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832A -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832A
KR20140070832A KR1020120135767A KR20120135767A KR20140070832A KR 20140070832 A KR20140070832 A KR 20140070832A KR 1020120135767 A KR1020120135767 A KR 1020120135767A KR 20120135767 A KR20120135767 A KR 20120135767A KR 20140070832 A KR20140070832 A KR 20140070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unit
contamination
type file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3658B1 (en
Inventor
변해봉
박상선
고해승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3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658B1/en
Publication of KR2014007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tile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fabric layer in a surface with the naked eye by including a contamination indicating portion in the surface thereof.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layer (110); and a fabric layer (130) formed by weaving a plurality of piles on the base layer (110), wherein the fabric layer (130) has a contamination indicating portion (140) formed of piles of a different materi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urface of the fabric layer (130) is contaminated through a change in color, brightness, or chroma of the contamination indicating portion (140) due to a foreign material adsorbed to the contamination indicating portion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layer including the contamination indic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urface thereof, thereby easily confirm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carpet tile can be cleaned at the proper time. Further, the carpet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various patterns or designs through the color change of the contamination indicating portion, thereby enjoying various interior effects through one carpet tile.

Description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0001]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카펫타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오염표시부를 구비하여 표면 섬유층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펫타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t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pet tile having a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on a surface thereof and allow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fiber layer to be visually confirmed easily.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호텔, 주택, 상업용 매장 등에는 보행감의 향상, 피로도 경감 및 보온/보냉 효과 등을 위한 목적으로 카펫타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펫타일은 시공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다.Generally, carpet tiles are used in offices, hotels, houses, and commercial shop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walking feeling, relieving fatigue, and maintaining warm / cold effect. These carpet tiles are easy to construct and maintain.

도 1은 종래 카펫타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arpet til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염화비닐수지 카펫타일은 염화비닐수지층(1)(3)을 포함하는 기재층(5)과, 이 기재층(5)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층(6)과, 이 부직포층(6)의 상부에 형성된 섬유층(7)으로 구성된다. 섬유층(7)은 부직포 상에 세워서 제직된 다수의 파일(pile, 7a)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파일(7a)은 여러 가닥의 원사(섬유)가 집합되어 이루어진다.1, a conventional vinyl chloride resin carpet tile includes a base layer 5 including a vinyl chloride resin layer 1 (3), a nonwoven fabric layer 6 formed on the base layer 5, , And a fibrous layer (7) 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6). The fibrous layer 7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les 7a woven on a nonwoven fabric and one pile 7a is formed by gathering a plurality of strands of fibers.

이러한 카펫타일은 여러 가닥의 원사(섬유)가 집합된 파일(섬유다발)에 의해 표면 촉감을 가짐에 따라 보행감 향상 및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보온/보냉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재층(5)은 염화비닐수지층(1)(3)을 기본적으로 가지면서 다른 층들을 가질 수 있는데, 각 층에는 치수안정성, 정전기 방지성, 내오염성, 방음 및 흡음효과를 위한 기능이 부여되고 있다.Such a carpet tile has a surface tactile feeling due to a pile (fiber bundle) of a plurality of strands of yarn (fiber) gathered, thereby improving walking feeling and fatigue, and has a function of keeping warm / cold. The base layer 5 may have different layers having basically the vinyl chloride resin layers 1 and 3, and each layer is provided with functions for dimensional stability, antistatic property, stain resistance, soundproofing and sound absorption effect .

위와 같은 염화비닐수지 카펫타일은 시공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표면의 촉감, 보온/보냉 및 방음효과와 같은 기능을 가짐에 따라 장식 바닥재로서의 그 수요층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요자의 생활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차별화되고 고급화된 카펫타일이 요구됨에 따라 정전기 방지, 내오염성, 방음 및 흡음 효과와 더불어 인테리어성을 갖도록 외관효과가 부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외관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고급스러운 원사(섬유)를 사용하기도 하나 카펫타일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무늬는 파일(7a)에 여러 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표현하고 있다.Such a vinyl chloride resin carpet tile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construct and maintain, and has functions such as surface touch, insulation / cooling, and soundproof effect, and the demand for it as a decorative flooring is gradually expanding. In recent years, due to demands for differentiated and upgraded carpet tile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of the consumer, the exterior effect has been given to have antistatic, stainproof,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effect as well as interior quality. Generally, a luxurious yarn (fiber) is used to give an appearance effect, but a pattern is gene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a carpet tile. At this time, the pattern is represented by combining various colors in the file 7a.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펫타일은, 그 표면에 미세한 먼지가 가라앉거나 기타 이물질이 흡착된 경우라도 이를 표시해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어두운 색상으로 이루어진 카펫타일의 경우 표면 오염 정도를 가늠하기가 어려움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arpet tile does not have a means for indicating even if fine dust is submerged on the surface or other foreign matter is adsorbed. Especially, in the case of carpet tiles made of dark colo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surface contamination degree.

이 경우 진공청소기 등을 이용하여 카펫타일의 주기적인 청소를 하더라도 그 더러운 정도 및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카펫타일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깨끗하게 제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carpet tile is periodically cleaned by using a vacuum cleaner or the like, the dirtiness and position of the carpet tile can not be accurately recogniz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ly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carpet ti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표면에 오염표시부를 구비해줌으로써 표면 섬유층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pet tile provided with a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on a surface thereof so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fiber layer can be easily visually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염표시부의 색 변화를 통해 다양한 패턴이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pet tile having a pollution display unit that can implement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through color change of the pollution display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복수의 파일이 제직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포함하되, 상기 섬유층은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일로 이루어져 오염표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염표시부에 흡착되는 이물질에 의한 상기 오염표시부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변화의 차이를 통해 상기 섬유층 표면의 오염 여부를 판단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rpet tile provided with a contamination displa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comprises: a substrate layer; And a fiber layer formed by weaving a plurality of piles on the base layer, wherein the fiber layer is formed of piles of different materials to form a pollution display portion, and the color of the pollution display portion due to a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pollution display portion , The lightness or the chroma of the surface of the fibrous layer.

이 경우 상기 기재층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염화비닐수지 제1졸층, 유리섬유 시트층, 염화비닐 수지 제2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base layer is composed of a first polyvinyl chloride resin layer, a glass fiber sheet layer, and a second polyvinyl chloride resin layer.

또한 상기 기재층과 섬유층 사이에는, 접착제를 매개로 개재되는 부직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층은 상기 부직포층상에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nonwoven fabric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fibrous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fibrous layer, and the fibrous layer is woven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또한 상기 섬유층은, 루프 타입 파일 또는 컷 타입 파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brous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loop type file and a cut type file.

또한 상기 섬유층은, 루프 타입 파일과 컷 타입 파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오염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brous layer is formed by mixing a loop type file and a cut type file, and either one of them forms the contaminated display portion.

또한 상기 루프 타입 파일과 컷 타입 파일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op type file and the cut type file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또한 상기 루프 타입 파일과 컷 타입 파일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op type file and the cut type file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또한 상기 오염표시부는, 기공도가 서로 다른 고분자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흡착되는 정도의 차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ollution display unit uses a difference in degree of adsorption of foreign matter by using a polymer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porosity.

또한 상기 오염표시부는, 밀폐기공(Closed pore)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lution display unit may have a closed pore structure.

또한 상기 밀폐기공(Closed pore)은 50㎛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osed pore may have a size of 50 mu m or less.

또한 상기 오염표시부는, 정전기 유도 정도가 다른 고분자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흡착되는 정도의 차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lution display unit uses a difference in degree of adsorption of a foreign matter by using a polymer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electrostatic induction.

또한 상기 오염표시부는, 유리, 머리털, 나일론, 양모, 레이온, 견포, 비닐론인견혼방, 견포, 아세테이트인견, 오오론면혼방, 펄프노지, 고무, 테릴런, 비닐론, 사린, 다클론, 테릴렌, 카페이트, 폴리에칠렌, 카네칼론, 셀루로이드, 사진필름, 셀로판, 염화비닐, 테프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may be formed of glass, hair, nylon, wool, rayon, canvas, vinylon, , Polyethylene, canecalone, celluloid, photographic film, cellophane, vinyl chloride, and Teflon.

또한 상기 오염표시부는, 다양한 패턴이나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is formed in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표면에 오염표시부를 포함한 섬유층을 구비해줌으로써 표면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카펫타일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can be easily visually confirmed by providing a fiber layer including a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on the surface, thereby enabling the carpet tile to be cleaned at an appropriate time.

또한 본 발명의 카펫타일은 오염표시부의 색상 변화를 통해 다양한 패턴이나 디자인을 구현해줄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카펫타일을 가지고 다양한 인테리어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arpet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through the color change of the contamination display part, thereby enjoying various interior effects with one carpet tile.

도 1은 종래 카펫타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의 대전 서열 목록,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의 기공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의 색상이 변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의 다양한 패턴 및 디자인을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carpet til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rpet tile provided with a pollu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arpet tile provided with a contamina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ist of charge sequences of polym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pore structure of a pollu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lor of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Figs. 7 and 8 show another embodiment showing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of the pollu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unless they are indicated on other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의 대전 서열 목록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의 기공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표시부의 색상이 변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rpet tile having a pollu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op view of a carpet tile having a pollu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ist of competition sequences of a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pore structure of a pollution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ollu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colo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100)은, 기재층(110)과, 상기 기재층(110)의 상부에 복수의 파일이 제직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층(13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섬유층(130)은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일로 이루어져 오염표시부(1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2 and 3, a carpet tile 100 provided with a pollu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layer 110 and a plurality of files And a fibrous layer 130 formed by weaving the fibrous layer 130. The fibrous layer 130 is formed of piles of different materials to form the pollution indicator 140. [

즉, 본 발명은 상기 오염표시부(140)에 흡착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표시부(140)를 구성하는 섬유층(130) 표면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이하, 색상이라 통칭함) 변화의 차이를 통해 표면의 오염 여부를 판단해주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the difference in hue, brightness or satu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or) of the surface of the fiber layer 130 constituting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And the like.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기재층(110)은 카펫타일(100)의 두께를 부여해줌과 아울러 상하부의 전반적인 휨(Curling) 발란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기재층(110)은 적어도 하나의 염화비닐수지층을 기본적으로 가지면서 다른 층들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염화비닐수지층은 염화비닐수지 시트층 및 염화비닐수지 졸층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se material layer 110 provides the thickness of the carpet tile 100 and also serves to maintain the overall curling balanc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substrate layer 110 may have other layers with essentially a layer of at least one vinyl chloride resin. In this case, the vinyl chloride resin layer may include a vinyl chloride resin sheet layer, a vinyl chloride resin sol layer, and the like.

예컨대, 상기 기재층(110)은 염화비닐수지 시트층과, 염화비닐수지 시트층의 상부에 염화비닐수지 졸이 코팅되어 형성된 염화비닐수지 졸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 또는 이들이 2층 이상 복합 적층된 다층 구조로서 염화비닐수지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염화비닐수지 시트층은 염화비닐수지에 가소제, 충전제 및 첨가제를 혼합한 염화비닐수지 혼합물을 칼렌더링 공법으로 제조한 염화비닐수지 시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염화비닐수지 졸층은 염화비닐수지에 가소제, 충전제 및 첨가제를 혼합한 염화비닐수지 졸이 겔화되어 형성된다.For example, the base layer 110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composed of a vinyl chloride resin sheet layer and a vinyl chloride resin sol layer formed by coating a vinyl chloride resin sol on the vinyl chloride resin sheet layer, or a multi- It may be composed of a vinyl chloride resin layer only. In this case, the vinyl chloride resin sheet layer is composed of a vinyl chloride resin sheet prepared by a knife rendering method in which a vinyl chloride resin mixture in which a plasticizer, a filler, and an additive are mixed with a vinyl chloride resin. The vinyl chloride resin sol layer is formed by gelatinization of a vinyl chloride resin sol mixed with a plasticizer, a filler, and an additive into a vinyl chloride resin.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층(110)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염화비닐수지 제1졸층(111), 유리섬유 시트층(113), 염화비닐 수지 제2졸층(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base layer 1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polyvinyl chloride resin layer 111, a glass fiber sheet layer 113, and a second polyvinyl chloride resin layer 115 in this order from the bottom.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기재층(110)의 상부에는 접착제를 매개로 적층되는 부직포층(12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층(120)상에는 복수의 파일이 제직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층(130)이 구비된다.
The nonwoven fabric lay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base material layer 110 having such a structure through an adhesive.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120, a fiber layer 130 formed by weaving a plurality of piles is provided.

섬유층(130)은 통상적으로 부직포층(120)상에 세워서 제직되는 복수의 파일(Pile)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은 여러 가닥의 원사(섬유)가 집합된 섬유 다발이다. 이러한 섬유층(130)은 루프 타입(Loop type) 파일(131) 또는 컷 타입(Cut type) 파일(13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섬유층(130)은 루프 타입 파일(131)과 컷 타입 파일(133)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를 오염표시부(140)로 사용할 수 있다.The fibrous layer 130 is typical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les that are woven upright on the nonwoven layer 120. The file is a fiber bundle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of yarn (fibers) are gathered. The fiber layer 13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loop type file 131 and a cut type file 133. In another embodiment, the fiber layer 130 may be a mixture of the loop type file 131 and the cut type file 133, and either one of the fiber type layer 131 and the cut type file 133 may be used as the contamination display part 140.

여기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루프 타입 파일(131)과 컷 타입 파일(133)은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져 다양한 패턴이나 디자인을 형성해주게 된다. 예컨대, 상기 컷 타입 파일(133)은 루프 타입 파일(131)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컷 타입 파일(133)은 재질이 루프 타입 파일(131)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컷 타입 파일(133)을 오염표시부(140)로 사용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 type file 131 and the cut type file 133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to form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For example, the cut type file 133 is formed higher than the loop type file 131. The cut-type file 133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loop-type file 131, and the cut-type file 133 may be used as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컷 타입 파일(133)을 오염표시부(140)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using the cut-type file 133 as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will be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made in the opposite case.

그러면, 상기 오염표시부(140)를 이용하여 섬유층(130)의 오염 여부를 확인해주는 원리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오염표시부(140)는 크게 섬유층(130)의 재질에 따라 정전기가 발생되는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과, 섬유층(130)을 이루는 파일의 기공도 차이에 따라 이물질을 흡착하는 정도가 다른 성질을 이용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checking whether the fiber layer 130 is contaminated by using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is a method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fiber layer 130 an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dsorption of foreign matter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porosity of the pile forming the fiber layer 130 Lt; / RTI >

먼저, 상기 오염표시부(140)가 정전기 유도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해보기로 한다. 상기 섬유층(130)을 이루는 파일은 정전기 유도 정도가 다른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염표시부(140)는 정전기 유도 성능을 가진 재질로 적용되고, 그 이외의 섬유층(130)은 오염표시부(140)에 비해 정전기가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오염표시부(140)에 비해 정전기의 발생이 조금 덜한 재질로 이루어진다.First, the case where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is made of an electrostatic ind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pile forming the fiber layer 130 may be made of a polymer having a different electrostatic induction degree. That is,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performance and the other fibrous layers 130 do not generate static electricity at all compared to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Is made of a little less material.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표시부(140)를 구성하는 고분자는, 유리, 머리털, 나일론, 양모, 레이온, 견포, 비닐론인견혼방, 견포, 아세테이트인견, 오오론면혼방, 펄프노지, 고무, 테릴런, 비닐론, 사린, 다클론, 테릴렌, 카페이트, 폴리에칠렌, 카네칼론, 셀루로이드, 사진필름, 셀로판, 염화비닐, 테프론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may be made of glass, hair, nylon, wool, rayon, canvas, vinylon ointment blend, canvas, acetate, , Vinylene, sarin, polyclone, terylene, carpet, polyethylene, canecalone, celluloid, photographic film, cellophane, vinyl chloride, and Teflon.

상기 고분자는 대전서열 순으로 표시한 것으로, 대전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크면 클수록 먼지를 흡착해주는 효과가 더 높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복수의 고분자 중 대전되는 정도가 다른 복수 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해줌으로써 상기 오염표시부(140)를 구비한 섬유층(130)을 다양한 패턴과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Since the polymers are indicated in the order of charging sequence and the degree of charging is different, the larger the difference is, the higher the effect of adsorbing dust becomes. In other words, by selectively using a plurality of polymer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charging among the plurality of polymers, the fiber layer 130 having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can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표시부(140)는 기공도가 다른 적어도 두 가지의 고분자 또는 섬유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기공 내에 흡착되는 정도의 차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먼지의 흡착에 의해 오염표시부(140)가 먼지의 색으로 변하게 되며, 그러한 색의 변화는 표면 오염 정도를 판단해주는 척도가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may use at least two polymers or fibers having different porosity, and may use a difference in degree of adsorption of foreign matter in the pores. That is, the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140 is changed to the color of dust by adsorption of dust, and such a change in color is a measure for judging the degree of surface contamination.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공도의 차이를 이용한 오염표시부(140)는 (a)와 같은 밀폐기공(Closed por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오염표시부(14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b)와 같은 열린기공(Open pore)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섬유 속 깊숙이 먼지가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열린기공 속으로 먼지를 비롯한 곰팡이 및 다른 병해충들이 함께 들어감에 따라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using the porosity difference may have a closed pore structure as shown in (a). That is, when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is formed of an open pore as shown in (b) in which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is connected to each other, dust is deeply contained in the fibers. At this time, dust, fungus, and other pests enter into the open pores, which may adversely affect physical health.

이에 반해 밀폐기공(Closed pore)은 열린기공(Open pore)에 비해 제작이 수월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은 곰팡이 및 병해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폐기공(Closed pore)은 기공 내에 흡착된 먼지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losed pores can be manufactured in comparison with open pores, and the above problems of mold and pest can be solved. In addition, the closed por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ust adsorbed in the pores can be easily cleaned.

아울러 상기 밀폐기공(Closed pore)은 50㎛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공의 크기를 적어도 50㎛ 이하로 형성해줌으로써 기공 내에 먼지가 충분히 흡착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흡착된 먼지가 보행자의 보행시 떨어져 나오지 못하게 하고, 진공청소기 등을 이용한 청소시에만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closed pore size is preferably 50 μm or less. That is, by forming the pore size to at least 50 탆 or less, the dust can be sufficiently adsorbed in the pores. However, the adsorbed dus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pedestrian when walking, So that they can come out.

도 6을 참조하면,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섬유층(130)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표시부(140)를 포함한 섬유층(130)의 표면에 이물질의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흡착되는 이물질은 소정의 패턴 또는 디자인으로 형성된 오염표시부(140)의 색상을 변화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오염표시부(140)의 색상변화에 따라 섬유층(130) 표면의 오염 여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해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카펫타일(100)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 foreign matter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layer 130 including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over time in the fiber layer 130 having the above structure.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to be absorbed changes the color of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design, and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surface of the fiber layer 130 is contaminated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I can do it. Accordingly, the carpet tile 100 can be cleaned at an appropriate time.

다시 말해, 상기 섬유층(130)의 오염표시부(140)가 표시되지 않고 민무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오염표시부(140)를 이루는 고분자 또는 섬유의 기공 내에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오염표시부(140)의 패턴이나 디자인이 육안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이물질이 오염표시부(140)를 포함한 섬유층(130)의 표면에 흡착되어 청소를 필요로 하는 더러워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amination display portion 140 of the fibrous layer 130 is not displayed but is formed in a patter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oreign substance is not adsorbed in the polymer or fiber pores of the pollution display portion 140. On the other hand, if the pattern or design of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is visually confirmed, the foreign matter may b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layer 130 including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and thus a dirty state requiring cleaning may be determined.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펫타일(100)은 오염표시부(140)의 색상 변화를 통해 다양한 패턴이나 디자인을 구현해줄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카펫타일(100)을 가지고 다양한 인테리어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7 and 8, the carpet t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through the color change of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so that one carpet tile 1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joy various interior effec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카펫타일 110 : 기재층
120 : 부직포층 130 : 섬유층
140 : 오염표시부
100: carpet tile 110: substrate layer
120: nonwoven fabric layer 130: fibrous layer
140: pollution indicator

Claims (13)

기재층(110); 및
상기 기재층(110)의 상부에 복수의 파일이 제직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층(130);을 포함하되,
상기 섬유층(130)은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일로 이루어져 오염표시부(140)를 형성하며,
상기 오염표시부(140)에 흡착되는 이물질에 의한 상기 오염표시부(140)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변화의 차이를 통해 상기 섬유층(130) 표면의 오염 여부를 판단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A base layer 110; And
And a fiber layer 130 formed by weaving a plurality of files on the base layer 110,
The fibrous layer 130 is formed of piles of different materials to form the pollution indicator 140,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rface of the fiber layer 130 is contaminated through a difference in color, lightness, or saturation of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ue to a foreign substance adsorbed on the pollution display unit 140. [ Made carpet ti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110)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염화비닐수지 제1졸층(111), 유리섬유 시트층(113), 염화비닐 수지 제2졸층(1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layer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polyvinyl chloride resin layer (111), a glass fiber sheet layer (113) and a second polyvinyl chloride resin layer (115) in order from the bott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110)과 섬유층(130) 사이에는,
접착제를 매개로 개재되는 부직포층(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층(130)은 상기 부직포층(120)상에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base layer 110 and the fiber layer 130,
Further comprising a nonwoven fabric layer (120) sandwiched by an adhesive,
Wherein the fibrous layer (130) is woven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130)은,
루프 타입 파일(131) 또는 컷 타입 파일(13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brous layer (130)
Wherein the carpet tile is made of one of a loop type file (131) and a cut type file (1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130)은,
루프 타입 파일(131)과 컷 타입 파일(133)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오염표시부(1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brous layer (130)
Wherein the pollution display part (140) is formed by mixing a loop type file (131) and a cut type file (133), and either one of the two forms the pollution display part (14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타입 파일(131)과 컷 타입 파일(133)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op type file 131 and the cut type file 133,
Wherein the tiles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타입 파일(131)과 컷 타입 파일(133)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op type file 131 and the cut type file 133,
Wherein the tiles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표시부(140)는,
기공도가 서로 다른 고분자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흡착되는 정도의 차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Wherein a difference in degree of adsorption of foreign matters is used by using a polymer having a different porosi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표시부(140)는,
밀폐기공(Closed pore)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Wherein the tiles are made of a closed pore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기공(Closed pore)은 50㎛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losed pore has a size of 50 mu m or les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표시부(140)는,
정전기 유도 정도가 다른 고분자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흡착되는 정도의 차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Wherein a difference in degree of attraction of foreign substances is used by using a polymer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electrostatic indu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표시부(140)는,
유리, 머리털, 나일론, 양모, 레이온, 견포, 비닐론인견혼방, 견포, 아세테이트인견, 오오론면혼방, 펄프노지, 고무, 테릴런, 비닐론, 사린, 다클론, 테릴렌, 카페이트, 폴리에칠렌, 카네칼론, 셀루로이드, 사진필름, 셀로판, 염화비닐, 테프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Such as glass, hair, nylon, wool, rayon, shampoos, vinylon, artificial blend, juno, acetate, artificial cotton blend, pulp, artificial rubber, terylon, vinylon, sarin, polyclon, terylene, carpet, polyethyle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celluloid, photographic film, cellophane, vinyl chloride, and Teflon are selectively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표시부(140)는,
다양한 패턴이나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표시부가 구비된 카펫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min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Wherein the tiles are formed in various patterns or designs.
KR1020120135767A 2012-11-28 2012-11-28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KR101463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67A KR101463658B1 (en) 2012-11-28 2012-11-28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67A KR101463658B1 (en) 2012-11-28 2012-11-28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832A true KR20140070832A (en) 2014-06-11
KR101463658B1 KR101463658B1 (en) 2014-11-20

Family

ID=5112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767A KR101463658B1 (en) 2012-11-28 2012-11-28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65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1721A (en) * 2015-06-25 2015-11-04 和田古伦牧国际商贸有限公司 Method for fabricating carpet mix spinned from wool and hemp
CN105996700A (en) * 2016-08-07 2016-10-12 周红林 Intelligent carpet convenient to wash
CN107160760A (en) * 2017-04-19 2017-09-15 晟合新材料科技(嘉善)有限公司 The woven stamp composite of terylene and silk fabric joint product and its production technology
US10581051B2 (en) 2016-12-23 2020-03-0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eparator winding core, separator roll, and method of cleaning separator winding co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202A (en) 2002-12-24 2004-07-22 Kawashima Textile Manuf Ltd Pollution sensor
KR200381783Y1 (en) 2005-01-21 2005-04-14 한철조 a mat having good hygroscopicity
NL2002808C2 (en) * 2009-04-27 2010-10-28 Desso B V CARPET.
CA2764572A1 (en) * 2009-06-12 2010-12-16 Interface, Inc. Carpet tiles and methods of producing carpet tiles with diversity of color and tex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1721A (en) * 2015-06-25 2015-11-04 和田古伦牧国际商贸有限公司 Method for fabricating carpet mix spinned from wool and hemp
CN105996700A (en) * 2016-08-07 2016-10-12 周红林 Intelligent carpet convenient to wash
US10581051B2 (en) 2016-12-23 2020-03-0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eparator winding core, separator roll, and method of cleaning separator winding core
CN107160760A (en) * 2017-04-19 2017-09-15 晟合新材料科技(嘉善)有限公司 The woven stamp composite of terylene and silk fabric joint product and its production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658B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658B1 (en) Carpet tile having pollution displaying structure
JP5695033B2 (en) Lightweight and durable enclosure and laminate for making it
WO2009041093A1 (en) Fiber laminate sheet, artificial leather utilizing the same and synthetic fiber paper for use therein
KR20050084028A (en) Barrier fabric
CN104755260B (en) Premoistened multilayered cleaning wipe having colored regions
CN206110558U (en) Digital wall paper of individualized environmental protection
CN209678132U (en) A kind of carpet with fixed structure
US20130078412A1 (en) Floor pad and cover apparatus
CN201088559Y (en) Structure of cleaning cloth
CN209320391U (en) Textile fabric
JP3212337U (en) A licorice product with a UV-printed decorative surface.
CN109760374A (en) Compound Fabric
CN207314013U (en) One kind foaming matte PVC artificial leather
JP201912395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apped sheet, and napped sheet
CN205322021U (en) Elasticity carpet
CN214821582U (en) Flocking ground mat
JP3188897U (en) Combination tile carpet
CN105415776A (en) Fabric with characteristics of water resistance, gas permeation, moisture absorption and elasticity
CN208263583U (en) The structure-improved of cleaning mat
CN213322053U (en) Composite fabric with wear-resistant noctilucent function
KR102441092B1 (en) Macrame work board
JP3209247U (en) Cosmetic material
CN208881274U (en) Convenient for the napkin box fabric of fractionation
CN201929663U (en) Floor mat
KR10118975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mat and the mat manufactured therd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