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86A -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586A
KR20140065586A KR1020120130384A KR20120130384A KR20140065586A KR 20140065586 A KR20140065586 A KR 20140065586A KR 1020120130384 A KR1020120130384 A KR 1020120130384A KR 20120130384 A KR20120130384 A KR 20120130384A KR 20140065586 A KR20140065586 A KR 2014006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upper core
protrusion
lower cor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20B1 (ko
Inventor
심은용
김상중
고창순
최길용
이찬교
방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시스
Priority to KR102012013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Abstract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제1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코어;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와 제2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2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돌출부는 제1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에 상부 코어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제1 돌출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는 하부 코어; 제1 돌출부에 권회되어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상부 코일; 및 제2 돌출부에 권회되어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하부 코일을 포함하되, 하부 코어의 중심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의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하부 코어가 상부 코어와 어긋난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도체판 가열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Conductor Plate by Induced Current}
본 실시예는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버스 방식의 유도가열을 이용하여 도체판을 가열함에 있어서, 유도가열에 사용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여 도체판의 폭이 가변 되더라도 유도전류의 분포가 적정하게 되게 하고, 이를 통해 도체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거나 도체판의 엣지(Edge)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강판 등의 도체판을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장치는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한 높은 주파수의 자기장(magnetic field)을 도체판에 인가시켜 도체판의 표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줄열을 통해 도체판을 가열한다. 이러한 유도가열 장치의 도체판 가열 방식으로는 솔레노이드 방식과 트랜스버스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솔레노이드 방식의 경우, 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유도전류가 흘러 소재의 균일한 가열이 쉬운 반면, 열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유도전류가 도체판의 표면에 집중하여 흐르게 되어 표면의 과잉 온도 상승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도체판의 온도 분포가 적절하게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트랜스버스 방식은 솔레노이드 방식에 비해 가열 효율이 좋아 비자성 소재인 도체판을 가열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다. 하지만 트랜스버스 방식의 경우, 유도전류가 소재의 표면으로 흐르고, 코일의 형상에 따라 한 곳에 집중해서 흐르기 때문에 소재를 균일하게 가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열하고자 하는 소재의 폭이 다른 경우, 폭 변화에 대응되는 코일을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부 코어, 하부 코어, 상부 코어에 권회된 상부 코일 및 하부 코어에 권회된 하부 코일을 구비하는 트랜스버스 방식의 유도가열 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도체판의 판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로 인해 생성되는 줄열(Joule heat)을 기반으로 도체판을 가열하는 한편, 유도가열에 사용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소재의 폭이 가변 되더라도 폭에 따라 유도전류의 분포가 적정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도체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거나 또는 도체판의 엣지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폭 변화에 대응되는 코일을 새롭게 제작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상기 제1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코어; 상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상기 제2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에 상기 상부 코어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는 하부 코어; 상기 제1 돌출부에 권회되어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상부 코일;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권회되어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하부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코어가 상기 상부 코어와 어긋난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부 코어, 하부 코어, 상부 코일 및 하부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가열 장치를 이용한 도체판 가열방법에 있어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크기를 갖는 도체판을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의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상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상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서 교류자계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교류자계에 의해 상기 도체판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상부 코어는 상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1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2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에 상기 상부 코어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코어가 상기 상부 코어와 어긋난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코어, 하부 코어, 상부 코어에 권회된 상부 코일 및 하부 코어에 권회된 하부 코일을 구비하는 트랜스버스 방식의 유도가열 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도체판의 판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로 인해 생성되는 줄열(Joule heat)을 기반으로 도체판을 가열하는 한편, 유도가열에 사용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소재의 폭이 가변 되더라도 폭에 따라 유도전류의 분포가 적정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도체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거나 또는 도체판의 엣지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폭 변화에 대응되는 코일을 새롭게 제작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체판을 균등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장치의 구조 및 이를 통해 가열되는 도체판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 내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및 이를 통해 가열된 도체판의 실험결과를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 내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를 통해 도체판을 가열한 경우의 실험결과를 예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를 통해 도체판을 균등 가열하기 위한 도체판 가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유도가열 장치는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한 높은 주파수의 자기장(Magnetic Field)을 도체판에 인가시켜 도체판의 표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줄열을 통해 도체판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유도가열 장치가 도체판을 가열하는 방식으로는 솔레노이드 방식과 트랜스버스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자성 소재인 도체판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방식에 비해 가열 효율이 좋은 트랜스버스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트랜스버스 방식의 경우, 유도전류가 소재의 표면으로 흐르고, 코일의 형상에 따라 한 곳에 집중해서 흐르기 때문에 소재를 균일하게 가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는 가열 효율이 좋은 트랜스버스 방식을 사용하되, 유도가열에 사용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소재의 폭이 가변 되더라도 폭에 따라 유도전류의 분포가 적정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도체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거나, 도체판(12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도체판의 엣지(Edge)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체판(126)을 균등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장치(100)의 구조 및 이를 통해 가열되는 도체판(126)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126)을 균등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장치(100)는 상부 코어(102), 하부 코어(104), 상부 코일(106), 하부 코일(108), 센서부(110), 제어부(112), 제1 기어(116) 및 제1 구동모터(118)를 포함하는 상하 조절부(114), 제2 기어(122) 및 제2 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좌우 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상부 코어(102)는 상부 코어(102)에 권회되어 있는 상부 코일(106)에서 제1 교류자계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제1 교류자계의 감쇄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순철, 규소강, 규소강대 철-알루미늄 합금, 철-규소-알루미늄 합금, 철-니켈 합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박강판을 겹쳐 쌓아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부 코어(102)는 제1 교류자계의 감쇄를 방지하여 도체판(12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양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부 코어(102)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02_1)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코어(102)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1 돌출부(102_1)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양단 돌출부(102_2, 102_3)를 더 포함하여 제1 교류자계의 감쇄를 추가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돌출부(102_1)가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도시되고, 제1 양단 돌출부(102_2, 102_3)가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게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1 돌출부(102_1)는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양단 돌출부(102_2, 102_3)는 제1 돌출부(102_1)의 좌측 및 우측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코어(104)는 하부 코어(104)에 권회되어 있는 하부 코일(108)에서 제2 교류자계가 발생하는 경우, 제2 교류자계의 감쇄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제2 교류자계의 감쇄를 방지하여 도체판(12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감소를 방지한다.
한편, 하부 코어(104)는 상부 코어(102)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일정 크기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104_1)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코어(104)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2 돌출부(104_1)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양단 돌출부(104_2, 104_3)를 더 포함하여 제2 교류자계의 감쇄를 추가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2 돌출부(104_1)가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도시되고, 제2 양단 돌출부(104_2, 104_3)가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게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2 돌출부(104_1)는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양단 돌출부(104_2, 104_3)는 제2 돌출부(104_1)의 좌측 및 우측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돌출부(104_1)는 제1 돌출부(102_1)가 돌출된 방향에 상부 코어(102)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제1 돌출부(102_1)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유도가열 장치(100)는 도 1과 같은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를 지탱할 수 있다.
상부 코일(106)은 상부 코어(102)의 제1 돌출부(102_1)에 권회되어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하부 코일(108)은 하부 코어(104)의 제2 돌출부(104_1)에 권회되어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한편,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는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에 교류전원을 수신하는 단자(미도시)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은 제1 교류자계 및 제2 교류자계의 생성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상부 코일(106)의 권회 방향과 하부 코일(108)의 권회 방향을 동일하게 권회한다. 즉, 유도가열 장치(100)는 동일한 권회 방향으로 권회된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을 통해 발생하는 제1 교류자계 및 제2 교류자계를 기반으로 도체판(126)에 전달 또는 관통하는 같은 방향의 교류자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체판(126)의 판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로 인해 생성되는 줄열을 통해 도체판(126)을 가열한다.
센서부(110)는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도체판(126)의 온도 정보를 제어부(124)로 전달한다. 이때, 센서부(110)는 도체판(126)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부(110)의 크기는 도체판(126)의 폭 전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예컨대 도체판(126)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도체판(126)의 폭 방향에 대한 온도를 모두 센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센서부(110)가 상부 코어(102)에 부착되어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하부 코어(104)에 부착되어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코어(102) 또는 하부 코어(104)에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코어(102), 하부 코어(104)와 분리되어 도체판(126)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이든지 배치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센서부(110)로부터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상, 하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상하 조절부(114)를 구동시킨다. 예컨대,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 하 거리가 증가되도록 상부 코어(102)의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 하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부 코어(102)의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센서부(110)로부터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좌우 조절부(120)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12)는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체판(126)의 단부의 온도가 도체판(126)의 중심부의 온도보다 소정 치 이상 낮은 경우,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부와 하부 코어(104)의 중심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체판(126)의 단부의 온도가 도체판(126)의 중심부의 온도보다 소정 치 이상 높은 경우,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부와 하부 코어(104)의 중심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하 조절부(114)는 상부 코어(102)의 상면에 부착되며 제어부(11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기어(116)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구동모터(118)를 동작시킨다. 이후, 제1 기어(116)는 제1 구동모터(118)의 동작을 통해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코어(102)를 상, 하로 움직이고, 이를 통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상, 하 거리를 조절한다.
좌우 조절부(120)는 상부 코어(102)의 측면에 부착되며 제어부(11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기어(122)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구동모터(124)를 구동시킨다. 이후, 제2 기어(122)는 제2 구동모터(124)의 동작을 통해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코어(102)를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 또는 우로 움직이고, 이를 통해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상하 조절부(114) 및 좌우 조절부(120)가 상부 코어(102)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하부 코어(104)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코어(102) 또는 하부 코어(104)에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코어(102), 하부 코어(104)와 분리되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제어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이든지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유도가열 장치(100)는 2개의 상부 코어(102) 및 2개의 하부 코어(104)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각각의 상부 코어(102)의 제1 돌출부(102_1) 및 각각의 하부 코어(104)의 제2 돌출부(104_1)에 2개의 상부 코일(106) 및 2개의 하부 코일(108)이 권회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도체판(126)의 크기 또는 가열 방법에 따라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음을 예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수의 상부 코어 및 다수의 하부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상부 코어 및 다수의 하부 코어에는 각각 상부 코일 및 하부 코일이 권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및 이를 통해 가열된 도체판(126)의 실험결과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유도가열 장치(100)를 절단선(A, A')을 기준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면을 x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하였다.
도 2a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은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가 도체판(126)을 기준으로 서로 간 대칭되는 구조로 배열되었다.
이 경우, 도체판(126)은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체판(126)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도체판(126)의 양단부 중 우단부가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이송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에서 도시하듯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도체판(126)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 분포는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도체판(126)의 좌측 단부의 끝 부분 및 우측 단부의 끝 부분의 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게 올라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통해 도체판(126)을 가열하는 경우, 도체판(126)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분포는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균등하게 가열된 도체판(126)을 생성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2c는 도 2b의 도체판(126)의 온도분포를 3차원 영역 그래프로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c에서 도시하듯이, 3차원 영역 그래프에서도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도체판(126)의 좌측 단부의 끝 부분 및 우측 단부의 끝 부분의 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게 올라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d는 도체판(126)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과한 경우, 폭 방향의 위치에 따른 도체판(126)의 전체적인 가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d에서 도시하듯이, 도체판(126)의 전체적인 가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에서도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도체판(126)의 좌측 단부의 끝 부분 및 우측 단부의 끝 부분이 집중적으로 가열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체판(126)이 균일하기 가열되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유도가열 장치(100)를 절단선(A, A')을 기준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면을 x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 및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 3a 및 도 3b는 하부 코어(104)의 중심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하부 코어(104)가 상부 코어(102)와 어긋난 형태로 배치되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는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를 서로 어긋난 형태로 배치하여 도체판(126)에 발생하는 유도전류가 도체판(126)에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체판(126)이 균등하게 가열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를 서로 어긋난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도체판(12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도체판의 엣지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3a는 하부 코어(104)의 중심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의 좌측에 위치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하듯이, 하부 코어(104)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즉,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코어(104)의 중심부는 상부 코어(102)의 중심부 및 상부 코어(102)의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체판(126)은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체판(126)에는 유도전류가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도체판(126)은 균등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도체판(12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전류밀도가 조절됨에 따라, 도체판(126)의 엣지(Edge)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3b는 하부 코어(104)의 중심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의 우측에 위치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하듯이, 하부 코어(104)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즉,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코어(104)의 좌측 단부는 상부 코어(102)의 중심부 및 상부 코어(102)의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체판(126)은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추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이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체판(126)에는 유도전류가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도체판(126)은 균등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도체판(12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전류밀도가 조절됨에 따라, 도체판(126)의 엣지 부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도체판(126)을 가열한 경우의 실험결과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유도가열 장치(100) 내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위치 관계가 도 3a와 같이 배열된 경우의 실험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듯이, 도체판(126)의 온도분포가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도체판(126)의 좌측 단부의 끝 부분 및 우측 단부의 끝 부분의 온도가 다른 부분이 비해 높게 올라가 있던 도 2b와는 달리 도체판(126)의 중앙부분까지 온도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유도전류의 분포가 균일하게 발생하며, 이를 통해 도체판(126)이 균등하게 가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도체판(126)의 온도분포를 3차원 영역 그래프로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b에서 도시하듯이, 3차원 영역 그래프에서도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도체판(126)의 좌측 단부의 끝 부분 및 우단부의 끝 부분의 온도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게 올라가 있는 도 2c와는 달리 도체판(126)의 중앙부분까지 온도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c는 도체판(126)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과한 경우, 폭 방향의 위치에 따른 도체판(126)의 전체적인 가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에서 도시하듯이, 도체판(126)의 전체적인 가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에서도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도체판(126)의 좌측 단부의 끝 부분 및 우측 단부의 끝 부분이 집중적으로 가열된 도 2d와는 달리 도체판(126)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가열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도체판(126)을 균등 가열하기 위한 도체판 가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도체판(126)을 균등 가열하기 위한 도체판 가열방법은 먼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크기를 갖는 도체판(126)을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사이에 도체판(126)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으로 시작된다(S500). 즉, 하부 코어(104)가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 도체판(126)은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한다. 또한,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한다.
한편, 하부 코어(104)가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 도체판(126)은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이송한다. 또한,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하부 코어(104)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부 코어(102)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이송한다.
유도가열 장치(100)는 교류전원을 수신하는 단자(미도시)를 통해 유도가열 장치(100)의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고,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은 교류전원을 수신하여 교류자계를 발생한다(S502). 즉, 상부 코일(106)은 단자(미도시)를 통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하고, 하부 코일(108)은 단자(미도시)를 통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이때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은 제1 교류자계 및 제2 교류자계의 생성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상부 코일(106)의 권회 방향과 하부 코일(108)의 권회 방향을 동일하게 권회된다.
유도가열 장치(100)는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에서 발생한 제1 교류자계 및 제2 교류자계를 통해 도체판(126)을 가열한다(S504). 즉, 유도가열 장치(100)는 동일한 권회 방향으로 권회된 상부 코일(106) 및 하부 코일(108)을 통해 발생하는 제1 교류자계 및 제2 교류자계를 기반으로 도체판(126)을 관통하는 하나의 교류자계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도체판(126)의 판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이후, 유도전류로 인해 생성되는 줄열을 통해 도체판(126)을 가열한다.
유도가열 장치(100)는 유도가열 장치(100)를 통해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측정하고(S506), 측정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한다(S508). 즉, 유도가열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통해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도체판(126)의 온도 정보를 제어부(124)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센서부(110)로부터 유도가열된 도체판(126)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된 도체판(126)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좌우 조절부(120)를 구동시켜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2)는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체판(126)의 단부의 온도가 도체판(126)의 중심부의 온도보다 소정 치 이상 낮은 경우,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부와 하부 코어(104)의 중심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체판(126)의 단부의 온도가 도체판(126)의 중심부의 온도보다 소정 치 이상 높은 경우, 도체판(126)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코어(102)의 중심부와 하부 코어(104)의 중심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상부 코어(102)와 하부 코어(104)의 상대적인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도 5에서는 단계 S500 내지 단계 S50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500 내지 단계 S508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도가열 장치 102: 상부 코어
104: 하부 코어 106: 상부 코일
108: 하부 코일 110: 센서부
112: 제어부 114: 상하 조절부
116: 제1 기어 118: 제1 구동모터
120: 좌우 조절부 122: 제2 기어
124: 제2 구동모터 126: 도체판

Claims (22)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상기 제1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코어;
    상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상기 제2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에 상기 상부 코어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는 하부 코어;
    상기 제1 돌출부에 권회되어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상부 코일;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권회되어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하부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코어가 상기 상부 코어와 어긋난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부는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부 및 상기 상부 코어의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좌측 단부는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부 및 상기 상부 코어의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장치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상, 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장치는 상기 하부 코어를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폭 방향으로 어긋난 형태로 배치하기 위한 좌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장치는,
    상기 유도가열 장치를 통해 유도가열된 도체판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도체판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의 상대적인 상기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좌우 조절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체판의 단부의 온도가 상기 도체판의 중심부의 온도보다 소정 치 이상 낮은 경우,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부와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의 상대적인 상기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체판의 단부의 온도가 상기 도체판의 중심부의 온도보다 소정 치 이상 높은 경우,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부와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의 상대적인 상기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은 교류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교류자계 및 상기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교류자계 및 상기 제2 교류자계의 생성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상부 코일의 권회 방향을 상기 하부 코일의 권회 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자계 및 상기 제2 교류자계를 기반으로 유도가열의 대상이 되는 도체판의 판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유도전류로 인해 생성되는 줄열(Joule heat)을 통해 상기 도체판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장치.
  12. 상부 코어, 하부 코어, 상부 코일 및 하부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가열 장치를 이용한 도체판 가열방법에 있어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크기를 갖는 도체판을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의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상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상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서 교류자계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교류자계에 의해 상기 도체판을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코어는 상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1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길이 방향 기준으로 한 내측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2 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에 상기 상부 코어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코어가 상기 상부 코어와 어긋난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가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중심부는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부 및 상기 상부 코어의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어의 좌측 단부는 상기 상부 코어의 중심부 및 상기 상부 코어의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를 상기 하부 코어의 양단부 중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체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를 상기 상부 코어의 양단부 중 우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자계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통해 수신된 교류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상부 코어에 권회되어 있는 상부 코일이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통해 수신된 교류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하부 코어에 권회되어 있는 상기 하부 코일이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장치를 통해 유도가열된 상기 도체판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체판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의 상대적인 상기 폭 방향의 좌, 우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판 가열방법.
KR1020120130384A 2012-11-16 2012-11-16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84A KR101442120B1 (ko) 2012-11-16 2012-11-16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84A KR101442120B1 (ko) 2012-11-16 2012-11-16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86A true KR20140065586A (ko) 2014-05-30
KR101442120B1 KR101442120B1 (ko) 2014-09-25

Family

ID=5089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384A KR101442120B1 (ko) 2012-11-16 2012-11-16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481A (ko) * 2018-02-09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성능이 개선된 드럼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3577A (ja) * 1994-11-29 1996-06-11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板の誘導加熱装置
JP4069002B2 (ja) * 2003-03-28 2008-03-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板幅方向の均温性に優れた金属帯板の加熱装置
TWI326713B (en) * 2005-02-18 2010-07-01 Nippon Steel Corp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traveling metal plate
CA2789927C (en) * 2010-02-19 2015-02-10 Nippon Steel Corporation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481A (ko) * 2018-02-09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성능이 개선된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20B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7530C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a metal plate
RU24319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JP5114671B2 (ja) 金属板の誘導加熱装置および誘導加熱方法
US6498328B2 (en)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magnetic circuit of variable width
CN106576400B (zh) 金属带的感应加热装置
US20100155390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a Metal Plate
KR100933903B1 (ko) 유도 가열 장치
CN104508154A (zh) 加热装置及包括其的连续金属板加热设备
KR102196842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방법
US20100187223A1 (en) Electric Induction Edge Heating of Electrically Conductive Slabs
WO2016035893A1 (ja)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JP2006294396A (ja) 誘導加熱装置
KR101442120B1 (ko)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58168A (ja)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JP2546267B2 (ja) 誘導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