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847A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847A
KR20140073847A KR1020120141791A KR20120141791A KR20140073847A KR 20140073847 A KR20140073847 A KR 20140073847A KR 1020120141791 A KR1020120141791 A KR 1020120141791A KR 20120141791 A KR20120141791 A KR 20120141791A KR 20140073847 A KR20140073847 A KR 2014007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reign language
financial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연
Original Assignee
김석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연 filed Critical 김석연
Priority to KR102012014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847A/ko
Publication of KR2014007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10 내지 15개의 외국어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는 외국어 선택부와, 특정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외국어가 선택되어 해당 외국어를 수록한 외국어 라이브러리에서 해당 외국어의 텍스트와 음성을 추출하여 외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어 지원부를 구비한 외국어 지원 모듈;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자 서류를 제공하는 전자 서류 제공부와, 상기 전자 서류에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된 문자의 오류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에서 인증된 전자 서류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 전자 서류 작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전부를 대상으로 언어를 지원할 수 있어 글로벌 전략을 수립함과 동시에 고객 유치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고, 종이 문서를 전자 문서로 활용함과 동시에 여러 코너 내지 폴더에 산재된 고객 자산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USING MOBILE APPLI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대표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문적이면서 편리한 복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은행 또는 금융 거래 시스템은 다양한 금용 거래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특히 금융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은 은행을 통하여 입금, 송금과 같은 기본적인 자금 처리 업무 이외에 다양한 금융 관련 처리 업무를 은행 측의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보다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과거에 비하여 은행에서는 금융 거래 시스템을 통해 다양하고 편리한 고객 대응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은행 측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금융 처리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은행 창구에서 직접 상담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더불어, 은행 업무 처리 역시 직원 간에 수작업으로 기록한 서류를 주고받거나 종이 문서를 위주로 한 업무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전자 문서에 비해 효율적이지 못한 현실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의 기술 발달에 힘입어 모바일 통신을 이용한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약칭으로 App)을 통해 과거에 오프라인을 통해 수행하던 기능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맞게, 금융 거래 관련 웹 프로그램은 물론 스마트폰/태블릿 PC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앱(App)을 이용한 모바일 프로그램이 출시되어 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일반인에게 제공하고 있기는 하다.
그런데, 현재 출시되어 있거나 출시 예정인 온라인(웹, 모바일)을 이용한 일반인 대상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순한 송금 처리 능력 수준만을 수행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이면서 신속하고 간편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일반인의 니즈(needs)를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례로, 한국의 어느 은행에서는 인감입력기를 통하여 서류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 및 안전성을 강화한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 이 경우 전국의 모든 은행 지점에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실제 상용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따랐다.
국내 특허를 참조하면, 한국 특허 제 1064718호는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IC 카드 및 셋탑박스와 연계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경우 셋탑박스를 통해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복잡한 인증 절차가 따라야 할 뿐 아니라 표준 셋탑박스를 새로이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따라 과다 비용 발생의 우려로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 특허 1196040호는 '금융거래 매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거래 매체 발급장치'는 다양한 금융 처리 능력을 갖춘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나, 이 역시 전국 각 지점에 설치하기에는 과다한 초기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로 인해 은행 측에서 사용화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는 금융 엑스포에서 개발된 신규 시스템에서도 드러나는바, 최첨단 금융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투자비용의 과다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은행 영업 방식 등의 문제로 아직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정리하면, IT 기술,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금융 기술 분야에서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합한 금융 처리 업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장치 개발에 따른 초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정작 실제로 일반인이 접하는 은행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과거에 비해 그다지 개편된 분위기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따른다.
더불어, 고객 응대는 물론 은행 직원 간의 업무 소통 및 처리에 있어서도 일일이 수기나 종이 문서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따랐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반인이 요망하는 금융 서비스는 현대인이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문가 수준의 금융 관련 상담을 받고 금융 상품 소개 및 복잡한 금융 자료를 하나로 통합하며 특히 외국인에게도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현재에도 각각의 은행에서 개발한 모바일 기기용 금융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나, 단순 금융 처리 능력을 넘어서 상기 언급한 기능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제공하여 초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하면서도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이들을 '모바일 기기'라 한다)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즉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단순 송금 서비스를 넘어서 고객에게 전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은행 직원 간 Smart Working을 추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인들이 보다 편리하게 금융 거래를 이용할 수 있되 영어, 일어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외국어는 물론 기타 다양한 언어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문가 수준의 질적으로 우수한 정보를 수록한 동영상 및 고객의 다양한 금융 부가 자료를 하나로 통합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일체형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금융 거래 관련 서류 작성 기능을 제공하여 페이퍼리스 브랜치(paperless branch)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은행 직원 간에 업무 처리를 전산화함과 동시에 전자화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전자 브로셔를 제공하되 메모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이해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금융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체크카드, 신용카드 등의 세부 혜택을 수치로 환산한 다음 이를 통해 게임 진행을 하여 고객이 요망하는 맞춤식 카드를 추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고객의 자산을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관리하고 디스플레이하는 툴(tool)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의 통신을 통해 은행 서버와 연동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10 내지 15개의 외국어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는 외국어 선택부와, 특정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외국어가 선택되어 해당 외국어를 수록한 외국어 라이브러리에서 해당 외국어의 텍스트와 음성을 추출하여 외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어 지원부를 구비한 외국어 지원 모듈;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자 서류를 제공하는 전자 서류 제공부와, 상기 전자 서류에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된 문자의 오류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에서 인증된 전자 서류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 전자 서류 작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전부를 대상으로 언어를 지원할 수 있어 글로벌 전략을 수립함과 동시에 고객 유치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고,
2) 종이 문서를 전자 문서로 활용함과 동시에 여러 코너 내지 폴더에 산재된 고객 자산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3) 전자 브로셔를 통해 원격 상담을 간편하게 수행할 뿐 아니라 메모 공유 기능을 제공하여 마치 직접 은행을 방문한 것과 같은 상담을 고객에게 제공할 뿐 아니라,
4) 고객 맞춤 상품을 게임 방식으로 재미있게 진행하여 고객의 참여도를 상승하면서 디테일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할 수 있음과 동시에,
5) 전자 문서의 작성 시에 오류 검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전자 문서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6) 은행의 직원 간 전자 문서를 통해 업무 처리를 함으로써 업무 처리의 신속화와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지원 모듈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 서류 작성 모듈에서 제공하는 전자 서류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합 재무 설계 모듈의 재무 설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에서 제공하는 금융 상품 정보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에서 제공하는 전자 브로셔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맞춤 정보 제공 모듈에서 게임 방식으로 고객에 알맞은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객 자산 관리 모듈의 자산 관리 데이터를 제공한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구동 및 관리가 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을 대표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IOS 환경 등에서 제작이 되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은행 서버에서 다운로드를 받아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여 실행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환경 이외에 추후 개발될 다양한 환경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대다수의 현대인이 소지하여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고 편리하게 금융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고 부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은행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은행 직원이 소지한 태블릿 PC에서 구동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융 기관 전산망과 유선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되고, 무선 통신 시에는 Smart Working 형태의 전문 금융 상담 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공지의 인증 방식(공인인증서 등을 통한 인증), 입출금 관리, 잔액 조회, 이체와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이 될 독특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외국어 지원 모듈(110), 전자 서류 작성 모듈(120), 종합 재무 설계 모듈(130),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140),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150), 맞춤 정보 제공 모듈(160), 고객 자산 관리 모듈(170)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러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모바일 서버(20)는 물론 후술할 각각의 모듈에서 실행된 데이터를 전송 및 저장 처리하는 은행 서버(10)(은행 중앙 측의 메인 서버와 은행 지점 측의 브랜치 서버)와 연동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모듈 및 세부 구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지원 모듈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지원 모듈(110)은 GUI 형태로 제공되는 화면 일 측 또는, 초기 화면 또는 인트로 페이지(intro page)에서 아이콘 내지 페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국기로 화체된 아이콘을 클릭하였을 때 해당 국기에 해당되는 언어를 텍스트 내지 음성 형태로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외국어 지원 모듈(110)은 외국어 선택부(111), 외국어 라이브러리(112), 외국어 지원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어 선택부(111)는 아이콘 또는 페이지 형태로 이루어진 외국어 선택 화면을 제공하되 고객이 아이콘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외국어 라이브러리(112)는 특정 언어 별로 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기록 및 저장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영어, 일어, 중국어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언어는 물론 불어, 독어 등 10 내지 15개 언어를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10개국 이상의 언어를 통하여 한국 내 체류하는 외국인 90% 이상을 커버할 수 있어 최소한 언어 소통 불능에 의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외국어 지원부(113)는 상기 외국어 선택부(111)에서 제공된 언어 선택 화면에서 고객이 선택한 언어를 언어 라이브러리(112)에서 추출하여 해당 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 음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외국어 지원 모듈(110)을 통하여 다양한 언어를 포괄할 수 있어, 국제적인 흐름에 부응하는 것은 물론 은행 측에서도 외국인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고객을 확보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 서류 작성 모듈에서 제공하는 전자 서류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전자 서류 작성 모듈(120)은 은행에서 주로 수기로 작성하던 서류(입금/출금 명세서, 카드 신청서 등)를 전자화함과 동시에 문자 인식 및 인증과 저장을 수행하여 종이 문서를 데이터베이스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자 서류 제공부(121), 입력부(122), 인증부(123), 저장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서류 제공부(121)는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공지의 종이 문서 포맷으로 이루어진 전자 문서를 미리 작성하여 종류 별로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자 서류를 제공하기 이전에 특정 금융 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류 선택 기능을 지원한다.
입력부(122)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화면을 정전식 내지 감암식으로 펜 내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고객으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블랭크(blank)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화면 일 측에 상대적으로 커다란 공간에 고객이 문자를 입력하면 입력 문자가 해당 블랭크에 기록되는 기능을 지원함과 동시에, 탭(tab) 방식으로 블랭크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증부(123)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록이 된 전자 서류를 은행 서버(10)(메인 은행 서버 산하의 다수의 브랜치 은행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 서류에 기록된 내용의 오류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부(123)는 형식적 인증과 실질적 인증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바, 형식적 인증 기능은 각각의 블랭크에 기록된 문자의 식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고, 실질적 인증 기능은 문자 인식(OCR) 기능을 통하여 기록된 문자(텍스트)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물론, 실질적 인증 기능 없이 은행 측 관리자가 전자 서류를 육안으로 검토하면서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나 업무의 신속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인증,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전화번호와 같이 숫자로 입력되는 문자 형식 위배 여부, 고객이 기록한 문자가 블랭크 목적에 합당한지 여부(주소 기록 블랭크에 이름을 기록했는지 여부 등)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부(123)의 기능 수행 중, 오류가 있는 전자 서류의 경우 다시 고객에게 피드백 하여 신속하게 재작성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순 오기인 경우 자체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특성도 겸비할 수 있다.
저장부(124)는 인증부(123)의 인증 이후 전자 서류를 별도의 DB 서버에 저장하여, 보관 및 추후 담당자의 검토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 서류 작성 모듈(120)에 의하면, 공지의 종이 문서를 대처하여 친환경적이자 단순 인력 낭비를 절약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은행 직원 간의 업무 처리에 있어서 업무의 신속성을 추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은행 직원 간의 업무 연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은행 직원이 소지한 태블릿 PC 에 설치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블릿 PC가 유선으로 금융 전산망 내지 은행 서버에 연결이 되어 사용되거나, 만일 무선 통신 시 금융 전산망 내지 은행 서버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Smart Working 형태의 전문 금융 상담 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보안에 민감한 은행 업무 처리를 감안할 때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은행 서버와 태블릿 PC가 무선 통신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전자 서류는 태블릿 PC에 저장되지 않고 은행 서버 내지 별도로 보유된 DB 서버에만 저장이 되도록 하고 태블릿 PC에는 전자 서류가 저장되지 않도록 하여 고객의 신용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운용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종합 재무 설계 모듈의 재무 설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종합 재무 설계 모듈(130)은 고객의 재무 스케줄을 고객 특성에 맞는 팩터(factor)를 설정하여 이러한 팩터의 재무 판단에 따라 재무 설계 결과를 시계열적 방식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종합 재무 설계 모듈(130)은 항목 설정부(131), 계산부(132), 결과 제공부(133)로 크게 구성이 되어 있다.
항목 설정부(131)는 고객의 현재 수입과 지출, 장래의 예상 수익(연금 등)과 지출(자녀 교육비 등)과 같이 외부로 드러나는 금융 항목은 물론 동산의 감가상각, 물가 상승률 등과 같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금융 항목 각각을 팩터(factor)로 처리하여 이러한 팩터들을 집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고객의 자름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카드, 통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능을 구비한 통합 금융 서버(즉, 간편 인증을 통해 각기 다른 은행의 고객 자금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와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계산부(132)는 상기 팩터에 설정된 수치 및 가중치를 종합하여 재무 설계 결과를 얻기 위한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고, 결과 제공부(133)는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를 토대로 도 3과 같은 재무 설계 결과 화면을 제공한다.
이 때, 재무 설계 결과 항목에는 시계열적인 특정 상황(은퇴, 정년, 자녀 대학 진학, 결혼 등)에 필요한 예상 자금은 물론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프, 소비 패턴의 수정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재무 설계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합 재무 설계 기능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 구현함으로써, 고객이 수시로 자신의 재무 상황을 파악하여 불필요한 소비를 지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반적으로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수립한 고객의 재무 계획을 보다 구체적이고 디테일하게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건실한 재무 설계 방향을 고객에게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도 5는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에서 제공하는 금융 상품 정보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140)은 동영상, 플래시, 만화 형태와 같이 고객에게 직관적인 이해를 구할 수 있는 상품 소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은행에서 준비한 다양한 금융 상품을 소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단순히 텍스트 형태로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였던 공지의 시스템에 비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140)은 금융 상품 소개 데이터베이스(141)를 구비한다.
금융 상품 소개 데이터베이스(141)는 고객이 자주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Q&A 또는 FAQ), 신규 금융 상품, 비교 금융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문가가 알기 쉽게 설명한 것을 촬영한 동영상, 플래시, 만화 등의 형태로 제작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금융 상품 소개 데이터베이스(141)는 고객의 예상 질문을 미리 파악하여 사전에 제작할 수 있고, 더불어 신규 금융 상품이 출시되었을 때 기존의 다른 금융 상품과의 비교 우위를 설명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더불어, 플래시, 애니메이션, 전문가가 촬영한 동영상 포맷은 고객의 성향, 금융 상품의 특성에 따라서 전문적으로 분류되어 고객의 수준을 맞추거나 고객에게 보다 직관적인 이해를 구할 수 있는 목적을 추구하도록 한다.
이러한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140)에 의하여, 고객은 복잡하고 어려운 금융 상품을 마치 전문가와 상담을 한 것과 같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을 들여 굳이 은행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충분한 정보를 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에서 제공하는 전자 브로셔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150)은 기존에 제공되던 종이 형태의 브로셔를 데이터 처리하여 전자 브로셔로 제공함과 동시에 이 전자 브로셔에 메모 기능을 지원하고 양 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 브로셔 제공부(151), 메모 기록부(152), 상담 처리부(153), 메모 통신부(154), 타깃 파악부(155)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브로셔 제공부(1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형태의 브로셔를 데이터(예를 들어 PDF 형태)로 제작하여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여기서 전자 브로셔는 기존의 다양한 은행 상품은 물론 신규 은행 상품의 구체적 내용을 알기 쉽게 표현한 내용을 수록한다.
메모 기록부(152)는 전자 브로셔 상에 고객과 은행 측 상담 직원(상담인, 상담자)이 직접 메모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모바일 환경에서 실행되는 공지의 메모 관련 어플/앱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유사하다.
상담 처리부(153)는 상담 요청 창 내지 아이콘을 마련하여 고객이 이를 클릭하였을 때 은행 측 상담자와 직접 통화를 하거나 화면의 일 측에 상담자의 얼굴이 활성화되도록 처리하는 것으로서, 특히 화면에 상담자 영상이 활성될 경우에는 전자 브로셔와 상담자 영상 화면을 2분할하여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상담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담 처리부(153)에 의하면 동일한 전자 브로셔를 고객과 상담인이 함께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메모를 상호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어, 마치 고객이 직접 은행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편의성을 부여한다.
메모 통신부(154)는 상담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자 브로셔 상에 기록된 메모를 고객과 상담자가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현 내지 활성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깃 파악부(155)는 상기 메모 기록부(152)에 의해 기록이 된 메모 중 특정 식별 표시(별, 동그라미)를 문자 인식(OCR) 기능에 의해 파악을 하여, 식별 표시가 되어 있는 메모 부위가 상담 시 중요한 상담 내용인 타깃(target)으로서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메모가 기록된 전자 브로셔 중에서 미리 지정된 특정한 식별 표시가 기록된 부위를 중요 상담 내용으로 인식하여 이를 별도로 DB 서버 등의 저장 수단에 저장 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담 내용의 요점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 역시 상담 중 중요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150)에 의하여, 은행 상품을 편리하게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과의 직접적인 영상통화 등의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 상담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담 시 중요한 내용을 별도로 저장하여 상담 기록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맞춤 정보 제공 모듈에서 게임 방식으로 고객에 알맞은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맞춤 정보 제공 모듈(160)은 고객의 특정 상황을 파악하여 해당 고객에게 알맞은 은행 상품 내지 신용카드를 추천하되, 지루함을 탈피하고 재미를 부여하고자 게임 방식에 의하여 고객의 니즈(needs)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추천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맞춤 정보 제공 모듈(160)은 상품 수치 환산부(161), 게임 진행부(162), 맞춤 정보 제공부(163)로 구성된다.
상품 수치 환산부(161)는 은행 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혜택을 개별적인 팩터로 지정한 다음 각각의 팩터 별로 혜택 수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치 환산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2 신용카드에서 각각 포인트 적립, 놀이공원 무료입장, 여행 상품 추천과 같은 혜택이 있을 때, 이러한 개별적 혜택을 팩터로 지정하되 제 1,2 신용카드의 혜택이 차이가 날 경우 각각의 팩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혜택 수치로 환산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제 1 신용카드는 포인트 적립은 50점, 놀이공원 무료입장은 40점, 여행 상품 추천은 60점이고, 제 2 신용 카드는 포인트 적립의 경우 40점, 놀이 공원 무료입장은 100점, 여행 상품 추천은 50점으로서 각각의 신용 카드 별로 차이를 가지는 혜택을 수치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교우위의 은행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게임 진행부(16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팩터를 이미지 처리하고 고객을 대상으로 Q&A(즉, 고객에게 제공한 질문에 고객이 답변을 하는 방식)를 수행하여 각각의 이미지 처리된 팩터에 기록된 수치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아니면 고객이 관심을 가지는 이미지 처리된 팩터를 클릭하였을 때 이를 기준으로 후속 질문을 하면서 고객의 답변에 따라 팩터 수치를 합산하는 게임 방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맞춤 정보 제공부(163)는 상기 게임 진행부를 통해 고객이 선택하거나 추천이 된 개별 팩터의 혜택 수치를 합산하여 이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혜택 수치 합산에 따라 고객에게 특정 은행 상품을 추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맞춤 정보 제공 모듈(160)은 단순히 여행을 좋아하는 고객이라 하여 여행 혜택이 풍성한 은행 상품(예를 들어 신용 카드)을 추천하는 단편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은행 상품을 선택하는 재미를 고객에게 부여할 뿐 아니라 종합적인 혜택의 수치 비교에 따라 가장 고객 자신에게 알맞은 은행 상품을 정확하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객 자산 관리 모듈의 자산 관리 데이터를 제공한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고객 자산 모듈(170)은 고객이 가입하거나 예치한 예금, 상품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물론 예금/은행 상품의 금액, 예상 수익, 이자 등의 세부 자산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알짜배기 예탁금'이라는 은행 상품을 가입한 고객의 혜택, 과세 금액, 세금, 세금 우대 금액과 같은 금액 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그래프를 통하여 금액의 흐름을 알기 쉽게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객 자산 모듈(170)은 특정 고객의 가입 상품에 대한 변동 상황, 현 상황, 미래 예상 상황을 예측하여 이러한 정보를 하나의 정보 내지 테이블, 그래프로서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고객이 상품 별로 모바일 페이지를 검색을 하거나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하나의 화면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최대한 고객의 편의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은행 서버 20: 모바일 서버
110: 외국어 지원 모듈 111: 외국어 선택부
112: 외국어 라이브러리 113: 외국어 지원부
120: 전자 서류 작성 모듈 121: 전자 서류 제공부
122: 입력부 123: 인증부
124: 저장부 130: 종합 재무 설계 모듈
131: 항목 설정부 132: 계산부
133: 결과 제공부 140: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
141: 금융 상품 소개 데이터베이스 150: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
151: 전자 브로셔 제공부 152: 메모 기록부
153: 상담 처리부 154: 메모 통신부
155: 타깃 파악부 160: 맞춤 정보 제공 모듈
161: 상품 수치 환산부 162: 게임 진행부
163: 맞춤 정보 제공부 170: 고객 자산 관리 모듈

Claims (6)

  1.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의 통신을 통해 은행 서버와 연동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10 내지 15개의 외국어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는 외국어 선택부와, 특정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외국어가 선택되어 해당 외국어를 수록한 외국어 라이브러리에서 해당 외국어의 텍스트와 음성을 추출하여 외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어 지원부를 구비한 외국어 지원 모듈;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자 서류를 제공하는 전자 서류 제공부와, 상기 전자 서류에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된 문자의 오류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에서 인증된 전자 서류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 전자 서류 작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고객의 수입, 지출을 포함한 수치화된 금융 항목을 팩터로 처리하여 각각의 팩터를 집산하는 항목 설정부,
    상기 팩터에 설정된 수치 및 가중치를 종합하여 재무 설계 결과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결과를 고객 재무 설계 데이터로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로 이루어진 종합 재무 설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동영상, 플래시, 만화, 애니메이션 포맷으로 이루어진 금융 상품 소개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금융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금융 상품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자 브로셔를 제공하는 전자 브로셔 제공부와,
    상기 전자 브로셔 상에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으로 메모를 입력받는 메모 기록부 및,
    은행의 직원과 문자, 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의 통화를 연결하여 상담을 실행하는 상담 처리부 및,
    상기 상담 처리부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메모가 기록된 전자 브로셔를 고객과 상담원이 공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활성 처리하는 메모 통신부로 이루어진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브로셔 관리 모듈은,
    미리 입력된 식별표시가 상기 메모에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문자 인식 기능을 통해 인식하여, 식별표시가 입력된 메모를 별도로 추출하여 저장하는 타깃 파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은행 상품에 포함된 혜택을 각각 팩터로 처리하고 상기 팩터 별로 혜택 수치를 부여하는 상품 수치 환산부와,
    고객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혜택 수치를 가감하도록 하는 게임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게임 진행부 및,
    상기 게임을 통해 가감된 혜택 수치의 고저 판단에 따라 고객에게 은행 상품을 추천하는 맞춤 정보 제공부로 구성된 맞춤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141791A 2012-12-07 2012-12-0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73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791A KR20140073847A (ko) 2012-12-07 2012-12-0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791A KR20140073847A (ko) 2012-12-07 2012-12-0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47A true KR20140073847A (ko) 2014-06-17

Family

ID=5112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791A KR20140073847A (ko) 2012-12-07 2012-12-0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8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93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디지털피비스쿨 어플리케이션 기반 종합 재무 컨설팅 시스템
KR102288509B1 (ko) 2020-05-04 2021-08-10 주식회사 핀샷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금융서비스 제공장치,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93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디지털피비스쿨 어플리케이션 기반 종합 재무 컨설팅 시스템
KR102288509B1 (ko) 2020-05-04 2021-08-10 주식회사 핀샷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금융서비스 제공장치,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The impact of electronic ban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employees of banking sector
TW201218059A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l-time ap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Mohan et al. Catalytic innovation in microfinance for inclusive growth: insights from SKS microfinance
JP6528070B2 (ja) 記帳システム
JP6512653B1 (ja) 取引明細情報管理装置、取引明細情報管理方法および取引明細情報管理プログラム
Tomar et al.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Selected applications and lessons learned
US201800682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Processing
US20160203570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aikh et al. Marketing and Mobile Financial Services
Pimenta et al.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nd recommendations for modernizing integrated financi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CN109872444B (zh) 一种票据识别方法及装置
KR101484300B1 (ko)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문서 처리 장치
Schilling et al. Mobile financial service-enabled micro-businesses driving sustainable value creation in emerging markets
Ahmed et al. Employees of commercial banks learning to unlearn: a case study on the impact of electronic banking in the commercial banks of Bangladesh
KR20140073847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Goyal Conditions for inclusive innovation with application to telecom and mobile banking
Çetin Gerger Tax services and tax service providers’ changing role in the IoT and AmI environment
MUGANE Mobile Banking Services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On Commercial Banks In Kenya
US11334821B1 (en) Intelligent virtualization of merchants
Lee et 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er behavior on choices of local commercial bank for banking products and services in Perak
Ayinde et al. Convergence in Financial Systems: Fintech, Big Data, and Regulatory Standards
Carvajal et al. Measurement on usage of the internet banking in Colombia
Pantielieieva et al. Transformation in the ecosystem of financial intermediaries in the context of digitalization
Rana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and online banking have increased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but reduced costs in the banking sector of Bangladesh
Tambasi Influence Of Electronic Delivery Service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Savings And Credit Cooperatives, A Case Of Mwalimu National Sacco, Ken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