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353A -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 Google Patents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353A
KR20140073353A KR1020120141505A KR20120141505A KR20140073353A KR 20140073353 A KR20140073353 A KR 20140073353A KR 1020120141505 A KR1020120141505 A KR 1020120141505A KR 20120141505 A KR20120141505 A KR 20120141505A KR 20140073353 A KR20140073353 A KR 20140073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olvent
air
blood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Original Assignee
김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정 filed Critical 김기정
Priority to KR102012014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353A/ko
Publication of KR2014007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41Lung or 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폐암이나 만성 폐질환으로 인해 생체폐가 기능을 잃은 경우에 인공폐를 이용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생체에 이식 가능한 인공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상용화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체용매를 이용하여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혈액응고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폐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공폐는 기체용매, 펌프, 두 개의 기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용매는 많은 양의 산소분자를 운반하고 능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사용할 경우 인공폐를 인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만들 수 있으며, 내부 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혈액응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Implantable artificial lung unsing gas solvent}
본 발명은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에 대한 것이다. 인공폐(artificial lung)는 생체폐를 대체하기 위해 몸 안에 삽입되는 기구이다. 이것은 폐암이나 만성 폐질환으로 인해 생체폐가 기능을 잃은 경우에 생체폐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생체에 이식 가능한 인공폐에 대한 많은 연구와 동물실험이 진행되었는데 지금까지 개발된 인공폐는 크게 intravascular lung assist device (ILAD)와 intrathoracic artificial lung (ITAL)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Intravascular lung assist device (ILAD)는 혈관에 장치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크기에 제한이 있고, 기체교환 능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생체폐를 대체하지 못하였다. Intrathoracic artificial lung (ITAL)은 흉곽 내에 장치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ILAD에 비해 크기에 제한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ILAD과 마찬가지로 폐를 완전히 대체할 만큼 충분한 산소교환 능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없음
1. Steven N. Vaslef, implantable artificial lungs: Fantasy or Feasibility,Eurekah Bioscience, vol. 1, no. 1, pp. 92-101, May, 2005. 2. Hitoshi Satoa, Ichiro Tagab, Takahiro Kinoshitaa, Akio Funakuboc, Shingo Ichibad, and Nobuyoshi Shimizua, in Vitro Evaluation of a Newly Developed Implantable Artifi cial Lung,Acta Med, Vol. 60, No. 2, pp. 113-119, 2006. 3.Australian Safety and Efficacy Register of New Interventional Procedures Surgical, implantable Artificial Lungs, New and Emerging Techniques Surgical, November, 2002
생체폐는 작은 부피로 100m2에 해당하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생체폐가 미세혈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공폐의 혈관 역할을 해 주는 관의 굵기는 적혈구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즉, 적혈구의 크기보다 커야 되고 동시에 충분한 기체교환을 해줄 수 있는 교환면적을 가져야 하므로 인체에 삽입할 수 있을 만큼 작은 크기로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관의 굵기를 최소화할 경우 저항이 커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혈액이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체에 삽입할 수 있고, 혈액응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공폐를 설계하고 이의 실현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Figure 1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공폐의 개념도이다. 인공폐는 기체용매와 기체용매펌프, 두 개의 기체교환기가 있는 구조이다. ①, ②번 기체교환기는 각각 기도와 폐혈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체용매는 펌프에 의해서 두 개의 기체교환기를 순환한다. ①번 기체교환기에서는 공기와 기체용매 사이에서 기체교환이 이루어지고 ②번 기체교환기에서는 기체용매와 혈액 사이에서 기체교환이 이루어진다.
1)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 내부에는 그림 2와 같은 구조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은 막 구조로 되어 있어 공기 내의 산소가 기체용매로 흡수되고 기체용매의 이산화탄소가 공기로 배출된다. 기체용매는 혈액과 달리 응고하는 성질이 없기 때문에 관의 굵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체폐와 같이 좁은 공간에 미세한 구조의 관을 밀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체교환기는 넓은 표면적을 통해 충분한 산소 교환을 할 수 있고, 기체교환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 내부는 그림 3과 같은 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관 역시 막 구조로 되어 있어 기체용매의 산소가 혈액으로 흡수되고 혈액의 이산화탄소가 기체용매로 배출된다. 기체용매는 많은 양의 산소 분자를 함유하고 있고, 능동적으로 산소 분자를 방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좁은 기체 교환 면적으로도 많은 양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교환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혈액과 내부 관 사이에 발생하는 저항을 줄임으로써 혈액 응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의 부피가 줄어들고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의 부피도 줄어든다 따라서 인공 폐의 전체 크기는 줄어들어 인체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에서 혈액과 내부 관 사이에 발생하는 저항을 줄임으로써 혈액 응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전체 구성 요소를 표시한 모식도
도 2는 부분도로서 도1에서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만을 자세히 도시한 것
도 3은 부분도로서 도1에서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 만을 자세히 도시한 것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1은 전체 구성 요소를 표시한 모식도이다
대기중의 공기는 공기를 움직이는 피스톤(11)의 동력에 의해 기도(1)을 통하여 들어와 공기가 흐르는 파이프(3)를 거쳐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내부로 들어가 기체교환을 한 다음 다시 기도(1) 을 통해 나간다. 단방향 흐름 밸브(2)는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내부에서 공기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기체용매 펌프(5)는 기체용매가 흐르는 파이프(4)와 연결되어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과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를 순환하는 기체용매의 흐름을 만든다.
심장으로부터 폐동맥에서 나오는 혈액(9)은 혈액이 흐르는 파이프(6)를 거쳐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 로 들어가 기체교환을 한 다음 다시 폐정맥으로 들어가는 혈액(10) 이 된다.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내부에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이 존재한다.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내부에서 일어나는 기체교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세관 바깥 공간을 흐르는 공기(14)에 포함된 산소는 미세관 안쪽 공간을 흐르는 기체용매(15)로 이동하고 미세관 안쪽 공간을 흐르는 기체용매(15)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미세관 바깥 공간을 흐르는 공기(14) 로 이동한다.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이 존재한다.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 내부에서 일어나는 기체교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세관 바깥 공간을 흐르는 기체용매(16)에 포함된 산소는 미세관 안쪽 공간을 흐르는 혈액(17) 으로 이동하고 미세관 안쪽 공간을 흐르는 혈액(17)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미세관 바깥 공간을 흐르는 기체용매(16)로 이동한다.
1: 기도
2: 단방향 흐름 밸브
3: 공기가 흐르는 파이프
4: 기체용매가 흐르는 파이프
5: 기체용매 펌프
6: 혈액이 흐르는 파이프
7: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
8: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
9: 폐동맥에서 나온 혈액
10: 폐정맥으로 들어가는 혈액
11: 공기를 움직이는 피스톤
12: 심장
13: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
14: 미세관 바깥 공간을 흐르는 공기
15: 미세관 안쪽 공간을 흐르는 기체용매
16: 미세관 바깥 공간을 흐르는 기체용매
17: 미세관 안쪽 공간을 흐르는 혈액

Claims (9)

  1. 내부에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이 존재하는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와;

    내부에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이 존재하는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와;

    대기의 공기가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로 순환할 때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를 움직이는 피스톤(11)과;

    기체용매가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와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 사이를 순환할 때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기체용매 펌프(5);

    를 기본 구성 요소로 하고,

    공기가 흐르는 파이프(3)는 대기중의 공기를 기도내강과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의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바깥 공간으로 보내고 또한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 에서 나오는 공기를 대기로 보내고;

    기체용매가 흐르는 파이프(4)는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의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안쪽 공간과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의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바깥 공간을 연결하여 두 기체교환기(7,8) 사이에서 기체용매가 순환하도록 하고;

    혈액이 흐르는 파이프(6)는 심장의 폐동맥에서 나오는 혈액을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의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안쪽 공간으로 보내고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 에서 나오는 혈액을 심장의 폐정맥으로 보내며,

    공기-기체용매 기체교환기(7)안의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에서는 공기에 포함된 산소가 기체용매로 이동하고 기체용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공기로 이동하고;

    기체용매-혈액 기체교환기(8)안의 기체교환막으로 이루어진 미세관(13) 에서는 기체용매에 포함된 산소가 혈액으로 이동하고 혈액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기체용매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삽입할 수 있는 인공 폐.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를 움직이는 피스톤(11)의 동력으로 전기모터, 가솔린모터, 인공근육, 횡격막과 같은 생체근육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3. 제 1항에 있어서 기체용매 펌프(5)의 동력으로 전기모터, 가솔린모터, 인공근육, 횡격막과 같은 생체근육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용매의 성분으로 perfluorocarbon 계열의 성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용매의 성분으로 적혈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용매의 성분으로 헤모글로빈 또는 헤모글로빈을 변형하여 산소를 포함할 수 있는 단백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7.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용매의 성분으로 마이오글로빈 또는 마이오글로빈을 변형하여 산소를 포함할 수 있는 단백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용매의 성분으로 생물의 혈액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9. 제 1항에 있어서 공기를 움직이는 피스톤(11) 과 기체용매 펌프(5)는 외부에서 타인의 신체를 이용한 기계적인 조작으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폐.
KR1020120141505A 2012-12-06 2012-12-06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KR20140073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505A KR20140073353A (ko) 2012-12-06 2012-12-06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505A KR20140073353A (ko) 2012-12-06 2012-12-06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353A true KR20140073353A (ko) 2014-06-16

Family

ID=5112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505A KR20140073353A (ko) 2012-12-06 2012-12-06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3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715A1 (en) * 2014-10-20 2016-04-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Gated-concentric artificial lung
KR20180039381A (ko) * 2016-10-10 2018-04-18 김기정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WO2019246057A1 (en) * 2018-06-20 2019-12-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mart artificial lung and perfusion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715A1 (en) * 2014-10-20 2016-04-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Gated-concentric artificial lung
KR20180039381A (ko) * 2016-10-10 2018-04-18 김기정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WO2019246057A1 (en) * 2018-06-20 2019-12-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mart artificial lung and perfusion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quiers et al. Contemporar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therapy in adults: Fundamental principles and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Schmid et al. Bridge to lung transplantation through a pulmonary artery to left atrial oxygenator circuit
US10232101B2 (en) Gas exchang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den Uil et al. Primary intra-aortic balloon support versus inotropes for decompensated heart failure and low output: a randomised trial
CN108472424A (zh) 膜式导管
Luc et al. Successful repair of donation after circulatory death lungs with large pulmonary embolus using the lung organ care system for ex vivo thrombolysis and subsequent clinical transplantation
DE102010004600A1 (de) Anordnung mit einer Blutpumpe und einem Gasaustauscher zur extrakorporalen Membranoxygenierung
Cattaneo et al. Compact intra-and extracorporeal oxygenator developments
Abrams et al. Novel use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adults
KR20140073353A (ko) 기체용매를 사용하고 인체에 삽입 가능한 인공 폐
Zhang et al. A novel wearable pump-lung device: In vitro and acute in vivo study
BRPI0917768A2 (pt) dispositivo médico para uso em cirurgia extracorpória
US20160271311A1 (en) Device with a fluid pump, at least two points of access to the abdominal wall and tubes connecting the fluid pump and abdominal wall
Ali et al. Rat model of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on Mach et al. An update on interventional lung assist devices and their role in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Ündar et al. Current devices for pediatric extracorporeal life support and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Miyamoto et al. Hemodynamic evaluation of a new pulsatile blood pump during low flow cardiopulmonary bypass support
CN201067539Y (zh) 一种胸腔穿刺引流装置
Laumen et al. A novel total artificial heart for destination therapy: in-vitro and in-vivo study
Yoo et al. Pneumatic driven pulsatile ECMO in vitro evaluation with oxygen tanks
Hurst et al. The heart‐lung machine was invented twice—the first time by Max von Frey
AU1311000A (en) Mixed-mode liquid ventilation gas and heat exchange
Johnson et al. Superior mesenteric and renal flow patterns during intra‐aortic counterpulsation
Talahma et al. Apnea testing for the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in patients supported b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Gelsomino et al. Short intra-aortic balloon pump in a swine model of myocardial ischaemia: a proof-of-concep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09

Effective date: 201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