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050A -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050A
KR20140065050A KR1020120132082A KR20120132082A KR20140065050A KR 20140065050 A KR20140065050 A KR 20140065050A KR 1020120132082 A KR1020120132082 A KR 1020120132082A KR 20120132082 A KR20120132082 A KR 20120132082A KR 20140065050 A KR20140065050 A KR 2014006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tracking area
movement
tal
area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3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050A/ko
Publication of KR2014006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TAC: Tracking Area Code)의 변화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하는 이동이력기록부; 이동이력기록부에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여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하는 이동패턴추출부;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TAL: Tracking Area List)를 구성하는 가입자TAL구성부; 및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는 이동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별 이동지역에 대한 확률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위치등록 부하를 줄이면서 페이징의 부하도 절감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따르면, 사용자단말(UE: User Equipment 또는 MS: Mobile Station)이 이동통신망에 최초 접속하거나 또는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이때, 사용자단말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EE: Mobility Management Entity)에서 할당하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AL: Tracking Area List)에 따라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즉,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기지국 단위로 관리할 때 빈번한 위치등록 메시지 유발로 인한 시스템 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래킹 영역(TA: Tracking Area) 내의 여러 개의 기지국을 묶어서 TAC(Tracking Area Code)로 관리하고, 여러 개의 TAC를 묶어서 TAL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AC1, TAC2, TAC3,…, TAC24에 대하여 TAC1, TAC2, TAC3, TAC7, TAC8, 및 TAC9를 묶어서 TAL1으로 관리하고, TAC4, TAC5, TAC6, TAC10, TAC11, 및 TAC12를 묶어서 TAL2로 관리하며, TAC13, TAC14, TAC15, TAC19, TAC20, 및 TAC21을 묶어서 TAL3으로 관리하고, TAC16, TAC17, TAC18, TAC22, TAC23, 및 TAC24를 묶어서 TAL4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의해 관리되는 TAL이 변경될 때에만 위치등록을 올림으로써 위치등록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 아이들(Idle)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단말로 향하는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이동통신망은 그 사용자단말을 깨워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통신망은 아이들 상태에 있는 사용자단말이 속해있는 TAL을 알고 있으므로 해당 TAL에 속해있는 모든 기지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데, 사용자단말이 위치 등록한 TAL이 너무 많은 기지국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착신에 대해 페이징 부하가 너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TAL 내에 수용하는 기지국 수는 TAU(Tracking Area Update) 부하와 페이징 부하를 고려하여 정의되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이동성 관리방법은 가입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지리적으로 구분하여 TAL을 구성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각 TAL을 변경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TAL이 변경될 때마다 위치등록이 발생하게 되어 위치등록 부하를 증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가 TAC10 -> TAC16 -> TAC15 -> TAC9로 이동하는 경우, TAL은 TAL2 -> TAL 4 -> TAL3 -> TAL1로 변경되며, 따라서 가입자는 세 번에 걸쳐 위치등록을 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망은 위치등록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개인별 이동지역에 대한 확률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위치등록 부하를 줄이면서 페이징의 부하도 절감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장치는, 이동통신망 내에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TAC: Tracking Area Code)의 변화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하는 이동이력기록부; 이동이력기록부에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여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하는 이동패턴추출부;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TAL: Tracking Area List)를 구성하는 가입자TAL구성부; 및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는 이동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성 관리장치는,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는 디폴트TAL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관리부는, 이동패턴에 속하지 않는 가입자의 이동에 대하여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동을 관리한다.
가입자TAL구성부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의 변화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하는 단계; 이동이력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트래킹 영역 코드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성 관리방법은, 이동패턴에 속하지 않는 가입자의 이동에 대하여, 기 설정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래킹 영역 리스트 구성단계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이동지역에 대한 확률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위치등록 부하를 줄이면서 페이징의 부하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입자 별로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동일한 가입자에 대하여 요일 별로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이동패턴을 벗어나는 가입자의 이동에 대한 이동성 관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100)는, 이동이력기록부(110), 이동패턴추출부(120), 가입자TAL구성부(130), 이동관리부(140) 및 디폴트TAL구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이력기록부(11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TAC: Tracking Area Code)의 변화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액티브(active) 상태(통신을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셀(Cell)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망은 기지국이 위치한 셀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가 아이들(Idle) 상태(통신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여러 개의 인접한 기지국을 그룹으로 묶어 정의한 TA(Tracking Area)로 관리하며, 각각의 TA에는 고유한 트래킹 영역 코드(TAC: Tracking Area Code)를 할당하고, 여러 개의 트래킹 영역 코드를 그룹으로 묶어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트래킹 영역 리스트 단위로 이동통신단말기의 페이징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력기록부(11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래킹 영역 코드의 구성에 대하여, 최근의 일주일 동안 가입자 A의 트래킹 영역 코드가 TAC2 -> TAC8 -> TAC14, TAC2 -> TAC3, TAC2 -> TAC8 -> TAC9로 변화되었다면, 이동이력기록부(110)는 변화되는 각각의 트래킹 영역 코드 TAC2, TAC3, TAC8, TAC9, TAC14를 가입자 A에 대응하는 이동이력으로 기록한다.
이동패턴추출부(120)는 이동이력기록부(110)에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여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와 같이 이동이력기록부(110)가 가입자 A에 대한 트래킹 영역 코드 TAC2, TAC3, TAC8, TAC9, TAC14를 가입자 A에 대응하는 이동이력으로 기록한 경우에 가입자 A의 이동이력에 대하여 각각의 트래킹 영역 코드가 차지하는 확률이 순차적으로 38%, 6%, 30%, 4%, 22%라고 가정하면, 이동패턴추출부(120)는 가입자 A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 중 20%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 TAC2, TAC8, TAC14를 검색하고, 검색된 트래킹 영역 코드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 A의 이동패턴을 TAC2 -> TAC8 -> TAC14로 추출할 수 있다.
가입자TAL구성부(130)는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한다. 이때, 가입자의 이동패턴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입자TAL구성부(130)는 가입자에 따라 서로 다른 트래킹 영역 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패턴추출부(120)에 의해 가입자 A의 이동패턴은 TAC2 -> TAC8 -> TAC14로 추출되었으며, 가입자 B의 이동패턴은 TAC20 -> TAC14 -> TAC15 -> TAC21로 추출되었고, 가입자 C의 이동패턴은 TAC11 -> TAC17 -> TAC16 -> TAC10 -> TAC4 -> TAC5로 추출되었다고 가정하면, 가입자TAL구성부(130)는 TAC2, TAC8, TAC14를 묶어 가입자 A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 TAL A를 구성하고, TAC20, TAC14, TAC15, TAC21 를 묶어 가입자 B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 TAL B를 구성하며, TAC11, TAC17, TAC16, TAC10, TAC4, TAC5를 묶어 가입자 C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 TAL C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TAL구성부(130)에 의해 구성되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 내의 트래킹 영역 코드의 수는 가입자 별로 달라질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값 이내의 수로 제한될 수도 있다.
가입자TAL구성부(130)는 가입자의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입자에 대하여, 이동패턴추출부(120)에 의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에 대한 일별 이동패턴은 TAC8 -> TAC9 -> TAC10 -> TAC11로 추출되었으며, 토요일 및 일요일에 대한 일별 이동패턴은 TAC8 -> TAC14 -> TAC20로 추출되었다고 가정하면, 가입자TAL구성부(130)는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평일에 대해서는 TAC8, TAC9, TAC10, TAC11로 구성된 평일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고, 토요일 및 일요일에 대해서는 TAC8, TAC14, TAC20로 구성된 주말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동관리부(140)는 가입자TAL구성부(130)에 의해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한다. 이때, 이동관리부(140)는 가입자TAL구성부(130)에 의해 각각의 가입자에 대응하여 구성된 가입자의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따라 각각의 가입자 별로 이동을 관리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 A에 대하여 TAL A가 구성되고, 가입자 B에 대하여 TAL B가 구성되며, 가입자 C에 대하여 TAL C가 구성된 경우, 이동관리부(140)는 가입자 A, 가입자 B, 및 가입자 C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반하여 이동을 관리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는 가입자의 이동확률에 기반하여 가입자 별로 이동을 관리함으로써 가입자에 의한 위치등록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이동에 따른 페이징의 부하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디폴트TAL구성부(150)는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TAL구성부(1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의해 기 설정된 TAL을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관리부(140)는 1차적으로 가입자에 대응하여 구성된 가입자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며, 이동패턴에 속하지 않는 가입자의 이동에 대해서는 2차적으로 디폴트TAL구성부(150)에 의해 구성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동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 A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가입자 A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가 TAC2, TAC8, TAC14로 구성된 경우에 가입자 A가 TAC2에서 TAC3의 방향으로 가입자 A의 이동패턴에 벗어난 이동을 하면, 이동관리부(140)는 1차적으로 가입자 A에 대한 TAL A를 검색하고 다음에 2차적으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검색하여 TAL 1을 검색하며, 그에 따라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 TAL 2에 기초하여 가입자 A의 이동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이동관리부(150)는 가입자에 대응하여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등으로 복수의 가입자 트래킹 영역 리스트가 구성된 경우,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해당 가입자에 대응하는 가입자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검색한 다음에 대응하는 가입자 트래킹 영역 리스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반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는 1차적으로 가입자 별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반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며, 가입자가 이동패턴에 벗어난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2차적으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반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함으로써, 가입자가 이동패턴을 벗어난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가입자에 의한 위치등록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이동에 따른 페이징의 부하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이력기록부(110)는 가입자의 이동에 따른 트래킹 영역 코드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며, 이동패턴추출부(120)는 이동이력기록부(110)의 갱신에 따라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가입자가 기존의 이동패턴을 벗어난 이동을 하여 새로운 트래킹 영역에 위치등록을 한 경우, 이동패턴추출부(120)는 가입자의 이동에 의해 새로 등록된 트래킹 영역을 기존의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들과 비교하며, 그에 따라 최근의 설정된 기간 동안의 확률을 반영하여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입자TAL구성부(130)는 가입자의 이동이 반영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입자의 이동을 반영하여 가입자TAL구성부(130)가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갱신하는 대신에, 디폴트TAL구성부(150)가 디폴트로 설정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로써,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벗어나는 이동이 특정 값 이하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가입자TAL구성부(130)에 기반하여 1차적으로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며,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가입자의 이동에 대해서는 2차적으로 디폴트TAL구성부(150)에 기반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이력기록부(11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한다(S110).
이동패턴추출부(120)는 이동이력기록부(110)에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며(S120), 검색된 트래킹 영역 코드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한다(S130).
가입자TAL구성부(130)는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한다(S140). 이때, 가입자TAL구성부(130)는 가입자의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동관리부(140)는 가입자의 이동에 대응하여 해당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조회하며(S150),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여 구성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따라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한다(S160). 이때, 가입자의 이동이 해당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이동관리부(140)는 기 설정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따라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할 수 있다(S170).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방법은 개인별 이동지역에 대한 확률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위치등록 부하를 줄이면서 페이징의 부하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이동통신망 내에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TAC: Tracking Area Code)의 변화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하는 이동이력기록부;
    상기 이동이력기록부에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하는 이동패턴추출부;
    상기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상기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TAL: Tracking Area List)를 구성하는 가입자TAL구성부; 및
    구성된 상기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는 이동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는 디폴트TAL구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리부는,
    상기 이동패턴에 속하지 않는 상기 가입자의 이동에 대하여 상기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동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TAL구성부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4. 이동성 관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가입자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의 변화를 이동이력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이력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이동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확률을 갖는 트래킹 영역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트래킹 영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이동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의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트래킹 영역 코드로 상기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턴에 속하지 않는 상기 가입자의 이동에 대하여, 기 설정된 디폴트 트래킹 영역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영역 리스트 구성단계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방법.


KR1020120132082A 2012-11-21 2012-11-21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20140065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82A KR20140065050A (ko) 2012-11-21 2012-11-21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82A KR20140065050A (ko) 2012-11-21 2012-11-21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50A true KR20140065050A (ko) 2014-05-29

Family

ID=5089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082A KR20140065050A (ko) 2012-11-21 2012-11-21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05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560A (ja) * 2003-09-09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の位置登録方法
KR20060051720A (ko) * 2004-09-29 2006-05-19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이동 유닛에 대한 동적인 위치 영역 세트를 계산하는 방법
KR20100097750A (ko) * 2007-12-26 2010-09-03 차이나 모바일 그룹 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용자 이동성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17622A (ko) * 2009-08-14 2011-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등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69641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트랙킹 영역 관리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560A (ja) * 2003-09-09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の位置登録方法
KR20060051720A (ko) * 2004-09-29 2006-05-19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이동 유닛에 대한 동적인 위치 영역 세트를 계산하는 방법
KR20100097750A (ko) * 2007-12-26 2010-09-03 차이나 모바일 그룹 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용자 이동성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17622A (ko) * 2009-08-14 2011-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등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69641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트랙킹 영역 관리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32C (zh) 移动通信系统用户数据的更新
US9071951B2 (en) Method for associating a tracking area identity list with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2017720B (zh) 改善捕获概率和功耗的信道扫描方法和装置
CN102149194B (zh) 一种跟踪区列表的确定方法及装置
US8995985B2 (en) Method for use in associating tracking area lists with user equip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440563B2 (en) Mobility management node selection to support cloud-centric environments
US20150181494A1 (e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es Enabling to Improve Handover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O2015158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ignificant locations through data obtainable from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W201338575A (zh) 多sim卡行動裝置之自動sim卡選擇
US8989776B2 (en) Location aggregation system
CN101291524A (zh) 基于小区位置信息的追踪区列表管理方法及装置
CN104754505B (zh) 一种号码信息推送方法、快速拨号方法以及装置和系统
CN102056128B (zh) 机器类通讯终端信息的获取方法和系统
CN104105118A (zh) Lte网络中跟踪区列表配置方法及系统
KR100513737B1 (ko) IPv6 기반 지역화 이동성관리에서 이동노드의이동성프로파일 관리방법
KR2014006505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CN106604214A (zh) 基于终端移动特征的动态跟踪区的设置方法
CN102227147A (zh) 一种用于协同校验国际移动设备标识的方法及系统
WO20100508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on-based call management
US201903132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status of a us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2685659A (zh) 移动终端以及关联地区与电话簿的方法
US20160128019A1 (en) Method and mobile management node for paging user equipments
CN102685733B (zh) 一种用于创建和维护移动台信息镜像数据库的方法和系统
Oh The location management scheme using mobility information of mobile users in wireless mobile networks
EP3148243A1 (en) Resource optim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4

Effective date: 2020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