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853A -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 Google Patents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853A
KR20140073853A KR1020120141804A KR20120141804A KR20140073853A KR 20140073853 A KR20140073853 A KR 20140073853A KR 1020120141804 A KR1020120141804 A KR 1020120141804A KR 20120141804 A KR20120141804 A KR 20120141804A KR 20140073853 A KR20140073853 A KR 20140073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conductive pad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7057B1 (en
Inventor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주)팔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팔콘시스템 filed Critical (주)팔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4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057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8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used as a lighting device or a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or-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which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power required for a light source or a pad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on different sides of a light emit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ductors can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without interfering each other, a release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due to an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rmal damage of the conducto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0001]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0002]

본 발명은 조명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다이오드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다이오드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열화에 의한 발광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ors which can be connected to light emitting diodes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Mounted typ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nection state from being released in advance and also allowing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body to be easily released to prevent damage of the light emitting body due to deterioration.

LED, 즉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텅스텐 전구나 네온램프 등 다른 발광 소자와 비해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그 수명이 긴 장점이 있어 조명장치에서부터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LEDs, that is, light emitting diodes (LEDs) have advantages over other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a tungsten lamp and a neon lamp, and have a long life span, and are widely used from lighting apparatuses to display apparatuses such as electric sign boards.

여기서, LED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PCB 기판 상에 복수개의 LED칩들을 배치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나, PCB 기판을 이용한 종래 방식의 경우 기판이 불투명하여 단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만이 가능하여 유리창에 장착되는 투명한 LED 광고판이나 여러 개의 장치를 적층시켜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3차원 입체 형상 디스플레이 등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ere, when the LED is used in a display device, generally, a plurality of LED chips are arranged on a PCB substrate, but in a conventional method using a PCB substrate, the substrate is opaque, A transparent LED billboard mounted on a glass window or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are stacked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shape can not be us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A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No. 1063928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shown in Fig.

도1은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Patent No. 1063928. FIG.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130)과, 발광모듈(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수평전선(110)이 삽입되는 제1 연결홈(141)이 형성되어 수평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드(140)와, 발광모듈(1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수직전선(120)이 삽입되는 제2 연결홈(151)이 형성된 제2 패드(150) 및 제1 패드(140)와 제2 패드(15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투명 절연체(1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patent document 1063928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130 disposed in a region where a horizontal electric wire 110 and a vertical electric wire 120 intersect and emitting light, A first pad 140 formed on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30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groove 141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wire 110 is inser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wire 110, A second pad 150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130 and formed with a second connection groove 151 through which the vertical wire 120 is inserted, and a first pad 140 and a second pad 150, And a transparent insulator 160 for electrically separating.

이와 같은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다수개의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교차점에 장착함으로써 전선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063928, a plurality of horizontal electric wires 110 and vertical electric wires 120 are mounted at intersections where the electric wire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can maintain transparency as a structure.

그러나,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단순히 전선이 발광모듈(130)의 상면과 저면에 안착된 상태로 접속되면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의 접속위치가 변위되고, 이에 따라 전선과 발광모듈(130)간 접속상태가 해제될 뿐 아니라 발광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지 못하여 열화에 의해 발광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1063928, when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lectric wires are simply mount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30, the horizontal electric wire 110 and the vertical electric wire 120 And thu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ic wire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30 is released as well a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body is not emitted and the light emitting body is damaged by the deterioration.

또한,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외력이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에 전달되면서 두 전선 모두에 전단응력과, 비틀림응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전단응력과, 비틀림응력에 의해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이 변형 또는 손상되어 그 저항값이 변경되면서 발광모듈(1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출량 및 방출각도가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No. 1063928,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transmitted to the horizontal wire 110 and the vertical wire 120, so that both shear stress and torsional stress are generated in both wires, The horizontal axis 110 and the vertical axis 120 are deformed or damaged by the generated shear stress and the torsional stress and the resistance value thereof is changed so that the emission amount and the emission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30 are chang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모듈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열화에 의해 발광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emitting module which can connect a plurality of conductors to a light emitting modul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Emitting typ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a light emitting element from being damaged due to deterioration by preventing heat generated from a light emitting body from being easily rel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도전체를 발광모듈에 접속시킬 수 있으면서도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which can connect a plurality of conductors to a light emitting module and can further secure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접속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패드 및 상기 발광모듈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도전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그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도전패드 및 상기 제2 도전패드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module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 second conductor, and a light emitting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 first conductive pad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ive pad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ductive pad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is provided.

그리고, 상호 접촉되는 도전체 또는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다른 하나에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n elastic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members or the conductive pad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resiliently contacting the other.

또한, 상호 접촉되는 도전체 및 도전패드 사이에 개재되고, 도전체와 도전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a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conductive pads and the conductive pad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resiliently contacted with the conductive pad and the conductive pad,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제1 도전체는 일측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mounting ho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to electrically contact the second conductive pad .

그리고,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ulat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the insulating plat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ducto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면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과 대향되고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2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1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placement ho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first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lacement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is opposed 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communicated with the placement hole Wherein the first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hol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hol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d.

아울러, 상면 일측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도전패드 및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면 일측이 상기 제3 도전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 도전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nclude a mounting plat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 mounting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 fixing member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ing block and the mounting plate, And a third conductive pad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hav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electrically in contact with the third conductive pa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모듈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발광체의 열화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ductors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from being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deterioration damage of the light emitting bod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그리고, 복수개의 도전체를 발광모듈에 접속시킬 수 있으면서도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conductors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but also to have a stronger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도1은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전패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moun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No. 1063928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ive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ductiv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with a conductiv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with a conductiv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ductor-mounting type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example.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와, 발광체를 포함하는 발광모듈(30)과, 제1 도전패드(40) 및 제2 도전패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ductor 10, a second conductor 20, a light emitting element A module 30, a first conductive pad 40, and a second conductive pad 50.

제1 도전체(1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를 갖는 선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도전패드(40) 안착홈(42) 내측에 각각 끼움결합 또는 납땜으로 연결되어 발광모듈(30)과 도통된다.The pair of first conductive pads 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42 of the first conductive pads 40, Respectively,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제2 도전체(2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하부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한 쌍의 제2 도전패드(50)에 각각 면접촉되어 발광모듈(30)과 도통된다.The second conductor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a pair of the second conductor 20 is disposed under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The second conductor 20 is in surface contact with a pair of second conductive pads 50, .

이와 같은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이 조명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발광모듈(30)의 발광체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신호, 선택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may be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when the conductor-embedded type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illumination device In the case of being used in a display device using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it serves to supply a data signal and a selection signal required in a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power supply. .

발광모듈(30)은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발광모듈(30)은 일반적인 다이오드 패키지와 같이 다이오드 발광체(phosphor)의 일단과 연결되고 반사판(reflector)을 지닌 패드와, 다이오드 발광체의 타단과 본딩와이어(bonding wire)로 접속되는 패드, 즉 두 개의 패드로 전원을 공급받는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module 30 emits light when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may be a diode package such as a general diode package, a pa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hosphor and having a reflector and a pa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ode with a bonding wire, that is, a diode that is powered by two pads, is preferably used.

제1 도전패드(40)는 발광모듈(30)의 상면에 설치되는 패드몸체(41)와, 패드몸체(4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착홈(42)이 형성된 내측면에 제1 도전체(10)가 접속된다.The first conductive pad 40 includes a pad body 4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and a seating groove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ody 41. The seating groove 42 The first conductor 1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formed with the first conductor 10.

이러한 제1 도전패드(40)는 제1 도전체(10)가 안착홈(42)이 형성된 내측에 안착되면 제1 도전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도전체(10)가 발광모듈(30)의 발광체와 도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onductive pad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body 10 when the first conductive body 10 is seated inside the seating groove 42 to form the first conductive body 10, (Not shown).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패드(40)가 발광모듈(30)의 상면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도전패드(40)의 수량과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소자 모듈(1)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 수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으며, 그 수량이 증대되는 경우 발광모듈(3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one pair of the first conductive pads 4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first conductive pads 40 are limited to The number of LEDs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1 and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when the number of LEDs is increased.

제2 도전패드(5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저면에 설치되어 면접촉으로 제2 도전체(20)와 도통되어 제2 도전체(20)가 발광모듈(30)의 발광체와 도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nductive pads 5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a pair of the conductive pads 5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so that the second conductive pads 5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ds 20, (Not shown).

이러한, 제2 도전패드(5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도전체(10)와 같이 발광소자 모듈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 수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Although the pair of second conductive pads 5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ntity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l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복수개의 제1 도전체(10) 및 복수개의 제2 도전체(20)가 발광모듈(30) 일측에 지지된 상태에서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에 전달되는 전단응력 및 비틀림응력이 복수개의 제1 도전체(10) 및 복수개의 제2 도전체(20)가 상호 보상함으로써 기계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도전패드(50)와 제2 도전체(20)가 평면접촉됨에 따라 제2 도전패드(50)와 제2 도전체(20)의 도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conductive-typ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20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Shear stress and torsional stres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20 The second conductive pads 5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s 20 are in plan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s 5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s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발광모듈(30)의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복수개의 제1 도전패드(40) 및 복수개의 제2 도전패드(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방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 도전패드(50)의 경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방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방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conductive-type light-emitting element mod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emitting body of the light-emitting module 30 is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ive pads 4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pads 50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s 5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o increase the heat radiation area, thereby improving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그리고, 다수의 제1 도전체(10)와 다수의 제2 도전체(20)를 격자형성으로 배치하고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가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에서 상기한 두 도전체와 발광모듈(30)을 연결하여 구성한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발광모듈(30)을 화소 또는 광원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20 are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and the intersections of the first conductors 10 and the second conductors 20 cross each other, The conductor-mounted typ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1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two conductors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or a lighting device us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as a pixel or a light source.

한편, 본 발명에서 도전체는 일반적인 원통형의 전선, 평면접속을 하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전선,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높은 지지력을 갖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휘어질 수 있는 금속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기판에 동판을 식각(etching)하여 제작한 도전체 또는 합성수지에 금속막을 코팅한 도전체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or may be a general cylindrical wire, a wire having a flat connection and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metal plate formed to have a large thickness and formed with a high supporting force or a thin thickness, The co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conductor manufactured by etching a copper plate on an insulating substrate or a conductor coated with a metal film on a synthetic resin may be used.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전패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with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econd conductive pad according to the example.

도5 및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간 접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5 and 6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but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ductive body and the conductive pad can be more firmly maintain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대략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구성외에 절연플레이트(60)와, 상부지지플레이트(70) 및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한다.5 and 6,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 insulating plate 60, an upper support plate 70, and a fixing member 80. [

제1 도전체(10')는 대략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발광모듈(30)이 삽입배치되는 복수개의 설치공(11'a)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1')와, 플레이트부(11')의 저면 중 설치공(11'a)이 형성된 영역의 내주로부터 설치공(11'a)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부(12') 및 탄성부(12')의 하단으로부터 삽입공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촉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체(10')는 접촉부(13')가 탄성부(12')에 의해 제1 도전패드(40)에 탄성접촉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부지지플레이트(70) 및 제2 도전체(20')에 의해 탄성접촉된 상태가 지지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위치가 변위되지 않고 제1 도전패드(40)와의 접촉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The first conductor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ncludes a plate portion 11' form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1'a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elastic part 12' and the elastic part 12 'form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1'a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rea where the installation hole 11'a is formed, The first condu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d 12 'by the elastic portion 12' Contact state by the upper support plate 7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of being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s 40,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40 can be easily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13')가 제1 도전패드(40)에 안정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제1 도전패드(40)의 형상 또한 접촉부(13')와 대응되게 중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irst conductive pad 40 is also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40 in a stable manner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3 ' It is preferable that a hollow shape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disk.

제2 도전체(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발광모듈(30)이 안착되어 발광모듈(30)의 저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광모듈(30)의 저면에 설치된 제2 도전패드(5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발광모듈(30)의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nductor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d 5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절연플레이트(60)는 제1 도전체(10') 또는 제2 도전체(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사각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플레이트부(11')의 설치공(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통과공(61)이 형성되며,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를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ulating plate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ductor 10 'or the second conductor 20', and has an installation hole 11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and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2 conductors 20 'to each other.

상부지지플레이트(7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도전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 도전체(10')의 설치공(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공(7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노출공(71)을 통해 발광모듈(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부재(80)에 의해 제1 도전체(1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제1 도전체(10')가 제1 도전패드(40)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support plate 7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first conductor 10 'and ex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hole 11'a of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via the exposure hole 71 and the first conductor 10 ' So that the first conductor 10 'can be firmly contacted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40.

고정부재(80)는 일반적인 볼트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부지지플레이트(70), 제1 도전체(10'), 절연플레이트(60) 및 제2 도전체(20')에 나사결합되어 발광모듈(3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지지플레이트(70) 및 제2 도전체(2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부지지플레이트(70)에 의해 제1 도전체(10')가 제1 도전패드(40)에 탄성접촉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도전체(20')가 제2 도전패드(50)에 견고하게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member 80 may be a conventional bolt member and may have one side screwed into the upper support plate 70, the first conductor 10 ', the insulation plate 6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By fixing the positions of the upper support plate 7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contact the conductive pad 40 and to firmly contact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 to the second conductive pad 5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제1 도전체(10')의 상부에 상부지지플레이트(70)를 배치하고, 상부지지플레이트(70)를 가압하여 제1 도전체(10')의 탄성부(12')가 제1 도전패드(40)에 탄성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지지플레이트(70)와 제2 도전체(20')를 고정부재(80)로 고정함으로써 제1 도전체(10')의 탄성부(12')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의 접촉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the upper support plate 7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ductor 10 ' The upper support plate 7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are fixed to each other while the elastic part 12' of the first conductor 10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40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ive pad can be firmly maintain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elastic portion 12 'of the first conductor 10'.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basic embodiment, and the remain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체(10')가 플레이트부(11') 및 탄성부(12')로 이루어지면서 도전체가 도전패드에 탄성접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도전체(20')를 발광모듈(3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몸체(21')와, 결합몸체(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접촉부(22')를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탄성접촉부(22')가 제2 도전패드(50)에 탄성접촉되도록 함으로 도전체와 도전패드가 탄성접촉되도록 구성하거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과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도전체와 도전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체와 도전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별도의 탄성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or 10 'is composed of the plate portion 11' and the elastic portion 12 ', and the conductor is elastically contacted to the conductive pad. However,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conductor 20 'may include an engaging body 2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and a second engaging body 2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engaging body 21' The elastic contact part 22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d 50 so that the conductive part and the conductive pad are elastically contacted with each other or the elastic contact part 22' And a separate elastic body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 spring and interpos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ive pa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ive body and the conductive pad.

아울러, 렌즈가 케이스 내부에 함몰된 형상의 발광모듈(30)과, 에폭시와 같이 투명한 상부지지플레이트(70)를 사용하면, 상부지지플레이트(70)에 형성된 노출공(71)을 생략할 수 있고, 도2에 도시된 전선형태의 도전체를 사용함으로써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having the lens embedded in the case and the transparent upper support plate 70 such as epoxy are used, the exposure hole 71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late 70 can be omitted ,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an also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conductor of the wire form shown in Fig.

또한, 조명장치의 예로 사용된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절연체 및 도전체는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자유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urther, the rectangular plate-shaped support plate and the insulator and the conductor used as examples of the lighting apparatus can have a free shape such a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a conductor mounting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및 도9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간 접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의 접속면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Figs. 8 and 9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Howeve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ive pad is maintained more firmly, .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는 각각 단면이 대략 "∩"형상의 제1 접촉부(11'') 및 제2 접촉부(21'')와, 제1 접촉부(11'') 및 제2 접촉부(21'')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날개부(12'') 및 제2 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전 실시예의 구성외에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대략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구성외에 지지블럭(70')와, 안착플레이트(90)와, 발광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도전패드(110')와, 제3 도전체(100') 및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ductor 10 " and the second conductor 20 " The first wing portion (11 '') and the second wing portion (21 '') extend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1 '')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 The first conductor 10 '' and the second conductor 20 '',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nclude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12 '' and a second wing 22 ' A third conductive pad 11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 third conductive body 100', and a second conductive pad 110 '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80 '.

지지블럭(70')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복수개의 배치공(71')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공(71')과 연통되는 제1 삽입공(72') 및 제1 삽입공(72')과 대향되고 배치공(71')과 연통되는 제2 삽입공(75')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block 7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plurality of placement holes 71' are form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first insert And a second insertion hole 75 ', which is opposed to the first insertion hole 72' and communicates with the placement hole 71 ', is formed.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75' 2 conductors 20 ". < / RTI >

그리고, 지지블럭(70')은 제1 및 제2 삽입공(72',75')이 형성된 내면 일측과, 배치공(71')이 형성된 상부 내면 일측에 각각 제1 걸림턱(73') 및 제2 걸림턱(7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제1 걸림턱(73')은 제1 도전체(10'') 또는 제2 도전체(20'')가 각각 제1 삽입공(72') 또는 제2 삽입공(75')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도전체(10'') 또는 제2 도전체(20'')의 날개부(12'',22'')의 일측에 지지되어 삽입공(72',75'))에 삽입된 도전체(10'',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2 걸림턱(74')은 배치공(71')에 발광모듈(30)이 삽입배치되는 경우 발광모듈(30)의 상면 일측을 지지하여 발광모듈이 배치공(7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block 70 'has a first engagement protrusion 73'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72 'and 75' and one side of the upper inner surface on which the placement hole 71 'is formed. And the second latching jaw 74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latching jaw 73'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conductor 10 "or the second conductor 20" (22 '') of the first conductor (10 '') or the second conductor (20 '') when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75 ' And the second latching jaw 74 'serves to prevent the conductor 10' ',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72' and 75 '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71 ',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to prev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ounting hole 71'.

안착플레이트(90)는 대략 직육면체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제3 도전체(10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홈(91)이 형성되어 제3 도전체(1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제3 도전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ating plate 9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liding groove 9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slide the third conductor 100 ' And supports the third conductor 100 '.

아울러, 안착플레이트(90)는 슬라이딩홈(91)이 형성된 상부 내면 일측으로부터 이탈방지턱(9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홈(91)에 삽입된 제3 도전체(100')가 이탈방지턱(92)에 지지되면서 제3 도전체(1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ting plate 90 is formed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tab 92 from one side of the upper inner surface where the sliding groove 91 is formed and the third conductor 100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91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tab 92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third conductor 100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supported.

제3 도전체(100')는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와 같이 "∩"형상의 제3 접촉부(101'')와, 제3 접촉부(101'')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3 날개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rd conductor 100 'includes a third contact portion 101' 'in the shape of a "∩" like a first conductor 10 "and a second conductor 20" And a third wing portion 102 ''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wing portion 102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은 지지블럭(70')의 제1 삽입공(72') 및 제2 삽입공(75')에 각각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블럭(70')의 설치공에 발광모듈(30)을 삽입하여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각각 제1 도전패드(40) 및 제2 도전패드(50)에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하되, 발광모듈(30)의 하부에 안착플레이트(90)를 배치하여 안착플레이트(90)의 슬라이딩홈(91)에 삽입결합된 제3 도전체(100')가 발광모듈(30)의 저면에 결합된 제3 도전패드(110')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부재(80')를 지지블럭(70')과, 안착플레이트(90)의 일측에 결합하여 지지블럭(71') 및 안착플레이트(9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간 접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or (10 ')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72')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75 ') of the support block (70'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supporting block 7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ductor 10' 'and the second conductor 20' 'are inserted, The mounting plate 90 is disposed below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so as to firm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ds 40 and 50, The third conductor 100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91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conductive pad 11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The supporting block 70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ing block 71' and the seating plate 90 are fixed by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late 90 so tha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ive pad is securely maintained Can be maintained .

아울러, 제1 도전체(10'')와, 그와 대향되는 제2 도전체(20'')는 필요에 다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광모듈(3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대응되는 발광모듈(30)의 네 개의 측면에 모두 도전패드가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느 한 면에만 도전패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or 10 " and the second conductor 20 " opposite thereto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needed,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not only the conductive pads may be provided on all four sides of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module 30, but also conductive pads may be provided on only one 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광모듈(30)의 측면 모두에 도전패드가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모듈(30)의 하부에도 추가적으로 도전패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전체의 접속면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nductive pads can be formed on all side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but also the conductive pads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30, There are features.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basic embodiment, and the remain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도전체가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 10 : 제1 도전체
20: 제2 도전체 30 : 발광모듈
40 : 제1 도전패드 41 : 패드몸체
42 : 안착홈 50 : 제2 도전패드
10' : 제1 도전체 11' : 플레이트부
11'a : 설치공 12' : 탄성부
13' : 접촉부 20' : 제2 도전체
21' : 결합몸체 22' : 탄성접촉부
60 : 절연플레이트 61 : 통과공
70 : 상부지지플레이트 71 : 노출공
80 : 고정부재 10'' : 제1 도전체
11'' : 제1 접촉부 12'' : 제1 날개부
20 '' : 제2 도전체 21'' : 제2 접촉부
22'' : 제2 접촉부 70' : 지지블럭
71' : 배치공 72' : 삽입공
73' : 제1 걸림턱 74' : 제2 걸림턱
90 : 안착플레이트 91 : 슬라이딩홈
92 : 이탈방지턱 100' : 제3 도전체
110' : 제3 도전패드
1: a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 mounted with a conductor; 10:
20: second conductor 30: light emitting module
40: first conductive pad 41: pad body
42: seating groove 50: second conductive pad
10 ': first conductor 11': plate portion
11'a: Installation hole 12 ': Elastic part
13 ': contact portion 20': second conductor
21 ': coupling body 22': elastic contact
60: Insulation plate 61: Through hole
70: Upper support plate 71: Exposed hole
80: Fixing member 10 ": First conductor
11 '': first contact portion 12 '': first wing portion
20 '': second conductor 21 '': second contact
22 '': second contact portion 70 ': supporting block
71 ': Batch hole 72': Insert hole
73 ': first stopping jaw 74': second stopping jaw
90: seat plate 91: sliding groove
92: Leakage prevention jaw 100 ': Third conductor
110 ': Third conductive pad

Claims (7)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접속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패드; 및
상기 발광모듈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도전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그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도전패드 및 상기 제2 도전패드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A first conductor;
A second conductor;
A light emitting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emitting light;
A first conductive pad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And a second conductive pad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bod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first conductive pad and the second conductive pad.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는 도전체 또는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다른 하나에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mutually contacting conductor or the conductive pad and electrically resiliently contacting the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는 도전체 및 도전패드 사이에 개재되고, 도전체와 도전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conductive pads and the conductive pad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resiliently contacted to the conductive pads and the conductive pad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는 일측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mounting ho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ductor,
Wherein the second conductor is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An insulat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plat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ducto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과 대향되고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2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1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rst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lacement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placement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upport block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Wherein the first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hol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Wherein the second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nductor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hol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d.
제6항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도전패드; 및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면 일측이 상기 제3 도전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 도전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mounting plat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A fixing member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seating plate;
A third conductive pa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nd a third conductive pad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ductive pa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KR1020120141804A 2012-12-07 2012-12-07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KR101497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804A KR101497057B1 (en) 2012-12-07 2012-12-07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804A KR101497057B1 (en) 2012-12-07 2012-12-07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53A true KR20140073853A (en) 2014-06-17
KR101497057B1 KR101497057B1 (en) 2015-03-03

Family

ID=5112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804A KR101497057B1 (en) 2012-12-07 2012-12-07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0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600A (en) * 2014-07-22 2015-04-10 롱맨 겟모어 폴리우레탄 컴퍼니 리미티드 Illuminating building block with high light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375A (en) * 1995-03-30 1996-10-18 Sharp Corp Porous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its manufacture
US8071997B2 (en) * 2005-10-07 2011-12-06 Osram Sylvania Inc. LED with light transmissive heat sink
KR100763894B1 (en) * 2006-03-21 2007-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LED chips
KR101063928B1 (en) * 2010-11-11 2011-09-08 (주)팔콘시스템 Light emitting device mountable to electric wire and display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600A (en) * 2014-07-22 2015-04-10 롱맨 겟모어 폴리우레탄 컴퍼니 리미티드 Illuminating building block with high light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057B1 (en)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370B2 (en) Lighting device
US9599289B2 (en) Light sourc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49930B2 (en) LED module and lighting assembly
JP2011124577A (en) Led lighting assembly
US20160025319A1 (en) Holder, holder assembly and led assembly using holder assembly
WO2013125112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equipment using same
KR20170101137A (en)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and lamp
JP5849238B2 (en) Lamp and lighting device
US9046252B2 (en) LED lamp
KR101001595B1 (en) A lighting module using SMD LED
KR100729825B1 (en) Light emitting unit
US7445355B2 (en) Matrix display using cassette light units
US20130062631A1 (en) Light emitting structure,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device
JP2006100052A (en) Light emitting device
US9307589B2 (en) Illuminant device and lighting module thereof
KR101497057B1 (en) 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KR101133649B1 (en) Electric/electronic apparatus and led apparatus which has high heat-release efficiency
JP2012023078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20110097212A (en) Led lamp comprising led module and module case
JP2016058244A (en) Luminaire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JP2012227057A (en) Lamp unit and lamp socket
KR101811217B1 (en) Lighting device
KR101879215B1 (en) Light Source Segregation Type Lighting Device
JP2006012884A (en) Light emitting device
JP6945191B2 (en) Mounting structure of light source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