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610A -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610A
KR20140069610A KR1020120137085A KR20120137085A KR20140069610A KR 20140069610 A KR20140069610 A KR 20140069610A KR 1020120137085 A KR1020120137085 A KR 1020120137085A KR 20120137085 A KR20120137085 A KR 20120137085A KR 20140069610 A KR20140069610 A KR 2014006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generator
vehicle
electric vehic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604B1 (ko
Inventor
정태철
김재환
강동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6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제동 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range extender electric vehicle)의 엔진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은, (a) 차량의 주행 모드가 엔진/발전기의 충전 모드(RE 모드)일 경우, 엔진/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차량의 운행 중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확인한 브레이크 신호의 발생 유무에 따라 상기 엔진/발전기의 구동 제어와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Engine control method of range extende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range extender electric vehicle)의 엔진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제동 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전기차)는 전기에너지의 사용 비중에 따라, 순수 전기자동차(B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로 구별된다.
그 중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과 모터가 모두 차량 구동에 쓰이는 "병렬형", 모터만 구동에 쓰이고 엔진은 발전기와 함께 전력발생에만 기여하는 "직렬형"으로 나뉜다.
여기서 직렬형 플러그형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해당한다. 예컨대, 장형 전기차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지며일상 주행에서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배터리가 일정량 소진 시에는 내연기관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는 형태의 전기자동차이다.
통상, 전기차의 주행가능거리를 연장하는 방법은, 전기차 자체의 에너지 저장량을 증가시키거나, 효율적인 알고리즘 개발이 그 방법이다.
전자의 경우는 차량에 더 많은 배터리를 탑재할 수도 있지만, 무게가 증가하고 가격도 높아지기 때문에 배터리 수를 늘리는 것보다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늘리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플러그형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대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79338호(2010.07.08. 공개)(발명의 명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국가 중앙 전력망과 지역 분산 발전 시스템으로부터의 최대 전력 사용량과 요금정보를 공급받아 시간대별로 예상되는 충전 요금을 계산하여 표시하고, 원하는 충전시간대를 선정하여 충전요금을 정산하여 가장 저렴한 충전요금정보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79338호(2010.07.08. 공개)(발명의 명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및 일반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이면 차량 제동과 관계없이 엔진이 항상 구동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엔진/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가 배터리로 충전되며, 차량 제동 시 회생제동에 의한 전기 에너지 또한 배터리로 충전되어, 배터리에서 엔진/발전기와 회생제동 에너지를 동시에 감당하게 되므로, 충전 효율이 떨어지고,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회생제동은 전기자동차가 진행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차량의 진행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의 전원인가 단자에서 역으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다시 구동모터에 인가하여 진행방향에 대해 구동모터가 역으로 회전하게끔 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제동 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서 엔진/발전기에 사용되는 연료소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은,
(a) 차량의 주행 모드가 엔진/발전기의 충전 모드일 경우, 엔진/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차량의 운행 중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확인한 브레이크 신호의 발생 유무에 따라 상기 엔진/발전기의 구동 제어와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c-1) 상기 (b)단계의 확인결과 브레이크 온 신호가 발생한 경우, 엔진/발전기를 오프시키고, 회생제동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와;
(c-2) 상기 (b)단계의 확인결과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엔진/발전기를 가동하여 발생한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제동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서 엔진/발전기에 사용되는 연료소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개략 구성도로서, 엔진/발전기(10), 차량 제어 유닛(VCU; Vehicle Control Unit)(20), 인버터(inverter)(30), 견인 전동기(Traction Motor)(40) 및 고압 배터리(50), 브레이크 센서(60)로 구성된다.
엔진/발전기(10)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 구비된 통상의 엔진/발전기를 의미하고, 차량 제어 유닛(20)은 브레이크 센서(60)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엔진/발전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30)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직류 전기차에서는 가선 전압(架線電壓 , trolley voltage)을 직접 인버터로 3상 교류로 변환하고, 교류 전기차에서는 컨버터를 통해 만들어진 직류를 다시 교류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견인 전동기(40)는 주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받아 차량을 견인(주행)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동기를 의미하며, 고압 배터리(50)는 상기 엔진/발전기(10)에서 생성된 충전 에너지를 충전하거나, 상기 견인 전동기(40)에서 발생하는 회생제동 에너지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 적용되어 제동 여부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제어방법을 보인 것으로서, (a) 차량의 주행 모드가 엔진/발전기의 충전 모드일 경우, 엔진/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단계(S10 ~ S20)와; (b) 상기 차량의 운행 중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0)와; (c) 상기 (b)단계에서 확인한 브레이크 신호의 발생 유무에 따라 상기 엔진/발전기의 구동 제어와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S30 ~ S6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c)단계(S30 ~ S60)는 (c-1) 상기 (b)단계의 확인결과 브레이크 온 신호가 발생한 경우, 엔진/발전기를 오프시키고, 회생제동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S30, S50 ~ S60)와; (c-2) 상기 (b)단계의 확인결과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엔진/발전기를 가동하여 발생한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동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는, 엔진/발전기의 충전 모드인 "RE" 모드가 선택되고(S10), 엔진/발전기(10)가 동작을 하면(S20), 엔진/발전기(10)에서 발생하는 충전 에너지로 고압 배터리(50)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엔진/발전기(10)가 동작하고,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차량 제어 유닛(20)은 브레이크 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를 검색하여(S30),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즉, 엔진/발전기(10)를 구동시키고, 발전기에서 발생한 충전 에너지를 고압 배터리(50)에 충전시키게 된다(S40).
이와는 달리 차량 제어 유닛(20)은 상기 브레이크 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를 검색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가 온(on)인 경우에는 상기 엔진/발전기(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50).
그리고 견인 전동기(40)에서 발생하는 회생제동 에너지로 고압 배터리(50)를 충전하게 된다(S6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제동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서 엔진/발전기에 사용되는 연료소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엔진/발전기 20 : 차량 제어 유닛
30 : 인버터 40 : 견인 전동기
50 : 고압 배터리 60 : 브레이크 센서

Claims (3)

  1. (a) 차량의 주행 모드가 엔진/발전기의 충전 모드(RE 모드)일 경우, 엔진/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차량의 운행 중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확인한 브레이크 신호의 발생 유무에 따라 상기 엔진/발전기의 구동 제어와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b)단계의 확인결과 브레이크 온 신호가 발생한 경우, 엔진/발전기를 오프시키고, 회생제동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2) 상기 (b)단계의 확인결과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엔진/발전기를 가동하여 발생한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KR1020120137085A 2012-11-29 2012-11-29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KR10141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85A KR101419604B1 (ko) 2012-11-29 2012-11-29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85A KR101419604B1 (ko) 2012-11-29 2012-11-29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610A true KR20140069610A (ko) 2014-06-10
KR101419604B1 KR101419604B1 (ko) 2014-07-14

Family

ID=5112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085A KR101419604B1 (ko) 2012-11-29 2012-11-29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796B1 (ko) 2016-07-27 2018-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장형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수명연장을 위한 엔진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5163B1 (fr) 2007-04-23 2009-06-05 Renault Sas Systeme et procede de commande d'un groupe motopropulseur hybride pour la recharge d'une batt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604B1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5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hybrid vehicle
JP4957827B2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
US8798833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9028366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101500080B1 (ko)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 제동시 저전압 직류변환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US20130030635A1 (en) Hybrid vehicle
CN101734251A (zh) 一种增程式电动汽车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1395030A (zh) 车辆驱动装置以及车辆驱动装置的控制方法
KR101730712B1 (ko) 하이브리드 차량
JP2014027864A (ja) 電気自動車の低電圧直流交換器アクティブ制御システム
JP5747724B2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JP201101171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3099994A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JP2012080689A (ja) 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WO2013018221A1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US986843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5510259B2 (ja) 車両用電力制御装置
JP2015057009A (ja) 車両
KR20120063313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214254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EP3674129B1 (en) Vehicular charging control system
JP2011166876A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KR101419604B1 (ko)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엔진 제어방법
JP2015035919A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US10569656B2 (en) Regenerativ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