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710A -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710A
KR20140065710A KR1020120131795A KR20120131795A KR20140065710A KR 20140065710 A KR20140065710 A KR 20140065710A KR 1020120131795 A KR1020120131795 A KR 1020120131795A KR 20120131795 A KR20120131795 A KR 20120131795A KR 20140065710 A KR20140065710 A KR 20140065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t woman
information
pregnant
server
fe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천승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710A/ko
Publication of KR2014006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1Foetal or obstetr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은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가 서버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고, 상기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급 상황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얻은 상기 임산부의 위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gnant woman and fetus}
본 발명은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관리하고, 임산부 및 태아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의료진 및 응급기관에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알려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헬스케어 서비스는 유비쿼터스 (Ubiquitous)와 헬스케어 (Healthcare)의 약어로서 정보통신기술이 의료와 접목되어 환자가 병원을 찾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를 받을 수 있는 건강 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U-헬스케어를 통해 장소에 관계없이 건강에 관련된 정보 (혈압, 혈당, 운동량, 체온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진료가 가능하여 질병의 사후 치료가 아닌 건강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예방이 가능토록 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만성 질환자 건강 관리, 임산부 관리, 독거노인 관리 서비스 등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만성 질환자 건강 관리 또는 독거노인 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임산부 또는 태아 관리에 특화된 서비스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태아의 상태 관리 또는 임산부의 건강 관리 서비스는 대부분이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 내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실시간이 아닌 비실시간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근래 들어, 태아의 건강 상태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태아 상태 측정 기기뿐만 아니라 임산부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산부 및 태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임산부 또는 태아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산부 및 태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임산부 또는 태아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의 일 태양은,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가 서버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고, 상기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급 상황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얻은 상기 임산부의 위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의 일 태양은,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임산부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임산부 및 태아가 응급 상황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급 상황을 의료진과 응급기관 중 적어도 한 곳에 알리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은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 서버(300)를 포함한다.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는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다.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는 임산부의 신체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임산부와 일정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서 원격으로 태아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는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다. 즉, 항시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기 때문에 순간순간 실시간으로 태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태아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는 태아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아의 심음, 심장 박동, 몸무게, 심전도 변화, 움직임,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는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한다.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는 임산부의 신체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임산부와 일정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서 원격으로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는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한다. 즉, 항시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기 때문에 순간순간 실시간으로 임산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임산부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는 임산부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산부의 혈압, 혈당, 심박수, 영양 상태, 스트레스, 체지방 등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와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와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가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300)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서버(300)와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무선으로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와 연결된다면 휴대성이 증가할 수 있고, 임산부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무선으로 서버(300)와 연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휴대성 및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 및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는 IEEE 11073-20601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에 측정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EEE 11073-20601 프로토콜은 생체 정보 수집 단말과 생체 정보 수집 장치간 상호호환성 (interoperability)이 있는 장치간 연결 및 데이터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는 태아 및 임산부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므로 IEEE 11073-20601 규격에 맞추어 측정한 정보를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GPS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임산부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임산부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임산부의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GPS기능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임산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GPS기능이 탑재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이동단말기일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GPS기능, 데이터 송수신 등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필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를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사용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따로 제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으며, 이동단말기 하나만 들고 다니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가 측정한 정보를 제공받아 임산부에게 보여줄 수 있다. 임산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서 현재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정보가 서버(300)에 송신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미리 저장된 진단 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차트는 임산부와 태아의 현재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가 측정한 정보를 받고, 서버(300)에 측정한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진단 차트와 비교한다. 진단 차트와 비교하여 임산부와 태아 중 적어도 하나에 문제가 있다고 판별되는 경우, 즉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임산부에게 이상이 있음을 경고할 수 있으며, 현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상기 임산부의 현 위치에서 가장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병원을 알려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임산부는 응급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이상 징후는 응급 상황보다 위급한 정도가 낮은 경우를 말하며, 임산부가 자발적으로 조치를 취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임산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 응급 상황 발생 시 이를 알려줄 타인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산부와 태아 중 적어도 하나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임산부가 지정한 타인에게 임산부의 응급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타인은 여러 명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할 수 있는 타인의 인원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 없이 바로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갖는 기능, 예를 들어 GPS 기능, 통신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가 측정한 정보를 임산부에게 보여주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임산부 및 태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며, 임산부에게 의료 정보, 진단 결과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서버(300)는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310),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320), 인증 관리 서버(330),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 응급상황 정책/판별 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310)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가 임산부에 대해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320)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가 태아에 대해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서버(330)는 임산부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다. 인증 관리 서버(330)는 임산부의 인증뿐만 아니라 임산부의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대한 인증도 포함할 수 있다.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서버(300)에 저장하기 전에 인증 관리 서버(330)를 통하여 임산부에 대해 인증을 하면, 다른 임산부의 측정 정보와 분리하여 인증된 임산부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응급상황 정책/판별 서버(350)는 임산부 및 태아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응급 상황이란 임산부가 위급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말하며, 예를 들어 임산부 스스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어느 상황을 응급 상황으로 할지는 임산부 또는 의료진 등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응급상황 정책/판별 서버(350)는 임산부 및 태아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310)와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320)에 저장된 임산부 및 태아의 정보를 불러내어 상기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응급 상황이라고 판별되면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에 응급 상황을 알리며 동시에 임산부의 현재 위치도 알릴 수 있다. 임산부의 현재 위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통계적인 건강 정보 등을 활용하여 만든 데이터일 수 있으며,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는 임산부 및 태아에게 응급 조치 또는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임산부가 응급 상황에 놓여 있는 경우, 응급상황 정책/판별 서버(350)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에 응급 상황을 알린다. 알림을 받으면,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로부터 임산부의 현 위치를 제공받아 임산부 또는 태아의 응급 상황 및 임산부의 현재 위치를 임산부의 의료진과 응급기관, 예를 들어 소방서, 응급의료정보센터 등에 알린다. 응급 상황을 바로 알림으로써, 임산부 및 태아가 응급 상황에 놓이더라도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는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310),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320)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임산부의 의료진은 의료 서비스 시스템(340)을 통해서 서버(300)에 저장된 임산부 및 태아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임산부의 의료진은 열람한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을 내리고, 진단 결과를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에 저장할 수 있다. 임산부는 진단 결과를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임산부의 의료진은 진단 결과뿐만 아니라 임산부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도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임산부는 각종 정보도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응급상황 정책/판별 서버(350)에 저장된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저장된 진단 차트의 내용은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를 통해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즉,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는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진단 차트 등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와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를 서버와 연결한다(S110). 연결하면서, 인증 관리 서버(330)를 이용하여 임산부와 임산부의 스마트 게이트 장치(200)에 대하여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고,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를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다(S120). 상술한 바와 같이,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300)는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수신한다(S130). 이 때,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는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310)에,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는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3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한다(S140). 판단은 응급 상황 정책/판별 서버(35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가 응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5). 응급 상황인지 여부는 응급 상황 정책/판별 서버(350)에 저장된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 즉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여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을 알린다(S160). 임산부의 의료진 및 응급 기관 중 적어도 한 곳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이 때, 알리는 내용은 임산부의 현 위치와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서버(300)는 임산부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 및 태아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와 연결된다(S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과는 달리 서버(30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이용하여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와 연결된다. 한편, 연결하는 도중에,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고, 임산부도 서버(300)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이어서,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고,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를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다(S220).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수신한다.
이어서,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임산부와 태아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 징후가 있는지 판단한다(S225). 이상 징후가 있는지 여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저장된 진단 차트와 제공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임산부 또는 태아에게 이상 징후가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임산부에게 이상 징후를 알린다(S230). 이상 징후를 알리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경고음을 울리거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임산부에게 이상 징후를 알리면서, 임산부가 신속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병원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특히, 현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임산부의 현 위치에서 가장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병원을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임산부는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 바로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임산부는 상기 측정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S240). 임산부는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로 측정한 정보를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측정한 정보를 상기 서버(300)에 송신하고, 측정한 정보는 서버(300)에 저장된다(S250). 태아 및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110, 120)를 이용해 측정한 정보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수신하고,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측정한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며, 측정한 정보는 서버(300)에 저장된다. 측정한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는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310)에,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는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320)에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한다(S260). 응급 상황 정책/판별 서버(350)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응급 상황 정책/판별 서버(350)는 응급 상황 정책/판별 서버(350)에 저장되어 있는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측정한 정보를 비교하여 응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5).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얻은 임산부의 위치와 함께 응급 상황을 알린다(S270). 임산부의 위치와 응급 상황을 알리는 역할은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가 맡을 수 있다. 임산부의 위치와 응급 상황을 알리는 대상은 임산부의 의료진 및 응급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임산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응급 상황을 알릴 타인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임산부의 의료진 및 응급 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응급 상황을 알릴 때,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임산부가 지정한 타인에게도 임산부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지정할 수 있는 타인의 인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어서, 임산부와 임산부의 의료진 중 적어도 하나는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한다(S280). 즉, 지금까지 서버(300)에 저장된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가 담당할 수 있다.
이어서, 임산부의 의료진이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을 내리고, 서버(300)에 진단 결과를 저장한다(S290). 그리고 임산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하여 진단 결과를 열람한다(S300). 진단 결과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3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산부는 병원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의료진으로부터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진단 결과뿐만 아니라 임산부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서버(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임산부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 120: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200: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300: 서버
310: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 320: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
330: 인증 관리 서버 340: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
350: 응급상황 정책/판별 서버

Claims (15)

  1.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가 서버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고, 상기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태아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응급 상황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급 상황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얻은 상기 임산부의 위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 및 태아 건강정보 측정 장치와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전에,
    상기 임산부는 상기 측정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가 상기 측정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전에,
    상기 측정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임산부에게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임산부에게 상기 이상 징후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에게 이상 징후를 알리는 단계는,
    현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상기 임산부의 현 위치에서 가장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병원을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와 상기 임산부의 의료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의 의료진이 상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을 내리고, 상기 서버에 상기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임산부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하여 상기 진단 결과를 열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과 상기 임산부의 위치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임산부의 의료진 및 응급 기관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응급 상황과 상기 임산부의 위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임산부가 지정한 타인에게 상기 임산부의 위치와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11. 임산부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태아의 상태를 항시 측정하는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임산부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및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측정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상기 임산부 및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임산부 및 태아가 응급 상황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급 상황을 의료진과 응급기관 중 적어도 한 곳에 알리는 서버를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 건강 정보 측정 장치 및 상기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는 IEEE 11073-20601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임산부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임산부 건강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태아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태아 건강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스마트 게이트장치와 상기 임산부를 인증하는 인증 관리 서버와,
    상기 임산부 및 태아가 응급 상황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응급 상황 정책/판별 서버와,
    상기 임산부가 상기 응급 상황에 놓인 경우, 상기 응급 상황 및 현위치를 의료진과 응급 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알려주고, 상기 의료진이 상기 측정한 정보를 분석하여 진단한 결과를 저장하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임산부의 현재 위치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임산부 및 태아 건강 정보 측정 장치가 측정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에 저장된 진단 차트와 비교하고, 상기 임산부와 상기 태아 중 적어도 하나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임산부에게 경고하며, 상기 임산부에게 현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상기 임산부의 현 위치에서 가장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병원을 알려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시스템.
KR1020120131795A 2012-11-20 2012-11-20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65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95A KR20140065710A (ko) 2012-11-20 2012-11-20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95A KR20140065710A (ko) 2012-11-20 2012-11-20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710A true KR20140065710A (ko) 2014-05-30

Family

ID=5089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795A KR20140065710A (ko) 2012-11-20 2012-11-20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7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39A (ko) 2014-10-24 2016-05-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태아 바이오데이터 기반 태아 성장상태 분석방법 및 분석시스템
US20210118574A1 (en) * 2019-10-20 2021-04-22 Cognitivecare India Labs Llp Maternal and infant health intelligence & cognitive insights (mihic) system and score to predict the risk of maternal, fetal and infant morbidity and mortality
KR102275150B1 (ko) * 2021-01-26 2021-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을 위한 응급 산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43010A (ko) * 2020-05-19 2021-1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의 생체정보에 따른 식단 및 운동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서버
US11510645B2 (en) 2018-03-27 2022-11-29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for predicting fetal growth r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64583B1 (ko) * 2022-06-17 2023-08-04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 내 거주 베트남 임산부를 위한 건강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39A (ko) 2014-10-24 2016-05-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태아 바이오데이터 기반 태아 성장상태 분석방법 및 분석시스템
US11510645B2 (en) 2018-03-27 2022-11-29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for predicting fetal growth r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118574A1 (en) * 2019-10-20 2021-04-22 Cognitivecare India Labs Llp Maternal and infant health intelligence & cognitive insights (mihic) system and score to predict the risk of maternal, fetal and infant morbidity and mortality
WO2021079374A1 (en) * 2019-10-20 2021-04-29 Cognitivecare India Labs Llp A maternal and infant health intelligence & cognitive insights (mihic) system and score to predict the risk of maternal, fetal and infant morbidity and mortality
US11854706B2 (en) * 2019-10-20 2023-12-26 Cognitivecare Inc. Maternal and infant health insights and cognitive intelligence (MIHIC) system and score to predict the risk of maternal, fetal and infant morbidity and mortality
KR20210143010A (ko) * 2020-05-19 2021-1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의 생체정보에 따른 식단 및 운동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서버
KR102275150B1 (ko) * 2021-01-26 2021-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을 위한 응급 산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4583B1 (ko) * 2022-06-17 2023-08-04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 내 거주 베트남 임산부를 위한 건강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5710A (ko)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653965B1 (en) Human health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EP2767225B1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CN203122372U (zh) 基于Android技术和物联网的实时健康监测及智能预警系统
JP2010503471A (ja) Ipベースのモニタリング及び警報
KR20050102321A (ko)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N205994491U (zh) 一种人体健康体征指标的远程检测系统
CN104042196A (zh) 实时健康监测及智能预警系统与方法
CN103559381A (zh) 用户健康远程监控方法和嵌入式主板
CN102090930B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KR20010095395A (ko) 원격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용 각종 개인 건강정보 측정용 단말기
CN109102880A (zh) 健康监测方法及其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6193788U (zh) 一种基于云平台的医疗远程服务系统
JP2009022590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および患者異常対応方法
CN209183272U (zh) 一种医疗服务系统
Karunanithi et al. An innovative technology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the smarter safer homes platform
CN101161195A (zh) 收集生理参数的信息采集装置及其方法
KR20060082922A (ko) 무선 통신 환경에 기반한 임산부의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RU123195U1 (ru) Телемедицинская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WO2018086251A1 (zh) 一种无创血糖设备自报警方法及无创血糖设备
CN203278893U (zh) 一种基于多屏互动的医疗系统
CN105897810A (zh) 数据发送、分析方法及装置、终端、监测设备及服务器
US2022016784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wearable medical sensors
KR101199528B1 (ko) 유헬스 기반의 응급 상황 내 생체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