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497A - An interlocking block - Google Patents

An interlocking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497A
KR20140065497A KR1020120129235A KR20120129235A KR20140065497A KR 20140065497 A KR20140065497 A KR 20140065497A KR 1020120129235 A KR1020120129235 A KR 1020120129235A KR 20120129235 A KR20120129235 A KR 20120129235A KR 20140065497 A KR20140065497 A KR 20140065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attern forming
main body
edg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주)전통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통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전통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12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497A/en
Publication of KR2014006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4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block comprising: a main body; a front pattern forming part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form a first protruding part which is protruding to the edge of an upper part, or the edge of a lateral part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edge of an upper part, and to form a first inserted part which is inserted from the edge of a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part as much as a depth corresponding to a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protruding part; a rear pattern forming part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form a second protruding part which is protruding to the edge of an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r the edge of a lateral part of the rear side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edge of an upper part, and to form a second inserted part which is inserted from the edge of a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ding part as much as a depth corresponding to a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protruding part; a sand storage formed to store sand when laying brick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main body by attaching the front pattern part to the rear pattern part; and a location fixing part formed in the front pattern part or the rear pattern part to set the location of a block stacked when laying bricks.

Description

문양블록{an interlocking block} An interlocking block

본 발명은 문양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문양블록의 적층 시 조적위치를 세팅할 수 있으며, 문양블록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문양블록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tern block capable of setting a coarse position when stacking a pattern block and capable of increasing a coupling force between the pattern blocks.

일반적으로, 벽돌은 옛날부터 전이라 하여 널리 사용되었음을 남아 있는 궁전, 불사(佛寺), 탑비(塔碑) 등의 고건물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벽돌에 의해 치장된 벽체나 담을 꽃담이라고 하며, 지금도 볼 수 있는 옛 궁궐 꽃담은 화려하되 야하지 않고 은근한 한국 고유의 멋을 풍긴다.Generally, bricks can be seen in ancient buildings such as the remaining palaces, Buddha statues, and tower monuments that have been widely used since ancient times. The walls and walls painted by these bricks are called vaults, and the old palace vases, which can still be seen, have a glorious and unique character.

이러한 꽃담은 타일형 전돌, 전돌(구운벽돌), 사괴석(화강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문양에 따른 전돌의 종류로는 전돌 전통문양블록, 평형전통문양블록, 눈썹전통문양블록, 회문 전통문양블록, 귀갑문 전통분양블록, 완자 전통문양블록, 수파문 전통문양블록, 사괴석 전통 문양블록 등이 있다.These kinds of flowers can be made of tile-shaped stone, stone (baked brick), and sage stone (granite). The kinds of stone stone according to the pattern include the traditional stone pattern block, the traditional traditional pattern block, the eyebrow traditional pattern block, , Traditional earthenware block, earthenware block, earthenware block, and traditional pattern blocks.

이러한 꽃담은 전돌을 부착하거나 쌓아 시공하고, 이음매부분은 돌출 또는 인입된 형태의 줄눈으로 마감하게 된다. 상기 줄눈은 전들을 시공할 때에 단위 전들의 사이를 모르타르로 메우는 긴 줄 모양의 마감재로서, 소정의 외관을 조성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 줄눈은 전통 한식 건물이나 궁궐의 꽃담을 시공하는 경우, 전을 담장에 붙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만들게 된다. 이러한 줄눈의 시공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고 이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These vases are attached or stacked by the projectile, and the joints are closed with projections or entangled joints. The joint is a long line-shaped finishing material that fills up the mortar between unit wares when the wares are applied, and also serves to form a predetermined appearance. This joint is handmade by a worker when the temple is attached to a fence in case of constructing a traditional Korean building or a palace buddhist temple. Since the construction of such joints depends on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it takes a lot of work and is costly.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인은 돌출줄눈을 가지는 문양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형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178611호로 출원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전통블록을 연구개발하여 후속출원을 하기에 이르렀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ttern block having a protruding joint having a protruding joint, an assembled block using the pattern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s a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78611, and has continued to research and develop a conventional block for subsequ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적 시 블록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으며, 블록 상호간의 결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사모래의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문양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ttern block capable of accurately setting a joining position of a block in an assembling operation and securing a storage space of sand to provide a binding force between blocks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적 시 줄눈을 형성할 수 있고, 바닥재, 담장, 건축물의 외벽을 장식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양의 구현이 담장의 조성 시 전면측과 배면측에 동시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문양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joint in a masonry structure, which can decorate an outer wall of a flooring material, a fence, a build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patterns can simultaneously form a pattern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to provide a pattern blo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은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조적 시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와, 상기 문양형성부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형성되어 조적 시 적층되는 블록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A pattern forming uni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forming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a pattern forming unit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attern forming unit, And has a fix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블록의 조적 시 결합을 위한 사모래가 주입되는 사모래주입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문양형성부는 본체부에 대해 엇갈리게 위치되어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는 제1,2결합부가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문양형성부는 조적 시 줄눈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and sand injection unit into which sand yarn for joining the block is mated. The pattern forming portions are stagger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edge of the body portion. The pattern forming portion may form a joint when the pattern is formed.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측 가장자리 또는 상부측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측면측의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제 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1돌출부와 대응되는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길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되는 제 1인입부가 형성된 전면문양형성부와,Alternatively,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from a side edge of the continuous side of the upper side edge or the upper side edge, A front pattern forming part having a first drawing part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a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protruding part from a lower side edge corresponding to the one protruding part,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 상부측 가장자리 또는 상부측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후면 측면측의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제 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2돌출부와 대응되는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돌출부의 돌출길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되는 제 2인입부가 형성된 후면문양형성부를 구비하며,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rear side edge or the rear side surface continuous with the upper side edge is formed an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from the lower side edge corresponding to the two protrusions And a second pattern forming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that is insert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상기 전면문양형성부와 후면문양형성부가 부착됨으로써 노출된 본체의 외주면에 조적 시 사모래가 저장되는 사모래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문양형성부 또는 후면문양형성부에 형성되어 조적 시 적층되는 블록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구비한다.The front and rear grommet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front and rear grommet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ortion.

상기 후면문양형성부는 본체부의 일부가 인입되어 인입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구획하는 리브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부에는 리브들에 지지되는 후면문양돌기부가 더 구비된다. The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recessed portion into which a part of the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and separating the space portion into a predetermined pattern. The spac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pattern protrusion supported by the ribs.

본 발명의 문양블록은 조적 시 줄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문양블록을 이용한 담장의 형성 시 전면과 배면에 동시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블록의 조적 시 블록의 위치를 세팅함으로써 조적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재료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이 공간부를 이용하여 소정패턴의 후면문양형성부를 구현함으로써 문양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The patter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joint when moored, and can simultaneously form a pattern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when forming the fence using the pattern block. In addition, by setting the location of the blocks in the conventional bloc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structure. By forming a separate space portion in the main body portion, material and weight can be reduced. By using the space portion, a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can be realized, the aesthetics of the pattern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문양블록의 배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문양블록의 배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적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문양블록의 배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 조적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문양블록의 매면을 나타내 본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문양블록의 배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pattern block,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pattern block shown in FIG. 3,
FIG. 5 shows a combined state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view of the pattern block shown in FIG. 5,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state of the articula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tern block shown in FIG. 10,
12 to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pattern block shown in FIG. 16; FIG.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은 전통 한식 건물, 궁궐벽체, 꽃 담, 바닥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조적 시 돌출줄눈에 의해 적층라인이 감추어져 형성되지 않게 되며, 조적 시 문양블록의 조적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내 보였다.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traditional Korean building, a palace wall, a flower fence, a flooring and the like. The laminating line is not formed due to the protruding joint when it is masonry, An embodiment is shown in Figs. 1 to 18. Fig.

도면들을 참조하면, 문양블록(10)은 사각면체, 삼각면체 등과 같은 다각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전면에 형성되며 조적 시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전면문양형성부(20)와, 상기 전면문양형성부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형성되어 조적 시 적층되는 블록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고정부(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 문양형성부(20)에 형성된 문양과 동일한 문양이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된 후면문양형성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에는 조적 시 블록 상호간의 접합을 위한 사모래가 채워지는 사모래주입부(12)가 형성된다. 상술한 문양블록(10)을 이루는 재질은 황토, 질석, 시멘트몰타르, 현무암들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문양블록의 재질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바닥재 또는 블록을 만들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pattern block 10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shape of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face, a triangular shape, and the like, an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forms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pattern And a position fixing unit 50 for setting the positions of the block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side and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front surface pattern forming uni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pattern forming part 30 having the same pattern as the pattern formed on the front pattern forming part 20 or formed with different patterns. The main body 11 is formed with a sand injection unit 12 filled with sand for sandwiching block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attern block 1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ess, vermiculite, cement mortar, and basalt, or may be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above. The material of the pattern block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a material which can make a floor material or a block.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을 구성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문양블록(10)의 본체부(11)는 문양블록을 조적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데, 그 형상은 직육면체로 형성되거나 다각면을 가지는 입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는 삼각면체, 오각면체 또는 육각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부에 리브가 형성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1 of the glazing block 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so that the glazing block can be assembled,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ube having a polygonal surface. The body portion 11 may be formed of a triangular-shaped body, a pentagonal body, or a hexagonal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ront surface may be formed in an arc-like shape, or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hexahedron in which ribs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corner portions,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의 내부공간 또는 측면 또는 배면에는 무게와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는 조적 시 접합되는 외주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모래 주입부(12)가 형성되는데, 이 사모래 주입부(12)는 본체부(11)의 상면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사모래 주입부(12)는 본체부(11)의 상면에 돌출리브(12a)들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도 5, 도 16 및 도 17도 참조)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the side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o save weight and materials. The main body portion 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 to be joined when the main body portion 11 is joined to the main body portion 11, Ar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The sand filling unit 12 may be formed by forming protruding ribs 1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See FIGS. 2, 5, 16, and 17)

상기 문양블록이 바닥재로 이루어지거나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부착되어 건축물을 장식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1)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후면문양형성부(30)는 별도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외벽에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pattern block is made of a floor material or is attached to an inner wall or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decorate the building, the thickness of the body part 11 may be relatively thin. In this case, the separate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30 need not be formed separately, but a pattern for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to the outer wall may be formed.

상기 전면문양형성부(20)는 상기 본체부(11)의 전면에 형성되어 담장 또는 벽체, 바닥재의 장식을 위한 문양을 형성함과 아울러 줄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부(11)에 대해 상면측 또는 측면측으로 돌출되는 제 1돌출부(21)와 상기 제 1돌출부(21)와 대응되는 부위에 제 1인입부(22)가 형성되어 조적 시 상기 제 1돌출부(21)가 인접하는 문양블록의 전면문양형성부에 형성된 제 1인입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조적되는 문양블록(10)이 연계된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돌출부(21)는 상면측과 연속하는 일측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면측과 이와 연속하는 일측의 측면에는 제 1인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pattern forming unit 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1 to form a pattern for decorating a wall, a wall, and a flooring, and can form a joint. A first protrusion 2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side or the side surface and a first inlet 22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21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block 1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portion formed in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of the body 10 can have an associated structure. The first protrusion 2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inlet 2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상기 전면문양형성부(20)의 본체부(11)에는 상면 또는 측면에는 사모래주입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문양블록(10)의 적층 시 사모래에 의해 문양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문양형성부(20) 또는 후면문양형성부(30)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에 의해 줄눈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 또는 후면문양형성부(20)(30)의해 형성된 문양에 의해 조적에 따른 줄눈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main body portion 11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is formed with the sand filling portions 12 on the upper or side surfaces thereof, . Therefore, a joint is formed by the pattern formed by the front pattern forming unit 20 or the rear pattern forming unit 30. [ 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a joi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by the pattern formed by the front or back pattern forming sections 20 and 30.

상기 전면 또는 후면문양형성부(20)(30)에 의해 형성된 문양은 도 1,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여 격자상의 양각 문양(61)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격자의 일부를 양각 또는 음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자문양의 일부가 줄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와를 적층한 것과 같은 문양을 구현할 수 있도록 부체꼴 형상의 본체부(11) 전면에 형성된 전면문양형성부(20)에는 이를 따라 돌기(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문양형성부(20)에 형성된 문양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동일형상의 돌기 즉, 육각형상의 돌기 또는 다각형 형상의 돌기들의 중심이 동일 중심축에 위치되도록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는 중심부위에는 꽃 문양 등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attern formed by the front or back pattern forming portions 20 and 30 may be formed by embossing a part of the lattice to embossed or engraved so that the embossed pattern 61 can be continuously formed as shown in FIGS. 1, ≪ / RTI > In this case, a part of the lattice pattern may form a joint. 3 and 4, protrusions 62 are formed in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so as to realize the same pattern as the tiles stacked on each other, . 5 and 6, the patterns formed on the front pattern forming unit 20 are arranged such that the centers of protrusions of the same shape having different sizes, that is, hexagonal protrusions or polygonal protrusions, are located on the same central axis . Here, as shown in FIGS. 5 and 10, a flower pattern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at a raised or indented angle.

상기 전면 또는 후면문양형성부(20)(30)에 형성된 문양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도 8 및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과 돌기들이 형성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패턴의 돌출 또는 인입된 형상을 이용하여 만자와 같은 글씨, 스파이럴 형상 등을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pattern formed on the front or back pattern forming sections 20 and 30 may be formed by forming protrusion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s shown in FIGS. 7, 8, 16 and 17 And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12 to 15, a letter, spiral shape, or the like can be formed using a projected or drawn shape of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전면문양형성부(20)과 후면문양형성부(30)에 양각 또는 음각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꽃, 동물, 글씨,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돌출 또는 연속적인 문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ttern formed by embossing or embossing in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and the back pattern forming portion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a flower, an animal, a letter,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protrusion, It can be done with a pattern.

다른 실시예로서 후면문양형성부(30)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2, 도 4, 도 6, 도 11,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블록의 본체부(11)의 배면에 일부가 인입된 공간부(3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31)를 소정의 패턴으로 구획하는 리브(32)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문양형성부(30)는 공간부(31)에는 리브(32)들에 지지되는 후면문양돌기부(33)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의 후면에 형성된 공간부(31)은 원형, 삼각 사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가 호형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호형공간부(34)가 복수개 형성되고, 이 이 호형공간부(34)에 복수개를 구획하는 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상의 본체부의 배면에 육각공간부가 본체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back grommet forming portion 30 may include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back grommet forming portion 30 is partially drawn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 of the pattern block as shown in Figs. 2, 4, 6, 11, Ribs 32 are formed to form the ribs 31 and define the space 31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rear pattern form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rear pattern protrusions 33 that are supported by the ribs 32 in the space 31. [ The space 3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triangul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body portion 11 has an arcuate shape, a plurality of arcuate space portions 34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arcuate spaces may be formed in the arcuate space portion 34 ,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hexagonal space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exagonal body portion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s a center.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양블록(10)들의 조적 시 블록의 조적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면문양형성부(20) 또는 후면문양형성부(30)의 상면측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전면문양형성부(20) 또는 후면문양형성부(30)의 하면측에 결합돌기(51)와 결합되는 인입홈(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1)와 인입홈(52)은 본체부(1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5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문양블록의 조적된 블록과 조적되는 블록의 조적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전면문양형성부(20) 또는 후면문양형성부(30)에 형성된 문양패턴의 일부가 전면문양형성부(20) 또는 후면문양형성부(3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전면, 또는 후면문양형성부에 형성된 문양에 의해 줄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 is for fixing the mating position of the blocks in the mover block 10 when the mover blocks 10 are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pattern forming portion 20 or the rear surface pattern forming portion 30 The engaging protrusion 5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51 and the engaging groove 5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or the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30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51. [ The engaging projection 51 and the lead-in groove 5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a structure capable of setting the coarse position of the coarse block of the pattern block and the coarse position of the coarse block. For example, a part of the pattern pattern formed on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or the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30 may be formed by protruding or pulling from the edge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or the back pattern forming portion 30 ha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joint can be formed by the patter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r rear surface pattern forming portion.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문양블럭에 있어서, 본체부(11)에 전면문양블로 형성부 또는 후면문양형성부 중 하나가 형성된 경우, 문양블록의 조적 또는 배열시 본체부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부위, 예컨대, 배면 또는 하면이나 측면의 중앙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문양블록의 형성을 위한 재질을 절감함과 아울러 문양블록의 무게를 가볍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When one of the front bristles forming part or the back side bristle forming part is formed on the main body part 11 in the above-described pattern block, a portion where no interference occurs in the main body part when the pattern block is arranged or arrang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pace at the center of the back, bottom, or side to reduce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pattern block, and to lighten the weight of the pattern block.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patter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문양블록을 이용하여 담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블록들을 상호 연결하여 조적하게 되는데, 이때에 적층되는 문양블록은 블록간틈(조적 후 수작업에 의해 줄눈을 형성하여야 할틈)을 가리게 되므로 조적의 경계부를 인식할 수 없다. 즉, 본체부(11)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조적 시 결착력을 제공하는 사모래주입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문양블록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사모래들에 의해 블록간틈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문양블록(10)의 전면문양형성부(20)에 의해 제 1돌출부(21)와 제 1인입부(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적 시 상기 제 1인입부(22)와 제 1돌출부(21)는 인접하는 문양블록의 제 1돌출부(21')완 제1인입부(22')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First, in order to form a fence using the pattern block, the blocks are connected and interconnected. At this time, the pattern block stacked blocks the gap between the blocks Can not.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 sand gap injection unit 12 is provided to provide a binding force at the time of mooring, so that block gaps are not generated due to sand sand interposed between the stroke blocks.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21 and the first drawing portion 22 are formed by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of the pattern block 10, the first drawing portion 22 and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21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21 'of the adjacent pattern block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한편, 상기 문양블록(10)에는 조적되는 문양블록 상호간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적되는 문양블록들의 조적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문양블록(10)을 조적 시 전면문양형성부(20)의 상면에 형성된 인입홈(51)에 적층되는 문양블록의 전면문양형성부(2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52)가 결합됨으로써 조적위치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조적위치의 어긋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블록간틈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since the position fixing part 50 for defining the positions of the pattern blocks to be assembled is formed in the pattern block 10, the position of the blocks of the pattern blocks to be assembled can be limited. The engaging protrusions 5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of the pattern block stacked in the recess groove 5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20 when the pattern block 10 is assembled are engage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generation of block gaps due to displacement of the mating position as in the prior art.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적되는 문양블록(10)은 조적과 동시에 돌출줄눈이 형성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블록의 조적 후 별도로 경계부위에 줄눈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나아가서는 줄눈의 형성에 다른 작업공수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면문양형성부(20)에 형성된 문양에 의해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truding joint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truding joint, the joint block 10 need not be jointed to the boundary after the block is assembled, And can be implemented variously in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manner by the pattern formed on the front pattern forming unit 20. [

그리고 본체부(11)에는 후면에 후면문양형성부(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적 시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전,후면이 동일한 패턴의 줄눈과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후면문양형성부(30)는 본체부(11)의 배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31)을 리브들에 의해 구획하여 형성하게 되므로 다양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며, 문양블록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ar surface pattern forming portion 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joints and patterns having the same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simultaneously. Particularly, since the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30 is formed by forming a space por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 and dividing the space portion 31 by the ribs, various patterns can be realized, You can lighten the weigh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출줄눈을 가지는 문양블록은 조적과 동시에 줄눈과 다양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돌출줄눈을 가지는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block having the protrud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joints and various patterns at the same time as the prototype. And with a protruding joint

문양블록을 부착하거나 적층 시 줄눈이 바로 형성되게 되므로 줄눈작업을 별도로 수행 할 수 없으며, 나아가서는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ince a joint is formed immediately when a pattern block is laminated or laminated, it is not possible to separately perform a joint operation, and further, the cost due to construc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문양블록은 담장, 건축물의 내외벽 뿐만아니라 건물의 바닥, 보도블록, 공원 산책로 등이 널리 적용 가능하다. The patter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not only to the inside and outside walls of a fence, a building, but also to a floor of a building, a walk block, a park walkway, and the like.

10;문양블록
11;본체부
12;사모래주입부
20;전면문양형성부
30;후면문양형성부
50;위치 고정부
10 pattern block
11,
12;
20;
30; a rear pattern forming part
50;

Claims (8)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조적 시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와, 상기 문양형성부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형성되어 조적 시 적층되는 블록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A pattern forming uni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forming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a pattern forming unit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attern form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x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블록의 조적 시 결합을 위한 사모래가 주입되는 사모래 주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and sand injection unit into which sand sand is injected for joining the blocks when they are m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형성부는 본체부에 대해 엇갈리게 위치되어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는 제1,2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forming portion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which are stagger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continue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문양형성부의 상면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문양형성부의 하면측에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pattern forming portion and a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side of the pattern forming portion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제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문양형성부는 본체부의 배면에 인입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리브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In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rear surface pattern form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drawn into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is formed by ribs extending from the body.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측 가장자리 또는 상부측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측면측의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제 1돌출부와 형성하고 상기 1돌출부와 대응되는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길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되는 제 1인입부를 형성하는 전면문양형성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 상부측 가장자리 또는 상부측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후면 측면측의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제 2돌출부와 형성하고 상기 2돌출부와 대응되는 하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돌출부의 돌출길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되는 제 2인입부를 형성하는 후면문양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문양부와 후면문양부가 부착됨으로써 노출된 본체의 외주면에 조적시 사모래가 저장되는 사모래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문양부 또는 후면문양부에 형성되어 조적 시 적층되는 블록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side surface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top edge or the top edg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A front pattern forming part forming a first drawing part drawn in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rear upper side edge or the edge of the rear side surface continuous with the upper side edge,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econd protrusion from the lower side edge corresponding to the two protrusions And a rear pattern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second inlet portion to be drawn into the corresponding depth,
A sandy sand storage uni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exposed by attaching the front and rear pattern units to a position where the sandy sand storage unit is formed in the front or rear pattern unit, And a position fixing part for fixing the pattern block.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전면문양형성부 또는 후면문양형성부의 상면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전면문양형성부 또는 후면문양형성부의 하면측에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ha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or the back pattern forming portion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side of the front pattern forming portion or the back pattern forming portion.
제 6에 있어서,
상기 후면문양형성부는 본체부의 배면에 인입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리브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In the sixth aspect,
Wherein the rear surface pattern form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drawn into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is formed by ribs extending from the body.

KR1020120129235A 2012-11-15 2012-11-15 An interlocking block KR201400654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235A KR20140065497A (en) 2012-11-15 2012-11-15 An interlocking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235A KR20140065497A (en) 2012-11-15 2012-11-15 An interlocking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497A true KR20140065497A (en) 2014-05-30

Family

ID=5089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235A KR20140065497A (en) 2012-11-15 2012-11-15 An interlocking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49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761B2 (en) Building unit with mating sides
KR100953477B1 (en) Brick usable as a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same
US9388571B2 (en) Stone fabrication system with hidden mortar joint
JP2006283541A (en) Backing member body of sticking finishing material and finish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backing member body of its sticking finishing material
US20100180527A1 (en) Constructive light weight insulation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US20210230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e Faced Wall
WO2015107355A2 (en) A modular wall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modular wall
CN102644408A (en) Assembly type reinforced concrete prefabricated wall
KR101178611B1 (en) block having protruding lining mark and an interlocking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751585B1 (en) Establishment structure of constructing block
KR20140065497A (en) An interlocking block
CN210858228U (en) Assembled imitative stone enclosure that gives sound insulation
CN210917925U (en) Novel building brick
KR101365173B1 (en) The assembly block for the construction to easy a masonry and thereof masonry method
KR200443596Y1 (en) The loess-brick structure of masonry type
CN201433536Y (en) Seamless connection face brick
JP3930016B2 (en) Concrete block for building
KR200463897Y1 (en) Prefabricated Block
KR20110101746A (en) A brick
CN211473049U (en) Building brick
US20210372140A1 (en) Z-Shaped Building Materials
KR200364509Y1 (en) The embellishment block for a construction
RU2404332C1 (en) Block with adiabatic gap
WO2007119175A2 (en) An interlockable brick/block with a top finish surface of granite, marble, ceramic, porcelain or terra cotta or imi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