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561A - 영·유아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유아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561A
KR20140066561A KR1020120133961A KR20120133961A KR20140066561A KR 20140066561 A KR20140066561 A KR 20140066561A KR 1020120133961 A KR1020120133961 A KR 1020120133961A KR 20120133961 A KR20120133961 A KR 20120133961A KR 20140066561 A KR20140066561 A KR 2014006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infant
baby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500B1 (ko
Inventor
신현주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광산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to KR102012013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5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 및 유아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무선신호로 송출하여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된 영·유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는 영·유아의 울음소리가 입력될 수 있도록 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와, 상기 주파수 분석부의 분석 정보를 전달받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구동하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에 의해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송신기의 무선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제1 수신기에서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발광, 음향출력 또는 진동발생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신호를 복합적으로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영·유아 감시장치 {Observing apparatus for baby}
본 발명은 영·유아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아 및 유아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무선신호로 송출하여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된 영·유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아 및 유아를 키우는 보호자들은 영아 및 유아의 근방에서 항상 영·유아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의 경우 위험한 물건을 만지거나 입에 가져갈 수도 있고, 주변의 위험 요소에 대한 인지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영·유아를 돌보는 부모나 보호자는 집안일이나 본인의 휴식을 취할 별도의 시간을 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통 영·유아가 자고 있는 시간을 이용해 집안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영·유아가 잠에서 깨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지 못하면, 영·유아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유아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의 필요성이 있었는데,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선행특허로 공개특허 10-2004-0106792호에는 유아의 울음 소리 주파수를 이용한 유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영상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 지므로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4-0106792호 : 유아의 울음 소리 주파수를 이용한 유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공개특허 제10-2006-0105312호 :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한 유아 안전 경보장치와 안전 경보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영·유아의 울음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영·유아의 상태를 전송하고, 보호자가 도착할 때까지 영·유아를 달랠 수 있는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어 종래기술보다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단하며, 영·유아의 보호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영·유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는 영·유아의 울음소리가 입력될 수 있도록 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와, 상기 주파수 분석부의 분석 정보를 전달받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구동하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에 의해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송신기의 무선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제1 수신기에서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발광, 음향출력 또는 진동발생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신호를 복합적으로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구비한다.
영·유아의 팔뚝에 착용되는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박동맥의 맥박을 감지하는 심박감지센서 및 영·유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처리하며, 측정된 심박 또는 온도가 설정 수치를 벗어나면 이를 중앙처리부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기에 무선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감시모드와 관리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감시모드일 때에는 영·유아의 울음소리를 감지한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 아이를 달래기 위한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관리모드일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심박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정보를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는 보호자가 개인적인 일을 하면서도 영·유아의 상황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영·유아 감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10)는 감시대상의 영·유아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유닛(100)과, 보호자가 휴대하는 제2 유닛(200)과, 감시대상의 영·유아의 팔뚝에 착용하는 제3 유닛(300)을 구비한다.
제1 유닛(100)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110)를 구비하며, 본체(110)의 일측에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7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닛(100)은 상기 마이크(120)와,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130)와, 중앙처리부(14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2)와 스피커(171)를 포함하는 출력부(170)와, 중앙처리부(140)의 송출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제1 송신기(150) 및 후술하는 제3 유닛(3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기(18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는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되는데, 다양한 음향신호를 주파수로 변환하며,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에서 이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음향신호가 영·유아의 울음소리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중앙처리부(140)는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음향신호가 영·유아의 울음소리로 판별되면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해 제1 송신기(150)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부(140)에서는 출력부(170)를 통해 영·유아를 달랠 수 있는 음향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즉, 엄마의 목소리를 미리 녹음한 음성파일이나 영·유아가 좋아하는 음악 파일, 그리고 엄마가 아이를 달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파일이나, 영·유아를 위한 만화와 같은 영상파일을 메모리(170)에 미리 저장해 두고, 송출된 신호에 의해 보호자가 도착할 때까지 아이를 달랠 수 있도록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유닛(200)은 보호자가 휴대하는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하우징(210)에 상기 제1 송신기(150)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수신기(220)가 내장되고, 제1 수신기(220)에서 송출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해 하우징(210)을 휴대한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발광램프(231), 스피커(232), 바이브레이터(233)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램프(231)에서는 광을 조사하고, 스피커(232)에서는 설정된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며, 바이브레이터(233)는 하우징(210)에 진동을 인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210)에는 발광램프(231)와 스피커(232) 및 바이브레이터(233) 중 어느 하나나 두 가지만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선택버튼이 구비되고, 전체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차단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보호자는 상기 하우징(210)을 밴드를 통해 신체의 일부에 걸어두거나 옷에 착용하여 휴대하며, 제1 유닛(100)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잠들었던 영·유아가 울고있음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닛(300)은 영·유아의 몸에 착용하여 영·유아의 심박과 체온을 체크한다.
아주 어린 영아의 경우 엎드려 있다가 코와 입이 막혀 질식사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영·유아의 경우 감기에 걸리거나 다른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때, 자다가 열이 올라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유아의 몸에 착용하는 제3 유닛(300)을 통해 영·유아의 심박과 체온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제3 유닛(300)은 영·유아의 팔뚝에 착용하는 밴드부재(310)와, 이 밴드부재(310)에 장착되어 심박과 체온을 체크하는 감지센서부(320)와, 감지센서부(320)의 감지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330)와, 정보처리부(330)에서 송출한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140)에 전송하기 위한 제2 송신기(340)를 포함한다.
성인이나 아동의 경우에는 심박의 측정을 경동맥을 통해 하지만 영·유아의 경우에는 상박동맥을 통해 심박을 측정해야 하므로 신축성이 있는 밴드를 상박동맥을 측정할 수 있는 팔뚝에 착용시켜 심박감지센서(321)에서 상박동맥을 통해 심박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영·유아의 피부와 접촉하는 온도감지센서(322)를 통해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정보처리부(330)에서는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심박정보와 온도정보를 설정된 수치와 비교하여 심박과 체온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제2 송신기(340)를 통해 중앙처리부(140)로 전송한다.
제2 송신기(34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는 제2 수신기(180)에서 수신되어 중앙처리부(140)로 전달되며, 중앙처리부(140)는 해당 신호가 입력되면 이 때에도 제1 송신기(150)를 통해 보호자가 휴대한 제2 유닛(200)으로 경고신호를 송출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감시장치(10)는 잠든 영·유아가 깨어났을 때, 영·유아의 울음소리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보호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2 유닛(20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아울러 제3 유닛(300)에서 주기적으로 심박과 체온을 체크하여 영·유아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확인하도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2)는 상기 감지센서부(320)에서 감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심박과 체온을 디스플레이부(172)에서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유아 감시장치(10)가 체온계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영·유아 감시장치
100; 제1 유닛
110; 본체 120; 마이크
130; 주파수 분석부 140; 중앙처리부
150; 제1 송신기 160; 메모리
170; 출력부 171; 스피커
172; 디스플레이부 180; 제2 수신기
200; 제2 유닛
210; 하우징 220; 제1 수신기
231; 램프 232; 스피커
233; 바이브레이터
300; 제3 유닛
310; 밴드부재 320; 감지센서부
321; 심박감지센서 322; 온도감지센서
330; 정보처리부 340; 제2 송신기

Claims (3)

  1. 영·유아의 울음소리가 입력될 수 있도록 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와, 상기 주파수 분석부의 분석 정보를 전달받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구동하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에 의해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송신기의 무선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제1 수신기에서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발광, 음향출력 또는 진동발생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신호를 복합적으로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영·유아의 팔뚝에 착용되는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박동맥의 맥박을 감지하는 심박감지센서 및 영·유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처리하며, 측정된 심박 또는 온도가 설정 수치를 벗어나면 이를 중앙처리부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상기 제2 수신기에 무선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감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감시모드와 관리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감시모드일 때에는 영·유아의 울음소리를 감지한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 아이를 달래기 위한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관리모드일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심박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정보를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감시장치.
KR1020120133961A 2012-11-23 2012-11-23 영·유아 감시장치 KR101409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61A KR101409500B1 (ko) 2012-11-23 2012-11-23 영·유아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61A KR101409500B1 (ko) 2012-11-23 2012-11-23 영·유아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61A true KR20140066561A (ko) 2014-06-02
KR101409500B1 KR101409500B1 (ko) 2014-06-18

Family

ID=5112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961A KR101409500B1 (ko) 2012-11-23 2012-11-23 영·유아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11B1 (ko) * 2015-01-12 2016-07-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기상태 감지 딸랑이
CN107767874A (zh) * 2017-09-04 2018-03-06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婴儿啼哭声识别提示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253B1 (ko) 2015-05-11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898418B1 (ko) 2018-05-31 2018-09-12 김현국 입체 영상 표시 완구
KR102022802B1 (ko) 2018-07-11 2019-09-18 김현국 입체 영상 표시 완구
KR102022801B1 (ko) 2018-07-11 2019-09-18 김현국 베이비 모니터링 입체 영상 표시 완구
KR101943404B1 (ko) * 2018-08-30 2019-01-29 (주)로프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KR102288860B1 (ko) 2021-03-04 2021-08-11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지능형 유아관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073908A (ko) 2021-11-19 2023-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형 영유아 케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케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792A (ko) * 2003-06-11 200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아의 울음 소리 주파수를 이용한 유아 감시 시스템 및방법
US7482935B2 (en) * 2003-10-28 2009-01-27 Jung Kook Lee Baby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0801540B1 (ko) * 2006-08-28 2008-02-12 김성완 유아모니터링 장치
KR101196973B1 (ko) * 2008-12-24 2012-11-02 주식회사 케이티 로봇을 이용한 영유아 돌보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11B1 (ko) * 2015-01-12 2016-07-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기상태 감지 딸랑이
CN107767874A (zh) * 2017-09-04 2018-03-06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婴儿啼哭声识别提示方法及系统
CN107767874B (zh) * 2017-09-04 2020-08-28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婴儿啼哭声识别提示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500B1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500B1 (ko) 영·유아 감시장치
CN109171682B (zh) 无线的婴儿健康监控器
JP6356683B2 (ja) 授乳量推定器
Baker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home health care
US20120299732A1 (en) Baby monitor for use by the deaf
US20100274104A1 (en) Infant/child monitor
US10470979B2 (en) Intelligent pacifier
JP2004181218A (ja) 乳幼児の状況監視システムおよび状況監視方法
KR100986137B1 (ko) 영아 위험경보장치
GB2491944A (en) An alarm apparatus and a method of measuring and evaluating an infant's vital body parameters with respect to Sudden Infant Death (SID).
TWI503794B (zh) 嬰幼兒生理監視與安撫裝置
CN106327790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婴儿防盗系统
KR20130088568A (ko) 접근 경보 장치 및 접근 경보 방법
KR101021155B1 (ko) 유아 돌연사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US20220071563A1 (en)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
US10098594B2 (en) Portable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individual
KR20200092063A (ko) 스마트 안전 요람
KR20120039151A (ko) 유아용 침대
US20220071558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health monitoring
EP3297598B1 (en) Pacifier
Hemalatha et al. Smart digital parenting using Internet of Things
KR20120107382A (ko) 유아 울음 분석 장치
KR20200048558A (ko) 상태측정을 통한 육아보조장치
CN103610451A (zh) 可实时监控体温测量装置
TWM498871U (zh) 奶嘴溫度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