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100A - 급수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100A
KR20140065100A KR20120132185A KR20120132185A KR20140065100A KR 20140065100 A KR20140065100 A KR 20140065100A KR 20120132185 A KR20120132185 A KR 20120132185A KR 20120132185 A KR20120132185 A KR 20120132185A KR 20140065100 A KR20140065100 A KR 2014006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uid
flow pipe
water supply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604B1 (ko
Inventor
이도경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온집
동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온집, 동화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3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604B1/ko
Priority to PCT/KR2013/001666 priority patent/WO2014081083A1/ko
Publication of KR2014006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수압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부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각 지점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수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부는 유로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다수의 수전부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수시스템{Water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수압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급수영역에서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와, 유체를 보일러 설비로 가열한 온수를 다수의 급수영역으로 공급하는 급탕을 위한 배관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관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일대일 방식이다.
상기 일대일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급수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분배기를 통해 직접 배관된 각 최종급수처인 씽크, 세탁기, 욕조, 세면기, 변기 등으로 분배되어 급수 및 급탕이 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일대일 방식은 분배기가 필수적인바, 겨울철 동파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 등을 고려하여 설치 공간을 선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분배기와 각 최종급수처가 직접 배관되어 있으므로 최종급수처의 거리가 멀 경우 배관의 길이가 길어져 공사비가 상승하고 다른 공정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간섭을 받을 우려가 크다.
또한, 배관이 집중되어 있는 곳은 콘크리트 타설시 공간이 발생되는 건축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되는 한편, 분배기를 통해 다수의 최종급수처로 직접 분배가 되는 방식이며, 원 급수처에서 최종급수처까지 사용된 관의 지름이 동일하므로 거리에 따른 수압차가 발생되며, 일 최종급수처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사용시 타 최종급수처의 수압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관련기술문헌]
1. 분배구조를 갖는 수전 및 이를 이용한 급수 시스템 (Tab having distributing structure and water supply system having that)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088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대 내에 설치되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최종급수처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수압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은 공급부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각 지점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수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부는 유로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다수의 수전부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유로관은 최선의 유로관에서 최후의 유로관으로 갈수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급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유로관으로 연결되는 한편, 다수의 수전부와 유로관으로 연결되는 조인트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시스템은 원 급수처인 공급부와 최종급수처인 각 수전부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 아닌 원 급수처인 공급부로부터 유로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는 일 수전부를 거친 후 타 수전부로 보내지는 방식으로, 다수의 수전부는 유체가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연결되어 있는바 종래의 일대일 방식에 비하여 배관의 길이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된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므로 다른 공정을 하는데 있어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최선의 유로관에서 최후의 유로관으로 갈수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므로 각 수전부로 유체가 공급되는 거리에 따라 수압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 수전부에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타 수전부로는 앞선 유로관보다 지름이 작은 유로관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므로 수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조인트 박스를 통해 공급받은 유체를 재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바, 여러 개의 관이 공급부와 연결되어 배관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급수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시스템이 세대 내에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시스템에 조인트 박스가 포함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수압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부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각 지점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수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부는 유로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다수의 수전부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은 세대 내 다수의 급수영역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급수처인 공급부(100)와 최종급수처인 다수의 수전부(200:200-1, 200-2, 200-3)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공급부(100)나 수전부(200)의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수전부(200)에 유로관(10)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며, 세대 내의 일 급수영역에서 상기 공급부(100)와 가깝게 위치하거나 배관하기 용이한 상기 수전부(200)와 연결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급수영역(A) 및 제2급수영역(B) 등 다수의 급수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급부(100)는 각 급수영역마다 상기 공급부(100)와 가깝게 위치하거나 배관하기 용이한 다수의 수전부(200)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수전부(200)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유로관(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바,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은 최선의 수전부(200-1)는 중간 수전부(200-2)로 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중간 수전부(200-2)는 최후의 수전부(200-3)로 유체를 공급하게 되며, 각 수전부(200)에서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중간 수전부(200-2)는 도 2에 단일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원 급수처인 공급부(100)로부터 최종급수처인 각 수전부(200-1, 200-2, 200-3)로 직접 유로관(10)을 통해 유체가 공급되었는바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배관이 복잡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은 공급부(100)는 최선의 수전부(200-1)로 유체를 공급한 후 다수개의 수전부(200)에 유체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므로 배관의 길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대 내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바 종래 일대일 방식으로 배관하는 경우보다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한 배관구조를 가지게 되어 방수나 조적 등과 같은 다른 공정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수의 급수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급부(100)에는 분배기가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분배기와 각 수전부(200)가 직접 배관되지 않으므로 종래 일대일 방식보다 분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바, 분배기의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로관(10)은 다수 개가 마련되어 최선의 수전부(200-1)에서 최후의 수전부(200-3)에 이르기까지 상기 수전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전부(20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유로관(10)은 최선의 유로관(10)에서 최후의 유로관(10)으로 갈수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수전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전부(200) 사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유로관(10)의 지름이 동일하다면 최후의 수전부(200-3)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는 다수의 수전부(200)를 거치므로 최선의 수전부(20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압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 수전부(200)는 외부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 수전부(200)로 유체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바, 동일한 지름의 유로관(10)을 사용한다면 상기 수전부(200)에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경우 수압이 약해져 여분의 유체가 타 수전부(200)로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공급부(100)와 최선의 수전부(200-1)를 연결하는 유로관(10) 역시 최선의 수전부(200-1)와 중간 수전부(200-2)를 연결하는 유로관보다 지름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와 최선의 수전부(200-1)간을 연결하는 유로관(10)이 가장 굵으며, 최후의 수전부(200-3)로 갈수록 상기 유로관(10)의 지름은 순차적으로 작아져, 상기 수전부(200)의 위치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최종급수처인 각 수전부(200)에 수압차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이 세대 내에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면에서 급수 메타기가 상기 공급부(100)를 의미하며, 씽크, 세탁기, 욕조, 세면기 등은 수전부(200)를 의미한다. 도 3 내에서 급수영역은 크게 공용화장실 영역, 부부화장실 영역을 비롯하여 씽크, 세탁기, 손빨래, 보일러를 하나로 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00)는 각 급수영역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거나 배관이 용이한 수전부(200)인 공용화장실에서의 욕조, 씽크, 부부화장실에서의 변기로 배관된다. 상기 공용화장실 영역에서는 유체가 욕조, 세면대, 변기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최후의 수전부(200)인 발코니로 공급된다. 이때 각 수전부(200)인 욕조, 세면대, 변기, 발코니에서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욕조까지의 유로관(10)의 지름이 가장 크며, 발코니로 갈수록 유로관(10)의 지름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부화장실 영역과 씽크, 세탁기, 손빨래, 보일러를 하나로 하는 영역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배관이 된다.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에는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유체를 각 수전부(200)로 재분배시키는 조인트 박스(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박스(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유로관(10)으로 연결되는 한편, 다수의 수전부(200)와 유로관(1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기 조인트 박스(300)를 통해 분기되어 도 4에 도시된 예처럼 각 수전부(200)인 세탁기 및 세면기로 각각 공급되게 된다. 상기 세탁기로 공급된 유체는 손빨래를 위한 수전부(200)로 공급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발코니로 공급되게 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조인트 박스(300)가 단일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박스(300)에 연결된 수전부(200)의 갯수도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인트 박스(30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로관(10)은 최선의 유로관(10)에서 최후의 유로관(10)으로 갈수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급수시스템은 급수라는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일러 설비로 가열한 온수를 각 상기 수전부(200)로 공급하는 급탕의 의미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시스템은 원 급수처인 공급부와 최종급수처인 각 수전부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 아닌 원 급수처인 공급부로부터 유로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는 일 수전부를 거친 후 타 수전부로 보내지는 방식으로, 다수의 수전부(200)는 유체가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연결되어 있는바 종래의 일대일 방식에 비하여 배관의 길이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된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므로 다른 공정을 하는데 있어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유로관(10)은 최선의 유로관(10)에서 최후의 유로관(10)으로 갈수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므로 각 수전부(200)로 유체가 공급되는 거리에 따라 수압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 수전부(200)에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타 수전부로는 앞선 유로관(10)보다 지름이 작은 유로관(10)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므로 수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조인트 박스(300)를 통해 공급받은 유체를 재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바, 여러 개의 관이 공급부(100)와 연결되어 배관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 : 제1급수영역 B : 제2급수영역
10 : 유로관 100 : 공급부
200(200-1, 200-2, 200-3) : 수전부
300 : 조인트 박스

Claims (3)

  1. 공급부(100)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각 지점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수전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부(200)는 유로관(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다수의 수전부(200)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10)은 다수 개가 마련되어 최선의 수전부(200-1)에서 최후의 수전부(200-3)에 이르기까지 수전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수전부(20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되,
    최선의 유로관(10)에서 최후의 유로관(10)으로 갈수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어 최후의 수전부(200-3)로 갈수록 수압이 순차적으로 증가 되게 함으로써 유체가 수전부(200)마다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유로관(10)으로 연결되는 한편, 다수의 수전부(200)와 유로관(10)으로 연결되는 조인트 박스(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조인트 박스(300)를 통해 공급부(100)에서 공급받은 유체를 재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
KR20120132185A 2012-11-21 2012-11-21 급수시스템 KR10145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185A KR101458604B1 (ko) 2012-11-21 2012-11-21 급수시스템
PCT/KR2013/001666 WO2014081083A1 (ko) 2012-11-21 2013-02-28 급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185A KR101458604B1 (ko) 2012-11-21 2012-11-21 급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00A true KR20140065100A (ko) 2014-05-29
KR101458604B1 KR101458604B1 (ko) 2014-11-07

Family

ID=5077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2185A KR101458604B1 (ko) 2012-11-21 2012-11-21 급수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8604B1 (ko)
WO (1) WO2014081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72U (ko) 2020-02-11 2021-08-19 서창원 실내 생활용수의 균등 분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8232A (ja) * 1986-06-05 1987-12-15 傅法 文夫 建造物の給水構造
JPH09165804A (ja) * 1995-10-13 1997-06-24 Kumagai Gumi Co Ltd 複数階層建築物の給水配管及び給水配管方法
JP2002105997A (ja) * 2000-09-28 2002-04-10 Toto Ltd 配管システム
KR100840928B1 (ko) * 2006-05-09 2008-06-26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온수의 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배관 시공방법
KR100901131B1 (ko) * 2007-06-28 2009-06-04 주식회사 피아이피 안정된 유량확보를 위한 다방향 급수기능을 갖는 냉온수배관시스템
KR20100049828A (ko) * 2008-11-04 2010-05-13 김지용 분배구조를 갖는 수전 및 이를 이용한 급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083A1 (ko) 2014-05-30
KR101458604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7690C (en) Flushing station for a ring-pipe or series-pipe system, ring-pipe system as well as series-pipe system
KR101458604B1 (ko) 급수시스템
CN204608904U (zh) 洗衣机地漏
KR20080043182A (ko) 벽체 매립 분배기 일체형 수전함
CN201144440Y (zh) 不降板式室内型同层排水系统
KR100901131B1 (ko) 안정된 유량확보를 위한 다방향 급수기능을 갖는 냉온수배관시스템
KR100860128B1 (ko) 급배수 통합 기능을 갖는 육가 하우징 및 그 육가 하우징을이용한 급배수 통합 배관 시스템
CN206128184U (zh) 一种室内配水器给水系统
KR20090009359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WO2018026213A1 (ko)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KR100840928B1 (ko) 온수의 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배관 시공방법
KR101703241B1 (ko) 용수의 분기 단속이 가능한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KR20130087329A (ko) 다단 분기식 난방배관 시공방법
KR20100049828A (ko) 분배구조를 갖는 수전 및 이를 이용한 급수 시스템
KR20230011067A (ko) 건물내의 복수의 최종 급수처의 유량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급수시스템 및 급수방법
KR100684281B1 (ko) 매입형 분배용 수전
KR101703239B1 (ko)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KR20080071239A (ko) 방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100749955B1 (ko) 욕실 공간용 배관 시스템
JP2001140298A (ja) 多世帯住宅のヘッダー式給水・給湯配管
KR200464054Y1 (ko) 급수급탕 분배기
KR20100067728A (ko) 계량기 내장형 분배기 박스
AU2013100877A4 (en) Pipe system and building design
ITMO20130113A1 (it) Metodo e sistema per l'alimentazione centralizzata di acqua ad una o più utenze con controllo elettronico ed indipendente della temperatura e della portata fornita.
KR20080004166A (ko) 온수의 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배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