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625A - the multipurpose clamp - Google Patents

the multipurpose c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625A
KR20140073625A KR1020120137350A KR20120137350A KR20140073625A KR 20140073625 A KR20140073625 A KR 20140073625A KR 1020120137350 A KR1020120137350 A KR 1020120137350A KR 20120137350 A KR20120137350 A KR 20120137350A KR 20140073625 A KR20140073625 A KR 20140073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bent
unit
clamp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3922B1 (en
Inventor
배은한
Original Assignee
(주)신우콘크리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콘크리트산업 filed Critical (주)신우콘크리트산업
Priority to KR2012013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922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9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8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wi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lamp which is formed of a metal wire material with stiffness, and has an integrated structure where an upper supporting unit and a lower supporting unit are bent at an elastic unit with a semicircular arc shape. The lower supporting unit comprises: a supporting unit which has a straight line shape; a protruding unit which is bent by a bending unit; and a hanging loop which has an open structure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unit. The upper supporting unit has a coupling loop with an opening structure at the end of a push unit which becomes wider from the supporting unit toward the opposite to the elastic unit. The protruding unit of the lower supporting unit is bent at the bending unit and faces the coupling loop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The coupling loop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is longer than the lower supporting unit in order to position the coupling loop of the push unit to above the hanging loop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unit. When gripping the clamp with a hand and pushing the lower supporting unit of the push unit, the coupling loop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anging loop. Elasticity functions to the coupling loop and the hanging loop in opposite directions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When releasing the coupling state by pushing the push unit again, the coupling loop and the hanging loop ar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coupling and decoupling of the clamp can be facilitated. Therefore, the clamp can be variously applied to the continuous coupling and decoupling of tetrapods or the coupling and decoupling of various civil structures.

Description

다목적 클램프{the multipurpose clamp}The multipurpose clamp

본 발명은 다목적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강성을 가진 금속선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가 반원호형인 탄성부에서 절곡 되어 일체 된 구조를 가지되, 하부 지지부는 직선 형태인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꺾임부에 의해 꺾임 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 끝에 개방 구조인 걸림 고리를 일체로 구성하고, 탄성부에서 꺾임 된 상부 지지부는 탄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와 벌어지는 구조의 푸시부와, 이 푸시부의 끝에 개방 구조의 체결 고리를 일체로 구성되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lamp, which is composed of a metal wire having rigidity,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are bent and integrally formed by a semicircular elastic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has a straight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bent at the elastic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push portion and a push portion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when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elastic portion, , And a fastening ring having an open structur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push portion,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의 돌출부는 꺾임부에서 꺾임 되어 상부 지지부의 체결 고리 쪽을 향하고, 상부 지지부의 끝에 해당하는 체결 고리는 하부 지지부 보다 조금 더 길게 구성되어, 돌출부의 끝 부분에 위치된 걸림 고리의 위쪽에 푸시부의 체결 고리가 위치된 구조의 클램프가 구성됨으로써, Accordingl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bent at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astening ring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fastening ring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clamp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ring of the push portion is positioned above is formed,

이 클램프를 손으로 잡고 하부 지지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푸시부를 하부 지지부 쪽으로 누르면, 체결 고리가 돌출부를 타고 내려가서, 체결 고리가 걸림 고리 내부로 끼움 되면서 체결되고, 이들 걸림 고리와 체결 고리에는 각기 반대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반대로 푸시부를 다시 눌러서 체결 고리와 걸림 고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클램프의 체결과 해제가 용이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호안블록의 연속적인 체결은 물론, 각종 토목구조물 간의 연결, 체결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push portion is pushed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clamp by hand, the clamping ring is lowered along the projecting portion so that the clamp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ring and is fastened to the clamping ring.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memb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ring and the fastening ring is released, so that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f the clamp is facilitated.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ly to the connection and fastening of various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s well as the continuous fastening of the revetment block.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두 개의 물건을 체결하거나 이어주는 부품 또는 도구를 말하는 것으로, 클램프는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데,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하천, 해안, 사면 등의 호안에 설치된 호안블록의 경우에는,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른 파도, 외력, 세굴 등에 의한 호안 블록의 분실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호안블록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호안 블록 간에는 별도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이들 체결용 클램프에 의해서 호안에 시공된 호안 블록들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매트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도 전체적으로 대응되어 안정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적용되는 클램프에 의하여 호안 블록 사이의 이완을 방지와 이완에 따른 호안 블록의 분실을 방지한다.In general, a clamp refers to a component or tool for fastening or connecting two objects. The clamp is widely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hore block installed on a river, coast,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revetment block due to waves, external force, scouring, etc. due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djacent revetmen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separate clamp, The revetment blocks constructed by the clamps are formed into a single mat shape as a whole, and the external forces applied thereto are also entire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stability, and the clamp applied thereto can prevent Prevent loss of revetment block due to relaxation.

더욱 자세하게, 호안 블록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예를 보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0370050호에는, 식생 호안블록들의 서로 연접된 상태에서, 서로 연접되는 연결고리들에 끼워지도록 U형 볼트가 십자형으로 교차 형성된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나사부가 끼워지도록 각 모서리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볼트의 나사부와 상기 고정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식생호안블록들을 연결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식생 호안블록의 연결구조’ 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an example of a clamp used for a revetment block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70050, wherein U-shaped bolts are cross-formed in a cross shape so as to be fitted into connection ring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vegetation- A fixing bolt, a fixing bracke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corner so as to fit the screw portion of the fixing bolt, and a nut connecting the vegetation waterproofing block using a nut fastened with the screw portion of the fixing bolt and the fixing bracke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egetation shore block' is published.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0327410호에는, 제1길이를 가지고 양측이 하부로 절곡 된 제1결속영역 및 횡 방향으로 제2길이를 가지고 절곡 된 후 종 방향으로 절곡 된 제2결속영역을 가지며 양끝에 나사선이 형성된 결속 부재와, 상기 결속 부재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 부재에 삽입되는 잠금 플레이트 및 상기 결속 부재의 나사 선들에 체결되는 너트들로 구성하는 체결 장치를 구성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호안블록들의 모서리 측에 매설되는 연결고리를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상호 간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내용의 ‘호안블록의 체결 장치’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27410 has a first binding region having a first length and both sides bent downwardly and a second binding region b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being bent with a secon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A locking plate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both ends of the binding member ar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binding member and nuts fastened to the screw wires of the binding member to form a fastening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Quot; a fastening device for a shore protection block " in which a connecting loop embedded in a corner of a revetment block having a plurality of revetment blocks is fastened and fixed using a fastening device.

또한, 국내특허등록 제 1173425호에는, 연결구와 체결나사가 구비된 공지의 체결밴드로 구성하되, 연결구는 와이어 일단을 둥글게 말아 금속밴드로 감압 고정시켜서 된 통상의 고리와, 그 와이어의 타단 끝의 장착구로 구성되어, 그 와이어를 다수의 식생 호안블록의 연결고리에 관통시킨 뒤, 이 장착구에 고리를 끼우고, 체결밴드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의 연결장치’ 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73425, there is known a known fastening b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hole and a fastening screw, wherein the connecting hole is formed by an ordinary ring formed by rounding one end of the wire and fixing it with a metal band, Wherein the wir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egetation revetment block connecting rods, the rop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ots, and the rope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band. This is posted.

그러나 앞서 예시한 호안블록의 연결에 사용되는 클램프 중에서, 앞서 예시한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안은, 세 가지 구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클램프를 사용하는데, 개방 구조를 가지는 고리 형상의 부재(U형 볼트, 결속 부재)와 그 고리 형상의 부재의 양단에 조립되는 판재(고정 브래킷, 잠금 플레이트)와 고리 형상의 부재의 양단에 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세 가지 구성 부재로 호안 블록을 연결하면, 체결에 필요한 구성물이 많이 필요하며, 세 가지를 순차로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리 형상의 부재와 나사 결합 되는 너트는 다양한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서 풀려나가 체결이 풀릴 우려가 있었으며, 호안블록의 설치 후에, 호안블록의 수리를 위해 교환하거나 제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스틸 재질의 너트의 경우, 부식으로 너트를 분리할 수 없으므로 클램프를 절단하여 분리하게 되므로, 클램프의 재분해가 어렵고, 재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mong the clamps used for connecting the above-described revetment block, the first and second designs described above use clamps made up of three constituent members, and the clamps having an open structure (U-shaped bolt, (Fixing brackets and locking plates) assembled to both ends of the annular member, and a nut fixed to both ends of the annular member. When the waterproofing block is connected to the three memb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number of necessary components are required and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the three pieces sequentially. The nut that is screwed to the annular member may be loosen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When replacing or removing the shore block for repair of the shore block after installation, , So separated by cutting the clamp can not be separated the nut to corrosion, it is difficult to re-decomposition of the clamp, there was a re-use is not a problem.

또한, 앞서 예시한 호안블록의 연결에 사용되는 클램프 중에서, 앞서 예시한 세 번째 고안은, 식생 호안블록을 연결할 때, 고리를 장착구에 끼우고, 체결밴드를 설치한 다음, 드라이버 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나사로 체결밴드를 고정하여 설치하는데, 이렇게 식생 호안 블록을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체결밴드를 일일이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체결밴드를 약하게 체결하거나, 체결밴드가 부식이 발생하면, 고리가 장착구에서 벗어나면서 체결이 풀릴 우려가 있었으며, 호안 블록의 설치 후에, 호안블록의 수리를 위해 교환하거나 제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스틸 재질의 체결밴드 및 체결나사의 경우, 부식으로 체결밴드를 분리할 수 없으므로 클램프를 절단하여 분리하게 되므로, 클램프의 재분해가 어렵고, 재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Of the clamps used to connect the above-described revetment block, the third design described above is such that, when the vegetation revetment block is connected, the ring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he fastening band is install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vegetation shore block, it is troublesome to individually install the fastening band. When the fastening band is weakly fastened or when the fastening band is corroded, When the shoe is replaced or removed for repair of the shore block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hore block,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hoe by the corrosion in the case of general fasteners and fastening screws made of steel material. It is difficult to re-disassemble the clamp and it is impossible to reuse the clamp. There wa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성을 가진 금속선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가 반원호형인 탄성부에서 절곡 되어 일체 된 구조를 가지되, 하부 지지부는 직선 형태인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꺾임부에 의해 꺾임 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 끝에 개방 구조인 걸림 고리를 일체로 구성하고, 탄성부에서 꺾임 된 상부 지지부는 탄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와 벌어지는 구조의 푸시부와, 이 푸시부의 끝에 개방 구조의 체결 고리를 일체로 구성되고,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support portion and a lower support portion are bent and integrally bent in a semicircular- A protruding portion folded by a folding portion so as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retaining ring which is an open structure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folded at the elastic portion has a push structure And a fastening ring having an open structure integrally formed at an end of the push portion,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의 돌출부는 꺾임부에서 꺾임 되어 상부 지지부의 체결 고리 쪽을 향하고, 상부 지지부의 끝에 해당하는 체결 고리는 하부 지지부 보다 조금 더 길게 구성되어, 돌출부의 끝 부분에 위치된 걸림 고리의 위쪽에 푸시부의 체결 고리가 위치된 구조의 클램프가 구성됨으로써, Accordingl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bent at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astening ring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fastening ring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clamp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ring of the push portion is positioned above is formed,

이 클램프를 손으로 잡고 하부 지지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푸시부를 하부 지지부 쪽으로 누르면, 체결 고리가 돌출부를 타고 내려가서, 체결 고리가 걸림 고리 내부로 끼움 되면서 체결되고, 이들 걸림 고리와 체결 고리에는 각기 반대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반대로 푸시부를 다시 눌러서 체결 고리와 걸림 고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클램프의 체결과 해제가 용이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호안블록의 연속적인 체결은 물론, 각종 토목구조물 간의 연결, 체결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push portion is pushed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clamp by hand, the clamping ring is lowered along the projecting portion so that the clamp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ring and is fastened to the clamping ring.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memb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ring and the fastening ring is released, so that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f the clamp is facilitated.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ly to the connection and fastening of various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s well as the continuous fastening of the revetment block.

또한, 상부 지지부는 꺽임부에 의해 꺾여서, 완만한 ‘ V’ 형태로 형성되어, 클램프를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인체 공학적으로 클램프를 한 손으로 잡아 체결하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가 더욱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탄성력이 부여된 꺽임부에 의해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bent in a bent portion and formed into a gentle 'V' shape, and is made to have a size capable of holding the clamp with one hand, so that ergonomically clamping the clamp with one hand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fastened state can be more firmly maintained by the bent portion provided with the elastic for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성을 가진 금속선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 지지부와 하부지지부가 반원호형인 탄성부에서 절곡 되어 일체 된 구조를 가지되, 하부 지지부는 직선 형태인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꺾임부에 의해 꺾임 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 끝에 개방 구조인 걸림 고리를 일체로 구성하고, 탄성부에서 꺾임 된 상부 지지부는 탄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와 벌어지는 구조의 푸시부와, 이 푸시부의 끝에 개방 구조의 체결 고리를 일체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하부지지부의 돌출부는 꺾임부에서 꺾임 되어 상부 지지부의 체결 고리 쪽을 향하고, 상부 지지부의 끝에 해당하는 체결 고리는 하부 지지부 보다 조금 더 길게 구성되어, 돌출부의 끝 부분에 위치된 걸림 고리의 위쪽에 푸시부의 체결 고리가 위치된 구조의 클램프가 구성됨으로써,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are bent and integrally formed by a half-arc-shaped elastic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has a straight support portion and a fixed angle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folded at the elastic portion integrally includes a push por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pport portion folds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as it is further away from the elastic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bent at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astening ring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fastening ring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ower support portion A clamp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astening ring of the push portion is positioned above a fastening ring locat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Configuration, whereby

이 클램프를 손으로 잡고 하부 지지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푸시부를 하부 지지부 쪽으로 누르면, 체결 고리가 돌출부를 타고 내려가서, 체결 고리가 걸림 고리 내부로 끼움 되면서 체결되고, 이들 걸림 고리와 체결 고리에는 각기 반대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반대로 푸시부를 다시 눌러서 체결 고리와 걸림 고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클램프의 체결과 해제가 용이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호안블록의 연속적인 체결은 물론, 각종 토목구조물간 의 연결, 체결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push portion is pushed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clamp by hand, the clamping ring is lowered along the projecting portion so that the clamp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ring and is fastened to the clamping ring.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memb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ring and the fastening ring is released, so that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f the clamp is facilitat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variously apply not only to the continuous fastening of the revetment block but also to the connection and fastening between various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또한, 상부 지지부는 꺽임부에 의해 꺾여서, 완만한 ‘ V’ 형태로 형성되어, 클램프를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인체 공학적으로 클램프를 한 손으로 잡아 체결하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가 더욱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탄성력이 부여된 꺽임부에 의해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bent in a bent portion and formed into a gentle 'V' shape, and is made to have a size capable of holding the clamp with one hand, so that ergonomically clamping the clamp with one hand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moreover, there is an effect of more firmly holding the fastened state by the bent portion provided with the elastic for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클램프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클램프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4의 (다)와 (라)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클램프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클램프가 적용된 호안블록을 보여주는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ultipurpos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FIG.
Figures 3 (a) and 3 (b) are a top view and front view of a multipurpos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 and 4 (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ultipurpos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5 is a plan view showing a shore block to which a multipurpose clamp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목적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강성을 가진 금속선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가 반원호형인 탄성부에서 절곡 되어 일체 된 구조를 가지되, 하부 지지부는 직선 형태인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꺾임부에 의해 꺾임 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 끝에 개방 구조인 걸림 고리를 일체로 구성하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lamp, which is composed of a metal wire having rigidity,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are bent and integrally formed by a semicircular elastic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has a straight support portion, A protruding portion bent by a bent portion and a retaining ring having an open structure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탄성부에서 꺾임 된 상부 지지부는 탄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와 벌어지는 구조의 푸시부와, 이 푸시부의 끝에 개방 구조의 체결 고리를 일체로 구성되고, The upper support portion bent in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por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as it goes away from the elastic portion and the fastening ring of the open structur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ush portion,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의 돌출부는 꺾임부에서 꺾임 되어 상부 지지부의 체결 고리 쪽을 향하고, 상부 지지부의 끝에 해당하는 체결 고리는 하부 지지부 보다 조금 더 길게 구성되어, 돌출부의 끝 부분에 위치 된 걸림 고리의 위쪽에 푸시부의 체결 고리가 위치된 구조의 클램프가 구성됨으로써, Accordingl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bent at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astening ring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fastening ring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clamp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ring of the push portion is positioned above is formed,

이 클램프를 손으로 잡고 하부 지지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푸시부를 하부 지지부 쪽으로 누르면, 체결 고리가 돌출부를 타고 내려가서, 체결 고리가 걸림 고리 내부로 끼움 되면서 체결되고, 이들 걸림 고리와 체결 고리에는 각기 반대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반대로 푸시부를 다시 눌러서 체결 고리와 걸림 고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클램프의 체결과 해제가 용이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호안블록의 연속적인 체결은 물론, 각종 토목구조물 간의 연결, 체결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push portion is pushed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lower support portion while holding the clamp by hand, the clamping ring is lowered along the projecting portion so that the clamp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ring and is fastened to the clamping ring.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memb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ring and the fastening ring is released, so that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f the clamp is facilitated.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ly to the connection and fastening of various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s well as the continuous fastening of the revetment block.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0)는 비교적 강성(탄성)이 있는 금속선 등을 절곡 하여 구성하며, 그 절곡 된 구조를 살펴보면, 하부 지지부(10)와 상부 지지부(30), 그리고 이들 사이를 잇는 탄성부(20)가 일체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램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lam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wire or the like having a comparatively high rigidity (elasticity). The bent support structure of the clamp 100 includes a lower support portion 10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30, (20) are integrally formed. Th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10)는 지지부(11), 돌출부(13) 및 걸림 고리(14)로 구성되며, 도 3의 (나)와 같이, 지지부(11)는 직선 구조를 가지고, 꺾임부(12)에서 꺾임 된 돌출부(13)는 지지부(11)에 대해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꺾임 되어 경사지게 구성되고, 다시 말해서 지지부(11)을 기준으로 한 평면상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또, 걸림 고리(14)는 돌출부(13) 끝에서 절곡 되어 개방된 구조의 걸림 고리(14)로 형성되며, 이 걸림 고리(14)의 끝은 돌출부(13)와 평행하거나, 또는, 돌출부(13)와 점차 가까워지도록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다.
1 and 3, the lower supporting part 10 is composed of a supporting part 11, a protruding part 13 and a retaining ring 14, and the supporting part 11 The protruding portion 13 bent in the bent portion 12 is bent and inclined so as to maintain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ortion 11. In other words, And the hooking ring 14 is formed by a hooking ring 14 which is bent and opened at the end of the hooking portion 13. The end of the hooking ring 14 is connected to the projecting portion 13 Parallel to each other, or bent toward the projection 13 gradually.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20)는 걸림 고리(14)의 타단의 하부 지지부(10)에서 반원형의 호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이 탄성부(20)에 연속하여 상부 지지부(30)가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elastic portion 20 has a structure bent in a semicircular arc shape at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10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ring 14,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is formed continuously.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30)는 푸시부(31)와 체결고리(33)로 구성하는데, 푸시부(31)는 직선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3의 (나)와 같이, 푸시부(31)는 꺾임부(32)에 의해 꺾여서 완만한 ‘V’형태를 가지며, 또, 체결 고리(33)는 푸시부(31)의 끝에서 내측으로 절곡 되어 개방된 구조의 고리를 형성하는데, 체결 고리(33)의 끝은 푸시부(31)와 평행하거나, 또는, 푸시부(31)와 점점 가까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1 and 3,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includes a push portion 31 and a fastening ring 33. The push portion 31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The pushing portion 31 is bent by the bent portion 32 to have a gentle V shape and the fastening portion 33 is bent inward from the end of the pushing portion 31 The end of the fastening ring 33 is parallel to the pushing portion 31 or has a structure that is closer to the pushing portion 31. [

한편, 하부 지지부(10)와 상부 지지부(30)는 탄성부(20)에 의해 서로 연속된 상태로 연결되며, 도3의 (나)와 같이, 클램프(1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 지지부(10)의 지지부(11)가 수평 한 상태에서, 푸시부(31)는 꺾임부(32)에서 꺾임 되어 약간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향을 들어 올려진 구조를 가지므로, 클램프(100)를 정면에서 보면, 하부 지지부(10)의 지지부(11)와 상부 지지부(30)의 푸시부(31)는 완전히 평행하지는 않고 탄성부(20)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는 구조(서로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도 3의 (나)와 같이, 꺾임부(12)에 의해 꺾임 된 돌출부(13)의 끝은 상부 지지부(30)의 체결 고리(33) 쪽을 향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꺾여져 있다. The low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state by the elastic portion 20 and when the clamp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Since the push portion 3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ush portion 31 is bent upward at the bent portion 32 so as to have a slight angle while the support portion 11 of the clamp 10 is horizontal, The supporting portion 11 of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10 and the pushing portion 31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30 are not completely parallel bu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the distance from the elastic portion 20 increases, 3 (b), the end of the projecting portion 13 folded by the folding portion 12 is bent so as to maintain a certain angle toward the fastening ring 33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s shown in FIG.

또, 도 3의 (가)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지지부(11) 및 돌출부(13)가 수평 한 상태에서, 상부 지지부(30)는 지지부(11)와 완전히 평행하지 않고 약간의 각도를 가지고 꺾인 상태를 가지는데, 도 3의 (가)와 같이, 푸시부(31)의 끝 부분 아래쪽에 돌출부(13)의 끝 부분이 위치되고, 돌출부(13)의 끝쪽 위에 푸시부(31)의 체결 고리(33)가 위치되어, 체결 고리(33)의 폭만큼 지지부(11)가 비틀어진 상태로 꺾인 상태를 가진다.
3 (a),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30 is not completely parallel to the supporting portion 11 but is slightly inclined at a sl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ortion 11 and the projecting portion 13 The end por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13 is positioned under the end portion of the push portion 31 and the end portion of the push portion 31 is positioned on the end of the projecting portion 13 as shown in (a) of FIG. The fastening ring 33 is positioned and the supporting portion 11 is bent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portion 11 is twisted by the width of the fastening ring 33. [

한편, 걸림 고리(14)와 체결 고리(33)는 상부 지지부(30)와 하부 지지부(10)에 의해 형성하는 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 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꺾여서 ‘U'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걸림 고리(14)는 돌출부(13)과 평행하고, 체결 고리(33)는 푸시부(31)와 평행하게 형성하며, 이러한 구조는 클램프(1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걸림 고리(14)와 체결 고리(33)가 각각 지면에 대해 꺾임부(12),(32)의 꺾인 각도가 다르므로, 후에 설명하는 체결 과정에서, 체결 고리(33)가 걸림 고리(14) 사이에 들어가서 이들 체결 고리(33)와 걸림 고리(14)는 서로 걸린 상태, 즉, 체결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체결 상태의 유지는 탄성부(20) 및 꺾임부(12),(32)에 부여된 탄성력에 의해 이들 체결 고리(33)와 걸림 고리(14)는 각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이들은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 할 수 있으며, 이들 각 걸림 고리(14)와 체결 고리(33)의 형태는 클램프(100)의 체결이 가능한 구조에 내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The latching ring 14 and the fastening ring 33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10, The clamping ring 14 is parallel to the protrusion 13 and the clamping ring 33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pushing portion 31. 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when the clamp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Since the angle of deflection of the bent portions 12 and 32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fastening hook 33 differs from that of the fastening hook 33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the fastening hook 33 enters between the fastening hooks 14, The retaining member 33 and the retaining ring 14 are kept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at is, in a fastened state. Such maintaining of the fastened state is achieved by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 20 and the bent portions 12, As the fastening ring 33 and the fastening ring 14 are elastically bia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state, and the form of each of these swivel hook 14 and the fastening ring 33 it may be modified in the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the clamp (100).

이렇게 하부 지지부(10)와 상부 지지부(30)가 탄성부(20)에 의해 일체 된 구조의 클램프(100)는 금속선(예를 들면, 철사, 가는 강봉 등)을 이용하여 절곡에 의해서 제작되는데, 클램프(100)에 사용되는 금속 선은 탄성력과 강성이 우수하고, 일반적인 철사보다 굵은 직경(Ø )이 최소한 3㎜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clamp 100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re integrated by the elastic portion 20 is fabricated by bending using a metal wire (for example, wire, thin steel bar, etc.) Most preferably, the metal wire used for the clamp 100 is excellent in elasticity and rigidity, and has a diameter (Ø) of at least 3 mm larger than that of ordinary wire.

본 발명의 클램프(100)의 하부 지지부(10)의 걸림 고리(14)와 상부 지지부(30)의 체결 고리(33)의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하부 지지부(10)의 하부를 고정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푸시부(31)를 아래쪽인 지지부(11) 쪽으로 누르면, 윗 쪽의 체결 고리(33)가 돌출부(13)의 끝(바깥쪽)을 타고 내려가다가, 체결 고리(33)의 끝단이 돌출부(13)에 닿은 다음,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고리(33)의 끝이 걸림 고리(14) 내부에 끼워지고, 이때 지지부(11)에 가해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체결 고리(33)의 끝이 걸림 고리(14) 내측에 끼움 된 상태에서 탄성부(20)에 의해 도입된 탄성력에 의해 이들을 서로 반대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안정된 상태인 클램프(100)의 걸림이 완료되며, 이때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4의 (라)와 같이, 지지부(11)와 푸시부(31)는 대략 평행한 상태를 가지며, 이러한 클램프(100)의 체결 구조에서 지지부(11)를 눌러서, 걸림 고리(14)가 체결 고리(33)를 벗어나면, 옆으로 약간 힘을 더 주어 체결 고리(33)를 완전히 벗어나도록 하고 놓으면, 원래 모양의 클램프(100)로 복구된다.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fastening ring 33 of the upper support 30 and the fastening ring 14 of the lower support 10 of the c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ushing portion 31 is pushed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11 so that the upper engagement ring 33 descends on the outer end of the projecting portion 13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ring 33 2 and 4, the end of the fastening ring 33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ring 14, and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supporting portion 11 is released, The clamping of the clamp 100 in a stable state due to the elastic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applied by the elastic force introduced by the elastic portion 20 in the state where the end of the loop 33 is fitted inside the latching ring 14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4 (D), the support portion 11 and the push portion 31 are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When the clamping ring 14 is moved out of the clamping ring 33 by pushing the supporting portion 11 in the clamping structure of the clamp 100, the clamping ring 33 is slightly deviated from the clamping ring 33 by slightly applying a force to the side When released, the clamp 100 of the original shape is restored.

아울러, 클램프(10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크기에 따라 클램프(100)는 체결과 분해를 한 손으로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렇게 제작한 클램프(100)에서 하부 지지부(10)의 지지부(11)를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감싸 쥔 다음, 그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지지부(30)의 푸시부(31)에는 자연적으로 엄지손가락이 위치되고, 이들 상부 및 하부 지지부(10),(30)를 감싸 쥔 손에 힘을 주어 누르게 되면, 이들 상부 및 하부 지지부(10),(30)의 끝단에 위치하는 걸림 고리(14)와 체결 고리(33)를 간편히 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amp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the clamp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using a hand that is fastened and disassembled according to its size. In this clamp 100, The support portion 11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10 is wrapped around four fingers except the thumb and then the thumb portion is naturally positioned on the push portion 31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positioned thereon, The fastening hooks 33 and the fastening hooks 14 located at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portions 10 and 30 can be easily fastened can do.

상기에서 설명한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더욱 이해하기 쉽게, 아래의 [이미지 01]에서는 클램프(100)를 한 손으로 쥔 상태를 보여준다.In the following [Image 01], the clamp 100 is grasped by one hand so that the clamping process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more easily.

[이미지 01][Image 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한편, 탄성부(20)는 상부 지지부(30)와 하부 지지부(10)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부 지지부(30)의 움직임에 따른 탄성을 부여하고, 상부 지지부(30)의 꺾임부(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클램프(100)를 잡기 편리한 인체 공학적인 편리함 외에도, 지지부(11)가 완전 직선 형태일 때보다 꺾임부(12)가 있어서 걸림 고리(14)가 체결 고리(33)에서 벗어나려는 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 탄성부(20)와, 상부 지지부(30)의 꺾임부(32) 부분은 탄성력을 강화하도록 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portion 20 integrally connects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10 to provid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bent portion 32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of ergonomic handling for holding the clamp 100 with one hand, there is a bent portion 12 more than when the supporting portion 11 is in a perfectly straight shape, so that the retaining ring 14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ring 33, The elastic portion 20 and the bent portion 32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30 are preferably subjected to heat treatment so as to enhance the elastic for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클램프(100)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호안블록의 체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호안블록(200)을 원하는 위치대로 설치하고, 호안블록(200)의 이웃하는 두 연결부(210)(이웃하는 호안블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주로 돌출된 고리, 홀의 형태로 구성하거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를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간편히 연결하여, 인접 호안블록(200) 간의 연속적인 체결이 완료되며, 이들 인접하는 호안블록(200)의 마주하는 연결부(210) 간의 거리가 하나의 클램프(100)의 길이보다 길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클램프(100)를 서로 체인형태로 연결한 다음 체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램프(100)는 체결이 지극히 용이하고, 각종 토목 구조물 간의 연결, 체결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clamp 100 for fastening a revetment block, the revetment block 200 is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revetment block 200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wo adjacent connecting portions 210 (the connecting portio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connecting the adjacent shore blocks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in the form of protruded rings or holes or in various other form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ng portions 210 of the adjacent revetment blocks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one clamp 100, The c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be fastened and can be widely applied to connection and fastening between various civil structures. will b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100)를 적용하여 호안블록(200)을 연결하게 되면, 포설되는 호안블록(200)의 시공과 이들 호안블록(200) 간의 연결.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앞에서 설명한 방법대로 설치된 클램프(100)는 체결과정과 마찬가지로 상, 하부 지지부(10),(30)을 손으로 감싸 쥐고 눌러서 체결 고리(33)와 걸림 고리(14)의 체결상태를 간편히 해제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호안블록(200)의 시공 후에, 파손된 호안블록(200) 등의 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간편히 교체하거나 제거하기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vetment block 200 is connected by applying the c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revetment block 200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vetment blocks 200. The clamp 100 is fasten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10 and 30 are held by hand and pressed by the clamping ring 33 and the clamping ring 14 in the same manner as the clamp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easily release or replace the damaged state of the revetment block 200 when the reattachment of the revetment block 200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vetment block 200 using the clamp 100 occurs .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다수의 호안블록(200)을 클램프(100)로 연결한 상태를 [이미지 02]에서 보여주고, [이미지 03]에서는 [이미지 02]의 일부를 확대한 것을 보여준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hore protection blocks 200 are connected by a clamp 100 using the clam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Image 02], and in [Image 03], a part of [Image 02] Show enlargement.

[이미지 02][Image 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미지 03][Image 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0)는 체결과 해제가 지극히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호안블록의 체결은 물론 각종 토목 구조물 등의 연결과 체결에 다향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easy structure of fastening and unlocking, and is useful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astening of a revetment block, connection and fastening of various civil structures, and the like.

10 : 하부 지지부 11 : 지지부
12 : 꺾임부 13 : 돌출부
14 : 걸림 고리 20 : 탄성부
30 : 상부 지지부 31 : 푸시부
32 : 꺾임부 33 : 연결부
200 : 호안블록 210 : 고정 고리
10: lower support part 11: support part
12: bent portion 13: protruding portion
14: Retaining ring 20: Elastic part
30: upper support portion 31: push portion
32: bent portion 33: connecting portion
200: Shore block 210: Retaining ring

Claims (3)

강성을 가진 금속선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가 반원호형인 탄성부에서 절곡 되어 일체 된 구조를 가지되;
하부 지지부는 직선 형태인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꺾임부에 의해 꺾임 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 끝에 개방 구조인 걸림 고리를 일체로 구성하고,
탄성부에서 꺾임 된 상부 지지부는 탄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와 벌어지는 구조의 푸시부와, 이 푸시부의 끝에 개방 구조의 체결 고리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돌출부는 꺾임부에서 꺾임 되어 상부 지지부의 체결 고리 쪽을 향하고,
상부 지지부의 끝에 해당하는 체결 고리는 하부 지지부 보다 조금 더 길게 구성되어, 돌출부의 끝 부분에 위치된 걸림 고리의 위쪽에 푸시부의 체결 고리가 위치된 구조의 클램프가 구성됨으로써,
푸시부를 하부 지지부 쪽으로 누르면 체결 고리가 걸림 고리 내부로 끼움 되어 체결되고, 푸시부를 다시 눌러 체결 고리와 걸림 고리의 체결을 해제하면 클램프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클램프.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are bent and integrally formed in a semicircular elastic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linear support portion, a protruding portion bent by the bent portion so as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hooking ring having an open structure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bent in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por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as it goes away from the elastic portion and the fastening ring of the open structur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ush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bent at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astening ring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The clamping ring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part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lower support part and the clamping ring of the pushing part is located above the clamping ring located at the end of the projecting part,
Wherein when the push portion is pushed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the clamp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ring and fastened, and when the pushing portion is pressed again to release the fastening ring and the fastening ring, the fastening of the clamp is released.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부의 푸시부는, 꺾임부에 의해 꺾여서 전체적으로 완만한 ‘V’자 형태로 구성되고, 이 꺾임부에 의하여 상부 지지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력을 더 부여하게 됨으로써,
이 꺽임부에 의하여 상부 지지부는 손에 밀착되는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고, 탄성력이 더 부여됨으로써 체결된 클램프는 해제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bent by the bent portion so as to have a gentle overall shape of 'V'. By this bent por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gives more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has an ergonomic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and, and the clamp, which is fastened by giving more elastic force, is not releas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 하부 지지부에 구비되는 걸림 고리와 체결 고리는,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의해 형성하는 면에 대해서 수직 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이들 걸림 고리와 체결 고리는 안전한 체결 상태의 유지와 해제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클램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Prize. The retaining ring and the retaining ring, which are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These clamping rings and fastening rings are easy to maintain and release in a secure state.
KR20120137350A 2012-11-29 2012-11-29 the multipurpose clamp KR1014839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350A KR101483922B1 (en) 2012-11-29 2012-11-29 the multipurpose c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350A KR101483922B1 (en) 2012-11-29 2012-11-29 the multipurpose c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25A true KR20140073625A (en) 2014-06-17
KR101483922B1 KR101483922B1 (en) 2015-01-21

Family

ID=5112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7350A KR101483922B1 (en) 2012-11-29 2012-11-29 the multipurpose c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9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64A1 (en) * 2016-11-07 2018-05-11 에코캡 주식회사 Headlight module having thin plate type metal pcb
KR20230010534A (en) * 2021-07-12 2023-01-19 정희준 Beam cla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150U (en) * 1989-10-18 1991-06-13
JPH0842524A (en) * 1994-08-02 1996-02-13 Mikio Takeji Clip
JP2001020913A (en) * 1999-07-08 2001-01-23 Norio Matsuura Ring shaped clip
JP2008309329A (en) * 2007-05-16 2008-12-25 Fujikura Ltd Clip for protective tub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64A1 (en) * 2016-11-07 2018-05-11 에코캡 주식회사 Headlight module having thin plate type metal pcb
KR20230010534A (en) * 2021-07-12 2023-01-19 정희준 Beam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922B1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4614A1 (en) Attachment device for fixing various elements to a support
KR101386278B1 (en) Grating stopper
KR101483922B1 (en) the multipurpose clamp
JP2009270719A (en) Installation clip for screw rod
JP5660921B2 (en) Wiring / piping material holder and wiring / piping material fixing method
KR100934473B1 (en) Frame for vinyl house
JP2010268733A (en) Joint
JP6450984B1 (en) Fixture
JP5342723B2 (en) Wiring and piping material support assembly
KR200417714Y1 (en) A cable hanger have a h-beam cramps
JP7015620B2 (en) Attachment for piping support, piping support equipped with it, and piping support mounting structure.
KR100906553B1 (en) Clamp assembly for scaffolding
CN203827246U (en) Elastic connecting element for photovoltaic support
JP7369832B1 (en) Piping fixing fittings
JP4791430B2 (en) Scaffolding plate fixture
JP7279945B2 (en) Equipment mounting bracket
KR100939383B1 (en) Clamp for fixing wire tube
JP7369368B2 (en) cross clip
JP2020101240A (en) Wiring and pipeline material support tool
KR100707795B1 (en) Hanger for constructing cable in the sky
JP3157172U (en) Skirting clip
KR101142661B1 (en) A contract apparatus of frame for fixing ceiling board
JP2004084408A (en) Fitting for temporarily fixing grating
JP2002106175A (en) Curing sheet fixing metal tool
JP2007330042A (en) Metal fitting for fixing support wire of spiral cable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