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766A -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766A
KR20140071766A KR1020120139717A KR20120139717A KR20140071766A KR 20140071766 A KR20140071766 A KR 20140071766A KR 1020120139717 A KR1020120139717 A KR 1020120139717A KR 20120139717 A KR20120139717 A KR 20120139717A KR 20140071766 A KR20140071766 A KR 20140071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information
terminal
field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배
김고운
김소령
Original Assignee
이경배
김소령
김고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배, 김소령, 김고운 filed Critical 이경배
Priority to KR102012013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1766A/ko
Publication of KR2014007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취업 후진학을 실행하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상에 맞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기업체에게는 필요로 하는 인재를 선별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채용 및 취업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탑재하고, 상기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학생 단말, 기업 단말 및 현장실습 관리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기업 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거친 후,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 신청을 하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은 상기 기업 단말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서 수행되는 실습 관련 정보들을 기록 및 열람할 수 있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정보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수정 및 관리하되,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은 상기 학생 단말 및 기업 단말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학생 단말 및 기업 단말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데이터 통신부; 상기 기업 단말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회원으로 인증된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는 학생 배정부;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와,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실습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는 실습 관련 정보 관리부; 상기 실습 관련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실습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여부를 제어하는 실습 진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현장실습 관리시스템{FIELD EDUC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기술이 등장하기 전에는 일반매체를 통해 구인/구직 안내문을 광고하여 조건에 합당한 인재를 채용하거나 업체를 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인터넷을 통한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모든 생활 방법 자체가 변화하고 있는 요즘에는 구인/구직 방법도 인터넷을 통해 손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같은 일반 매체를 통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구인/구직은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조건과 구직자가 필요로 하는 취업 조건이 대체로 부합하는 경우 구인/구직이 이루어지는 매우 단순한 방법이므로 좀더 다양화하고 세분화한 현대의 직업에 부합할 수 있는 인재 혹은 업체를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선취업 후진학을 실행하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는 졸업 전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조건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취업 후진학을 실행하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상에 맞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기업체에게는 필요로 하는 인재를 선별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채용 및 취업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은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탑재하고, 상기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학생 단말, 기업 단말 및 현장실습 관리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기업 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거친 후,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 신청을 하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은 상기 기업 단말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서 수행되는 실습 관련 정보들을 기록 및 열람할 수 있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정보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수정 및 관리하되,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은 상기 학생 단말 및 기업 단말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학생 단말 및 기업 단말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데이터 통신부; 상기 기업 단말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회원으로 인증된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는 학생 배정부;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와,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실습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는 실습 관련 정보 관리부; 상기 실습 관련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실습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여부를 제어하는 실습 진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업 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 접속하여 기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인증받는 제1 회원가입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통신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서 주관하는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를 신청하는 현장실습 과정 신청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 의하여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여 관리하는 학생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기업정보와, 제2 데이터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학생 정보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 접속하여 학생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인증받는 제2 회원가입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데이터 통신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에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를 입력하는 실습 관련 정보 입력부; 상기 기업 단말에 의하여 관리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와, 상기 기업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기업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 상기 학생정보와, 제3 데이터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에 의하여 열람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가 소정의 기준 정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개인 평가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은 선취업 후진학을 실행하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상에 맞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기업체에게는 필요로 하는 인재를 선별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채용 및 취업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취업 후진학을 실행하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취업과 기업체의 업무파악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기업체에게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과정을 통해 취업을 원하는 특성화고 재학생의 점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효과적으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도 1의 학생 단말, 현장실습 관리단말 및 기업 단말이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기업 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를 신청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현장실습 관리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학생들을 배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1의 학생 단말이 현장실습 과정 중 출퇴근 및 업무일지를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는 도 1의 현장실습 관리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을 관리하는 화면이다.
도 3e는 도 1의 기업 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정보를 열람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f는 도 1의 현장실습 관리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의 도 1의 학생 단말, 현장실습 관리단말 및 기업 단말이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는 도 1의 기업 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를 신청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현장실습 관리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학생들을 배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도 1의 학생 단말이 현장실습 과정 중 출퇴근 및 업무일지를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d는 도 1의 현장실습 관리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을 관리하는 화면이며, 도 3e는 도 1의 기업 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정보를 열람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f는 도 1의 현장실습 관리단말이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은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탑재하고, 상기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학생 단말(10), 기업 단말(20) 및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기업 단말(20)은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거친 후,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 신청을 하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기업 단말(20)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학생 단말(10)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수행되는 실습 관련 정보들을 기록 및 열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정보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수정 및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회원관리부(310), 제1 데이터 통신부(320), 학생 배정부(330), 실습 관련 정보 관리부(340), 관리 데이터베이스(350) 및 실습 진행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이러한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현장실습 과정을 주관하는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예를 들면, 선취업 후진학을 실행하는 특성화고 등)의 단말로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어플레케이션 실행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단말(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310)는 학생 단말(10) 및 기업 단말(20)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한다.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320)는 학생 단말(10) 및 기업 단말(20)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수신하고,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1 데이터 통신부(320)는 학생 단말(10) 및 기업 단말(2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320)는 학생 단말(10) 및 기업 단말(20)과 3G, WTE, Wibro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학생 배정부(330)는 기업 단말(20)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회원으로 인증된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한다. 상기 학생 배정부(330)는 학생 단말(10)로부터 입력된 학생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장실습 과정에 적절한 학생, 즉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하는 기업체의 기업정보에 기재된 조건 등에 매칭되는 학생을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한다.
상기 실습 관련 정보 관리부(340)는 학생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와, 기업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실습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한다.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350)는 실습 관련 정보와 제1 데이터 통신부(32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실습 진행 제어부(360)는 실습 관련 정보를 기초로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여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실습 진행 제어부(360)는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 상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이러한 진행 상황에 기초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신청, 확인, 현장실습중, 현장실습완료 단계로 구분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업 단말(20)은 제1 회원 가입부(210), 제2 데이터 통신부(220), 현장실습 과정 신청부(230), 학생 정보 관리부(240) 및 기업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업 단말(20)은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이 주관하는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조건에 맞는 인재들을 미리 교육시켜 채용할 수 있는 기업체 측의 단말로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어플레케이션 실행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단말(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원 가입부(21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기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인증한다. 상기 기업정보는 회사명, 담당자, 전화번호, 홈페이지, E-mail, 업무내용, 연봉, 희망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22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제2 데이터 통신부(22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22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3G, WTE, Wibro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현장실습 과정 신청부(23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서 주관하는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를 신청한다.
상기 학생 정보 관리부(24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의하여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여 관리한다.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250)는 기업정보와, 제2 데이터 통신부(22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학생 정보 관리부(240)에 의하여 관리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기업 단말(20)을 구비하는 기업체는 1개월에서 1년의 기간을 두고 현장실습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조건에 맞게 학생들을 육성하여 채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하여 필요로 하는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채용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생 단말(10)은 제2 회원 가입부(110), 제3 데이터 통신부(120), 실습 관련 정보 입력부(130),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140), 학생 데이터베이스(150) 및 개인 평가 알림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학생 단말(10)은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을 구비한 교육기관에 속한 학생들이 가지는 단말로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어플레케이션 실행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단말(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원 가입부(11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학생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인증받는다.
상기 제3 데이터 통신부(12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제3 데이터 통신부(12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데이터 통신부(12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3G, WTE, Wibro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습 관련 정보 입력부(130)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140)는 기업 단말(20)에 의하여 관리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와, 기업 단말(20)에 의하여 입력된 기업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상기 학생 데이터베이스(150)는 학생정보와, 제3 데이터 통신부(12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140)에 의하여 열람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개인 평가 알림부(160)는 학생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가 소정의 기준 정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학생 단말(10)을 구비한 학생은 현장실습 과정을 통하여 그에 참여한 기업체의 성격과 성향을 미리 파악하여 그의 조건에 맞도록 공부하여 취업 및 업무파악에 집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에서, 학생 단말(10), 기업 단말(20),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서 로그인 후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현장실습 관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학생 단말(10)의 메인화면은, 전체 공지사항, 내 정보 수정, 출퇴근 등록, 업무일지 기록, 나의 근무평가 보기, 현장실습 회사목록 보기, 현장실습 관련정보 남기기, 현장실습 관련정보 보기의 항목을 표시한다. 이를 통하여 학생 단말(10)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참여하여 그 과정에서 수행되는 실습 관련 정보들을 기록 및 열람할 수 있다. 또한,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의 메인화면은, 현장실습 학생관리, 현장실습 신청 회사조회, 공지사항, 현장실습 관련정보 보기 등의 항목을 표시한다. 이를 통하여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기업 단말(20)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전체적인 현장실습 과정을 통제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업 단말(20)의 메인화면은, 현장실습 학생관리, 현장실습 신청/삭제, 기업등록 등의 항목을 표시한다. 이를 통하여 기업 단말(20)은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 신청을 하고, 그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실습 진행 과정을 관리 및 평가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업 단말(20)이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를 신청하기 위하여 회사명, 담당자, 전화번호, 홈페이지, E-mail, 업무내용, 연봉, 희망일자 등의 기업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이 학생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학생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한 해당 기업체를 입력한 후, 그 과정에 적절한 학생들을 배정하게 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학생 단말(10)이 현장실습 과정 중 출퇴근 및 업무일지를 날짜별로 등록하게 된다. 이때, 출퇴근 일지를 등록하는 경우, 각 학생 개인의 촬영 사진도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이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을 이름, 회사명 등의 순서로 등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때,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출퇴근보기, 업무일지보기, 근무평가보기, 현장실습최종평가보기 등의 항목을 별도로 관리하여 기업 단말(20) 또는 학생단말이 열람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기업 단말(20)이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정보를 기업 데이터베이스 또는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학생의 이름과 전화번호, 소속 등의 정보와 함께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떠하여, 기업 단말(20)은 학생정보 상세보기를 통하여 출퇴근승인, 출퇴근정체조회, 업무일지 승인, 업무일지 전체조회, 근무평가 정보입력, 근무평가 정보보기 등의 항목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이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 상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이러한 진행 상황에 기초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신청, 확인, 현장실습중, 현장실습완료 단계로 구분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실습 과정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현장실습 과정의 적절성을 확보하여 특성화고 재학중인 후배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기업정보 및 실습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취업정보 획득의 불편함과 기업들에 대한 원활한 정보획득을 통하여 강화된 취업 경쟁력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실습 관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학생 단말 20: 기업 단말
30: 현장실습 관리단말 110: 제2 회원 가입부
120: 제3 데이터 통신부 130: 실습 관련 정보 입력부
140: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 150: 학생 데이터베이스
160: 개인평가 알림부 210: 제1 회원 가입부
220: 제2 데이터 통신부 230: 현장실습 과정 신청부
240: 학생정보 관리부 250: 기업 데이터베이스
310: 회원 관리부 320: 제1 데이터 통신부
330: 학생 배정부 340: 실습 관련 정보 관리부
350: 관리 데이터베이스 360: 실습 진행 제어부

Claims (3)

  1.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이 탑재하고, 상기 현장실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학생 단말(10), 기업 단말(20) 및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을 포함하고,
    상기 기업 단말(20)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거친 후,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 신청을 하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상기 기업 단말(20)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여 현장실습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학생 단말(10)은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서 수행되는 실습 관련 정보들을 기록 및 열람할 수 있고,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정보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수정 및 관리하되,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은
    상기 학생 단말(10) 및 기업 단말(20)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310);
    상기 학생 단말(10) 및 기업 단말(20)로부터 학생정보 및 기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 및 실습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데이터 통신부(320);
    상기 기업 단말(20)이 참여한 현장실습 과정에 회원으로 인증된 적어도 한 명의 학생을 배정하는 학생 배정부(330);
    상기 학생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와, 상기 기업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실습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는 실습 관련 정보 관리부(340);
    상기 실습 관련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32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350); 및
    상기 실습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장실습 과정의 진행여부를 제어하는 실습 진행 제어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단말(20)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기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인증받는 제1 회원가입부(210);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통신부(220);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서 주관하는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를 신청하는 현장실습 과정 신청부(230);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의하여 상기 현장실습 과정에 배정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여 관리하는 학생 정보 관리부(240); 및
    상기 기업정보와, 제2 데이터 통신부(22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학생 정보 관리부(240)에 의하여 관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10)은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접속하여 학생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인증받는 제2 회원가입부(110);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데이터 통신부(120);
    상기 현장실습 관리단말(30)에 학생정보, 출퇴근정보 및 업무일지정보를 입력하는 실습 관련 정보 입력부(130);
    상기 기업 단말(20)에 의하여 관리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와, 상기 기업 단말(20)에 의하여 입력된 기업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140);
    상기 학생정보와, 제3 데이터 통신부(12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실습 관련 정보 열람부(140)에 의하여 열람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 데이터베이스(150); 및
    상기 학생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학생들의 현장실습 과정의 평가 정보가 소정의 기준 정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개인 평가 알림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KR1020120139717A 2012-12-04 2012-12-04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KR20140071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17A KR20140071766A (ko) 2012-12-04 2012-12-04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17A KR20140071766A (ko) 2012-12-04 2012-12-04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766A true KR20140071766A (ko) 2014-06-12

Family

ID=5112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717A KR20140071766A (ko) 2012-12-04 2012-12-04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17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249B1 (ko) * 2015-03-20 2016-03-10 주식회사 에단 협업 및 기업 활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3466B1 (ko) * 2020-08-18 2021-07-28 이광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교육 과정 쇼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249B1 (ko) * 2015-03-20 2016-03-10 주식회사 에단 협업 및 기업 활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3466B1 (ko) * 2020-08-18 2021-07-28 이광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교육 과정 쇼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4736B2 (en) Interne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ee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via structured feedback loop
US20230334425A1 (en) Interne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ee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via simulated interviews
US11189187B2 (en) Online personality testing providing individual contextual assessments in a secure integrated environment
US20090291426A1 (en) Educational system for presenting one or more learning units to student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US10104182B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in an interface system
US20220375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riential skill development
Flaherty et al. Sales scholarship: Honoring the past and defining the future (key takeaways from the 2018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faculty consortium: New horizons in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Hall What's all the “hype” about skype? The effectiveness of video calling in clinical education
Al-Majid et al. Nurses’ perceptions of and participation in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Results from a study of psychiatric hospital nurses in Bahrain
Whitelaw Audiology education amid COVID-19
KR20140071766A (ko) 현장실습 관리시스템
KR20160121194A (ko) 스포츠 지도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44383A (ko) 청소년 진로 멘토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6099854A (ja) 就職支援システム
KR102233665B1 (ko) 입사지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채용 방법
Brandt et al. A CTSA‐sponsored program for clinical research coordination: Networking, education, and mentoring
Mills et al. Evolving a university center to a branch campus: A case study
US20220172312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renticeship program management
RU268920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портфолио студента
Kuok et al. Group e-mentoring: Learnings from a pilot of assistive technology group mentoring in Australia
Malaga Implementation of Board of Trustees Resolution Number 34, Series 2015: Follow-Up Study for Policy Enhancement
Minen et al. Responding to the Needs of Early Career Physicians and Fellows in Headache Medicine: Career Planning, Getting Involved, and Considerations in Building a Headache Center
Armstrong et al. 2015-2016 Data Management Strategic Agenda-Final Report
KR101316711B1 (ko) 사용자간 온라인 접촉 지원시스템
Strusowski An analysis of career services usage and satisfaction at Delaware Technical Community College Terry Camp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