를 사용하여 퍼팅할 경우에는, 퍼터페이스(1110)의 오목한 곡선을 따라 골프공(2000)이 퍼터페이스(1110)로 유도되면서도, 볼록한 인서트(1140)에 의하여 골프공(2000)의 정중앙에 모든 충격량이 가해지게 되어 퍼팅의 속도 및 거리가 향상된다.
또한 인서트(1140)는 텅스텐 파우더로 표면을 처리하여 거칠기가 향상될 수 있으며, 거칠기가 향상된 인서트(1140)를 결합한 퍼터페이스(1110)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1000)는 타구시 골프공(2000)을 보다 오랜시간 잡아두게 되어 불필요한 백스핀을 줄여 정확한 퍼팅을 가능하게 한다.
인서트(1140)는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머, 목재, 및 석재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코어를 이루는 소재와 외부를 이루는 소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코어와 외부의 소재가 서로 다른 소재로서 층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인서트(1140)를 결합한 퍼터페이스(1110)의 경우에는 골프공(2000)의 타격시 터치감이 우수하고, 타구음이 청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 퍼터(1000)에 의하면, 인서트(1140)를 갈아끼우는 것으로 퍼터페이스(1110)의 스윗스팟(sweet spot)을 이루는 소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퍼터(1000)를 다양한 그린 환경에 적합한 여러 개의 퍼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퍼터 1100 : 헤드부
1110 : 퍼터페이스 1120 : 가이드
1121 : 홀 1130 : 윙
1140 : 인서트 1200 : 샤프트부
1300 : 그립부 2000 : 골프공

Claims (12)

  1. 골프공을 타구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퍼팅시 상기 헤드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를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퍼팅시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부면 앞부분이 라운드 처리되고,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타구시 상기 골프공을 직접 가격하는 퍼터페이스와, 상기 헤드부의 무게중심이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은 끝단이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터페이스는 두 평면을 곡면으로 이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퍼팅시 상기 헤드부의 운동 궤적을 나타내는 잔상을 형성하여 타구 방향을 미리 가늠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가이드를 상기 윙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는 상기 퍼터페이스를 이루는 소재를 일부 교체할 수 있도록 인서트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퍼터페이스의 표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골프공을 직접 가격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텅스텐 파우더로 표면을 처리하여 거칠기가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철, 알루미늄, 폴리머, 목재, 및 석재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그립부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헤드부와 결합된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로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외주가 40 내지 80 mm인 커버를 상기 샤프트부에 덧씌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요철은 다이애거널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KR1020120142646A 2012-12-10 2012-12-10 골프 퍼터 KR101426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646A KR101426932B1 (ko) 2012-12-10 2012-12-10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646A KR101426932B1 (ko) 2012-12-10 2012-12-10 골프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63A true KR20140074563A (ko) 2014-06-18
KR101426932B1 KR101426932B1 (ko) 2014-08-05

Family

ID=5112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646A KR101426932B1 (ko) 2012-12-10 2012-12-10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649A (ko) * 2015-01-16 2016-07-26 손광영 반원주형 모양의 곡선 볼록 조립식 타격면 퍼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66A (ko)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히로마쓰모토 퍼팅시 골프공이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에 자연스럽게 맞도록 설계된 골프 클럽
KR20220050413A (ko) 2020-10-16 2022-04-25 (주)히로마쓰모토 퍼팅시 골프공이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에 자연스럽게 맞도록 설계된 골프 클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745B1 (ko) * 1999-05-03 2000-12-15 김성철 골프용 퍼터
KR20050015493A (ko) * 2003-08-06 2005-02-21 이재영 교정 및 연습을 겸한 기능성골프클럽
KR200346287Y1 (ko) * 2003-12-04 2004-03-31 석병환 다용도 골프퍼터
KR101305796B1 (ko) * 2007-06-01 2013-09-06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상부 구성 요소와 저부 구성 요소가 상이한 밀도를 갖는재료로 이루어진 골프 퍼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649A (ko) * 2015-01-16 2016-07-26 손광영 반원주형 모양의 곡선 볼록 조립식 타격면 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932B1 (ko)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554A (en) Golf putter
US3062549A (en) Golf putter
US3319962A (en) Golf putter
KR20100065481A (ko) 숏퍼팅과 미들 및 롱퍼팅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퍼터
US9630080B1 (en) Putter alignment apparatus
US8827825B2 (en) Removably attachable golf training aids and methods of use
US6440006B1 (en) Negative loft fulcrum-balanced putter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US20200074881A1 (en) Centerline face-forward method of putting
JP6388879B2 (ja) ゴルフクラブ
US20070238544A1 (en) Golf Putter with Alignment Head
US8956241B2 (en) Golf club for bump and run golf shot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US20090170621A1 (en) Golf grip training aid
KR101707153B1 (ko)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US9044654B2 (en) Golf putter
US20070135227A1 (en) Golf putter
KR20140067605A (ko) 골프용 퍼터
US6793589B1 (en) Flexible golf putter
US11103758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8506417B2 (en) Golf club enabling precise swinging movement
KR20200137177A (ko) 골프 어프로치 샷 연습장치
KR20220080665A (ko) 기준점을 활용한 일반 퍼터와 사이드 퍼터의 겸용 퍼터
KR200429916Y1 (ko) 곡선샤프트로 이루어진 정면 타격용 퍼터
KR101536515B1 (ko)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