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472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472A
KR20140068472A KR1020120136002A KR20120136002A KR20140068472A KR 20140068472 A KR20140068472 A KR 20140068472A KR 1020120136002 A KR1020120136002 A KR 1020120136002A KR 20120136002 A KR20120136002 A KR 20120136002A KR 20140068472 A KR20140068472 A KR 20140068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late
fram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6179B1 (en
Inventor
김재훈
문병기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179B1/en
Publication of KR2014006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panel; a battery cover locat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 frame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ver and the display panel; a circuit board arranged on the frame; a battery locat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attery cover;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by passing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ram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s a variety of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terminal having a multi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player).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Nowadays,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as it has hardware for implementing a faster data processing speed, a clearer picture quality, and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은 배터리(Battery)가 장착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space for mounting a battery is sufficiently secured and a size of an unnecessary portion is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Circuit Board),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Battery)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를 지나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을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battery cover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over and the display panel, A battery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attery cover, and a flexible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rame, Printed Circuit).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밀착되며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includes an opening.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The battery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frame, and the flexible substrate may pas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연성기판을 덮는 보호시트(Protection Sheet)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on sheet covering 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두께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plat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배터리의 크기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Also, the size of the battery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회로기판(Circuit Board)과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배터리와 프레임(Frame)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배터리(Battery)가 장착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의 크기를 줄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ircuit board and a display panel is disposed between a battery and a frame,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unnecessary portion.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5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 and / or "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s described herein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herein is preferably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ar shape. The sha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but may be various typ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cover 210, a battery cover 220, and a display unit 151. The front cover 210 and the battery cover 2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회로기판(Circuit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Various circuit boards and electronic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battery cover 220. [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혹은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라고 칭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panel or a display module.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represent a 2D image and / or a 3D imag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210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at an edge of the display unit 151. In other words, the front cover 210 may include a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151.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ver 210 may include a portion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보호기판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arrange a protective material of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151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51. [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220 protects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impact and restrains the battery.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152, a front camera 280a,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a microphone 122, A camera 280b, and an interface unit 170, as shown in FIG.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a speaker for outputting a condensed sound or the like.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152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first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ynthesized sound, a second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s according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ring ton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part.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The front camera 280a can photograph a subject such as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For example,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conduct a video call with another user using his / her own image captured by the front camera 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be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es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include various operation units.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281 and a side button 284. Here, the touch input unit 281 may be used to detect proximity touch and / or touch touched by the user, and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ide button 284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touch input unit 281 may include a capacitive touch sensor. In this case,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unit 281, a predetermined command can be executed. In addition, when a command input, that is, a touch is detected by the user, light may be generated in the touch input unit 281,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ith a tactile impression. For example, the side button 284 of the user input 281 may be a physical button.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The user inputs 281 and 284 can be frequently used or assigned major functions.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start and / or term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 or application, sound conditioning, and the like may be assigned to the user inputs 281 and 284.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ide button 284 can hav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lik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ing the side button 284 while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may be a device for acquiring a voice or the like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ttery cover 220 may be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rear camera 280b.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ar camera 280b can photograph a subject such as a user located beh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user can photograph a subject located beh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ile check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using the rear camera 280b.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rear camera 280b and the front camera 280a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be able to rotate or pop-up.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flash and / or a mirror may be disposed around at least one of the rear camera 280b and the front camera 280a. The flash can illuminate the subject toward the subject during shooting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subject.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terface unit 170 can be used to receive data, power, etc. from the outsid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a touch sensor for touch operation may be disposed in front of or behind the display unit 151.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210, a battery cover 220, a housing 240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over 220 and the front cover 210, . ≪ / RTI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500), 윈도우 기판(500)과 하우징(24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 substrate 500, a window substrate 500, and a display unit 151 disposed in the housing 240.

윈도우 기판(50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50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substrate 50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to protect the display unit 151. In addition, the window substrate 500 is substantially transparent, and may include a glass material or a resin material.

이러한 윈도우 기판(500)에는 터치 센싱을 위한 전극 및 근접 센싱을 위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indow substrate 500, an electrode for touch sensing and an electrode for proximity sensing may be formed.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40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for example, a circuit board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24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over 220.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form of the battery cover 220 and the housing 240 may be various. For example, the battery cover 220 may be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240 by a pop-up type, a slide type, a pull type, or the like.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camera 280b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240. [ In this case, a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rear camera (280b) may be formed on the battery cover (220) to expose the rear camera (280b) to the outside.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battery 27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240. To this end, the housing 240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battery 270 is mounted, that is, a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240 may include a battery terminal 371. The battery terminal 37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270 so that the energy of the battery 270 may be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terminal 371 may be disposed in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When the battery 270 is disposed in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the battery 270 can be safely restrained and the battery 270 can be st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371.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exchange the battery 270 after detaching the battery cover 220 from the housing 240. [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Also, a memory coupling unit 38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240. A memory 390 such as a memory card or a USIM card can be connected to the memory coupling unit 380.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housing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ttached hereto.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40 may include a frame 310 and a rear cover 320.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310. Preferably, the circuit board 400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310. In other words, the circuit board 4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rame 310 and the rear cover 320. Various circuit components 401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400.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ircuit board 400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여기서, 회로 기판(400)은 제어부(Controller)라고 칭할 수 있다.Here, the circuit board 400 may be referred to as a controller.

또는, 회로 기판(4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Memory)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ircuit board 4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and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A terminal body 372 in which a battery terminal 371 is disposed, a memory coupling unit 380 and a rear camera 280b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310. [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ear camera 280b and / or the memory coupling portion 380 are disposed on the rear cover 320. [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372 may be located in the region 370a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0 in the frame 310. [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The frame 31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340 for fastening with the rear cover 320. A fastening hole 341 for fastening the frame 310 to the rear cover 320 may be formed on the rear cover 320. The frame 310 and the rear cover 320 can be fastened together by fastening means 342 such as a screw through the fastening holes 341 and connected to the fastening portions 340. [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rear cover 32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310 to protect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frame 310.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A battery hole 370b for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320. [ The battery hole 370b may correspond to a region 370a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0 of the frame 310. [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erminal hole 370c for the terminal body 372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hole 370b.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ar cover 320 may include a memory hole 361 corresponding to the memory coupling unit 380 and a camera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rear camera 280b.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rear camera 280b disposed in the frame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221 formed in the camera hole 221 and the battery cover 220. [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memory connector 380 disposed in the frame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cover 320 through the memory hole 361. [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s such as an earphone, a headset, and the like.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5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커버(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회로기판(400), 프레임(310)과 배터리 커버(미도시)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270)와 프레임(310)의 사이를 지나 디스플레이 패널(151)과 회로기판(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530)을 포함할 수 있다.5,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board 400 disposed on a frame 310 positioned between a battery cover (not shown) and a display panel 151, a frame 31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530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display panel 151 and the circuit board 400 through a space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rame 310 locat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51 and the frame 310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IC(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 IC(510)는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드라이브 IC(510)는 디스플레이 패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e IC 510 including a driving elemen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51. [ Here, the drive IC 510 may include a back light unit that generates light. Here, the drive IC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51.

아울러, 회로기판(400)에는 커넥터(Connector, 52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or 520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400.

이러한 구성에서 연성기판(530)의 일측은 회로기판(400)에 배치된 커넥터(520)에 연결되고, 연성기판(530)의 타측은 드라이브 IC(5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400)과 디스플레이 패널(151)이 연성기판(5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5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520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4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53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IC 510. Accordingly, the circuit board 400 and the display panel 15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lexible board 530.

도 5에서와 같이, 연성기판(530)이 배터리(270)와 프레임(310)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flexible board 530 passes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rame 310,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270 can be disposed can be sufficiently wide.

예를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연성기판(530)이 배터리(270)와 프레임(310)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연성기판(530)이 차지하던 공간에 배터리(27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터리(270)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6, when the flexible substrate 530 passes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rame 310, the battery 270 can be disposed in the space occupied by the flexible substrate 530 ha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battery 270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아울러, 연성기판(530)이 배터리(270)와 프레임(310)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배터리(270)와 전면커버(210)의 제 1 측면(S1) 사이의 간격(L1)은 배터리(270)와 전면커버(210)의 제 1 측면(S1)에 대항되는 제 2 측면(S2) 사이의 간격(L2)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flexible board 530 passes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rame 310, the gap L1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irst side surface S1 of the front cover 210 is smaller than the gap L1 between the battery 270 270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1 of the front cover 21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2 opposing the first side surface S1 of the front cover 210. [

도 7의 경우와 같이, 연성기판(530)이 배터리(270)와 프레임(310)의 사이를 통과하지 않고, 전면커버(210)의 제 2 측면(S2)과 배터리(270)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연성기판(530)이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배터리(27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270)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530 does not pass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rame 310 but passes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S2 of the front cover 210 and the battery 270, The space occupied by the flexible substrate 530 reduces the space in which the battery 270 can be disposed and consequently the size of the battery 270 can be reduced. Or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rease.

아울러, 연성기판(530)이 배터리(270)와 전면커버(210)의 제 2 측면(S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배터리(270)와 전면커버(210)의 제 1 측면(S1) 사이의 간격(L3)은 배터리(270)와 전면커버(210)의 제 2 측면(S2) 사이의 간격(L4)보다 작을 수 있다.When the flexible board 530 passes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2 of the front cover 210, the gap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irst side surface S1 of the front cover 210 The interval L3 may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L4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2 of the front cover 210. [

한편, 프레임(310)은 복수의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frame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The following is a look at this.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8을 살펴보면, 프레임(310)은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600) 및 제 1 플레이트(600)에 밀착되며 개구부(Opening, 611, 612, 613)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6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rame 310 includes a first plate 600 and a second plate 6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600 and includes openings 611, 612, ).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는 전기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강성이 큰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high rigidity. For example,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may include a stainless steel material.

아울러, 프레임(310)은 제 1, 2 플레이트(600, 6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몰드(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몰드(620)는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몰드(62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310 may further include a mold 620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00 and 610. Here, the mold 6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molded. For example, the mold 620 may comprise a plastic material.

이러한 몰드(620)는 프레임(310)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구조물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mold 620 may be used to connect the frame 310 and other structur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는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may be connected.

이를 위해, 제 1 플레이트(600)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홀(HC1~HC4)이 형성되고, 제 2 플레이트(610)에는 복수의 제 2 체결홀(HB1~HB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R1~SR4)이 제 1 체결홀(HC1~HC4)과 제 2 체결홀(HB1~HB4)을 관통하여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를 연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HC1 to HC4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600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HB1 to HB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ans SR1 to SR4 such as a screw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HC1 to HC4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HB1 to HB4 to connect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You can connect.

몰드(62)에는 복수의 제 3 체결홀(HA1~HA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수단(SR1~SR4)은 제 1 체결홀(HC1~HC4), 제 2 체결홀(HB1~HB4) 및 제 3 체결홀(HA1~HA4)을 관통하여 제 1 플레이트(600), 제 2 플레이트(610) 및 몰드(620)를 연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holes HA1 to HA4 may be formed in the mold 62.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ans SR1 to SR4 pas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s HC1 to HC4, the second fastening holes HB1 to HB4 and the third fastening holes HA1 to HA4, The second plate 610 and the mold 620 can be connected.

여기서는,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를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은 생략될 수 있다.Here, the case where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are connected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s expla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weld and connect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In this case, at least one fastening hole may be omitted.

도 9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270)는 제 2 플레이트(610)에 형성된 개구부 중 제 1 개구부(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터리(270)는 제 2 플레이트(610)의 제 1 개구부(6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9, the battery 27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611 among the openings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attery 27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opening 611 of the second plate 610.

제 2 플레이트(610)에는 제 1 개구부(611) 이외에 다른 개구부, 예컨대 제 2 개구부(612) 및 제 3 개구부(613)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개구부(612) 및 제 3 개구부(613)는 다른 회로부품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개구부(612) 및 제 3 개구부(613) 중 적어도 하나는 카메라에 대응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610 may have other openings other than the first openings 611, for example, the second openings 612 and the third openings 613. Here, the second opening 612 and the third opening 613 may correspond to other circuit component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second opening 612 and the third opening 613 may correspond to a camera.

여기서는, 제 2 플레이트(610)에 총 3개의 개구부(611, 612, 613)가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제 2 플레이트(610)에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제 1 개구부(611)가 형성되는 조건 하에 제 2 플레이트(610)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case where three openings 611, 612 and 613 are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is expla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irst plate 610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0 is formed on the second plate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openings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can be variously changed have.

아울러, 연성기판(530)은 배터리(270)와 제 1 플레이트(600)의 사이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ubstrate 530 may pas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irst plate 600.

예를 들면, 도 10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를 결합한 이후에, 연성기판(530)을 프레임(310)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연성기판(530)은 제 2 플레이트(610)에 형성된 제 1 개구부(611)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lexible substrate 530 can be disposed on the frame 310, as in the case of FIG. 10 (A). Here, the flexible substrate 53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611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이후, 배터리(270)를 제 1 개구부(611)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battery 270 can be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611. [

이러한 경우, 연성기판(530)은 제 1 개구부(611)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배터리(270)와 제 1 플레이트(6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개구부(611)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연성기판(530)의 일면은 제 1 플레이트(600)와 접촉하고, 연성기판(530)의 타면은 배터리(270)와 접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exible substrate 530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irst plate 600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611. One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530 contacts the first plate 60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530 contacts the battery 270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611.

배터리(270)가 제 1 개구부(611) 내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도 10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개구부(611)의 크기(W1)는 배터리(270)의 크기(W2)보다 클 수 있다.The size W1 of the first opening 611 is larger than the size W2 of the battery 270 so that the battery 270 is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611 .

또한, 배터리(270)가 제 1 개구부(611)에 위치하면, 프레임(310)에 배터리(27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310)의 밑면부터 배터리(270)의 상부까지의 높이(T1)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When the battery 270 is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611 and the battery 270 is mounted on the frame 310, the height T1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310 to the top of the battery 270, Can be relatively small.

도 11의 (A)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310)이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를 포함하고, 제 2 플레이트(610)에 배터리(270)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270)가 제 2 플레이트(610)에 배치되어 한다.11A, the frame 310 includes a first plate 600 and a second plate 610, and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0 is formed on the second plate 610 The battery 270 is disposed on the second plate 610. In this case,

이에 따라, 프레임(310)에 배터리(27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310)의 밑면부터 배터리(270)의 상부까지의 높이(T2)가 앞선 도 10의 T1보다 클 수 있다.The height T2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310 to the top of the battery 270 may be greater than T1 in FIG. 10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270 is mounted on the frame 310.

또는, 도 11의 (B)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310)이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로 분할되지 않고,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Single Plate, 690)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프레임(310)에 배터리(27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310)의 밑면부터 배터리(270)의 상부까지의 높이(T3)가 앞선 도 10의 T1보다 클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rame 310 is not divided into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but includes a single plate 690 as in the case of FIG. 11B, The height T3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310 to the top of the battery 270 may be greater than T1 of FIG. 10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270 is mounted on the frame 310. [

반면에, 앞선 도 10과 같은 경우에서는, 배터리(270)가 제 2 플레이트(610)에 형성된 제 1 개구부(611)에 위치함으로써, 프레임(310)에 배터리(27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310)의 밑면부터 배터리(270)의 상부까지의 높이가 제 2 플레이트(610)의 두께만큼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10, the battery 270 is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611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so that the battery 270 is mounted on the frame 310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270 is mounted on the frame 310. In this case, 310 may be reduced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610.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610,

아울러, 배터리(270)와 프레임(310)의 사이 공간을 연성기판(530)이 통과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flexible substrate 53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rame 310, excessiv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uppressed.

또한, 제 1 플레이트(600)가 충분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제 2 플레이트(610)에 제 1 개구부(611)를 형성하더라도 프레임(310)의 강성이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plate 600 provides sufficient rigidity, excessive rigidity of the frame 3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reduced even if the first opening 611 is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즉, 도 10과 같은 경우에는 프레임(310)의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FIG. 10, the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310.

도 12를 살펴보면, 연성기판(530)을 덮는 보호시트(Protection Sheet, 700)가 배터리(270)와 제 1 플레이트(6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12, a protection sheet 700 covering the flexible substrate 5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270 and the first plate 600. In this case,

이러한 보호시트(700)는 연성기판(530)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으며, 연성기판(530)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시트(700)는 탄력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Such a protective sheet 700 can interrupt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substrate 530 and protect the flexible substrate 530. The protective sheet 700 can have elasticity.

이러한 보호시트(700)는 도 1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610)의 제 1 개구부(611) 내에서 제 1 플레이트(600) 및 연성기판(53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This protective sheet 70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600 and the flexible substrate 530 in the first opening 611 of the second plate 610 as in the case of FIG 13A .

이에 따라, 배터리(27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보호시트(700)는 배터리(27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ection sheet 700 can be covered by the battery 270 when the battery 270 is attached.

또는, 도 13의 (B)의 경우와 같이, 보호시트(700)는 제 1 플레이트(600) 및 연성기판(530) 뿐 아니라, 제 2 플레이트(610)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13B, the protective sheet 700 may include a first plate 600 and a flexible substrate 530, as well as a portion attached to the top of the second plate 610 have.

이러한 경우에는, 배터리(270)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보호시트(700)의 일부는 노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battery 270 is attached, a part of the protective sheet 700 can be exposed.

아울러, 제 1 개구부(611) 내에서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의 경계부분에서 보호시트(700)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et 700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in the first opening 611.

프레임(310)의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 중에서 제 2 플레이트(610)는 배터리(270)가 배치되는 개구부를 제공하면서도 제 1 플레이트(60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610 of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of the frame 310 may provid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battery 270 is disposed and may complement the rigidity of the first plate 600 .

이를 고려하면, 프레임(310)의 강성을 충분히 크게 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는,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610)의 두께(D2)는 제 1 플레이트(600)의 두께(D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제 1 플레이트(600)의 두께(D1)와 제 2 플레이트(610)의 두께(D2)는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14,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plate 6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first plate 600.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rigidity of the frame 310 is sufficiently large, (D1). That is,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plate 600 and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plate 6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15를 살펴보면, 연성기판(530)과 제 1 플레이트(600)의 사이에는 접착층(8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성기판(530)을 제 1 플레이트(600)에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n adhesive layer 8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530 and the first plate 600. In this case, it may be easy to fix the flexible substrate 530 to the first plate 600.

도 16을 살펴보면,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의 사이에는 시트층(Sheet Layer, 9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6, a sheet layer 9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이러한 시트층(900)은 점착성을 갖는 접착시트일 수 있다.The sheet layer 900 may be an adhesive sheet having adhesiveness.

즉, 제 1 플레이트(600)와 제 2 플레이트(610)는 접착시트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first plate 600 and the second plate 610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sheet.

이러한 경우, 시트층(900)에는 제 2 플레이트(610)에 형성된 개구부(611~613)에 대응한 개구부(901~903)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openings 901 to 903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611 to 613 formed in the second plate 610 may be formed in the sheet layer 900.

예를 들면, 시트층(900)에는 제 2 플레이트(610)의 제 1 개구부(611)에 대응한 제 4 개구부(901), 제 2 개구부(612)에 대응하는 제 5 개구부(902) 및 제 3 개구부(613)에 대응하는 제 6 개구부(903)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sheet layer 900, a fourth opening portion 901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611 of the second plate 610, a fifth opening portion 9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612, It is possible that a sixth opening portion 903 corresponding to the third opening portion 613 is formed.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Circuit Board);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Battery);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를 지나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display panel;
A battery cover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A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over and the display panel;
A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frame;
A battery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attery cover;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ram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밀착되며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includes an opening;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ttery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flexible substrate passe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irst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을 덮는 보호시트(Protection Sheet)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사이에 더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rotection sheet covering the soft substrate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irst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두께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두께는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lat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크기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ze of the battery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KR1020120136002A 2012-11-28 2012-11-28 Mobile terminal KR101976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002A KR101976179B1 (en) 2012-11-28 2012-11-2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002A KR101976179B1 (en) 2012-11-28 2012-11-2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472A true KR20140068472A (en) 2014-06-09
KR101976179B1 KR101976179B1 (en) 2019-05-08

Family

ID=5112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002A KR101976179B1 (en) 2012-11-28 2012-11-28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1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324A (en)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substra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110A (en) * 2010-02-02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110A (en) * 2010-02-02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179B1 (en)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21694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input detection panel
US10775849B2 (en) Flexib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40140018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Protection Structures
US20150381929A1 (en) Mobile/portable terminal
CN108881539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437966B1 (en) Portable terminal
KR20190041252A (en) Display including bending area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JP6146998B2 (en) Electronics
KR20160122514A (en) Mobile terminal
KR20200101224A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tection member
US9507380B2 (en) Assembly for attaching a lens to a housing
CN109346828B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60007495A1 (en) Assembly for attaching a circuit board to a housing
CN108540616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10099974A (en) Electronic device include sound path
CN108682937B (en) Shell assembly,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8493587B (en) Shell assembly,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8810208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976179B1 (en) Mobile terminal
KR20140073098A (en) Mobile terminal
KR101822938B1 (en) Mobile terminal
KR101969899B1 (en) Mobile terminal
KR102018375B1 (en) Mobile terminal
CN108667983B (en) Shell assembly,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01822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