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253A -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253A
KR20140073253A KR1020120141282A KR20120141282A KR20140073253A KR 20140073253 A KR20140073253 A KR 20140073253A KR 1020120141282 A KR1020120141282 A KR 1020120141282A KR 20120141282 A KR20120141282 A KR 20120141282A KR 20140073253 A KR20140073253 A KR 2014007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unit
travel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3308B1 (en
Inventor
전홍규
김동현
박찬경
백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08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irflow tunnel. Disclosed is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irflow tunnel comprising multiple supporting units which are installed in a partial section of the traveling route of a vehicle and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traveling route at regular intervals; air discharging nozzles which are fixed to the supporting units and installed to face both directions of the traveling route; an air supplying unit which supplies air to the air discharging nozzles by compressing and generating the air;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ompressed air to be supplied to the air discharging nozzles from the air supplying unit if a vehicle passes through the supplying units and controls the air supplying route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Description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0001]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0002]

본 발명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터널 내부 혹은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하는 물체는 주변 공기에 의해 유동 경계층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표면 마찰 저항을 받게 된다. 물체가 터널 내부를 이동하는 경우,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할 때보다 유동 경계층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공기에 의한 표면 마찰 저항은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 물체가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할 또한 물체와 그 물체 주변의 공기 사이의 상대속도 값이 크기 때문에, 그로 인해 상당한 표면 마찰 저항이 작용하게 된다.An object moving in a tunnel or in a tunnel-free section forms a flow boundary layer by surrounding air and thus receives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When the object moves inside the tunnel, the height of the flow boundary layer is relative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unnel is not moved, so that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air acts more greatly. The relative velocity between the object and the air around the object is large because the object travels through the section without the tunnel, thereby causing significant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따라서, 터널 내부 혹은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하는 물체는, 원하는 속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표면 마찰 저항만큼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표면 마찰 저항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경우, 표면 마찰 저항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결국 표면 마찰 저항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Therefore, an object moving within a tunnel or a tunnel-free section consumes energy equivalent to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in order to move at a desired speed, and as a result, the traveling speed decreases due to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railway vehicle traveling at high speed,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speed, resulting in a further increase in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1. 한국등록특허 제10-0850345호1. Korean Patent No. 10-0850345 2. 한국공개 제10-2007-0010208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10208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경로 상에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차량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 vehicle and improving the traveling speed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energy consumption by forming an air flow tunnel on a traveling path of a vehicle to reduc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는, 차량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installed in a part of a traveling path of a vehic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traveling path; A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provided toward both directions of the traveling path; An air supply unit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path so that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air delivery nozzle from the air supply uni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support unit and compressed air is delive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또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each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entering the support un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entering the support unit, and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djacent to the inlet / outle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or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또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may have an arcuate structure, and an air flow tunnel may be formed by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from the air delivery nozz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ir supply unit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at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는, 차량터널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터널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ir flow tun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s installed in a vehicle tunn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tunnel; A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provided toward both directions of the traveling path; An air supply unit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path so that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air delivery nozzle from the air supply uni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support unit and compressed air is delive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또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each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entering the support un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entering the support unit, and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djacent to the inlet / outle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or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또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may have an arcuate structure, and an air flow tunnel may be formed by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from the air delivery nozz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ir supply unit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at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경로 상에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차량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 vehicle and improving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energy consumption by forming an air flow tunnel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top views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ed in the direction A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ed in the direction B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6 is a view for comparing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vehicl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and the condition where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7 is a front view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top views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ed in the direction A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8.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ed in the direction B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8. FIG.
12 is a view for comparing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vehicl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and the condition where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의 상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top views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는 다수의 지지부(110),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공기 공급부(130), 제어부(140) 및 다수의 센서부(150, 150’)를 포함한다.1 to 3,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n air flow tun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110, a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an air supply unit 130, 140 an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50, 150 '.

다수의 지지부(110)는, 차량(10)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지부(110)는,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10 may be formed in a part of a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traveling path.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supports 110 may have an arcuate structure, and an air flow tunnel may be formed by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from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는, 지지부(110)에 각각 고정되며,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을 향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이란 A 방향을 차량의 정주행 방향이라고 하면, A 방향과 그 A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역주행 방향인 B 방향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는 공기 공급부(1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 받아 A 또는 B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upport portions 110 and can be installed toward the two directions A and B of the travel path, respectively. The two directions (A and B) of the travel route are A direction and A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direction A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A, that is, the direction B is the inverse direction.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can receive the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130 and send the compressed air in the A or B direction.

공기 공급부(130)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고, 생산된 압축공기를 소정의 공압으로 공기송출노즐(12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130 compresses and produces air, and supplies the produced compressed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120 at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제어부(140)는 다수의 센서부(150, 150’)를 통해 검출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기 공급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다수의 센서부(150, 150’)로부터 차량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에 대한 검출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차량(10)이 A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고, 차량(10)의 주행속도가 ‘a’ km/h인 경우, 압축공기가 해당 노즐을 통해 ‘a’ km/h의 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이 지지부(110)를 빠져나간 경우,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공급경로가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해당 노즐로 압축공기가 송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공기공급경로는 차량(10)이 지지부(1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거나, 지지부(110)를 통과한 순서대로 차례로 차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air supply unit 130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50 and 15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can receive detection signals for the presence / absence of a vehicle entering / exiting,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speed from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50 and 150 ' The air supply route of the air supply unit 130 is controll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nozzles of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facing the direction A, and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0 is 'a' km / 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delivery pressure of the air supply unit 130 so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at a speed of 'a' km / h through the corresponding nozzl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air supply path of the air supply unit 130 to be shut off when the vehicle 10 exits the support unit 110 to prevent the compressed air from being sent to the nozzle. At this time, the air supply path may be shut off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10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10, or may be sequentially blocked in the order of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10.

다수의 센서부(150, 150’)는 설치 위치에 따라 제 1 센서부(150)와 제 2 센서부(150’)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50 and 15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nsor unit 150 and a second sensor unit 15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제 1 센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110)의 출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1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두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40)는, 차량이 지지부(110)를 진입하는 시점에서 공기공급경로가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차량(10)이 지지부(1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2, the first sensor unit 15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10. The first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sensor unit 150, a second sensor unit 15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40. Since the first sensor unit 150 can detect whether the vehicle 10 enters or exits from the two positions,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first sensor unit 150 such that the air supply path is open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support unit 110 And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shut off when the vehicle 10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10. [

제 2 센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1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센서부(1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일정 구간마다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40)는 차량(10)의 이동위치에 따라 공기공급경로를 차례로 개방하고 차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1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140 can sequentially open and shut off the air supply path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vehicle 10 because the second sensor unit 150 'can detect whether the vehicle 10 enters / hav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in the direction A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100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in a direction B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100 shown in FIG.

차량(10)이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를 통과할 경우, 우선, 센서부(150)는 차량(10)의 움직임과 주행방향을 검출하고, 차량(10)의 진입여부와 진입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센서부(150)는 진입하는 차량(10)의 진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 passes through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100, the sensor unit 150 first detects the movement an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10 is approaching or not, To the control unit 140. [0034] FIG.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5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10 enters the vehicle 10 in the direction A and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40, as shown in FIG. Or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10 in the direction B as shown in FIG. 5,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40. [0054] FIG. At the same time, the sensor unit 150 can detect the traveling speed of the entering vehicle 1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40.

제어부(140)는, 센서부(140)로부터 각각의 검출 신호를 입력 받고, 공기 공급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A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B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중 B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해당 노즐을 통해 송출되는 압축공기가 차량(10)의 진행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sensor unit 140 and can control the air supply unit 130.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 travels in the A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air delivery nozzles 120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nozzles facing the A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5, when the vehicle 10 travels in the B direction, air supply of the air supply unit 130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nozzles of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120 toward the B direction, You can control the path.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air delivery pressure of the air supply unit 130 so that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through the nozzle may be delivered at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0. [

이에 따라,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는, 차량(10)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차량(10)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유동하는 공기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Thus,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100 can form an air tunnel which surrounds the vehicle 10 and flow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10. [

도 6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for comparing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vehicle in the absence of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100 and in the presence of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6의 (a)는 공기유동터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a의 속도(V1)로 주행하는 차량(10)의 표면마찰저항(F)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면마찰저항(F)은 하기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6 (a) shows a surface friction resistance F of the vehicle 10 traveling at a speed V1 in a state in which an air flow tunnel is not formed. Here, the surface friction resistance (F)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는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 값, μ는 공기의 점성계수, dv는 주행하는 차량(10)과 그 차량(10) 주변의 공기 간의 상대속도, y는 차량(10) 주변에 형성되는 유동 경계층의 높이, 그리고 S는 이동하는 차량(10)의 표면적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의 주변 공기의 속도(V1)는 ‘0’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경우, 주행하는 차량(10)의 속도(V2)가 증가할수록 주변 공기와의 상대속도(dv)가 점차 증가하게 되어,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F)이 증가하게 된다.D is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traveling vehicle 10 and the air around the vehicle 10 and y is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vehicle 10 and the vehicle 10. In this case, F is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vehicle 10, ), And S is the surface area of the moving vehicle 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velocity V1 of the ambient air of the vehicle 10 is regarded as '0'. In this case, as the speed V2 of the running vehicle 10 increases, the relative speed dv with respect to the ambient air gradually increases, and the surface friction resistance F of the vehicle 10 increases.

그러나, 도 6의 (b)와 같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게 되면, 주행하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증가하고, 차량(10)과 그 차량(10) 주변의 공기 사이의 상대속도(dv)가 감소됨으로써,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F)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적으로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차량(10)의 주행속도(V1)과 같을 경우, 표면 마찰 저항(F)은 ‘0’에 가깝게 된다.
6 (b), the air velocity V2 around the traveling vehicle 10 increases, and the air velocity V2 around the vehicle 10 increases. As a result, As the relative speed dv is reduced,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F of the vehicle 10 is reduced. Ideally, when the air velocity V2 around the vehicle 10 is equal to the running velocity V1 of the vehicle 10,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F becomes close to zero.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의 상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top views of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는 다수의 지지부(710),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공기 공급부(730), 제어부(740) 및 다수의 센서부(750, 750’)를 포함한다.7 to 9,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710, a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an air supply portion 730, 740 an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750, 750 '.

다수의 지지부(710)는, 차량(10)의 주행경로 중 차량터널(20)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며, 차량터널(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지부(710)는,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터널(20) 내부 벽에 고정되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s 710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unnel 20 in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surround the vehicle tunnel 20.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supports 710 is formed in an arcuate structure and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tunnel 20, and can form an air flow tunnel by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from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는, 지지부(710)에 각각 고정되며,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을 향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이란 A 방향을 차량의 정주행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A 방향과, 그 A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역주행 방향에 해당하는 B 방향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는 공기 공급부(7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 받아 A 또는 B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upport portions 710 and can be respectively installed toward the two directions A and B of the travel path. The two directions A and B of the travel route can be defined as the A direction and the B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inverse travel, assuming that the A direction is the normal trave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can receive the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730 and send them in the A or B direction.

공기 공급부(730)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고, 생산된 압축공기를 소정의 공압으로 공기송출노즐(72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730 compresses and produces air, and supplies the produced compressed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720 at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제어부(740)는 다수의 센서부(750, 750’)를 통해 검출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기 공급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40)는, 다수의 센서부(750, 750’)로부터 차량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에 대한 검출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차량(10)이 A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고, 차량(10)의 주행속도가 ‘a’ km/h인 경우, 압축공기가 해당 노즐을 통해 ‘a’ km/h의 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차량(10)이 지지부(710)를 빠져나간 경우,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공급경로가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해당 노즐로 압축공기가 송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공기공급경로는 차량(10)이 지지부(7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거나, 지지부(710)를 통과한 순서대로 차례로 차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40 can control the air supply unit 730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750 and 75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40 can receive detection signals for the presence / absence of a vehicle entering, traveling, and traveling speed from a plurality of sensor units 750 and 750 ' The air supply path of the air supply unit 730 is controll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nozzles of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in the direction of A, and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10 is 'a' km / 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delivery pressure of the air supply unit 730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corresponding nozzle at a speed of 'a' km / h. The control unit 740 controls the air supply path of the air supply unit 730 to be blocked when the vehicle 10 exits the support unit 710 so that the compressed air is not sent to the nozzle. At this time, the air supply path may be shut off at a time when the vehicle 10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710, or may be sequentially blocked in the order of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710.

다수의 센서부(750, 750’)는 설치 위치에 따라 제 1 센서부(750)와 제 2 센서부(750’)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750 and 75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nsor unit 750 and a second sensor unit 75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제 1 센서부(7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710)의 출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7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두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740)는, 차량이 지지부(710)를 진입하는 시점에서 공기공급경로가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차량(10)이 지지부(7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8, the first sensor unit 750 can b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710, and can detect the presence / absence of entry / exit of the vehicle 10, And can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740. The first sensor unit 750 can detect the entry / exit of the vehicle 10 at two positions, so that the control unit 740 controls the first sensor unit 750 such that the air supply path is open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support unit 710 And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shut off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10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710. [

제 2 센서부(7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7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센서부(7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일정 구간마다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740)는 차량(10)의 이동위치에 따라 공기공급경로를 차례로 개방하고 차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unit 750 'may be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7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740 can sequentially open and shut off the air supply path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vehicle 10 because the second sensor unit 750 'can detect whether the vehicle 10 enters / have.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700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700 shown in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in the direction B in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700 shown in FIG.

차량(10)이 차량터널(20) 내부에 설치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를 통과할 경우, 우선, 센서부(750)는 차량(10)의 움직임과 주행방향을 검출하고, 차량(10)의 진입여부와 진입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센서부(750)는 진입하는 차량(10)의 진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 passes through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700 installed in the vehicle tunnel 20, the sensor unit 750 first detects the movement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 To the control unit 740. The control unit 7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40 and the control unit 740, For example, the sensor unit 75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vehicle 10 has entered the vehicle 10 in the direction A and the travel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and may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740. Or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10 in the direction B as shown in FIG. 11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740. FIG. At the same time, the sensor unit 750 can detect the traveling speed of the entering vehicle 1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740.

제어부(740)는, 센서부(740)로부터 각각의 검출 신호를 입력 받고, 공기 공급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A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B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중 B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해당 노즐을 통해 송출되는 압축공기가 차량(10)의 진행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40 receives the respective detection signals from the sensor unit 740 and can control the air supply unit 730.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 travels in the A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ler 740 controls the air blown out of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nozzles facing the A direction Or when the vehicle 10 travels in the direction B as shown in FIG. 11, air supply of the air supply unit 730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nozzles of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720 toward the direction B You can control the path. The control unit 740 can control the air delivery pressure of the air supply unit 730 so that the compressed air sent out through the corresponding nozzle can be delivered at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0. [

이에 따라,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는, 차량(10)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차량(10)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유동하는 공기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apparatus 700 can form an air tunnel which surrounds the vehicle 10 and flow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10. [

도 12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comparing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vehicl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and the condition where the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우선, 도 12의 (a)는 공기유동터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a의 속도(V1)로 주행하는 차량(10)의 표면마찰저항(F)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면마찰저항(F)은 하기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12 (a) shows a surface friction resistance F of the vehicle 10 traveling at a speed V1 in a state in which an air flow tunnel is not formed. Here, the surface friction resistance (F)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F는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 값, μ는 공기의 점성계수, dv는 주행하는 차량(10)과 차량터널(20)의 내부 벽 간의 상대속도, dy는 차량(10) 주변에 형성되는 유동 경계층의 높이(차량(10)과 차량터널(20)의 내부 벽 사이의 거리에 해당함), 그리고 S는 이동하는 차량(10)의 표면적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차량터널(20)의 내부 벽의 속도(V1)는 ‘0’이 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터널(20) 내부를 지나는 차량(10)은 터널이 없는 경우보다 유동 경계층의 높이(dy)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공기에 의한 마찰 저항은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D is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traveling vehicle 10 and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tunnel 20 and dy is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vehicle 10 and the vehicle 10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 and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tunnel 20), and S represents the surface area of the moving vehicle 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peed V1 of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tunnel 20 becomes '0'.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dy of the flow boundary layer of the vehicle 10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vehicle tunnel 2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tunnel without the tunnel, th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the air becomes larger.

그러나, 도 12의 (b)와 같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게 되면, 즉 차량터널(20)의 내부 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 즉 주행하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증가하고, 차량(10)과 그 차량(10) 주변의 공기 간의 상대속도(dv)가 감소됨으로써,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F)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적으로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차량(10)의 주행속도(V1)과 같을 경우, 표면 마찰 저항(F)은 ‘0’에 가깝게 된다.
However, if the air flow tunnel is formed as shown in FIG. 12 (b), that is, the velocity of the air mov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tunnel 20, that is, the air velocity V2 around the traveling vehicle 10 increases And the relative speed dv between the vehicle 10 and the air around the vehicle 10 is reduced so that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F of the vehicle 10 is reduced. Ideally, when the air velocity V2 around the vehicle 10 is equal to the running velocity V1 of the vehicle 10,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F becomes close to zer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경로 상에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여 차량의 표면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차량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air flow tunnel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to reduce the surfac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vehicle and improve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energy consumption .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100, 700: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110, 710: 지지부
120, 720: 공기송출노즐
130: 730: 공기 공급부
140, 740: 제어부
150, 150’, 750, 750’: 센서부
100, 700: Air flow tunnel generator
110, 710:
120, 720: air delivery nozzle
130: 730: Air supply
140, 740:
150, 150 ', 750, 750': sensor unit

Claims (10)

차량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installed in a part of a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traveling path;
A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provided toward both directions of the traveling path;
An air supply unit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at the air supply uni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support unit and controlling the air supply path so that compressed air is delive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rein said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detecting presence / absence of entry of the vehicle into / from the support unit, presence / absence of advancement of the vehicle from the support unit, and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on a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djacent to the inlet / outle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or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has an arcuate structure, and the air flow tunnel is formed by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from the air delivery nozz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at a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차량터널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터널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A plurality of support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unn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tunnel;
A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provided toward both directions of the traveling path;
An air supply unit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to the air delivery nozzle at the air supply uni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support unit and controlling the air supply path so that compressed air is delive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rein said air flow tunne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detecting presence / absence of entry of the vehicle into / from the support unit, presence / absence of advancement of the vehicle from the support unit, and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on a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djacent to the inlet / outle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or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has an arcuate structure, and the air flow tunnel is formed by the compressed air delivered from the air delivery nozz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elivery nozzles at a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KR1020120141282A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KR101443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82A KR101443308B1 (en)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82A KR101443308B1 (en)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53A true KR20140073253A (en) 2014-06-16
KR101443308B1 KR101443308B1 (en) 2014-09-26

Family

ID=5112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282A KR101443308B1 (en)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3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703B1 (en) * 2020-02-05 2020-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duction device of pressure rising in tunnel by using high performance cross-section nozz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241B1 (en) 2018-02-15 2018-12-04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10913178B2 (en) 2018-02-15 2021-02-09 Electricwaze LLC Conduit segment casting mold and method of forming a conduit seg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499A (en) * 1990-03-19 1991-12-03 Nissin Electric Co Ltd Tunnel ventilation device
JPH0559900A (en) * 1991-08-28 1993-03-09 Mitsubishi Heavy Ind Ltd Tunnel
JP2002201900A (en) * 2000-12-27 2002-07-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Tunnel ventilator
JP2010116734A (en) * 2008-11-13 2010-05-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Upper and lower line connecting type high-speed air current circulation tu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703B1 (en) * 2020-02-05 2020-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duction device of pressure rising in tunnel by using high performance cross-section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308B1 (en)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308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US9738337B2 (en) Climbing robot vehicle
CN111770870A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ck direction of vehicle
US10610916B2 (en) Device for discharging exhaust air from the surroundings of a metal strip
US20170313369A1 (en) Climbing Robot Vehicle
JP2013121536A5 (en)
DK2668875T3 (en) Modu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fluid curtain
JP6669684B2 (en) Draft chamber with wall jet
KR101328749B1 (en) Active type residual pressure system for subway flatform
CN101277890B (en) Elevator apparatus
JP2010116075A (en) Multiple-car train
KR20180011369A (en) Reduction device to control wind speed and pressure induced by train draft in subway tunnel
JP2018115480A (en) Negative pressure wave generator
JP2010076619A (en) Railroad vehicle
JPH08200758A (en) Ventilating method and parking place ventilating system
US20220205658A1 (en) Air circulation device
JP6917755B2 (en) Micro-pressure wave reduction device
CN203823891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40025805A (en) The structure for for the pressure-drop prevention and low-maintenance in the ventilation shaft of the subway tunnel using guide vane
US9140676B2 (en) Smok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moke detection system
EP3359446B1 (en) Aircraft cabin air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and system using passive air flow
JP2009012927A (en) Air-conditioning system in clean carrying device
WO2021208959A1 (en) Air amplifier ventilation (aav) system
KR20080080842A (en) A pneumatic carrier system
JP2023146138A (en) Dust remov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