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830A -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830A
KR20140073830A KR1020120141747A KR20120141747A KR20140073830A KR 20140073830 A KR20140073830 A KR 20140073830A KR 1020120141747 A KR1020120141747 A KR 1020120141747A KR 20120141747 A KR20120141747 A KR 20120141747A KR 20140073830 A KR20140073830 A KR 2014007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section
grip
open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혜린
Original Assignee
장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린 filed Critical 장혜린
Priority to KR102012014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830A/ko
Publication of KR2014007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3Integral handles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봉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주 포장부; 상기 봉합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대향 배치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 포장부의 일면 양단에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따르면, 파지부를 양측으로 당겨 주 포장부의 봉합부를 안정되고 용이하게 개봉시키고, 파지부가 주 포장부의 양측에 부착되면서 개봉된 봉합부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주 포장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편하고 쉽게 꺼내 먹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 포장부가 가로로 개봉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주 포장부를 개봉한 후에 바닥에 놓아도 넓은 면적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쏟아질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 포장부 내부에 손을 깊숙이 넣지 않아도 밑부분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고, 양념, 소스 등이 손에 묻지 않게 되어 위생적이며, 내용물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물을 남겼을 때에는 개봉된 봉합부를 밀폐시켜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Packing Receptacle}
본 발명은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개봉된 상태를 고정시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많은 산업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과자류 등을 포장하는 포장용기는 주로 종이상자 혹은 플라스틱 케이스 등을 사용하거나, 비닐봉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과자류의 포장 시, 종이상자 혹은 플라스틱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내용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이나 진열 등의 취급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비용적으로 부담이 크고, 폐기 처리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과자류 등은 비닐봉지에 밀봉 상태로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비닐봉지에 과자류 등을 밀봉 포장할 경우, 봉지를 개봉할 별다른 절취부분이 없기 때문에 밀봉 부분을 대충 뜯게 된다. 즉, 봉지의 옆 부분을 수직 상태로 절개하는 것에 의해 포장을 뜯어 개봉하게 된다.
이처럼, 봉지의 옆 부분을 개봉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쉽게 쏟아지는 단점이 있고, 봉지를 뜯은 후에는 바닥 등에 세워놓을 수 없게 되어 항상 손으로 봉지를 파지한 상태로 내용물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내용물을 꺼내 먹을 때 옆으로 뉘어놓기 때문에 내용물을 주변에 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지를 세로로 세워서 밀봉된 부분인 상단부를 개봉할 경우에는 밑부분에 있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손을 깊숙이 넣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내용물의 양념, 가루 등이 손에 묻어 손을 씻거나 닦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봉지를 아예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의 남은 양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2001- 0073432 (공개일 2001.08.01)
한국공개실용신안: 2009 - 0009226 (공개일 2009.09.16)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봉합부가 형성되고 봉합부의 양측에 파지부가 구비되어 파지부를 양측으로 당겼을 때 봉합부가 안정되게 개봉되고, 파지부의 저면에 접착부가 구비되어 개봉된 봉합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는 일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봉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주 포장부; 상기 봉합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대향 배치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 포장부의 일면 양단에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주 포장부 중앙에 여유 면을 구비하여 양쪽을 향해 접고, 접힌 여유 면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주 포장부의 일면 양단에는 파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 또는 보조접착부는 파지부 또는 주 포장부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위에 부착되는 이형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는 제품명, 제조일자 등의 내용물 정보가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따르면, 파지부를 양측으로 당겨 주 포장부의 봉합부를 안정되고 용이하게 개봉시키고, 파지부가 주 포장부의 양측에 부착되면서 개봉된 봉합부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주 포장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편하고 쉽게 꺼내 먹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 포장부가 가로로 개봉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주 포장부를 개봉한 후에 바닥에 놓아도 넓은 면적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쏟아질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 포장부 내부에 손을 깊숙이 넣지 않아도 밑부분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고, 양념, 소스 등이 손에 묻지 않게 되어 위생적이며, 내용물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물을 남겼을 때에는 개봉된 봉합부를 밀폐시켜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접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서 파지부가 접착부에 의해 주 포장부 양단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서 주 포장부 일면 양단에 보조접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로서 파지부가 보조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서 파지부가 접착부에 의해 주 포장부 양단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에서 주 포장부 일면 양단에 보조접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파지부가 보조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는 주 포장부(100), 파지부(200), 접착부(300)를 포함한다.
주 포장부(100)는 내부에 수납되는 내용물을 밀봉포장하는 것으로, 상,하단부와 일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봉합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일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봉합부(110)는 전개된 주 포장부(100)의 양측 단부로부터 여유 면(210)을 구비하고, 여유 면(210)이 외향 절곡되도록 접은 다음 접은 선을 맞대응시켜 열융착으로 봉합시킨다. 이어, 주 포장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봉합하여 내용물을 밀봉하게 되는 데 밀봉되기 전에 내측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파손 및 유통상의 변질을 막기 위해 질소 등의 가스가 주입된다.
파지부(200)는 주 포장부(100) 일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봉합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여유 면(210)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파지부(200)의 여유 면(210)에는 제품명, 제조일자 등의 내용물의 정보를 기입하여 소비자가 내용물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부(200)에는 내용물을 상징하는 도안 또는 캐릭터 또는 광고이미지를 새겨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00)는 파지부(200)의 저면에 구비되며, 파지부(200)의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층(310)과, 접착층(310) 위에 부착되는 이형지(3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접착부(300)는 이형지(320)를 벗겨내기 전에는 접착기능을 하지 않고, 이형지(320)를 벗겨내면 접착층(310)이 주 포장부(100)에 부착되어 파지부(200)를 주 포장부(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00)를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파지부(200)를 양측으로 잡아당기면 주 포장부(100)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봉합부(110)가 안정되고 용이하게 개봉된다.
이어, 파지부(200) 저면에 구비된 접착부(300)의 이형지(320)를 벗겨내고 파지부(200)를 외측으로 당겨 주 포장부(100)의 일면 양측에 부착시키면 접착층(310)이 주 포장부(100)에 부착되면서 파지부(200)를 고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개봉된 봉합부(11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포장부(100)의 일면 양측에는 보조접착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접착부(400)는 접착부(300)와 동일하게 주 포장부(100)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층(310)과, 접착층(310) 위에 부착되는 이형지(320)로 구성되며, 이형지(320)를 벗겨내기 전에는 접착기능을 하지 않고, 이형지(320)를 벗겨내면 접착층이 노출되어 파지부(200)의 저면에 구비된 접착층(310)과 접착되면서 양측으로 당겨진 파지부(2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접착부(300)와 보조접착부(400)는 모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접착부(300)와 보조접착부(4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파지부를 양측으로 당겼을 때 주 포장부의 봉합부가 안정되게 개봉되고, 파지부가 접착부와 보조접착부에 의해 주 포장부의 양측에 부착되면서 개봉된 봉합부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주 포장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편하고 쉽게 꺼내 먹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주 포장부가 가로로 개봉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주 포장부를 개봉한 후에 바닥에 놓아도 넓은 면적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쏟아질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주 포장부 내부에 손을 깊숙이 넣지 않아도 밑부분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고, 양념, 소스 등이 손에 묻지 않게 되어 위생적이며, 내용물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용물을 남겼을 때에는 봉합부를 기준으로 일측 파지부의 접착부를 타측 파지부 또는 타측 주 포장부에 부착시키거나, 타측 보조접착부에 접착시켜 개봉된 봉합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주 포장부 110: 봉합부
200: 파지부 210: 여유면
300: 접착부 310,410: 접착층
320,420: 이형지 400: 보조접착부

Claims (5)

  1. 일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봉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주 포장부;
    상기 봉합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대향 배치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 포장부의 일면 양단에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접착부;
    를 포함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주 포장부 중앙에 여유 면을 구비하여 양쪽을 향해 접고, 접힌 여유 면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포장부의 일면 양단에는 파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접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또는 보조접착부는 파지부 또는 주 포장부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위에 부착되는 이형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제품명, 제조일자 등의 내용물 정보가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KR1020120141747A 2012-12-07 2012-12-07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140073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747A KR20140073830A (ko) 2012-12-07 2012-12-07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747A KR20140073830A (ko) 2012-12-07 2012-12-07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30A true KR20140073830A (ko) 2014-06-17

Family

ID=5112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747A KR20140073830A (ko) 2012-12-07 2012-12-07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8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231C2 (ru) Повторно запечатываемый пищевой контейнер с индикатором вскрытия (варианты)
CN107074434B (zh) 具有多层自粘性可重封粘胶片的容器
US9771185B2 (en) Package with a multi-piece handle
JP6250562B2 (ja) 粘着剤を有さない領域を有する粘着ラベルを備えた容器
JP6189326B2 (ja) 粘着ラベルを備えた容器
US8919558B2 (en) Packaged oral care implement and package
MXPA06008692A (es) Recipiente para alimentos re-sellable.
JP5643840B2 (ja) タバコ材料のための可撓性パッケージ
KR200426307Y1 (ko) 접착테이프 분리가 용이한 포장상자
JP3195674U (ja) 包装体
KR20140073830A (ko) 고정기능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090096584A (ko) 햄버거용 포장지
US20130034316A1 (en) Bag with Adhesive Tape
JP3119365U (ja) 硬質樹脂シート製包装容器
KR20130029497A (ko) 포장용 박스
WO2009153114A1 (en)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CN205418351U (zh) 一种放置干燥剂的易拉包装盒
JP6180835B2 (ja) 商品包装袋及び袋詰め商品
JP3145173U (ja) 商品横入れ用サイドガゼット製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袋。
KR200416137Y1 (ko) 절개용띠가 구비된 포장재
JPH0741010A (ja) スタンドパウチ
KR20100011039U (ko) 과일의 진열 및 운반을 위한 포장용기
JPH031408Y2 (ko)
KR101700673B1 (ko) 이중 접착식 비닐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3169995A (ja) 自立型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