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482A -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482A
KR20140072482A KR1020120140033A KR20120140033A KR20140072482A KR 20140072482 A KR20140072482 A KR 20140072482A KR 1020120140033 A KR1020120140033 A KR 1020120140033A KR 20120140033 A KR20120140033 A KR 20120140033A KR 20140072482 A KR20140072482 A KR 2014007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virtual character
information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773B1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2014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 예 1.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TV 장치 내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 화면 및 기능 조작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 TV 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컨에는 터치 스크린과 영상 재생 수단이 함께 구성된 터치 화면을 구성하여서, 상기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치 및 터치 제스쳐 정보가 리모컨으로부터 TV 장치 측으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게 구성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가 수신된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자신의 화면 상의 매칭되는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을 생성하고, 이를 가상 캐릭터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동작되게 제어 하는 구성과, 리모컨의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가 자신의 화면과 기능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제어되어 조작된 TV 화면을 TV 장치가 다시 리모컨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교신을 리모컨 상에서의 터치 조작이 없을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실시 예 2.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TV 장치 내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 화면 및 기능 조작 수단이 포함되게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 TV 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컨에는 버턴과 터치 스크린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서, 상기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 치 및 터치 제스쳐 정보가 리모컨으로부터 TV 장치 측으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게 구성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가 수신된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자신의 화면 상의 매칭되는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을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을 생성하고, 가상 캐릭터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동작을 제어 하는 구성과,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가 자신의 화면과 기능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제어되어 조작된 TV 화면을 TV 장치가 다시 리모컨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교신을 리모컨상에서의 터치 조작이 없을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Description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스마트 TV 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방송용의 영상을 수신하여 일방적으로는 영상을 표현 하던 TV 장치가 종래 있었다. 이러한 종래 TV 장치는 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송신하는 영상을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형태의 TV 장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영상을 요청할 수도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 기술은 IPTV 가 있었다. 즉, 사용자와 TV 장치가 리모컨을 통하여 상호 교신을 하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사용자 TV 측으로 전송하면, 이를 사용자 TV 는 IPTV 사업자 서버 측으로 전송하여서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인 사용자만의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최근의 TV 기술은 TV 에서도 인터넷 망에 연결된 외부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다양하게 전송 받아서 시청할 수 있게 되는 스마트 TV 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TV 는 인터넷 망을 연결할 수 있는 셋톱박스를 내장시키거나 외장시켜서 PC 처럼 웹 브라우징 과정에서 열었던 다양한 창을 연결하는 탭들을 동 시에 한 화면상에서 보여줄 수도 있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TV 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의 스마트 TV 는 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TV 영상뿐만 아니라, 웹 상의 다양한 정보들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인터넷 망을 통하여 스마트 TV 와 연동시켜서 사용자의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에서 재생되던 콘덴츠가 스마트 TV 화면을 통해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즉, 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전송해주는 TV 영상의 수신 및 재생뿐만 아니라, 개인 취향에 따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게임을 즐기거나 또는 각종의 멀티미디어도 다운받아 즐길 수 있으며, 각종 웹 페이지를 PC 처럼 보여 줄 수도 있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 TV 장치들에 있어서, TV 조작은 주로 다수의 버튼이 설치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버튼을 조작하여서 실시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TV 에서는 화면중의 커서를 리모컨의 특정 마우스 기능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메뉴를 클릭하는 형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채널을 선택하거나 음량을 조절하거나, 화면의 밝기나 색상 등을 특정의 해당 버튼 조작으로 조절하고 있었다. 만약 다수의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가 어떤 메뉴를 선택하여 어떤 기능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는 해당 버튼을 누르면 TV 화면상 일 측에 다수의 메뉴들이 표시된 메뉴 판이 표시되고, 상기 메뉴 판에는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커서가 해당 메뉴를 지적하거나, 또는 해당 메뉴의 색상을 달리 표현함으로써 현재 상태에서 설정된 메뉴 임을 표시하는 메뉴 판이 제시되고,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서 위치 변동 버튼이나 마우스 기능의 수단을 조작하여 메뉴 판 상의 커서 표시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메뉴 위치에 커서를 이동한 후에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 있었다.
볼륨 조절의 경우에는 음량 조절 버튼을 누르면 긴 막대 형태의 현재의 볼륨 크기가 표시된 형태의 막대 그림이 나타나게 하고, 사용자가 또 다른 버튼인 볼륨 증가를 지시하는 볼륨 증가 버튼을 누르면 매번 누를 때마다 일정 폭씩 막대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볼륨이 증가하고, 또한 볼륨 감소 버튼을 누르면 매번 누를 때마 일정 간격씩 볼륨 크기 표시 막대 표시가 감소하는 형태의 그림을 표시되게 하면서 볼륨 감소를 조작하고 있었다.
TV 화면상에서 어떤 문장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철자나 부호를 지시하는 버튼들이 배치된 리모컨상의 자판으로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여 이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무선으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화면상의 커서가 위치한 위치에서부터 글자가 입력되게 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다수의 버튼이 구성된 리모컨을 이용한 각종의 메뉴 선택이나 글자 입력 방식은 수 많은 버튼들을 필요로 하고, 또한 사용자는 각 버튼마다의 기능을 숙지하여야만 사용 할 수 있는 사용상의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 0980741 및 특허 공개번호 2011-0134810 이 있었다. 이 기술은 리모컨의 많은 버튼을 없앨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기술로써 터치 화면을 갖는 리모컨을 구성하고, 상기 리모컨과 TV 장치가 상호 교신 으로 TV 상에 표시되는 메뉴 판이 사용자의 리모컨 상의 터치 화면 창상에도 표시 되게 하여서, 리모컨 상의 터치 화면상에서 해당 메뉴를 터치하면 이 터치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어 해당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게 한 구성이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 제 0980741 및 특허 공개번호 2011-0134810 인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리모컨 터치 화면상에서 손 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 가락의 위치를 옮기면 TV 화면상의 커서도 이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동작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즉, 상기 대한민국 특허 제 0980741 및 특허 공개번호 2011-0134810 인 종래 기술은 TV 화면상의 커서를 리모컨 상의 터치 화면(스크린)상에서의 터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커스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하고 있었다. 또한 글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TV 화면에 표시된 글자의 철자들이 표시된 자판 메뉴를 리모컨 측으로도 전송하여서 리모컨 터치 화면상에 표시된 자판 메뉴에서 글자를 텃치하여 입력하면 이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어서 TV 화면 상의 자판 상에서 특정 철자를 지정한 것으로 인식하여 글자가 입력되게 한 구성이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 제 0980741 및 특허 공개번호 2011-0134810 인 종래 기술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리모컨의 버튼을 대신하여 리모컨 상의 터치 화면에서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필요한 위치로 손가락을 이동시키고, 이때의 리모컨의 터치 화면상에서의 터치 및 이동 정보(제스쳐 정보)를 TV 측으로 전송하여 TV 화면 상의 커서를 움직이게 한 것이었다. 또한 메뉴 판이 있는 경우에는 메뉴 판의 영상 정보를 TV 장치로부터 전송 받아서 리모컨의 터치 화면상에 표시하 여서, 리모컨 터치 화면상에 표시된 메뉴판을 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터치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리모컨의 버튼을 이용하던, 또는 터치 화면으로 하던 결과적으로 TV 화면 상의 커서를 매개로 하여 화면 조작을 명령하였고, 커서를 매개로 하여 어떤 위치를 지적하는 것은 인간의 직관적이고 자연스런 행동 형태와 일치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인간의 자연스런 행동 양태는 중간의 어떤 매개체(예: 커서)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신의 신체(예: 손가락)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조작하려 하는 것이 특징인데, 종래 기술들은 이러한 인간의 자연스런 행동 형태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제 0980741 및 특허 공개번호 2011-0134810 는 TV 장치 화면에 표시된 메뉴 판 정보만을 리모컨 화면 상에 표시되게 한 후에 리모컨 상에서 선택하게 함으로 인하여 메뉴 선택이 아닌 화면의 이동이나 확대와 같은 종래 태블릿 PC 의 화면 조작과 같은 다양한 화면 조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TV 원격 제어 기술은 화면 조작을 위하여 커서라는 중간 매개체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TV 를 제어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직관적이고 자연스런 인간의 동작 형태와는 달라서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대로, 인간의 자연스런 행동 양식은 어떤 것을 선택 할 때엔 직접적으로 손으로 그것을 지적하고, 자신의 신체인 손으로 직접적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를 취할 뿐 어떠한 중간 매개체를 이용하여 어떤 위치를 지적하거나 이동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지만, 종래 기술들은 이러한 인간의 행동 양식을 따르지 않아서 인간의 자연스런 행동 양식과는 다른 양식으로 실행할 것을 사용자들에 강요함으로써 사용상의 자연스러움이 없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제안된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에서의 화면 이동, 화면 확대와 같은 다양한 화면 조작효과가 TV 장치에서도 실행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스마트 TV 는 TV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고, 또한 PC 처럼 다양한 웹 브라우징을 동시에 여러 종류를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인간의 직관적이고 자연스런 행동 양식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적용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에서의 다양한 화면 조작 효과가 원격에서 시청하는 스마트 TV 에서도 실현될 것이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 기술에서는 아직 이를 실현하지 못 하고 있었다.
스마트 TV 는 원격에서 시청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는 종래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에서 구성되었던 터치 화면이 구성되어 있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직관적이고 자연스런 행동 양식에 부합하는 손으로 조작하는 형태의 화면 조작 형태의 UI 가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아직 그런 기술이 제안되지 않고 있었다.
터치 화면을 갖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에서 실현되고 있는 다양한 터치 방식의 화면 조작 효과를 원격에서 시청하는 스마트 TV 장치에서도 실현되게 한다.
스마트 TV 내에 인터넷 접속 수단과, TV 영상 수신 및 재생 수단과, 동시 다중 브라우징 운영(멀티 태스킹) 수단과, 외부 리모컨상의 터치 스크린 조작에 대응하여 TV 화면을 조작하게 한다.
TV 장치의 화면 조작은 드래그 앤 드롭, 스코롤, 바운스 백, 확대 및 축소 등 기존의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에서의 화면 조작 기능을 모두 갖게 한다.
TV 장치와 리모컨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수단을 설치한다.
TV 장치의 화면 영상 정보가 리모컨 측으로 전송되고, 리모컨 상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게 한다.
리모컨은 터치 스크린과 함께 영상 재생 수단을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 방법으로는, 리모컨은 터치 스크린 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TV 장치 내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을 생성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은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터치 정보에 대응하여 이동하고 동작하게 한다.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끝 부위의 TV 장치 화면상에서의 위치는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실시 예 1.
본 실시 예 1 에서는 본 발명의 리모컨에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영상 재생 수단(이하 "터치 화면"이라 칭한다)이 구성되고, 또한 TV 장치와 무선 교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게 구성된다.
리모컨 1(2) 측으로부터 특정한 조작을 지시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한 TV 장치(1)는 지시되는 명령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후 이 영상을 무선 통신 수단(6)을 통하여 리모컨 1(2) 측으로 재전송한다. 만약 리모컨 1(2)으로부터 지시되는 명령이 현재 TV 장치(1)의 화면 영상 정보 전체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TV 장치(1)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TV 장치(1)의 화면 전체의 영상 정보를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한다. 만약 리모컨 1(2)의 지시가 특정 메뉴 판 제시를 지시하는 명령 신호인 경우에는 TV 장치(1)의 화면에 메뉴 판(11)을 표시한 상태에서 이 메뉴 판(11)이 표시된 TV 장치의 화면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 수단(6)을 통하여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TV 장치(1)의 화면상에는 메뉴 판(11)을 표시하지 않은 채로 리모컨 1(2) 측으로만 메뉴 판(11) 영상 정보를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리모컨의 1(2) 터치 화면(터치 스크린 + 영상재생 수단)에서는 TV 장치(1)에서 전송된 영상이 재생되고, 이 영상이 재생중인 터치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가 무선 통신 수단(6)을 통하여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된다.
리모컨 1(2)이 전송하는 터치 스크린 위에서의 대한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1)는 자신의 화면을 조작하여 TV 장치(1)의 화면 영상으로써 디스플레이 시킨 후 이 영상 정보를 리모컨 1(2) 측으로 다시 전송한다.
일정 시간 내에 리모컨 1(2) 측으로부터 어떠한 터치 및 제스처 정보가 없으면 TV 장치(1)는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하던 영상 정보 전송을 중단하고 수신 스탠바이 상태로 돌입한다.
TV 장치(1)는 수신 스탠바이 상태에서, 만약 리모컨 1(2) 측으로부터 특정한 화면을 요청하는 신호(예: 메뉴 판 보기를 지시하는 신호) 가 다시 접수되면, 상기 TV 장치(1)는 이에 따라 재생중인 화면 영상에 지시된 영상으로 조작된(예: 재생중인 영상에 겹쳐서 메뉴 판이 표시된 영상)을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컨 상에 다시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리모컨의 터치 화면상에서 터치 조작하면 이 조작 신호가 리모컨 1(2) 으로부터 TV 장치(1)측으로 다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리모컨 1(2) 상의 사용자가 실시한 터치 화면 조작 신호에 따라 TV 장치는 자신의 화면을 변화 조작시킨 후에 이 영상을 리모컨 측으로 다시 전송하여 리모컨 상의 화면에 또 다시 표시된다. 이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리모컨 1(2) 상에서 사용자가 또 다시 터치 화면에서 터치 조작을 하면, 이 조작 신호가 다시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어서 TV 장치(1)는 이에 따른 화면을 또 다시 조작한 후 조작된 영상을 다시 리모컨 측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리모컨 측으로부터 아무런 화면 터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TV 장치는 더 이상 재생중인 영상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채로 수신 스탠바이 상태로 돌입한다.
실시 예 2.
본 실시 예 2 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한다.
리모컨은 터치 화면과 텃치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 수단을 갖고 실시 예 1 과는 달리 영상을 재생하는 수단은 구성되지 않는다.
리모컨은 TV 장치 측으로 리모컨 상의 텃치 화면의 텃치 및 터치 제스쳐 정보만 전송하고, TV 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자신의 화면을 조작한다.
TV 장치에는 가상 손 생성 수단을 갖는다.
상기 가상 손은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텃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화면상에서 이동되고 TV 화면상의 메뉴나 아이콘을 클릭하는 동작을 보여주게 구성된다.
상기 가상 손의 손가락 조작 정보에 따라 TV 장치는 자신을 제어하여 자신의 화면이나 기능들을 조작한다.
상기 가상 손의 텃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는 볼륨 제어, 메뉴 선택, 화면 이동, 화면 확대 등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에서 실현되는 다양한 화면 조작 기능이 원격에서 시청하는 스마트 TV 화면상에서도 실현되는 효과가 있다.
[구성]
실시 예 1.
본 실시 예 1 은 리모컨 1(2)이 터치 화면(7)(영상 재생 수단과 터치 스크린이 겹쳐진 상태로 설치 된 구성, 이하 터치 화면이라 칭한다)을 갖게 구성하고, TV 장치(1) 내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을 설치하고, 리모컨 1(2)과 TV 장치(1)가 상호 무선 통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예이다.
본 실시 예 1 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 TV 장치는 유무선의 디지털 TV 영상 수신 수단 및 재생 수단과, 인터넷 접속 수단과 주문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셋톱박스 수단과,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과, 화면 및 기능 조작 수단, 리모컨 1(2)과 상호 교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리모컨 1(2)은 터치 화면(7)(터치 스크린이 겹쳐지게 설치된 영상 재생 수단)과, TV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6)과, 버튼과,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5) 및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에서 실시된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터치된 위치에 매칭되는 TV 장치 화면상의 위치에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끝 부위가 위치하도록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게 하고, 또한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영상이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TV 장치(1)의 각종 기능 제어 및 화면 제어 수단은 리모컨 1(2)으로부터 수신한 터치 및 제스쳐 정보 및 버튼 조작 정보에 따라 스마트 TV 장치의 각종 기능(예: 볼륨, 화면 조정 등) 및 TV 장치(1)의 화면 조작이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TV 장치(1)의 각종 기능 제어에는 볼륨 제어, 화면 밝기 제어, 화면 조 정 제어 등의 종래의 기본적인 TV 기능 제어들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상기 TV 장치(1)의 화면 조작은 종래의 컴퓨터에서 실시되던 각종 화면조작 기능들, 예를 들어, 화면 확대 축소, 드래그 앤 드롭, 메뉴 선택, 스코롤, 페이지 넘김 모습의 영상 제어 등 기존의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에서 터치 화면으로 조작되던 각종의 화면 조작 기능들이 모두 포함된다.
TV 장치(1)는 리모컨 1(2)으로부터 수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조작한 자신의 조작된 화면 영상 정보를 리모컨 1(2) 측으로 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 1(2)은 TV 장치(1)에서 전송하는 TV 화면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에서 재생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 1(2)은 자신의 터치 화면 상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 및 버튼 조작 정보를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TV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 1(2)은 터치 화면(7) 주변에 TV 측으로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터치 화면(7)과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에는 TV 장치에서 전송된 한 화면 전체의 영상이 재생된다. 또는 필요 시엔, TV 장치(1)의 전체 화면 대신에 조작에 필요한 특정의 메뉴 판 정보만 전송되게 한 후에 이를 리모컨 상에서 재생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대응하는 TV 장치(1)의 화면 조작 방법은 미리 프로그램되어 TV 장치의 제어 부 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영상은 다양한 형상들을 미리 내장시킨 후에 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에서 특정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TV 화면 상의 매칭되는 아이콘 위치에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끝 부위가 위치하게 구성된다.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특정 아이콘상에 위치하면 이때 TV 장치(1)의 화면 상의 해당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후 하이라이트 된 아이콘이 클릭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는 조작을 사용자가 리모건 1(2) 상에서 실시하면, 이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 된 아이콘에 연결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게 구성된다.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서 손가락(4)으로 임의의 위치에 터치하면, 터치된 위치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상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손가락 끝 부위가 위치하고, 손가락(4)이 터치 화면(7) 상에서 터치된 상태에서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위를 이동시키면, 상기 가상 캐릭터의 손가락(5)도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에 의해서 같은 방향과 속도로 이동하며, 만약 가상 캐릭터의 손가락(5)이 TV 장치(1)의 화면 상의 특정 아이콘 위에 위치하면 해당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아이콘이 클릭 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되면 클릭한 것으로 간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된 상태에서 가상 캐릭터 손 가락(5)이 다시 한번 더 해당 아이콘을 재 터치하는 동작을 하도록 리모컨 1(2) 상의 터치 화면 상에서 손가락을 뗐다가 다시 터치 함으로써 해당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의 터치 정보 및 터치 상태에서의 손가락(4) 이동 정보는 리모컨 터치 화면 상의 터치된 좌표 정보 및 상기 터치 위치 좌표의 이동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TV (1)장치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상의 터치 정보는 리모컨 터치 화면(7) 상의 좌표 정보와 함께 리모컨 상에서의 클릭 손동작에 따른 동일 위치에서의 재 터치 여부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의 터치 화면상의 터치 제스쳐 정보는 리모컨 터치 화면(7) 상의 터치된 회수 정보 및 터치된 좌표 정보의 변화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은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검지 끝 부분 위치가 리모컨 터치 화면상의 터치된 면적 부위의 중심 위치에 매칭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모컨 1(2)으로부터 터치된 위치가 두 곳이라는 정보를 TV 장치(1)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은 두 개의 손가락이 펼쳐진 영상을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이 생성하여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두 손가락의 끝 부위 위치는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의 터치 좌표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두 개의 손가락 중에서 위 측에 위치 하는 손가락이 위치하게 하고, 리모컨 1(2)의 두 곳의 터치 위치 중에서 아래 측 터치 좌표에 매칭되는 TV 화면상의 위치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두 개의 손가락 중에서 아래에 위치하는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가 두 개의 손가락인 경우에는 엄지와 검지일 수도 있고, 또는 검지와 장지일 수도 있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은 실제 손가락에 마크(광학 마크, 또는 자성 마크)를 설치하여 캡쳐한 동작 데이트를 이용하여 작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쳐된 동작 데이터는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상의 터치 점을 사용자의 실제 손가락 끝 부위의 마크 점으로 인식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동작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TV 장치(1)의 제어는 리모컨 상에서의 터치 정보 및 터치 제스쳐 정보를 리모컨 측으로부터 TV 장치가 전송 받아서 TV 장치의 제어 정보로써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리모컨 상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TV 장치(1)의 화면 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제스쳐 정보를 TV 장치(1)의 제어 정보로써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서의 터치 조작 및 제스쳐에 조작에 따라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는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작동하고, 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상에서 드래그 앤 드롭, 스크롤, 확대, 축소, 바운스 백, 책장 넘김 기능 등이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을 구성하는 영상 재생 수단은 LCD, OLED, e-ink 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실시 예 1 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은 3D 입체 영상으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은 가상의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써, 막대 형태일수도 있고, 또는 동물의 신체 형태 일 수도 있고 로보트의 손가락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가상 캐릭터가 손에 들고 있는 지시 봉 일 수도 있다.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TV 장치(1) 화면에 문자 입력 난이 표시되고, 화면 하단부 일부에 자판 그림이 표시되고, 이러한 TV 장치(1)의 화면 영상을 전송 받아 재생되는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도 동일한 자판 영상과 문자 입력 난 영상이 표시되고, 리모컨 1(2) 터치 화면(7) 상의 자판 위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정보에 따라 TV 장치(1) 화면 상의 자판 위에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움직이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TV 장치(1) 화면에는 문자 입력 난만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는 자판 영상과 문자 입력 난 영상만이 함께 표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 1 에서도 아래의 실시 예 2 에서처럼 리모컨의 터치 정보에 두 곳이 터치되었고, 두 개의 터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스코롤 정보로 TV 장치가 인식하도록 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코롤 인식은 ebook 모드에서는 페이지 넘김 신호로 인식되게 할 수도 있다.
실시 예 2.
본 실시 예 2 는 상기 실시 예 1 과 비교하여, 리모컨 2(3)에는 영상 재생 수단이 구성되지 않고 오직 터치 및 제스쳐 정보만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14)과, TV 장치(1) 측으로 터치 및 버튼(9)의 조작 정보를 교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6)을 갖게 구성하고, TV 장치(1)엔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을 갖게 구성하고,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리모컨 2(3)으로부터 전송되는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움직여서 가상의 손가락이 마치 실제로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특정 부위를 터치하거나 특정 부위에서 터치 제스쳐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TV 장치(1)는 이에 따라 자신을 제어하여서 기능 및 화면을 조작하는 구성이다.
실시 예 1 과 비교하여 본 실시 예 2 의 구성 상의 차이점은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에는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 재생 수단이 함께 구성되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 2 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 TV 장치는 유무선의 디지털 TV 영상 수신 수단 및 재생 수단과, 인터넷에 접속 수단과 주문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셋톱 박스 수단과,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 화면 및 기능 조작 수단, 리모컨 2(3)와 교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리모컨 2(3)는 영상 재생 기능이 없는 터치 스크린(14), TV 장치(1)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6), 버튼(9)과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및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에서의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터치된 위치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상의 위치에 가상의 캐릭터 손가락(5) 끝 부위가 위치하도록 영상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으로 상기 리모컨 2(3)의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을 움직이도록 제어하게 구성된다.
TV 장치(1)의 기능 제어 및 화면 제어 수단은 리모컨 2(3)으로부터 수신한 터치 및 제스쳐 정보와 버튼 조작 정보에 따라 스마트 TV 장치의 각종 기능(예: 볼륨, 화면 조정 등) 및 TV 장치(1)의 화면 조작이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TV 장치(1)의 각종 기능 제어에는 볼륨 제어, 화면 밝기 제어, 화면 조정 제어 등의 종래의 기본적인 TV 기능 제어들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상기 TV 장치 화면 조작은 종래의 터치 화면을 갖는 디지털 장치인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에서 실시되던 각종의 화면 조작 기능들, 예를 들어, 화면 확대 축소, 드래그 앤 드롭, 메뉴 선택, 스코롤, 페이지 넘김 모습의 영상 제어 등의 화면 조작 기능들이 모두 포함된다.
리모컨 2(3)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대응하는 TV 장치(1)의 화면 조작 방법은 미리 프로그램 되어 TV 장치의 제어 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은 미리 준비된 다양한 형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한 형상을 선택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TV 장치(1)의 화면 상의 특정 아이콘 위치에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위치하면 해당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상기 하이라이트 된 아이콘에 연결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손가락(4)으로 임의의 위치에 터치하면, 터치 된 위치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상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끝 부위가 위치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터치된 상태로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위를 움직이면, 이 정보가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어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도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같은 방향과 속도로 움직이게 구성된다. 만약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TV 장치(1)의 화면 상의 특정 아이콘 위에 위치하면 해당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되면 클릭한 것으로 간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된 상태에서 가상 캐릭터의 손가락이 다시 한번 더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는 동작을 하도록 리모컨 2(3) 상의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손가락을 뗐다가 다시 터치 하는 재 터치(클릭) 동작을 하면 하이라이트 된 해당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 정보 및 터치 상태에서의 이동 정보는 리모컨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된 좌표 정보 및 상기 터치 위치 좌표의 이동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게 구성된다.
상기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 정보는 리모컨 터치 스크린(14) 상의 좌표 정보와 함께 및 리모컨 터치 스크린(14) 상에서의 클릭 손동작에 따른 동일 위치에서의 재 터치 여부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게 구성된다.
상기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는 리모컨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된 회수 정보 및 터치된 좌표 정보의 변화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은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검지 끝 부위 위치가 리모컨 2(3)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된 위치에 매칭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된다.
리모컨 2(3)으로부터 터치된 위치가 두 곳이라는 정보를 TV 장치(1)가 수신한 경우,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은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에 의해서 두 개의 손가락을 펼친 영상으로 표시되고, 이때의 가상 캐릭터의 두 손가락 위치는 터치 스크린(14)에서 터치된 두 좌표 중에서 위 측 터치 좌표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두 개의 손가락 중에서 위 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이 위치하게 하고, 아래 측 터치 좌표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상의 위치에는 가상 캐릭터의 두 손가락 중에서 아래에 위치하는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상 손가락의 두 개의 손가락은 엄지와 검지일 수도 있고, 또는 검지와 장지일 수도 있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은 실제 손가락(4)에 마크(광학 마크, 또는 자성 마크)를 설치하여 캡쳐한 동작 데이트를 이용하여 작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쳐된 동작 데이터는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 점을 사용자의 실제 손가락(4)의 마크 점으로 인식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TV 장치(1)의 제어는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에서의 터치 정보 및 터치 제스쳐 정보를 리모컨 2(3) 측으로부터 TV 장치(1)가 전송 받아서 TV 장치(1)의 제어 정보로써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TV 장치(1)의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제스쳐 정보를 TV 장치의 제어 정보로써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모컨 터치 스크린(14) 상에서의 터치 조작 및 제스쳐 조작에 따라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움직이면서 드래그 앤 드롭, 스크롤, 바운스 백, 화면의 확대 및 축소, 책장 넘김 기능 등의 화면 조작이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TV 장치(1)의 화면에는 문자 입력 난과, 자판 영상과, 상기 자판 영상 위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이 표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TV 장치(1)의 화면에는 문자 입력 난만 표시되고, 별도의 자판은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14)과는 구별되는 별도 구간에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자판은 기계식 자판 일 수 도 있고, 또는 자판이 표시된 다른 터치 스크린(도시하지 않았음) 일수도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실시 예 1 및 2 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은 3D 입체 영상으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은 가상의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써, 막대 형태일수도 있고, 또는 동물의 신체 형태 일 수도 있고 로보트의 손가락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캐릭터가 들고 있는 지시 봉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 2 에서, 리모컨의 터치 정보에 두 곳이 터치되었고, 두 개의 터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스코롤 정보로 TV 장치가 인식하도록 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코롤 인식은 ebook 모드에서는 페이지 넘김 신호로 인식되게 할 수도 있다.
[작용]
실시 예 1.
실시 예 1 의 작용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컨 1(2) 상의 버튼(9)가 TV 장치(1)를 온 오프(ON OFF) 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 실시 예 1 의 작동 과정을 상술한다.
사용자가 리모컨 1(2) 상의 버튼(9)을 한번 누르면, 이러한 버튼(9)의 조작 신호가 무선 통신 수단(6)을 통하여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TV 장치(1)는 온(ON) 되면서 TV 장치(1)의 화면에는 초기 메뉴 화면이 도 1처럼 나타난다.
이어서, 상기 TV 장치(1)는 자신의 화면에 표현된 영상을 리모컨 1(2) 측으 로 무선 통신 수단(6)을 통하여 전송하고, 이에 따라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터치 스크린이 함께 설치된 영상 재생 수단)(7) 상에서도 TV 장치(1)의 화면과 동일한 영상이 재생된다.
사용자가 리모컨 1(2) 의 터치 화면(7) 상에서 원하는 메뉴(예: Movies)를 손가락(4)으로 터치하면, 터치된 좌표 정보 또는 터치된 메뉴 정보가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무선 통신 수단(6)을 통하여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1)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측으로 신호를 보내어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생성하게 하여 제어부 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TV 장치(1)의 제어부는 수신한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을 리모컨 1(2)이 전송한 터치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위치의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재생한다. 이어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TV 장치(1)의 화면 상에 나타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해당 메뉴를 클릭 하는 모습으로 동작하는 동작 모습으로 제어하여 TV 장치(1)의 화면상에서 재생시킨다.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클릭하는 모습의 동작 영상은 TV 장치(1) 내의 가상 캐릭터 생성 수단 내에 미리 저장된 손가락(4)의 클릭 동작이 캡쳐 된 정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TV 장치(1) 내의 가상 캐릭터 생성 수단 내에 미리 저장된 손가락(4)의 클릭 동작 시의 연속 동작에 해당하는 여러 프레임의 정지 영상들을 순서대로 표현되게 제어함으로 클릭 하는 모습의 동영상을 실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에는 도 2 처럼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끝 부위가 사용자가 리모컨 1(2)으로 선택한 메뉴(예: Movies) 위에서 클릭하는 동작을 하는 영상이 재생되게 된다. 이때 클릭되어 선택되는 메뉴는 선택되는 메뉴를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처럼 하이라이트 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작동 과정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 상에는 마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클릭 동작으로 특정 메뉴(예: Movies 메뉴)를 선택한 것처럼 보여진다.
이어서 TV 장치(1)는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유무선 망으로 연결된 외부 서버 측으로 전송하면서 이에 따른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외부 서버는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검색된 정보들(예: Movie 종류들 정보)을 TV 장치(1) 측으로 전송하여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 도 2 처럼 표시되고, 이어서 이러한 변화된 TV 장치(1)의 화면 정보는 다시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되어서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서도 TV 장치(1)의 화면이 동일하게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3 처럼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 표시된 검색된 정보(예: 영화 종류 정보들)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예: Movie)를 손가락(4)으로 도 3 처럼 터치하는 형태로 클릭하면, 이러한 터치 정보가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 상에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검색된 정보들 중에서 특정 정보(예: 특정 영화)를 클릭하는 동작 모습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TV 장치(1) 는 외부 서버 측으로 클릭으로 선택된 해당 정보(예: 영화 명)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외부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유무선망을 통하여 TV 장치(1) 측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1)는 이를 재생하게 된다.
컨텐츠가 재생되는 TV 화면의 정보도 다시 TV 장치(1)가 리모컨 192) 측으로 전송하여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 상에서도 동일한 정보들(예:Movie 정보들)이 재생되게 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 최종적으로 선택되어 재생되는 컨텐츠 재생 화면은 TV 장치(1)가 다시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컨텐츠가 재생 중인 TV 화면 영상은 TV 장치(1)가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하지 않은 채로 작동하다가 예를 들어서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손가락(4)으로 터치하면, 이에 따라 리모컨 1(2) 측으로부터 재생중인 화면의 전송을 요청하는 특정 신호가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하면, 그때는 즉각적으로 TV 장치(1)가 재생중인 영상을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전송되는 영상은 동영상 일 수도 있고, 또는 전송을 요청 받은 순간에 재생 중이던 동영상의 한 프레임의 정지 영상일 수도 있다.
도 4 의 기능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의 기능은 TV 장치(1)의 화면에서 화면을 좌우, 또는 상하로 스코롤 시킬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한다.
만약 외부 서버 측에서 전송한 검색된 정보들 중에서 TV 장치(1)의 화면에 표시된 일부의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을 때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도 4 처럼 검색된 정보들이 표시된 화면 부위에 위치하도록 손가락(4)을 리모컨 1(2) 상의 터치 화면 상에 표시된 검색된 정보들이 표시된 위치에 터치한 상태에서 도 4 처럼 손가락(4)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면, 이러한 터치 정보 가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어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5)도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과,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TV 장치(1)의 화면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스코롤 된다. 이에 따라 검색된 여러 정보들이 추가로 더 보이게 된다. 스코롤 방향은 좌우, 또는 상하로 진행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좌우 상하 모든 방향으로 스코롤 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코롤 되어 변화된 TV 장치(1)의 화면 정보는 다시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되어서 리모컨 1(2 의 터치 화면(7) 상에서도 동일한 화면이 재생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상에서 스코롤 된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클릭하면, 이러한 터치 정보가 다시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어서, TV 장치(1) 의 화면상에서 표시되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상술한 방법대로 작동하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예: Movie)가 클릭되는 듯이 작동하고, 이어서 클릭된 해당 메뉴나 아이콘에 대한 정보(예: Movie)가 TV 장치(1)로부터 외부 서버 측으로 전송하면서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외부 서버는 해당 컨텐츠를 자신의 컨텐츠 저장 메모리 수단에서 찾아서 TV 장치(1) 측으로 전송하여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재생되게 된다.
이러한 스코롤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의 스마트 기기들에서 사용한 "바운스 백" 기능을 갖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진이나 문서 등의 "바운스 백" 기능이 수행되어서 스코롤 작업에 따른 최종 화면의 경계 면이 화면상에서 지나치게 되면 튕겨져 반발되면서 돌려져서 온전한 한 화면이 보여지게 된다.
도 5 의 기능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TV 장치(1) 화면의 축소나 확대를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리모컨 1(2) 의 터치 화면(7)을 보면서 원하는 부위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 처럼 두 손가락을 리모컨 1(2) 터치 화면의 해당 위치에 터치한 상태에서 두 손가락을 벌리거나 좁히는 제스쳐 동작을 하면, 이러한 제스쳐 정보가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TV 장치(1)의 매칭되는 화면 위치에 두 개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시되면서 벌리거나 축소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V 장치(1)는 두 개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위치한 화면을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시키는 화면 제어를 한다. 이러한 특정 위치의 화면의 확대나 축소를 제어하는 기술 자체는 이미 공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제스쳐 동작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시청자는 마치 TV 장치(1)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제스쳐에 따라서 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듯한 모습을 보게 된다. 이때 TV 장치(1)의 해당 화면의 확대나 축소 비율은 리모컨 1(2) 터치 화면(7) 상에서의 두 손가락(4) 벌림이나 좁힘의 정도에 비례하여 확대나 축소가 실행되게 제어된다.
종래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에서 작동하던 기능들 중의 또 다른 기능인 드래그 앤 드롭 기능도 상술한 방법으로 가능하게 된다. 즉, 리모컨 1(2) 터치 화면(7) 상의 특정 아이콘 위치 손가락(4)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4)을 이동시키면, 이러한 터치 정보가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가상 캐릭터 생성 수단과 가상 캐릭터 제어 수단에 의해서 TV 장치(1)의 매칭되는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TV 화면상의 특정 아이콘에 위치하도록 표시된 후에 특정 아이콘과 함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이후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에서 손가락(4)의 터치가 해제된 위치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위치까지 특정 아이콘이 이동되게 제어된다.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리모컨 1(2)으로부터 추가적인 터치 정보가 없으면 TV 장치(1)의 화면에 표시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은 사라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TV 장치(1)는 마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에 의해서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이 실행되는 것처럼 보여지게 된다.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에 따라 책장을 한 페이지씩 넘기는 형태로 화면을 조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페이지 넘김 형태로 화면을 조작하는 기술은 종래에 공지된 기술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에 맞추어서 페이지 넘김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페이지 넘김 표현은 책(Book) 내용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 1(2) 터치 화면(7) 상에서 손가락(4)을 터치 상태로 이동시키면 이러한 터치 정보가 리모컨 1(2)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상에 재생중인 책의 페이지가 넘겨지는 화면으로 조작되면서 다음 페이지가 표시되게 된다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도 11 처럼 TV 장치 화면에 문자 입력 난이 표시되게 제어 된다. 이때 TV 장치의 화면 하단부 일부에 자판 그림이 표시되게 된다. TV 장치(1)의 이러한 영상은 리모컨 1(2) 측으로 전송되어서 리모컨 1(2) 에도 동일한 자판 영상과 문자 입력 난 영상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컨 1 의 터치 화면(7) 상에 재생된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나 글자를 입력하면, 이러한 터치 정보가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리모컨 1(2)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치 정보에 따라 TV 장치 화면 상의 자판 위에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따라 움직이면서 글자나 문자를 타이핑 하는 듯한 모습이 나타나게 되면서 글자나 문자가 글자 입력 난에 타이핑되어 나타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 1 상의 자판 상에서 타이핑 하고자 하는 글자 위에서 한번 클릭 하는 형태로 터치하면 이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어서 TV 장치의 화면상의 커서가 있는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타이핑 하는 형태의 동작 모습을 보이면서 해당 글자가 타이핑 되는 형태로 표시되고, 이러한 TV 장치 화면의 영상은 다시 리모컨 1 측으로 전송되어 리모컨 1 상의 화면상의 문자 입력 난에도 동일한 글자나 표시된다. 본 실시 예 1 에서는 사용자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시에 리모컨 1 상의 화면 영상에 나타나는 자판과 문자 입력 난에 표시되는 글자를 보면서 타이핑 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글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TV 장치 화면에는 자판은 표현되지 않은 채로 문자 입력 난만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리모컨 1 화면상에는 자판 영상과 문자 입력 난 영상만이 표시되게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자판이 TV 장치(1)에 표현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TV 장치(1)의 화면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현되지 않는다.
실시 예 2.
본 실시 예 2 은 상기 실시 예 1 과 비교하여, 리모컨 2 에는 영상 재생 수단이 구성되지 않고 오직 터치 및 제스쳐 정보만 입력되는 터치 화면 수단과, TV 장치 측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교신 수단을 갖게 구성하고, TV 장치엔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을 갖게 구성하고,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화면 상에서 움직여서 가상의 손(손가락)이 마치 실제로 TV 화면 상에서 특정 부위를 터치하거나 특정 부위에서 터치 제스쳐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TV 장치는 이에 따라 자신을 제어하여서 기능 및 화면을 조작하는 구성인 경우의 작동이다.
본 실시 예 2 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리모컨 2(3) 터치 화면상에서 약속된 위치나 약속된 터치 방법으로 터치하거나, 또는 리모컨 상에 별도로 설치된 버튼(9)을 조작하면, 이에 따라, 일 예로써 TV 장치(1)는 초기 화면으로써 도 6 처럼 각종 메뉴가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4)으로 리모컨 2 상의 터치 화면(7) 위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임의의 위치에 터치하면, 터치된 리모컨 2(3) 상의 위치 좌표가 TV 장치 측으로 무선 통신 수단(6)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에 따라 TV 장치(1)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을 가동시켜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TV 장치 의 화면의 매칭되는 위치에 표시되게 한다. 즉,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이 표시되는 TV 장치 화면상의 위치는 상기 리모컨 2(3)의 터치 화면상에서의 터치된 좌표에 매칭되는 TV 장치 화면 상의 좌표 위치에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끝 부위가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TV 장치(1) 화면상에 표시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위치를 보면서 리모컨 2(3)상의 터치된 손가락 위치를 자신이 원하는 메뉴 선택용 아이콘이 있는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러한 터치된 좌표의 변동 정보가 리모컨 2(3)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위치도 터치 화면의 터치 정보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도 7 처럼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메뉴의 아이콘 위치에 오게 되면 TV 장치 화면 상의 특정 메뉴 아이콘이 하이라이트 된다.
사용자가 도 7 처럼 상기 하이라이트 된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컨 2(3)상의 현재 터치된 위치에서 손가락을 떼어서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을 하거나, 또는 손가락을 터치된 위치에서 뗐다가 다시 터치하거나 하는 등의 미리 약속된 클릭을 의미하는 동작을 한다. 그러면 이러한 클릭을 의미하는 터치 정보가 리모컨 2(3)로부터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TV 정치의 제어부는 이러한 수신 정보를 하이라이트 된 메뉴를 클릭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컨 2 를 사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5)으로 지정한 메뉴가 선택되어서 외부 서버 측으로 전송되면, 외부 서버의 검색 결과가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어서 도 7 처럼 선택된 메뉴에 해당되는 검색된 정보들(예: Movies)이 TV 장 치의 화면상에 도 7 처럼 표시된다.
상기 검색된 정보들(예: Movies)중에서 사용자가 보고자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리모컨 2(3)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손가락(4)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TV 장치(1)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도 이동하고,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끝 부위가 도 8 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예: Movie)위에 위치하면 이때 사용자는 리모컨 2(3) 상의 터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동일한 터치 위치에서 손가락을 뗐다가 다시 터치하는 등의 클릭을 의미하는 제조 자에 의해서 미리 약속된 동작을 한다. 그러면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지정한 정보(예: Movie)가 선택되어서 실시 예 1 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 선택된 정보의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코롤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에서, 만약 특정 메뉴의 선택에 표시된 도 7 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Movies) 중에서 원하는 정보가 없어서 검색된 다른 정보들을 더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리모컨 2(3) 상에서 한 개의 손가락(4)의 터치를 이동시켜서 스코롤이 가능한 정보들(Movies)이 표시된 위치에 한 개의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위치하도록 한 개의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이동시킨 후에 스크롤을 위하여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14) 상에 두 손가락(4)을 도 9 처럼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4)을 좌우, 또는 상하 측으로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두 손가락의 터치 및 이동 정보가 상술한 방법으로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1)는 터치 위치가 두 곳인 상태에서 이동함을 인식하여 이를 스코 롤 신호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TV 장치 화면 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영상도 좌 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된 정보들(예: movies)이 스코롤 되도록 제어되면서 새로운 정보들이 표시된다. 이러한 새로운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예: Movie)가 나타나면 이 정보 위에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이동하도록 한 개의 손가락(4)을 터치 화면 상에서 이동시킨 후에 해당 정보가 표시된 아이콘 위에서 클릭을 의미하는 동작을 하여서 원하는 정보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스코롤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의 스마트 기기들에서 사용한 "바운스 백" 기능을 갖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진이나 문서 등의 "바운스 백" 기능이 수행되어서 스코롤 작업에 따른 최종 화면의 경계 면이 화면상에서 지나치게 되면 튕겨져 반발되면서 돌려져서 온전한 한 화면이 보여지게 된다.
TV 장치(1)는 리모컨 2(3)로부터 수신한 터치 정보에서 본 발명의 스코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손가락(4)의 이동인지? 아니면 특정 아이콘이나 메뉴를 찾아가지 위한 손가락(4)의 이동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하여 터치 위치가 한 개인지? 아니면 터치 위치가 두 개인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로부터 판단한다.
만약 터치 위치가 두 개이면서 두 개의 터치 위치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를 스코롤 지시로 판단한다.
본 실시 예 2 에서, TV 장치(1)에서 Ebook 을 볼 때의 페이지 넘김의 화면 조작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두 손가락(4)으 로 터치한 상태로 좌, 또는 우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러한 터치 정보를 수신한 TV 장치(1)의 제어부는 두 곳의 터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을 감지하여서 이를 페이지 넘김 신호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TV 장치(1)는 자신의 화면을 조작하여 페이지 넘김 화면 동작의 영상을 보여주면서 다음 페이지를 보여주게 된다.
본 실시 예 2 의 줌(Zoom) 기능에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처럼, 만약 사용자가 TV 장치(1)의 화면에 제시된 정보들(예; Movies)을 보다 더 클로즈업 시켜서 자세히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두 개의 손가락(예: 엄지와 검지, 또는 검지와 장지) 터치 위치를 이동시켜서 TV 장치(1)의 화면 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두 손가락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한 후에 일 예로써, 두 개의 손가락(4)의 간격을 벌린다. 그러면 이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두 손가락 간격도 벌어지는 형태의 동작을 보여주고, 이와 동시에 TV 장치(1)는 두 손가락이 리모컨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터치된 위치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 위치 부위의 화면 영상을 확대하는 화면 조작을 하게 된다. 이때 확대 및 축소 비율을 터치 스크린(14) 상에서의 두 손가락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도록 된다.
만약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4)상에서 한 개의 손가락(4)을 터치 상태에서 이동시켜서 특정 위치에 한 개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위치에서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에 두 손가락을 터치하면, TV 장치(1)의 화면 상에는 두 개 손가락이 펼쳐진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 2(3) 터치 스크린(14) 상에서 터치된 두 손가락(4)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리면, 두 손가락에 의한 두 곳의 터치 위치의 제스쳐 정보가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TV 장치(1)는 매칭되는 위치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 조작하여서 표시하게 된다.
TV 장치(1)가 두 곳의 동시 터치 정보로부터 확대나 축소의 정보임을 인식하는 방법은 두 곳의 터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스쳐 동작이면 이를 스코롤(Ebook 을 볼 때는 패이지 넘김) 신호로 인식하고, 만약 두 곳의 터치 위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형태로 이동하는 제스쳐 동작이면 이를 화면 확대나 축소로 인식한다.
화면의 확대나 축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써, 리모컨 1(2)의 터치 화면(7)상의 특정 위치에서, 또는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14) 상의 특정 위치에서 손가락(4)으로 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면, 이에 따라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TV 장치(1)의 화면 상의 매칭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제스쳐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리모컨의 터치 위치에 매칭되는 TV 화면 부위가 확대되고, 만약 반 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면 축소되게 할 수도 있다.
실시 예 2 에서, 리모컨 2 를 이용하여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 2 에서는 도 12 처럼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4)을 터치하면 이 정보가 TV 장치 측으로 전송되어서 TV 장치(1)의 화면 상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매칭되는 위치에 표시 되고, 이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위치를 보면서 사용자는 리모컨 2(3)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5)을 터치한 상태로 이동시켜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TV 장치(1) 화면상의 자판상에서 원하는 글자 위에 위치하면, 클릭을 의미하는 동작을 한다. 즉, 일 예로써 리모컨 2(3)상에서의 손가락(4)의 터치를 해제시킴으로써 해당 글자를 클릭한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손가락(4)을 터치 상태에서 해제 후 즉시 재 터치하는 형태의 클릭 동작을 하면 이런 터치 정보를 클릭으로 간주하여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위치한 글자를 선택하여 문자 입력 난의 커서가 있는 위치에 선택된 글자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리모컨 2(3) 상에서 손가락(4)의 터치를 해제시키면, 그 순간에 TV 장치의 화면상에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위치된 글자가 하이라이트 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손가락(4)을 리모컨 상에서 재 터치하는 형태로 클릭할 때에 이순간의 TV 장치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위치된 글자가 하이라이트 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 2 의 문자 입력 방법의 또 다른 방법은 리모컨 2 의 터치 스크린(14) 상에 도 13 처럼 자판을 인쇄나 조각 등의 방법으로 표시되게 구성하여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는 리모컨 2(3)에 자판이 인쇄 또는 조각된 터치 스크린(14) 부위는 자판의 각 글자를 지정하는 위치로써 작동하여서 자판의 기능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문자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전체의 터치 스크린(14) 면적은 모두 다 도 12 의 터치 스크린(14)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에서, TV 장치(1)의 화면 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리모컨의 터치 화면(7)이나 터치 스크린(14) 상 에서의 터치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일 예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써, 한 개의 손가락(예: 검지)(4)을 펼친 형태로 실제의 TV 장치 화면 앞에 서서 실험자가 TV 화면의 이곳 저곳 위치를 바꿔가면서 터치하는 모습을 모션 캡쳐하여 터치 위치 정보에 연결되어 데이터화 한다. 이때 실제 손가락(4) 및 손의 여러 부위에 마크들을 부착한 상태로 TV 장치 화면의 좌측, 우측, 위, 아래 등 여러 위치를 터치할 때 그에 따른 손가락의 방향과 손의 방향과 모습들이 사전에 캡쳐되어 몇 개의 위치 군으로 분류된 터치 위치 정보에 연결되어 데이터화 할 수도 있다. 상기 예는 하나의 예이지만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TV 장치(1) 화면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해당 터치 위치 군의 데이터에서 사전에 캡쳐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서 매우 사실적인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모습을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위치를 달리하면서 캡쳐하지 않아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런 경우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시된 좌 우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모습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시되되, 단지 상하 위치의 변동에 따라 도 1, 2, 6, 7 처럼 손가락만 보이게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도 3, 4, 5, 8, 9, 10 처럼 손가락이 포함된 손가락 아래의 부위(예: 손, 팔 부위 등)들이 보이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클릭을 의미하는 약속된 동작을 할 때의 손가락(4)의 동작 상태와 손의 동작 모습들도 사전에 캡쳐되어서 데이터화 된다.
또한 두 손가락으로 실시하는 동작들에 대해서도 동작들을 캡쳐하여 몇 개의 위치 군으로 분류된 터치 위치 정보에 연결하여 데이터화 한다.
손가락 동작의 모션 캡쳐 시엔 손가락 및 손의 주요 부위들에는 다수의 마크들이 설치되어 모션 캡쳐됨은 물론이다. 마크들로는 광학식 마크, 또는 자석식 마크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크들을 이용하여 동작을 캡쳐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종래 기술들 중에는 마크 프리 방식으로 캡쳐할 수 있는 기술들도 제안되고 있으며, 이런 마크 프리 기술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모션 캡쳐된 동작 데이터들이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에 의해서 어떻게 이용되어서 적용되는지에 대하여 그 한 예를 들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TV 장치(1)가 사용자의 리모컨 2(3)로부터 터치 화면상의 터치 위치(좌표) 및 터치된 곳의 수 및 터치 제스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매칭되는 TV 장치(1)의 화면상의 매칭되는 위치에 수신된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모션 캡쳐된 데이터를 찾아내어 TV 장치의 제어부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에는 리모컨 2(3)의 터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모션이 재생되어 표시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에서, 상기 손가락(4)의 터치 정보 및 제스쳐 동작 정보가 리모컨 1(2), 또는 리모컨 2(3)으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수신한 TV 장치(1)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터치 위치에 모션 캡쳐된 손가락(4)끝 부위의 마크가 대응하도록 하여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캡쳐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의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공지된 모션 캡쳐 기술을 이용한 가상 캐릭터 작동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만약 확대나 축소를 의미하는 터치 정보가 수신되면, TV 장치(1)는 화면에 표시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두 손가락 사이의 폭을 좁히거나 넓히면서 모션 캡쳐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곳의 터치 위치 각각에 두 손가락 끝에 설치되었던 마크 각각을 대응시켜서 가상 캐릭터의 두 손가락의 동작을 실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기타 동작들, 예를 들면, 스코롤 동작, 페이지 넘김 동작 등들도 해당 동작을 모션 캡쳐한 데이터를 이용하고, 또한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4)의 터치 위치를 모션 캡쳐 시의 마크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클릭을 의미하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클릭 동작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클릭 동작을 표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캡쳐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에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동작시키게 한 경우에 대한 설명이었다. 그러나 동작의 자연스러움은 부족하지만 제작이 간단한 플래시 방법으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동작되게 할 수도 있다.
즉,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의 동작 영상들을 구성하는 다수의 정지 영상들을 미리 만들어서 데이터로써 저장한 후,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을 리모컨 2(3)의 터치 제스쳐 동작 정보에 대응하여 플래시 기법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손가락의 제스쳐 동작이나 한 손가락의 클릭 동작 등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동작 모습들을 실현할 수도 있다. 플래시 기법으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을 움직일 경우에도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의 끝 부위는 리모컨 2(3)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된 TV 장치(1) 화면상의 매칭되는 위치에서 표시됨은 물론이다. 리모컨으로부터 TV 장치(1) 측으로 전송된 터치 정보 내에 만약 터치된 곳의 수가 한 곳인 것이라는 의미의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 경우에는 검지 하나를 펼치고 있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표시되고, 만약 터치된 곳의 수가 두 곳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두 손가락이 펼쳐진 모습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시된다.
이러한 플래시 기법은 이미 공지된 영상의 동작 기술임은 물론이다.
상술한 모션 캡쳐된 데이터는 여러 위치의 터치 위치 분류 군에 따른 가상 캐릭터 손가락 영상 데이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임의의 한 종류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을 터치 위치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TV 장치(1)의 화면의 좌측 부위 영역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로 제어되어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자연스런 모습을 재연할 수 있다. 반대로, TV 장치(1)의 화면의 우측 영역을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지시하는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표현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회전각도에 대한 데이터는 사전에 미리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에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에서 생성하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을 다수 준비하여 사용자가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수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 영상들 중에는 종래의 PC 에서 사용되던 커서 모양도 포함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 경우에는 손가락의 제스쳐 동작을 실현시키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커서 모양을 표시할 경우에는, 커스의 모양은 단순한 + 모양일 수도 있고, 작은 모양의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다. 만약 커스 형태로 생성시킬 경우에는 가상 캐릭터 손가락(5) 영상일 시에 보여주던 TV 장치(1)의 화면 상에서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5)이 표현되는 위치에 따른 가상 캐릭터 손가락 및 손 부위의 보여지는 부위의 변화는 실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리모컨 1(2), 또는 리모컨 2(3) 상의 터치가 한 곳이면, TV 장치(1)의 화면상의 매칭되는 위치에는 한 개의 커서가 표시되고, 만약 리모컨 상의 두 곳에서 터치되면 TV 장치(1)의 화면 상에는 매칭되는 위치에 두 개의 커서가 각각 표시된다. 이러한 커서는 리모컨 터치 화면(7), 또는 터치 스크린(14) 상에서의 손가락(4)의 터치 정보에 따라 TV 장치(1)의 화면 상의 커서가 이동하는 형태로 제어되게 된다.
도 1 은 실시 예 1 에서, 본 발명의 리모컨이 메뉴가 표시된 TV 초기 화면을 수신하여 리모컨 상에 동일하게 재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실시 예 1 에서, 리모컨 상에서 특정 메뉴(예: Movies)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TV 화면 상에 나타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TV 화면상에서 해당 메뉴를 클릭하고, 이에 따른 정보(예: 영화 정보)가 TV 화면과 리모컨 상에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3 은 실시 예 1 에서, 도 2 의 터치 결과에 따라 TV 화면과 리모컨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해당 정보(예: Movie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정보 부분(예: 특정 영화)을 리모컨 상에서 지정하여 선택할 때의 TV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도 TV 화면상에서 해당 정보를 클릭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4 는 실시 예 1 에서, 손가락으로 상하 좌우로 밀어서 리모컨 상에 표시된 정보 표시판(예: 영화 정보들)을 스코롤(화면 스코롤)시키면, 이에 따라 TV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TV 화면상의 정보 표시면을 스크롤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5 는 실시 예 1 에서, 리모컨 상에서 두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제스쳐(예: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를 하면, 이에 따라 TV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두 손가락도 매칭되는 TV 화면상의 위치에서 동일한 제스쳐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6 은 실시 예 2 에서, 본 발명의 리모컨이 메뉴가 표시된 TV 초기 화면을 수신하여 리모컨 상에 동일하게 재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 는 실시 예 2 에서, 리모컨 상에서 특정 메뉴(예: Movies)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TV 화면 상에 나타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TV 화면상에서 해당 메뉴를 클릭하고, 이에 따른 정보(예: 영화 정보)가 TV 화면과 리모컨 상에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8 은 실시 예 2 에서, 도 2 의 터치 결과에 따라 TV 화면과 리머컨 화면에 디스플레인 된 해당 정보(예: Movie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정보 부분(예: 특정 영화)을 리모컨 상에서 지정하여 선택할 때의 TV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도 TV 화면상에서 해당 정보를 클릭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9 는 실시 예 2 에서, 손가락으로 상하 좌우로 밀어서 리모컨 상에 표시된 정보 표시 판(예: 영화 정보들)을 스코롤(화면 스코롤)시키면, 이에 따라 TV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TV 화면상의 정보 표시면을 스크롤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10 은 실시 예 2 에서, 리모컨 상에서 두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제스쳐(예: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를 하면, 이에 따라 TV 화면상의 가상 캐릭터 두 손가락도 TV 화면상의 매칭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제스쳐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11 은 실시 예 1 에서, 문자나 기호를 리모컨상의 자판 영상 상에서 타이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12 는 실시 예 2 에서, 자판이 표시되지 않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문자나 기호를 타이핑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13 은 실시 예 2 에서, 리모컨의 터치 화면 상에 그려진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나 기호를 타이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TV 장치 2. 리모컨 1
3. 리모컨 2 4. 손가락
5. 가상 캐릭터 손가락 6. 무선 통신 수단
7. 리모컨 터치 화면 8. TV 장치 화면
9. 버튼 10. 하이라이트 표시
11. 메뉴 판 12. 정보들(예: 영화 정보)
13. 리모컨 영상 화면. 14. 터치 스크린

Claims (12)

  1. 리모컨으로 원격 제어되는 통상의 스마트 TV 구성에 있어서,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TV 장치 내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 화면 및 기능 조작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 TV 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컨에는 터치 스크린과 영상 재생 수단이 함께 구성된 터치 화면을 구성하여서, 상기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치 및 터치 제스쳐 정보가 리모컨으로부터 TV 장치 측으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게 구성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가 수신된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자신의 화면 상의 매칭되는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을 생성하고, 이를 가상 캐릭터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동작되게 제어 하는 구성과, 리모컨의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가 자신의 화면과 기능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제어되어 조작된 TV 화면을 TV 장치가 다시 리모컨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교신을 리모컨 상에서의 터치 조작이 없을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2. 리모컨으로 원격 제어되는 통상의 스마트 TV 구성에 있어서,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TV 장치 내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 화면 및 기능 조작 수단이 포함되게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 TV 를 원격 제어하는 리 모컨에는 버턴과 터치 스크린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서, 상기 터치 화면 상에서의 터치 및 터치 제스쳐 정보가 리모컨으로부터 TV 장치 측으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게 구성하고, 이를 수신한 TV 장치가 수신된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자신의 화면 상의 매칭되는 위치에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을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을 생성하고, 가상 캐릭터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동작을 제어 하는 구성과,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가 자신의 화면과 기능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제어되어 조작된 TV 화면을 TV 장치가 다시 리모컨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교신을 리모컨상에서의 터치 조작이 없을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3.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 일측에는 글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이 인쇄나 조각의 방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4.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손가락이 동작이 모션 캡쳐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5.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은 손가락이 동작이 연속적으로 표현되는 정지 영상들의 데이터를 플래시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6.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생성 수단은 상기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영상들을 다수 준비하여서 이들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7.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생성 수단이 생성하는 다수의 가상 캐릭터 손가락의 영상들은 종래의 커서 형태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8.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TV 장치의 제어되어 조작된 화면은 스코롤 된 화면, 확대/축소된 화면, 드래그 앤 드롭 된 화면, 클릭된 후의 화면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9.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리모컨 상에서의 터치 및 제스쳐 정보에는 터치 위치 정보, 터치된 곳의 수 정보, 터치 상태의 변화 정보, 터치 위치의 좌표 변화 정보, 터치 된 상태에서의 제스쳐 정보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10.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리모컨의 터치 정보가 두 곳이 터치되었고, 두 터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스코롤 정보로 TV 장치가 인식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11.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TV 장치 측으로 전송하여 TV 장치를 원격제어는 방법을 포함하는 통상의 TV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리모컨의 터치 화면/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TV 장치가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가상 캐릭터 손가락 생성 수단과 가상 캐릭터 손가락 제어 수단에 의해서 가상 캐릭터 손가락이 TV 장치 화면 상의 매칭되는 위치에서 생성되어 동작하는 단계; 리모컨 상에서의 터치 정보 및 제스쳐 정보에 따라 TV 장치가 자신의 화면 및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제어 방법.
  12. 청구항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터치 화면에는 상기 TV 장치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TV 장치의 화면 정보가 재생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 의 원격제어 방법.
KR1020120140033A 2012-12-05 2012-12-05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43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33A KR101435773B1 (ko) 2012-12-05 2012-12-05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33A KR101435773B1 (ko) 2012-12-05 2012-12-05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82A true KR20140072482A (ko) 2014-06-13
KR101435773B1 KR101435773B1 (ko) 2014-08-28

Family

ID=5112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33A KR101435773B1 (ko) 2012-12-05 2012-12-05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7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2039A1 (zh) * 2014-10-23 2016-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息快速查找方法、显示控制系统及输入设备
CN110557666A (zh) * 2019-07-23 2019-12-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20135896A (ko) * 2021-03-31 2022-10-07 최형근 캡슐 상품 자동 판매기
WO2023106661A1 (ko) * 2021-12-09 2023-06-15 김병수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KR102634742B1 (ko) 2022-11-23 2024-02-08 주식회사 오성전자 방향 전환을 감지하는 리모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42B1 (ko) * 2009-06-01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2039A1 (zh) * 2014-10-23 2016-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息快速查找方法、显示控制系统及输入设备
US10133445B2 (en) 2014-10-23 2018-11-2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and input device
CN110557666A (zh) * 2019-07-23 2019-12-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557666B (zh) * 2019-07-23 2022-01-1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20135896A (ko) * 2021-03-31 2022-10-07 최형근 캡슐 상품 자동 판매기
WO2023106661A1 (ko) * 2021-12-09 2023-06-15 김병수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KR102634742B1 (ko) 2022-11-23 2024-02-08 주식회사 오성전자 방향 전환을 감지하는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773B1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63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1569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9467729B2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television
KR101233562B1 (ko) 3d 리모콘에서 사용하기 위한 gui 애플리케이션
US9152253B2 (en) Remote control method,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WI332359B (en) Multimedia user interface
EP2439628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US9880727B2 (en) Gesture manipulations for configuring system settings
CN105323623B (zh) 显示设备、包括显示设备的多显示器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20162101A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3813209A (zh) 用于显示用户输入的操作状态的显示装置和控制方法
JP201413242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EP2870526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35773B1 (ko)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WO2012133272A1 (ja) 電子機器
US201602530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by using line interaction
KR101515454B1 (ko)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20037858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2013009753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nderer thereof
JP2015039084A (ja) 画像表示装置セット
CN103037253B (zh) 遥控控制系统和遥控控制方法
WO2005096132A1 (en) Method of navigating, electronic device,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731712B (zh) 一种通过标识物对终端设备进行控制的方法和装置
KR20160097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13076A (ko)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손짓 및 터치형 양손 반지 마우스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