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394A -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394A
KR20140064394A KR1020120131688A KR20120131688A KR20140064394A KR 20140064394 A KR20140064394 A KR 20140064394A KR 1020120131688 A KR1020120131688 A KR 1020120131688A KR 20120131688 A KR20120131688 A KR 20120131688A KR 20140064394 A KR20140064394 A KR 20140064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scan line
liquid crys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035B1 (ko
Inventor
김미숙
유안나
김동오
이기용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0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커버(Front Cover), 상기 전면커버에 대항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부(First Light Source Part)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하는 제 2 측면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부(Second Light Source Part)를 포함하고,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Turn-On) 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과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의 휘도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Edge Type Back Light Unit)의 깜박임(Blinking) 동작을 개선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부(First Light Source Part)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하는 제 2 측면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부(Second Light Source Part)를 포함하고,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Turn-On) 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과 다를 수 있다.
또한, 한 프레임 내에 상기 제 1 광원부와 상기 제 2 광원부가 함께 턴-온된 상태를 갖는 기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제 1 스캔 라인부터 제 n 스캔 라인(n은 1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제 1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제 n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동안 상기 제 1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은 상기 제 n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보다 앞서고,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보다 앞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스캔 라인 중 제 X-2 스캔 라인(X는 3보다 크고 상기 n보다 작은 자연수)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공급시점과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1 시간차라고 하고, 복수의 상기 스캔 라인 중 제 X-2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공급시점과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2 시간차라고 하고, 복수의 상기 스캔 라인 중 제 X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공급시점과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3 시간차라고 할 때, 상기 제 2 시간차는 상기 제 1 시간차 및 상기 제 3 시간차보다 짧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시간차는 상기 제 1 시간차 및 상기 제 2 시간차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동안 상기 제 1 스캔 라인부터 상기 제 n 스캔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가 턴-온된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제 2 광원부가 턴-온된 기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한 프레임 내에 상기 제 1 광원부와 상기 제 2 광원부가 함께 턴-오프된 상태를 갖는 기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커버(Front Cover), 상기 전면커버에 대항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부(First Light Source Part)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하는 제 2 측면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부(Second Light Source Part)를 포함하고,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Turn-On) 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제 1 스캔 라인부터 제 n 스캔 라인(n은 1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제 1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제 n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동안 상기 제 1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은 상기 제 n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보다 앞서고,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보다 앞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제 1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제 2 측에 배치되는 제 2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과 제 2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번갈아가며 턴-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영상의 휘도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 내지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8 내지 도 21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타입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송 관련 정보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타입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예컨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 방식을 이용하는 위치정보 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또는 조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간략하게 액정 패널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여 터치 센서가 이를 감지하는 경우에, 터치에 대응하는 신호가 터치 센서에 의해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터치 제어기는 수신한 신호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제어부(180)를 저치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근접센서(142)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근접센서(142)는 터치 센서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터치 센서와 근접 센서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근접센서(142)는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142)는 정전식 근접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142)는, 소정의 객체,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객체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142)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혹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식별 모듈(Identifying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도시하지 않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로 사용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51)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보드(Driving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51)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소정의 구동신호(Driving Signal)을 공급하기 위한 드라이브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보호기판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3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300), 윈도우 기판(300)과 하우징(24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기판(30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30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기판(300)에는 터치 센싱을 위한 전극 및 근접 센싱을 위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회로 기판(400)은 앞선 도 1의 제어부(180)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메인 회로 기판(400)은 도 1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회로 기판(400)은 도 1의 메모리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개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151),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게이트 구동회로(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및 게이트 구동회로(730) 중 적어도 하나는 앞선 도 1에서 설명한 부호 180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및 게이트 구동회로(730)는 제어부(18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및 게이트 구동회로(7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180)로부터 독립된 드라이브 IC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및 게이트 구동회로(730)는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기판(Substrate)에 패터닝(Patterning)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도시하지 않은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데이터라인들(500)과 게이트라인들(510)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라인(510)은 스캔 라인(Scan Line)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스캔 라인은 게이트 라인(510)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TFT 어레이 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500), 데이터라인들(500)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510), 데이터라인들(500)과 게이트라인들(510)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 TFT에 접속된 액정셀(Clc)의 화소전극, 화소전극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이 형성된다.
데이터라인들(500)은 컬럼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게이트라인들(510)은 컬럼 방향과 직교하는 라인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이 형성된다.
액정셀들(Clc)은 TFT를 통해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충전하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된다. 공통전극은 TFT 어레이 기판 및/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TFT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접착된다. TFT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각각에서 액정층과 접하는 면에는 액정분자들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으로 구현되거나,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 반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입력된 입력 영상의 8 bi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6 bi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회로(72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720)와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신호들은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동작 타임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 데이터 구동회로(720)의 동작 타이밍과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동작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샘플링 클럭(SSC), 극성제어신호(POL),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회로(7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데이터 구동회로(720) 내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구동회로(102)의 출력 타이밍과 차지 쉐어링(Charge sharing timing)을 제어한다. 극성제어신호(POL)는 데이터 구동회로(7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 반전 타이밍을 지시한다.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부(Light Source Part)의 깜박임(Blinking)을 조절할 수 있다. 깜박임 구동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타이밍 콘트롤러(710)로부터 입력되는 6 bi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래치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회로(720)로부터 출력된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은 데이터라인들(500)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회로(730)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과 동기되는 게이트펄스(혹은 스캔신호(Scan Signal, SCS))를 게이트라인들(51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게이트펄스를 스캔신호로 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및 게이트 구동회로(730)를 통칭하여 구동부(Driver)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동작을 위해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는 것들을 통칭하여 구동부라 칭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셀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500)과 게이트라인(510)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접속된 TFT를 포함할 수 있다.
TFT는 게이트라인(510)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300)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520)에 공급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520)의 전압과 공통전극(530)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회동하여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양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Clc)의 전압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51)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21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151),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후방에 위치하는 도광판(Lihgt Guide Plate, 8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광판(810)과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8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800)은 복수의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800)은 프리즘 시트 및/또는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광학층(800)은 반사형 편광필름(Reflective Polarizer), 예컨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광학층(800)의 특징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광판(810)의 제 1 측면(AR1)에는, 도 8 내지 도 9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광원(Light Source, 822A)을 포함하는 제 1 광원부(First Light Source Part, 820A)가 배치되고, 도광판(810)의 제 1 측면(AR1)에 대항되는 제 2 측면(AR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822B)을 포함하는 제 2 광원부(Second Light Source Part, 82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광원부(820A)는 제 1 기판(821A)과 제 1 기판(821A)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82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광원부(820A)에 배치되는 광원(822A)을 제 1 광원이라 칭한다.
제 2 광원부(820B)는 제 2 기판(821B)과 제 2 기판(821B)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8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광원부(820B)에 배치되는 광원(822B)을 제 2 광원이라 칭한다.
제 1 광원부(820A)에 포함된 제 1 광원(822A)의 개수는 제 2 광원부(820B)에 포함된 제 2 광원(822B)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제 1 스캔 라인(S1)부터 제 n 스캔 라인(Sn, n은 1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광원부(820A)는 제 1 스캔 라인(S1)과 인접하고, 제 2 광원부(820B)는 제 n 스캔 라인(Sn)과 인접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820A)와 제 2 광원부(820B)를 백라이트 유닛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제 1, 2 광원부(820A, 820B), 도광판(810), 광학층(800)을 통칭하여 백라이트 유닛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제 1 광원부(820A) 및 제 2 광원부(820B)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한다. 즉, 이하에서 제 1 백라이트 유닛(BLU1)은 제 1 광원부(820A)를 칭하고, 제 2 백라이트 유닛(BLU2)은 제 2 광원부(820B)를 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앞선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캔 라인(게이트라인)에 스캔 신호(SCS)(혹은 게이트펄스)가 공급되는 TFT가 턴-온되어 데이터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이 액정셀(Clc)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배열이 재배열되어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산된 광이 액정셀을 투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51)에 소정의 영상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데이터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의 재배열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의 게조(Gray Level)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에 대해 액정설(Clc)이 턴-온(Turn-On)되거나 혹은 턴-오프(Turn-Off)되는 것으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스캔라인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되면 스캔신호의 공급시점에서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바로 완료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와 같이, t0시점에서 제 1 스캔라인(S1)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되면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은 t0시점부터 t2시점까지의 기간(T1) 동안 서서히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는 스캔신호(SCS)가 공급되는 시점부터 액정셀(Clc)이 완전히 턴-온되는데까지 소용되는 시간이 T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이하에서 액정셀(Clc)이 턴-온된다는 것은 스캔라인에 공급되는 스캔신호(SCS)에 대응하여 액정셀(Clc)의 투과율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된 것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캔 신호(SCS)가 공급되는 기간을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AP)(t0-t1)이라 하고, 어드레스 기간(AP)부터 액정셀(Clc)이 완전히 턴-온되는데까지의 기간을 전이기간(TP)(t1-t2)이라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는 어드레스 기간(AP)과 전이기간(TP)에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아울러, 전이기간(TP) 이후에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되면 백라이트 유닛(BLU)이 턴-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턴-온되는 기간을 발산기간(Emitting Period, EP)이라 칭하고, 백라이트 유닛(BLU)이 턴-오프되는 기간을 비발산기간(Non Emitting Period, NEP)이라 칭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액정셀(Clc)이 턴-온되는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액정셀(Clc)이 턴-오프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셀(Clc)이 턴-오프되는 경우에도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서서히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액정셀(Clc)이 턴-오프된다는 것은 스캔라인에 공급되는 스캔신호(SCS)에 대응하여 액정셀(Clc)이 투과율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된 것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제 1 프레임(Frame 1, F1) 기간 동안 제 1 스캐라인(S1)에 스캔 신호(SCS)가 공급되는 시점부터 소정 길이의 비발산기간(NEP) 동안 백라이트 유닛(BLU)은 턴-오프되고, 비발산기간(NEP) 이후의 발산기간(EP) 동안 백라이트 유닛(BLU)은 턴-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라이트 유닛(BLU)은 발산기간(EP) 동안 턴-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 1 프레임(F1) 기간 이후의 제 2 프레임(Frame 2, F2) 기간에서 제 1 스캔 라인(S1)에 스캔 신호(SCS)가 공급되기 이전에 턴-오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계속해서 턴-온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턴-온되고,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진행중이거나 혹은 스캔신호(SCS)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턴-오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전 프레임 기간과 현재 프레임 기간의 영상이 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복수의 스캔라인의 스캔순서(Scan Sequence)에 따라 제 1 광원부(820A)와 제 2 광원부(820)의 턴-온시점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프레임 기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AP)동안 제 1 스캔 라인(S1)부터 제 n 스캔 라인(Sn)까지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SCS)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스캔 라인(S1)에 스캔 신호(SCS)가 공급되는 시점은 제 n 스캔 라인(Sn)에 스캔 신호(SCS)가 공급되는 시점보다 앞선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3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 기간, 예컨대 제 1 프레임(F1) 기간 동안 스캔순서가 빠른 제 1 스캔라인(S1)에 인접한 제 1 광원부(820A, BLU1)(혹은 제 1 백라이트 유닛)의 턴-온시점은 제 2 광원부(820B, BLU2)(혹은 제 2 백라이트 유닛)의 턴-온시점보다 소정시간(△t)만큼 앞설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프레임(F1) 기간 동안 제 1 광원부(820A)가 턴-온되는 기간을 제 1 발산기간(EP1)이라 하고 제 2 광원부(820B)가 턴-온되는 기간을 제 2 발산기간(EP2)이라 할 때, 제 1 발산기간(EP1)의 시작시점은 제 2 발산기간(EP2)의 시작시점보다 앞설 수 있다.
이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한 프레임, 예컨대 제 1 프레임(F1)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제 1 영역(FH)의 스캔이 완료된 이후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제 2 영역(SH)의 스캔이 완료된 이후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된 기간, 즉 제 1 발산기간(EP1)의 길이는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된 기간, 즉 제 2 발산기간(EP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Blurring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의 휘도가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제 1 영역(FH)의 스캔이 완료된 이후에 제 2 광원부(BLU2)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 1 광원부(BLU1)를 턴-온하게 되면, 제 2 영역(SH)에서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진행 중이라고 하더라도, 제 2 영역(SH)에서 액정 분자의 재배열이 진행 중인 액정셀(Clc)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의 영상이 섞이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를 살펴보면, 본 발명과는 다르게 도광판(810)의 일측에만 복수의 광원(822C)을 포함하는 광원부(820C)를 배치하는 제 1 비교예의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도광판(810)의 양쪽에 위치하는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를 포함하고,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시점(ta)이 서로 동일하고,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는 기간(EP1)과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되는 기간(EP2)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제 2 비교예의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비교예와 제 2 비교예의 경우에 인접하는 프레임 기간의 영상이 섞이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스캔라인 중 마지막 스캔라인, 예컨대 제 n 스캔라인(Sn)에 스캔 신호(SCS)가 공급 완료된 시점에서 전이기간(TP) 만큼의 시간이 흐른 이후에 백라이트 유닛(혹은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을 턴-온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백라이트 유닛의 발산기간(EP)의 길이가 과도하게 감소하여 영상의 휘도 및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영상의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백라이트 유닛의 발산기간(EP)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7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1)에서 스캔순서가 늦은 스캔라인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오프되는 액정셀(Clc)이 완전히 닫히기 전에 백라이트 유닛이 턴-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 기간의 영상이 혼합되어 영상의 화질이 악화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 기간의 영상이 혼합되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1)에서 스캔순서가 늦은 스캔라인이 위치하는 영역(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하단부)에서 영상이 뿌옇게 되는 Blurring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시점을 다르게 하면 Blurring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영상의 휘도가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시점을 다르게 조절하면 스캔 신호(SCS)의 공급시점과 제 1 광원부(BLU1) 또는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9에서는 복수의 스캔라인(S1~Sn)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SCS)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제 1 광원부(BLU1)의 턴-온시점이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시점보다 앞서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9를 살펴보면, 제 1 스캔라인(S1)의 입장에서는 제 1 스캔라인(S1)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이후 소정의 전이기간(TP) 동안 제 1 스캔라인(S1)에 대응되는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휴지기간(Pause Period, PP)이후에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스캔라인(S1)에 대응되는 휴지기간(PP)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제 X-2 스캔라인(Sx-2)의 입장에서는 제 X-2 스캔라인(Sx-2)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이후 소정의 전이기간(TP) 동안 제 X-2 스캔라인(Sx-2)에 대응되는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휴지기간(PP)이후에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X-2 스캔라인(Sx-2)에 대응되는 휴지기간(PP)의 길이는 제 1 스캔라인(S1)에 대응되는 휴지기간(PP)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제 X-1 스캔라인(Sx-1)의 입장에서는 제 X-1 스캔라인(Sx-1)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이후 소정의 전이기간(TP) 동안 제 X-1 스캔라인(Sx-1)에 대응되는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될 수 있다. 전이기간(TP) 이후에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될 수 있다. 즉, 제 X-1 스캔라인(Sx-1)의 입장에서는 휴지기간이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혹은 제 X-1 스캔라인(Sx-1)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휴지기간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휴지기간(PP)의 의미는 액정셀(Clc)의 액정 분자 재배열이 완료된 이후부터 백라이트 유닛이 턴-온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스캔라인(S1)과 제 X-1 스캔라인(Sx-1)을 비교하면, 제 1 스캔라인(S1)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는 제 X-1 스캔라인(Sx-1)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아울러, 제 X 스캔라인(Sx)과 제 n 스캔라인(Sn)을 비교하면, 제 X 스캔라인(Sx)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는 제 n 스캔라인(Sn)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X-2 스캔라인(Sx-2), 제 X-1 스캔라인(Sx-1), 제 X 스캔라인(Sx)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X는 3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제 X-2 스캔라인(Sx-2), 제 X-1 스캔라인(Sx-1), 제 X 스캔라인(Sx)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SCS)가 공급될 수 있다.
제 X-2 스캔라인(Sx-2)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1 시간차(t12)라 하고, 제 X-1 스캔라인(Sx-1)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2 시간차(t10)라 가정하자. 아울러, 제 X 스캔라인(Sx)에 스캔신호(SCS)가 공급된 시점과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3 시간차(t11)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2 시간차(t10)는 제 1 시간차(t12) 및 제 3 시간차(t1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3 시간차(t11)는 제 1 시간차(t12) 및 제 2 시간차(t10)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대해, 제 1 광원부(BLU1)가 제 1 스캔라인(S1)부터 제 X-1 스캔라인(Sx-1)에 대응하여 턴-온되고, 제 2 광원부(BLU2)가 제 X 스캔라인(Sx)부터 제 n 스캔라인(Sn)에 대응하여 턴-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보다 쉽게 설명하면 도 20의 경우와 같다.
도 20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51)이 제 1 스캔라인(S1)부터 제 8 스캔라인(S8)까지 총 8개의 스캔라인을 포함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아울러, 스캔신호(SCS)가 제 1 스캔라인(S1)부터 제 8 스캔라인(S8)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제 1 광원부(BLU1)는 제 1 스캔라인(S1)에 인접하고, 제 2 광원부(BLU2)는 제 8 스캔라인(S8)에 인접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0을 살펴보면, 제 1 스캔라인(S1)부터 제 4 스캔라인(S4)까지 스캔신호(SCS)의 공급이 완료된 시점에서 소정의 전이기간(TP)이 지난 이후에 제 1 광원부(BLU1)가 턴-온되고, 제 5 스캔라인(S5)부터 제 8스캔라인(S8)까지 스캔신호(SCS)의 공급이 완료된 시점에서 소정의 전이기간(TP)이 지난 이후에 제 2 광원부(BLU2)가 턴-온될 수 있다. 즉, 제 1 광원부(BLU1)는 제 1 스캔라인(S1)부터 제 4 스캔라인(S4)에 대응하여 턴-온되고, 제 2 광원부(BLU2)는 제 5 스캔라인(S5)부터 제 8 스캔라인(S8)에 대응하여 턴-온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한 프레임 내에서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가 함께 턴-온된 상태를 갖는 기간(CONP)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가 함께 턴-온된 상태를 갖는 기간(CONP)을 공통 온 기간이라고 칭할 수 있다.
아울러, 한 프레임 내에서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가 함께 턴-오프된 상태를 갖는 기간(COFP)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가 함께 턴-오프된 상태를 갖는 기간(COFP)을 공통 오프 기간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는, 도 21의 경우와 같이, 한 프레임 내에서 제 1 광원부(BLU1)와 제 2 광원부(BLU2)가 함께 턴-온되는 기간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프레임 기간 내에서 제 1 광원부(BLU1)의 턴-온시점이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시점보다 앞서는 경우에 제 1 광원부(BLU1)의 턴-오프시점이 제 2 광원부(BLU2)의 턴-온시점보다 소정시간(t20) 앞설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부(First Light Source Part);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하는 제 2 측면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부(Second Light Source Part);
    를 포함하고,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Turn-On) 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 내에 상기 제 1 광원부와 상기 제 2 광원부가 함께 턴-온된 상태를 갖는 기간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제 1 스캔 라인부터 제 n 스캔 라인(n은 1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제 1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제 n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동안 상기 제 1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은 상기 제 n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보다 앞서고,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보다 앞서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캔 라인 중 제 X-2 스캔 라인(X는 3보다 크고 상기 n보다 작은 자연수)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공급시점과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1 시간차라고 하고,
    복수의 상기 스캔 라인 중 제 X-2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공급시점과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2 시간차라고 하고,
    복수의 상기 스캔 라인 중 제 X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공급시점과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 사이의 시간차이를 제 3 시간차라고 할 때,
    상기 제 2 시간차는 상기 제 1 시간차 및 상기 제 3 시간차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차는 상기 제 1 시간차 및 상기 제 2 시간차보다 큰 디스플레이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동안 상기 제 1 스캔 라인부터 상기 제 n 스캔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가 턴-온된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제 2 광원부가 턴-온된 기간의 길이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 내에 상기 제 1 광원부와 상기 제 2 광원부가 함께 턴-오프된 상태를 갖는 기간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전면커버(Front Cover);
    상기 전면커버에 대항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부(First Light Source Part);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하는 제 2 측면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부(Second Light Source Part);
    를 포함하고,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Turn-On) 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제 1 스캔 라인부터 제 n 스캔 라인(n은 1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제 1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제 n 스캔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동안 상기 제 1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은 상기 제 n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시점보다 앞서고,
    상기 제 1 광원부의 턴-온시점은 상기 제 2 광원부의 턴-온시점보다 앞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131688A 2012-11-20 2012-11-20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688A KR102012035B1 (ko) 2012-11-20 2012-11-20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688A KR102012035B1 (ko) 2012-11-20 2012-11-20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94A true KR20140064394A (ko) 2014-05-28
KR102012035B1 KR102012035B1 (ko) 2019-10-21

Family

ID=5089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688A KR102012035B1 (ko) 2012-11-20 2012-11-20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0711A (zh) * 2021-12-31 2022-03-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492A (ko) * 2000-11-30 2002-06-0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19951A (ko) * 2006-06-16 2007-12-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41266A (ko) * 2009-10-15 2011-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KR20110136433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21695A (ko) * 2010-08-13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047059A (ko) * 2010-11-03 201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492A (ko) * 2000-11-30 2002-06-0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19951A (ko) * 2006-06-16 2007-12-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41266A (ko) * 2009-10-15 2011-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KR20110136433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21695A (ko) * 2010-08-13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047059A (ko) * 2010-11-03 201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0711A (zh) * 2021-12-31 2022-03-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200711B (zh) * 2021-12-31 2023-09-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035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40413U (zh) 显示面板和移动终端
US974128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riving same
KR101578736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1237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314478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50084608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45586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62852A (ko) 이동 단말기
CN108449447B (zh) 一种使用单个墨水屏的通信设备
KR101857653B1 (ko) 이동 단말기
KR10201203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50026419A (ko) 이동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20905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6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505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1764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8781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1634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30081882A (ko) 이동 단말기
KR101540813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1015909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기능실행 방법
KR101695691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14638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85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