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345A -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345A
KR20140066345A KR1020120133449A KR20120133449A KR20140066345A KR 20140066345 A KR20140066345 A KR 20140066345A KR 1020120133449 A KR1020120133449 A KR 1020120133449A KR 20120133449 A KR20120133449 A KR 20120133449A KR 20140066345 A KR20140066345 A KR 2014006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user terminal
terminal
virtual accou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크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345A/ko
Publication of KR2014006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3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combining multiple encryption tools for a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맹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1차 인증이 이루어지며,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결제 서버를 통해 2차 인증 및 전자결제 과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모바일 결제 방법에 비해 보안성이 강화되고, 그에 따라 모바일 전자결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MOBIL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 CERTIFICATION}
본 발명은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주로 음성 통화에 국한되었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도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 접속, 동영상 메시지 전송, 음악 다운로드 등의 부가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의 다양화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단말기가 아닌 개인 네트워크 컴퓨터와 같은 중요한 정보 기기로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일상 생활에서의 많은 부분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결제 기능은 단말기의 중요한 부가기능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아울러, 금융 거래간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모바일 커머스 기술이 다수 개발되는 추세이며,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전자화폐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결제간 발생할 수 있는 금융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3703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 소정의 공인인증서를 저장하고, 저장된 공인인증서 및 모바일 결제 서버 간의 인증절차에 따라 전자결제를 진행하는 결제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종래기술은 휴대용 단말기 및 결제 서버 간의 1차적인 인증에 의해 결제가 진행되므로 보안성이 다소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결제시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전자상거래를 위해 마련된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전자결제를 진행하는 가맹점 단말기;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결제에 사용되기 위한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계좌에 저장된 금액의 입출금을 관리하는 가상계좌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계좌에서 상기 상품의 구매에 필요한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지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근거리 통신부;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상기 전자결제가 처리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전자결제가 진행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초광대역(Ultra wide band) 모듈,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및 지그비(Zigbee) 모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상계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계좌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받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받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상기 가상계좌를 개설하는 가상계좌 생성부; 및 상기 가상계좌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계좌의 입출금 내역을 저장하는 계좌금액 관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결제 서버는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결제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결제대금이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되도록 상기 결제 처리부를 제어하는 결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은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와 연결되는 A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가맹점 단말기 간의 1차 인증이 이루어지는 B단계;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결제 서버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C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결제 서버 간의 2차 인증이 이루어지는 D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이 완료될 경우,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결제에 사용되기 위한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상품의 구매에 필요한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지불하는 E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단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가맹점 번호를 전송하는 B-1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번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단말기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B-2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C단계는 결제금액 입력부가 상기 결제대금의 액수를 입력하여 상기 결제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C-1단계;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가 생성된 상기 결제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C-2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D단계는 상기 결제 서버가 구매할 상품의 결제대금 및 전자결제를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D-1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D-2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E단계는 결제 처리부가 상기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가상계좌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결제대금을 인출하는 E-1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부가 인출된 상기 결제대금을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E-2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결제시 사용자 단말기 및 가맹점 단말기 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1차 인증이 이루어지며, 1차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는 결제 서버와의 2차 인증을 통해 전자결제를 진행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모바일 결제 방법에 비해 보안성이 강화되고, 그에 따라 모바일 전자결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가맹점 단말기, 결제 서버 및 가상계좌 서버 간에 이루어지는 모바일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전자결제'란 오프라인에서 실제 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는 것이 아닌,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서의 인터넷 뱅킹,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등을 총칭하는 용어를 의미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가맹점 단말기(200), 결제 서버(300) 및 가상계좌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자상거래를 위해 마련된 통신망에 접속되고, 통신망과 연결된 가맹점 단말기(200), 결제 서버(300) 및 가상계좌 서버(400)를 통해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결제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근거리 통신부(110), 무선 통신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및 단말기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상품 판매자가 소유한 가맹점 단말기(2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통신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초광대역(Ultra wide band) 모듈,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및 지그비(Zigbee) 모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나, 5m 이내에서 가맹점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제조된 근거리용 통신모듈이라면 전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120)는 결제 서버(300)로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이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전자결제가 처리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각 금융사별로 제공되는 전자결제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소정의 전자결제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가 가맹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전자결제가 진행되도록 근거리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결제 서버(300)와 결제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ata assistant), 4세대 광대역 시스템 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전자결제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라면 전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가맹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할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전자결제를 수행한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결제금액 입력부(210), 근거리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결제금액 입력부(210)는 상품에 대한 결제금액이 입력되는 입력장치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가맹점 단말기(200)로 상품 구매에 대한 전자결제 요청이 발생할 경우, 판매자는 결제금액 입력부(210)를 통해 상품의 결제대금 액수를 입력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통신모듈이며, 근거리 통신부(220)를 구성하는 근거리용 통신모듈의 종류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부(110)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부(230)는 결제 서버(300)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이다.
제어부(240)는 가맹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도록 근거리 통신부(220)를 제어하며, 결제금액 입력부(210)에 결제대금이 입력될 경우에는 결제요청 정보가 결제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무선 통신부(230)를 제어한다.
결제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할 경우,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로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 서버(300)는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전자결제 승인정보에 따라 가상계좌에서 상품의 구매에 필요한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지불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결제승인 확인 정보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구매하려는 상품의 결제대금 및 전자결제를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제 서버(300)는 결제 처리부(310) 및 결제 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결제 처리부(310)는 가상계좌 서버(4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된 가상계좌를 조회하고, 조회된 가상계좌로부터 결제대금을 인출하고 판매자의 계좌로 인출된 금액을 이체함으로써 전자결제를 완료한다.
결제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자결제 승인정보인 비밀번호가 수신될 경우, 결제대금이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되도록 결제 처리부(310)를 제어한다.
가상계좌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자결제에 사용되기 위한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가상계좌에 저장된 금액의 입출금을 관리한다. 가상계좌 서버(400)는 데이터 통신부(410), 가상계좌 생성부(420) 및 계좌금액 관리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계좌 서버(400)가 가상계좌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가 가입된 통신사 서버로 요청한 경우, 데이터 통신부(410)가 요청된 정보를 수신받는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부(41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통신사 서버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전화번호,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거주지 주소 등의 개인정보 등을 요청하여 수신받으며, 수신된 개인정보는 가상계좌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가상계좌 생성부(420)는 데이터 통신부(410)에 의해 수신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명의의 가상계좌를 개설한다.
계좌금액 관리부(430)는 가상계좌 생성부(420)에서 생성된 가상계좌의 입출금 내역과 가상계좌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가상계좌 서버(400)에 접속하여 계좌금액 관리부(430)에 저장된 입출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대금 결제 방법에 대하여 도6 및 도7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단계<S601>
사용자 단말기(100) 내의 전자결제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본 단계에서는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200)와 연결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전자결제 요청이 이루어질 때, 가상계좌 서버(400) 내에 사용자가 소유한 가상계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상계좌 생성부(420)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통신사 서버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전화번호,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거주지 주소 등의 개인정보 등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개인정보를 통해 사용자 명의의 가상계좌를 개설하는 계좌 개설 단계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1차 인증 단계<S602>
본 단계에서는 가맹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 간의 1차 인증이 이루어지며, 본 단계는 가맹점 번호 전송 단계 및 단말기 전화번호 전송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2-1. 가맹점 번호 전송 단계<S602A>
단계 S601에서 가맹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 경우, 가맹점 단말기(200)는 가맹점 단말기(200)의 고유번호인 가맹점 번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2-2. 가맹점 번호 전송 단계<S602B>
사용자 단말기(100)가 가맹점 단말기(200)가 전송한 가맹점 번호를 수신할 경우, 가맹점 단말기(200)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 간의 1차 인증을 완료한다.
3. 결제요청 정보 전송 단계<S603>
단계 S602B에서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본 단계에서 가맹점 단말기(200)는 결제 서버(300)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본 단계는 결제요청 정보 생성 단계 및 결제요청 정보 전송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3-1. 결제요청 정보 생성 단계<S603A>
본 단계에서 판매자가 결제금액 입력부(210)를 통해 결제대금의 액수를 입력할 경우, 결제금액 입력부(210)는 결제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3-2. 결제요청 정보 전송 단계<S603B>
본 단계에서는 무선 통신부(230)가 단계 S603A에서 생성된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4. 2차 인증 단계<S604>
본 단계에서 결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결제 서버(300) 간의 2차 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며, 본 단계는 안내 정보 전송 단계 및 전자결제 승인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4-1. 결제대금 및 전자결제 비밀번호 안내 정보 전송 단계<S604A>
결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구매할 상품의 결제대금 및 전자결제를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4-2. 전자결제 승인정보 전송<S604B>
단계 S604A에서 안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구매할 상품의 결제대금을 확인하고 전자결제용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며, 결제 서버(300)는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및 결제 서버(300) 간의 2차 인증을 완료한다.
5. 결제대금 지불 단계<S605>
단계 S604B에서 2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결제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자결제에 사용되기 위한 가상계좌로부터 상품의 구매에 필요한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판매자에게 지불하는 과정이 진행되며, 본 단계는 결제대금 인출 단계 및 결제대금 이체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5-1. 결제대금 인출 단계<S605A>
본 단계에서는 결제 서버(300)의 결제 처리부(310)가 가상계좌를 생성 및 관리하는 가상계좌 서버(400)에 접속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된 가상계좌로부터 결제대금을 인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5-2. 결제대금 이체 단계<S605B>
단계 S605A에서 인출된 결제대금은 결제 처리부(310)에 의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됨으로써 전자결제가 완료된다.
여기서, 판매자의 계좌는 결제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등록되어 있거나, 단계 S603B에서 가맹점 단말기(200)가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 결제대금을 받을 판매자의 계좌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근거리 통신부
120 : 무선 통신부
130 : 데이터 저장부
140 : 단말기 제어부
200 : 가맹점 단말기
210 : 결제금액 입력부
220 : 근거리 통신부
230 : 무선 통신부
240 : 제어부
300 : 결제 서버
310 : 결제 처리부
320 : 결제 제어부
400 : 가상계좌 서버
410 : 데이터 통신부
420 : 가상계좌 생성부
430 : 계좌금액 관리부

Claims (10)

  1. 전자상거래를 위해 마련된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전자결제를 진행하는 가맹점 단말기;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결제에 사용되기 위한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계좌에 저장된 금액의 입출금을 관리하는 가상계좌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계좌에서 상기 상품의 구매에 필요한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근거리 통신부;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상기 전자결제가 처리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전자결제가 진행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초광대역(Ultra wide band) 모듈,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및 지그비(Zigbee) 모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계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계좌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받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받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상기 가상계좌를 개설하는 가상계좌 생성부; 및
    상기 가상계좌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계좌의 입출금 내역을 저장하는 계좌금액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결제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결제대금이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되도록 상기 결제 처리부를 제어하는 결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결제 승인정보는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6.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와 연결되는 A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가맹점 단말기 간의 1차 인증이 이루어지는 B단계;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결제 서버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C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결제승인 확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결제 서버 간의 2차 인증이 이루어지는 D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이 완료될 경우,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결제에 사용되기 위한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상품의 구매에 필요한 결제대금을 인출하여 지불하는 E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가맹점 번호를 전송하는 B-1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번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단말기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B-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결제금액 입력부가 상기 결제대금의 액수를 입력하여 상기 결제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C-1단계;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가 생성된 상기 결제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C-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결제 서버가 구매할 상품의 결제대금 및 전자결제를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D-1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결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D-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결제 처리부가 상기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가상계좌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결제대금을 인출하는 E-1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부가 인출된 상기 결제대금을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E-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방법.
KR1020120133449A 2012-11-23 2012-11-23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449A KR20140066345A (ko) 2012-11-23 2012-11-23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449A KR20140066345A (ko) 2012-11-23 2012-11-23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345A true KR20140066345A (ko) 2014-06-02

Family

ID=5112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449A KR20140066345A (ko) 2012-11-23 2012-11-23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3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11B1 (ko) * 2014-10-10 2015-06-02 이기동 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금융 범죄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627078B1 (ko) * 2016-01-05 2016-06-03 에스지앤 주식회사 패스워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58607B1 (ko) * 2015-05-20 2016-09-21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포인트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포인트 데이터 처리방법.
KR20170029941A (ko) 2015-09-08 2017-03-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웹 기반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11B1 (ko) * 2014-10-10 2015-06-02 이기동 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금융 범죄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658607B1 (ko) * 2015-05-20 2016-09-21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포인트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포인트 데이터 처리방법.
KR20170029941A (ko) 2015-09-08 2017-03-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웹 기반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27078B1 (ko) * 2016-01-05 2016-06-03 에스지앤 주식회사 패스워드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73848B1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52477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508541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使用して安全なオフライン支払いトランザクション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141191A (ko)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JP5779615B2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KR20140066354A (ko) 비용 분담을 위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345A (ko) 다중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9153A (ko) 결제 서비스 장치,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3720B1 (ko)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의 스마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1241A (ko)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방법
CN108475371A (zh) 交易授权
JP200225153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方法
KR20090051286A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비대면 금융거래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56708A (ko) 이중 조합 식별 코드를 이용한 개인 인식 결제 서비스 방법및 장치
KR20090051284A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홈쇼핑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177357B1 (ko) 모바일 신용 카드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대출 실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20100032871A (ko) 홈쇼핑 결제를 처리하는 브이오아이피 단말
KR100973572B1 (ko) 카드리더를 구비한 브이오아이피 단말
KR101020576B1 (ko) 카드리더를 구비한 브이오아이피 단말과 통신 연결된 서버의 계좌이체 결제 처리 시스템
KR100981067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온라인 티켓 예약(또는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15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과 통신 연결된 서버의 온라인 전자화폐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028450B1 (ko) 카드리더를 구비한 브이오아이피 단말과 통신 연결된 서버의 카드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453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